KR101894053B1 - 틴트 컬러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 - Google Patents

틴트 컬러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053B1
KR101894053B1 KR1020160041685A KR20160041685A KR101894053B1 KR 101894053 B1 KR101894053 B1 KR 101894053B1 KR 1020160041685 A KR1020160041685 A KR 1020160041685A KR 20160041685 A KR20160041685 A KR 20160041685A KR 101894053 B1 KR101894053 B1 KR 101894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lm
color
display device
smo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5173A (ko
Inventor
이혁민
이성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60041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053B1/ko
Publication of KR20170115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필름,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모그부, 상기 스모그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UV 몰딩부, 상기 UV 몰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증착부, 및 상기 증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인쇄부를 포함하는 틴트 컬러 구현을 위한 필름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틴트 컬러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FILM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FOR IMPLEMENTATION TINT COL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틴트 컬러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현대사회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통신장치로서, 그 기능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다양화 되고 있다. 휴대폰의 기능이 다양화 되면서 휴대폰 자체에 집적된 IT 기술은 복합적으로 발생되며 그에 따른 제품단가도 상승하는 추세에 있다.
종래의 휴대폰 등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창(이하, 윈도우라 함)은 가격이 저렴하고 제작이 용이한 합성수지 재질인 아크릴시트 등을 소재로 하여 제작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합성수지의 특성상 열과 스크래치에 취약하고, 투과율이 유리보다 나쁘며, 선명한 화면을 위해 휘도를 높일 경우 배터리 소모가 많아지는 등의 단점 때문에, 최근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글라스(특히, 강화유리) 소재를 많이 이용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되는 글라스 윈도우에는 다양한 디자인이 형성되는데 고급스런 미감을 형성하기 위하여 인쇄, 증착 등의 다양한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특히, 최근 들어 틴트 컬러(Tint Color)라고 불리는 미감, 구체적인 예로서 색 혼합을 통해 연하고 밝은 색조의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색감을 형성하는 기법에 대해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10784호(공개일: 2012년 10월 10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윈도우 글라스 인쇄장치에 관한 기술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하고 고급스런 색상의 틴트 컬러(예: 핑크 골드, 에메랄드 그린, 토파즈 블루 등)를 구현해 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틴트 컬러의 구현에 있어서 기존의 방식에 비해 불량률을 줄여 품질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필름;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모그부; 상기 스모그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UV 몰딩부; 상기 UV 몰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증착부; 및 상기 증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인쇄부;를 포함하는 틴트 컬러 구현을 위한 필름구조체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부에 일면이 부착되는 점착부; 및 상기 점착부의 타면에 부착되는 이형필름;을 더 포함하는 틴트 컬러 구현을 위한 필름구조체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부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형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부는, 설정된 제1 색상을 갖도록 상기 증착부의 상부 면에 인쇄되며, 상기 증착부는, 상기 UV 몰딩부의 상부 면에 증착 컬러로 증착 형성되고, 상기 스모그부는, 상기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을 가지며 반투명 상태로 처리되도록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부 면에 실크 스크린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UV 몰딩부는, 상기 스모그부가 형성된 상부 면에 설정된 UV 패턴으로 몰딩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된 UV 패턴은, 상기 베이스필름의 가로 및 세로 방향 중 선택된 하나의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직선패턴이 동일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모그부의 실크 스크린 인쇄에 이용되는 제판 망은, 상기 베이스필름의 가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라인과, 상기 베이스필름의 세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이 상호 교차하여 상기 베이스필름의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직교하는 격자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자무늬는 상기 설정된 UV 패턴에 매칭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 각각의 두께는 상기 설정된 UV 패턴에 매칭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하고 고급스런 색상의 틴트 컬러(예: 핑크 골드, 에메랄드 그린, 토파즈 블루 등)를 구현해 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방식에 비해 간편하고 저렴하게 틴트 컬러를 구현해 낼 수 있는데, 틴트 컬러 구현에 따른 불량률을 대폭 낮추고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글라스 윈도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의 형성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UV 몰딩부의 UV 패턴 형상(a), 스모그부의 실크 스크린 인쇄에 이용되는 종래의 제판 망 형상(b), 스모그부의 실크 스크린 인쇄에 이용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판 망 형상(c)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글라스 윈도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기기(1)의 글라스 윈도우는 내측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서 표시부, 즉 뷰 에어리어(View Area, VA)가 형성되고, 그 테두리 외측을 따라 컬러인쇄부(P)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의 형성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는 베이스필름(100), 스모그부(200), UV 몰딩부(300), 증착부(400), 인쇄부(50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점착부(20), 이형필름(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필름(100)은 투명한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제공될 수 있는데, 바람직한 예로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모그부(200)는 베이스필름(1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모그부(200)는 반투명의 컬러 층을 형성하는데, 만일 핑크 골드의 틴트 컬러를 구현해 내기 위해서는 스모그부(200)는 반투명의 핑크 컬러로 형성될 수 있다.
