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833B1 -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및 그 장식부재 - Google Patents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및 그 장식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833B1
KR101810833B1 KR1020160093739A KR20160093739A KR101810833B1 KR 101810833 B1 KR101810833 B1 KR 101810833B1 KR 1020160093739 A KR1020160093739 A KR 1020160093739A KR 20160093739 A KR20160093739 A KR 20160093739A KR 101810833 B1 KR101810833 B1 KR 101810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protective film
color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개식
Original Assignee
(주)코반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반케미칼 filed Critical (주)코반케미칼
Priority to KR1020160093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7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polye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8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superposing a plurality of 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981Pre-treatment of th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0Intaglio printing ; Gravur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Abstract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및 그 장식부재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은, 이형필름, 점착층, 옵티컬필름, 프라이머코팅층, 제1 보호필름이 상하로 적층된 필름형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필름형 부재에서 상기 제1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프라이머코팅층에 설정 컬러의 하프톤(halftone) 잉크인쇄층을 그라비아 인쇄하는 단계와, 하프톤 잉크인쇄층에 제2 보호필름을 합지하는 단계와, 제2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하프톤 잉크인쇄층에 UV몰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UV몰딩층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증착층에 컬러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컬러인쇄층에 제3 보호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글라스 합지 시,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외부로 노출된 점착층에 글라스를 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및 그 장식부재{METHOD OF MANUFACTURING DECORATION MEMBER FOR GLASS AND THE DECORATION MEMBER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및 그 장식부재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휴대폰은 소형화 및 복잡화되고 있는데 따라, 전기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기계적인 특성까지도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
전자기기, 특히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기기들은 빠른 속도로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모바일 기기에서 휴대성은 매우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며, 소형화, 경량화, 슬림화 등을 추구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스마트 폰은 휴대폰 고유의 기능에서 나아가 그 기능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다양화 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의 다양화 추세에 따라 스마트 폰 자체에 집적된 IT 기술은 복합적이며, 제품단가도 높게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휴대폰에 적용된 표시 창(이하, 윈도우라 함)은 가격이 저렴하고 제작이 쉬운 합성수지 재질(예: 아크릴수지 등)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합성수지의 경우 열과 스크래치에 취약하고, 투과율이 나쁘며 선명한 화면을 위해 휘도를 높일 경우 배터리 소모가 증가하는 문제로 인해 최근에는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기기의 윈도우로 글라스(예: 강화유리 등) 소재가 이용된다.
이에 따라, 글라스를 이용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글라스를 통해 구현해 낼 수 있는 다양한 외관 미감 형성 등의 효과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글라스용 장식부재(또는 '데코 필름'이라 지칭함)가 몇몇 소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인 예로서, 글라스를 통해 금속 질감 및/또는 입체 형상을 강조하는 외관 미감을 형성할 수 있는 글라스용 장식부재에 대한 개발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글라스용 장식부재를 낮은 비용과 간소한 공정을 통해 높은 품질로 생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보다 고급스러운 색상, 예를 들면 금속 색상과 같이 차가운 느낌의 광택이 있는 색상, 즉 메탈릭 컬러(Metallic Color)을 구현하거나 골드, 핑크 골드, 사파이어 블루 등 관용의 증착 방법으로 구현이 어려운 색상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장식부재 제조방법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2474호(2013.02.04. 공개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유리부착용 장식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급스러운 색상, 예를 들면 금속 색상과 같이 차가운 느낌의 광택이 있는 색상, 즉 메탈릭 컬러(Metallic Color)을 구현하거나 골드, 핑크 골드, 사파이어 블루 등 구현이 어려운 색상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및 그 장식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1) 이형필름, 점착층, 옵티컬필름, 프라이머코팅층, 제1 보호필름이 상하로 적층된 필름형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a-2) 상기 필름형 부재에서 상기 제1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프라이머코팅층에 설정 컬러의 하프톤(halftone) 잉크인쇄층을 그라비아 인쇄하는 단계; (a-3) 상기 하프톤 잉크인쇄층에 제2 보호필름을 합지하는 단계; (a-4) 상기 제2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하프톤 잉크인쇄층에 UV몰딩층을 형성하는 단계; (a-5) 상기 UV몰딩층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a-6) 상기 증착층에 컬러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a-7) 상기 컬러인쇄층에 제3 보호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글라스 합지 시,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점착층에 글라스를 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a-1) 단계에서, 상기 필름형 부재에서, 상기 이형필름, 상기 옵티컬필름, 상기 제1 보호필름은 PET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형필름은 상기 옵티컬필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 보호필름은 상기 옵티컬필름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하프톤 잉크인쇄층은 1~2㎛ 두께로 그라비아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4) 단계에서, UV몰딩층은 설정패턴을 갖도록 성형되고, 상기 (a-5) 단계에서, 상기 증착층은 상기 UV몰딩층의 설정패턴 면에 실버 컬러로 증착되며, 상기 (a-6) 단계에서, 상기 컬러인쇄층은 상하로 적층된 다수 개의 컬러인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글라스를 상기 점착층에 합지한 상태로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여 잔류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b-1) 프라이머코팅층이 일면에 형성된 옵티컬필름의 상, 하부 각각으로 제1 보호필름이 형성된 필름형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b-2) 하부의 상기 제1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프라이머코팅층에 설정 컬러의 하프톤 잉크인쇄층을 그라비아 인쇄하는 단계; (b-3) 상기 하프톤 잉크인쇄층에 제2 보호필름을 합지하는 단계; (b-4) 상부의 상기 제1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옵티컬필름의 상부에 점착층과 이형필름을 순차로 형성하는 단계; (b-5) 상기 제2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하프톤 잉크인쇄층에 UV몰딩층을 형성하는 단계: (b-6) 상기 UV몰딩층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b-7) 상기 증착층에 컬러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b-8) 상기 컬러인쇄층에 제3 보호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글라스 합지 시,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점착층에 글라스를 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필름형 부재에서, 상기 옵티컬필름, 상기 제1 보호필름은 PET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보호필름은 상기 옵티컬필름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2) 단계에서, 상기 하프톤 잉크인쇄층은 1~2㎛ 두께로 그라비아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4) 단계에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옵티컬필름에 하드 코팅(hard coating) 방식으로 설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4) 단계에서, 상기 점착층은, 점착필름 형태로 준비하여, 상기 옵티컬필름에 라미네이션 방식으로 설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5) 단계에서, UV몰딩층은 설정패턴을 갖도록 성형되고, 상기 (b-6) 단계에서, 상기 증착층은 상기 UV몰딩층의 설정패턴 면에 실버 컬러로 증착되며, 상기 (b-7) 단계에서, 상기 컬러인쇄층은 상하로 적층된 다수 개의 컬러인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글라스를 상기 점착층에 합지한 상태로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여 잔류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글라스 장식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인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들이 있다.