UV 몰딩부(300)는 스모그부(2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UV 몰딩부(300)는 스모그부(200)가 형성된 상부 면에 설정된 UV 패턴을 갖도록 몰딩 형성될 수 있다.
증착부(400)는 UV 몰딩부(3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증착부(400)는 UV 몰딩부(300)의 상부 면에 증착 컬러(예: 실버 등)로 증착 형성되어, 거울 효과를 낼 수 있다.
인쇄부(500)는 증착부(4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부(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틴트 컬러의 메인 컬러 층을 형성하도록 인쇄되는 층을 말한다.
예컨대, 핑크 골드의 틴트 컬러를 구현해 내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모그부(200)는 반투명의 핑크 컬러로 형성되고, 인쇄부(500)는 불투명의 금색 컬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틴트 컬러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는 베이스필름(100)의 하부에 점착부(20)와 이형필름(10)이 더 포함된다.
점착부(20)는 베이스필름(100)의 하부에 일면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착부(20)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OCA는 대전 방지 기능이 뛰어난 점착제로서 투명성이 뛰어나며 박리시의 정전기 발생이 적고, 박리에 의한 점착제의 나머지에 의한 오염이 없는 장점이 있는 소재로서, 점착제 또는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 필름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형필름(10)은 전술한 베이스필름(100)과 동일 유사하게 투명한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컨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형필름(10)은 추후 박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인쇄부(500)는 설정된 제1 색상(예: 골드 등)을 갖도록 증착부(400)의 상부 면에 인쇄될 수 있다.
증착부(400)는 UV 몰딩부(300)의 상부 면에 실버 컬러로 증착 될 수 있다.
한편, 스모그부(200)는 인쇄부(500)의 제1 색상(예: 골드 등)과 다른 제2 색상(예: 핑크 등)을 가질 수 있는데, 특히 전용의 제판 망을 이용한 실크 스크린 인쇄 방법을 이용하여 반투명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UV 몰딩부(300)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반투명 상태의 핑크 컬러를 형성하는 스모그부(200)의 상부 면에 설정된 UV 패턴을 갖도록 몰딩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UV 몰딩부(300)의 설정된 UV 패턴은 도 4의 (a)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도시된 UV 패턴(310)은 UV 몰딩부(300)가 형성되는 베이스필름(100)의 가로 및 세로 방향 중 선택된 하나의 방향(예: 가로 방향 등)을 따라 복수 개의 직선 형상 패턴(310)이 동일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UV 패턴(310)에 의해 스모그부(200)의 실크 스크린 인쇄에 사용되는 제판 망(700, 도 4의 (c) 참조)은 기존의 제판 망(600, 도 4의 (b) 참조)과 차별화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4의 (b)를 참조하면, 기존 방식의 제판 망(600)은 가로 및 세로 방향에 각각 경사진 형태의 격자무늬를 형성하는데, 이 경우 UV 몰딩부(300)의 UV 패턴(310, 도 4의 (a) 참조) 구조 사이에 들어가지 못하여 상호 간의 매칭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모그부(200)의 형성에 사용되는 실크 스크린 인쇄에 사용되는 제판 망(700)은 도 4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필름의 가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라인(710)과, 베이스필름의 세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라인(720)을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 라인(710)과 제2 라인(720)이 상호 교차하여 베이스필름의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직교하는 격자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라인(710)과 제2 라인(720)이 상호 교차하여 형성된 격자무늬는 전술한 UV 몰딩부(300)의 설정된 UV 패턴(310)에 매칭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또한, 제1 라인(710)과 제2 라인(720) 각각의 두께는 설정된 UV 패턴(310)에 매칭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종래의 실크 스크린 인쇄에 사용되는 제판 망의 격자무늬를 형성하는 라인의 두께가 35um라고 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제1, 2라인(710, 720)의 두께는 25um 정도로 얇게 형성되어 UV 패턴(310) 사이에 더욱 잘 매칭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에 의하면, 베이스필름의 상부에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제판 망을 이용하여 스모그부를 실크 스크린 방식으로 인쇄하고, 이후 UV 몰딩부, 증착부를 순차로 형성한 다음 메인 컬러로 인쇄부를 형성하여 목표하는 틴트 컬러를 구현해 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모그부를 반투명의 핑크 컬러로 형성하고, 인쇄부를 골드 컬러로 형성한 경우, 핑크 골드의 틴트 컬러를 구현해 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증착부의 형성 시 별도의 색상을 형성하지 않아 컬러 구현 시 나타나는 불량률을 대폭 낮출 수 있으며, 연속 공정을 통해 틴트 컬러의 구현이 가능하여 필름구조체의 제조 단가를 대폭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다양하고 고급스런 색상의 틴트 컬러(예: 핑크 골드, 에메랄드 그린, 토파즈 블루 등)를 구현해 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방식에 비해 간편하고 저렴하게 틴트 컬러를 구현해 낼 수 있는데, 틴트 컬러 구현에 따른 불량률을 대폭 낮추고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디스플레이 기기
10: 이형필름
20: 점착부
100: 베이스필름
200: 스모그부
300: UV 몰딩부
310: UV 패턴
400: 증착부
500: 인쇄부
700: 제판 망
710: 제1 라인
720: 제2 라인