첫째, 다양한 메탈릭 컬러(Metallic Color) 구현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둘째, 전, 후면 색상 편차를 최소화하여 색감 제현성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셋째, 증착으로 구현이 어려운 컬러, 예를 들면 골드(Gold), 핑크 골드(Pink Gold), 사파이어 블루(Sapphire Blue) 등의 컬러 구현이 용이하여 생산성 및 공정 수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어 원가 절감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넷째, 증착 컬러를 1가지 컬러(예: Multi Silver 등)로 통일할 수 있어 증착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하프톤(Halftone) 인쇄를 실크 스크린 인쇄로 구현할 수 있으나, 스크린 인쇄의 특성상 일정 불량을 앉고 가야 했고, 인쇄 도막 두께와 인쇄 표면의 인쇄 레벨링으로 인한 제품의 품질 유지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여섯째, 실크 스크린 인쇄 시 생산성이 낮고 균일한 인쇄가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서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하여 인쇄 시 멀티 어레이(Multi Array)가 가능하고 인쇄 속도가 빨라져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그라비아 인쇄로 1도 인쇄를 진행한 후 시트 절단 후 UV몰딩층, 증착층, 컬러 인쇄층을 형성하는 후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에 포함되는 단계별 공정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에 포함되는 단계별 공정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에 포함되는 단계별 공정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은, 필름형 부재 준비단계(S110), 하프톤(halftone) 잉크인쇄층 그라비아 인쇄단계(S120), 제2 보호필름 합지단계(S130), UV몰딩층 형성단계(S140), 증착층 형성단계(S150), 컬러인쇄층 형성단계(S160), 제3 보호필름 합지단계(S170)를 포함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필름형 부재 준비단계(S110)
본 단계는 필름형 부재 준비단계로서, 이형필름, 점착층, 옵티컬필름, 프라이머코팅층, 제1 보호필름이 상하로 적층된 필름형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본 단계의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이형필름(111), 점착층(112), 옵티컬필름(113), 프라이머코팅층(114), 제1 보호필름(115)이 상하로 적층된 필름형 부재(110)가 준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필름형 부재(110)에서, 이형필름(111), 옵티컬필름(113), 제1 보호필름(115)은 모두 PET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형필름(111)은 옵티컬필름(113)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보호필름(115)은 옵티컬필름(113)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는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여, 후술할 하프톤 잉크인쇄층(120), UV몰딩층(140), 증착층(150), 컬러인쇄층(160)의 형성 시 불량 발생을 줄이기 위함이다.
바람직한 예로서, 옵티컬필름(113)은 점착층(112)에 비해 2.3~2.7배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2.3배 미만일 경우 옵티컬필름(113)에 의한 점착층(112) 지지 효과가 미미하며, 반대로 2.7배를 초과할 경우 옵티컬필름(113)의 두께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슬림화 구현에 반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형필름(111)의 두께는 100㎛이며, 점착층(112)의 두께는 10~25㎛이며, 옵티컬필름(113)의 두께는 30~50㎛이며, 제1 보호필름의 두께는 30~50㎛일 수 있는데, 이러한 수치에 반드시 제한되지 않는다.
하프톤 잉크인쇄층 그라비아 인쇄단계(S120)
본 단계는 하프톤 잉크인쇄층 그라비아 인쇄단계로서, 필름형 부재에서 상기 제1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프라이머코팅층에 설정 컬러의 하프톤(halftone) 잉크인쇄층을 그라비아 인쇄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본 단계의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이전 단계에서 준비된 필름형 부재(110, 도 2 참조)에서 제1 보호필름(115)이 제거된다(도 3의 (a) 참조).
이어서, 제1 보호필름(115)이 제거된 프라이머코팅층(114)에 설정 컬러의 하프톤(halftone) 잉크인쇄층(120)을 그라비아(Gravure) 인쇄한다(도 3의 (b) 참조).
여기서, 상기 하프톤 잉크인쇄층(120)은 1~2㎛ 두께로 그라비아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하프톤 잉크인쇄층(120)이 1㎛ 미만으로 그라비아 인쇄될 경우, 원하는 색상 구현이 어려움 단점이 있다. 반대로 하프톤 잉크인쇄층(120)이 2㎛를 초과하여 그라비아 인쇄될 경우 색상의 선명도가 떨어저 탁한 느낌의 색상이 구현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하프톤 잉크인쇄층(120)은 1~2㎛ 두께로 그라비아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프톤 잉크인쇄층(120)의 설정 컬러는 후술될 UV몰딩층, 증착층 형성과 관련하여 목표하는 컬러에 따라 다양한 컬러가 이용 가능하다. 예컨대, 골드(Gold), 핑크(Pink), 블루(Blue), 브라운(Brown), 레드(Red), 오렌지(Orange), 라임(Lime) 등의 색상이 이용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보호필름 합지단계(S130)
본 단계는 제2 보호필름 합지단계로서, 상기 하프톤 잉크인쇄층에 제2 보호필름을 합지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본 단계의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이전 단계에서 그라비아 인쇄된 하프톤 잉크인쇄층(120)에 제2 보호필름(130)을 합지한다(도 4의 (a) 참조).
이 단계에서, 제2 보호필름(130)이 합지된 이후의 단면 형태는 도 4의 (b)를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다.
제2 보호필름(130)은 그라비아 인쇄 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전술한 제1 보호필름(115)와 동일하게 PET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30~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단계 이후에 후술될 UV몰딩층(140), 증착층(150), 컬러인쇄층(160)을 형성하는 공정 단계로 이송되는데, 이 과정에서 그라비아 인쇄 면이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보호필름(130)이 합지되는 것이다.
UV몰딩층, 증착층, 컬러인쇄층 형성단계(S140, S150, S160)
본 단계들은 UV몰딩층 형성단계, 증착층 형성단계, 컬러인쇄층 형성단계로서, 이전 단계에서 합지된 제2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외부로 노출된 하프톤 잉크인쇄층에 UV몰딩층, 증착층, 컬러인쇄층을 순차로 형성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본 단계들의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본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합지된 제2 보호필름(130, 도 4 참조)을 제거하고 외부로 노출된 하프톤 잉크인쇄층(120)에 UV몰딩층(140), 증착층(150), 컬러인쇄층(160)을 순차로 형성한다(도 5의 (a) 참조). 이어서, 후술될 제3 보호필름(170)이 인쇄 면으로 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UV몰딩층(140)은 설정패턴(141)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패턴(141)은 특정 형상 및 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증착층(150)은 UV몰딩층(140)의 설정패턴(141) 면에 실버 컬러로 증착될 수 있다. 즉, 이 단계에서의 증착층(150)은 컬러에 상관 없이 멀티 실버(Multi Silver) 증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컬러인쇄층(160)은 상하로 적층된 다수 개의 컬러인쇄부(161, 162, 163, 16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제1, 2, 3 컬러인쇄부(161, 162, 163)은 화이트 컬러로 인쇄될 수 있으며, 제4 컬러인쇄부(164)는 블랙 컬러로 인쇄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컬러인쇄부의 개수 및 컬러 종류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특정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단계에서 UV몰딩층(140)의 두께는 8~15㎛일 수 있다.
제3 보호필름 합지단계(S170)
본 단계는 제3 보호필름 합지단계로서, 이전 단계에서 형성된 컬러인쇄층에 제3 보호필름을 합지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본 단계의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본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형성된 컬러인쇄층(160)에 제3 보호필름(170)을 합지한다.
제3 보호필름(170)은 앞서 설명한 제1, 2 보호필름과 같은 PET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과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3 보호필름(170)은 30~50㎛일 수 있는데, 컬러인쇄층(160)의 인쇄 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므로 지나치게 두께가 두꺼울 필요가 없다.
이하, 상술된 단계들을 통해 마련된 장식부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에 합지되는 공정을 거쳐 글라스의 장식부재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글라스 합지 공정에서는, 이형필름(111)을 먼저 제거한다. 이어서, 이형필름(111)의 제거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 점착층(112)에 글라스(180)를 합지시킬 수 있다.