Claims (10)

  1. 베이스필름,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모그부, 상기 스모그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UV 몰딩부, 상기 UV 몰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증착부, 및 상기 증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인쇄부를 포함하는 틴트 컬러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로서,
    상기 인쇄부는 설정된 제1 색상을 갖도록 상기 증착부의 상부 면에 인쇄되며,
    상기 증착부는 상기 UV 몰딩부의 상부 면에 증착 컬러로 증착 형성되고,
    상기 스모그부는 상기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을 가지며 반투명 상태로 처리되도록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부 면에 실크 스크린 인쇄되며,
    상기 UV 몰딩부는 상기 스모그부가 형성된 상부 면에 설정된 UV 패턴으로 몰딩 형성되되, 상기 설정된 UV 패턴은 상기 베이스필름의 가로 및 세로 방향 중 선택된 하나의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직선패턴이 동일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스모그부의 실크 스크린 인쇄에 이용되는 제판 망은, 상기 베이스필름의 가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라인과, 상기 베이스필름의 세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이 상호 교차하여 상기 베이스필름의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직교하는 격자무늬를 형성하며, 상기 격자무늬는 상기 설정된 UV 패턴에 매칭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 각각의 두께는 상기 설정된 UV 패턴에 매칭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틴트 컬러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의 하부에 일면이 부착되는 점착부; 및
    상기 점착부의 타면에 부착되는 이형필름;
    을 더 포함하는 틴트 컬러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틴트 컬러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를 포함하는
    틴트 컬러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틴트 컬러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41685A 2016-04-05 2016-04-05 틴트 컬러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 KR101894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685A KR101894053B1 (ko) 2016-04-05 2016-04-05 틴트 컬러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685A KR101894053B1 (ko) 2016-04-05 2016-04-05 틴트 컬러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173A KR20170115173A (ko) 2017-10-17
KR101894053B1 true KR101894053B1 (ko) 2018-09-05

Family

ID=6029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685A KR101894053B1 (ko) 2016-04-05 2016-04-05 틴트 컬러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0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570B1 (ko) * 2012-04-27 2013-02-21 김지웅 터치스크린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907B1 (ko) * 2009-11-06 2012-08-30 김영준 컬러층이 구비된 보호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31173A (ko) * 2011-02-08 2011-03-24 (주)하운 Uv몰딩에 의한 패턴층을 구비한 가식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가식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570B1 (ko) * 2012-04-27 2013-02-21 김지웅 터치스크린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173A (ko) 201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486B1 (ko) 어레이 기판,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354577B1 (ko) 합성수지필름을 이용한 브랜드로고 및 상표라벨의 제조방법
CN108333659A (zh) 中空的电子显示屏
CN103176642B (zh) 电子面板及其制造方法与电子装置
TWI573064B (zh) Display panel structure with concealed blind hole and its making method
CN106206397B (zh) 用于半导体器件的薄膜及半导体器件的制作方法
KR101444234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글라스 전사 패턴 형성방법 및 그 글라스 전사 패턴 구조물
JP2020069780A (ja) 多様なパターンのロゴの発光が可能な遮蔽層を備えた内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33945B1 (ko) 틴트 컬러가 구현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 제조방법
KR101894053B1 (ko) 틴트 컬러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구조체
KR20180064024A (ko) 그라데이션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5974643A (zh) 彩膜基板及其制造方法
CN109023238A (zh) 一种掩膜板及蒸镀装置
KR20180059152A (ko) 그라데이션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4139662B2 (ja) 光透過性電磁波遮蔽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60731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글라스 윈도우 미세패턴 형성 방법 및 미세패턴 구조
KR20170017438A (ko) 패턴 필름,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502462B (zh) 触控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触控显示装置
CN108417525A (zh) 一种掩膜版以及具有槽体结构的显示屏及其制造方法
KR101687206B1 (ko) 커버글라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버글라스
CN210428036U (zh) 一种彩色电子墨水显示屏结构
KR200303092Y1 (ko) 부분 증착 또는 부분 홀로그램 합성수지 필름이 삽입된장식용 접합유리
CN109524360A (zh) 挠性衬底结构及其制造方法
KR101810833B1 (ko)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및 그 장식부재
TWI675613B (zh) 殼體、該殼體的製備方法及應用該殼體的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