이후, 글라스(180)를 점착층(112)에 합지한 상태로 오토클레이브(미도시)에 투입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미세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에 포함되는 단계별 공정도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은, 필름형 부재 준비단계(S210), 하프톤(halftone) 잉크인쇄층 그라비아 인쇄단계(S220), 제2 보호필름 합지단계(S230), 점착층 및 이형필름 순차 형성단계(S240), UV몰딩층 형성단계(S250), 증착층 형성단계(S260), 컬러인쇄층 형성단계(S270), 제3 보호필름 합지단계(S280)를 포함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필름형 부재 준비단계(S210)
본 단계는 필름형 부재 준비단계로서, 프라이머코팅층이 일면에 형성된 옵티컬필름의 상, 하부 각각으로 제1 보호필름이 형성된 필름형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본 단계의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8을 참조하면, 프라이머코팅층(213)이 일면에 형성된 옵티컬필름(212)의 상, 하부 각각으로 제1 보호필름(211, 214)이 형성된 필름형 부재(210)이 준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필름형 부재(210)에서, 옵티컬필름(212), 제1 보호필름(211, 214) 은 모두 PET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 하부에 구비된 제1 보호필름(211, 214) 각각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30~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옵티컬필름(212)은 제1 보호필름(211, 214)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옵티컬필름(212)은 30~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하프톤 잉크인쇄층 그라비아 인쇄단계(S220)
본 단계는 하프톤 잉크인쇄층 그라비아 인쇄단계로서, 필름형 부재에서 하부의 상기 제1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프라이머코팅층에 설정 컬러의 하프톤 잉크인쇄층을 그라비아 인쇄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본 단계의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9를 참조하면, 이전 단계에서 준비된 필름형 부재(210, 도 8 참조)에서 하부의 제1 보호필름(214)이 제거된다(도 8의 (a) 참조).
이어서, 프라이머코팅층(213)에 설정 컬러의 하프톤(halftone) 잉크인쇄층(220)을 그라비아(Gravure) 인쇄한다(도 9의 (b) 참조).
여기서, 상기 하프톤 잉크인쇄층(220)은 1~2㎛ 두께로 그라비아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프톤 잉크인쇄층(220)의 설정 컬러는 후술될 UV몰딩층, 증착층 형성과 관련하여 목표하는 컬러에 따라 다양한 컬러가 이용 가능하다. 예컨대, 골드(Gold), 핑크(Pink), 블루(Blue), 브라운(Brown) 등의 색상이 이용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보호필름 합지단계(S230)
본 단계는 제2 보호필름 합지단계로서, 상기 하프톤 잉크인쇄층에 제2 보호필름을 합지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본 단계의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0을 참조하면, 이전 단계에서 그라비아 인쇄된 하프톤 잉크인쇄층(220)에 제2 보호필름(230)을 합지한다(도 10의 (a) 참조).
이 단계에서, 제2 보호필름(230)이 합지된 이후의 단면 형태는 도 10의 (b)를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다.
제2 보호필름(230)은 그라비아 인쇄 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제1 보호필름(211)와 동일하게 PET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30~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단계 이후에 후술될 UV몰딩층(250), 증착층(260), 컬러인쇄층(270)을 형성하는 공정 단계로 이송되는데, 이 과정에서 그라비아 인쇄 면이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보호필름(230)이 합지되는 것이다.
점착층 및 이형필름 순차 형성단계(S240)
본 단계는 점착층 및 이형필름 순차 형성단계로서, 상부의 제1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옵티컬필름의 상부에 점착층과 이형필름을 순차로 형성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본 단계의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1을 참조하면, 이전 단계에서 옵티컬필름(212)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보호필름(211)을 제거한다. 그리고 제1 보호필름(211)이 제거된 옵티컬필름(212)의 상부로 점착층(241)을 형성하고, 이어서 점착층(241)의 상부로 이형필름(242)을 합지한다(도 11의 (a) 참조). 그 결과 도 11의 (b)에 도시된 단면과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점착층(241)이 옵티컬필름(212)에 설정 두께로 형성되는 방법에는 2가지 방식이 이용 가능하다.
일 예로서, 점착층(241)은 옵티컬필름(212)에 하드 코팅(hard coating) 방식으로 설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점착층(241)은 점착필름 형태로 준비되어 옵티컬필름(212)에 라미네이션 방식으로 설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른 방식도 이용 가능하다.
UV몰딩층, 증착층, 컬러인쇄층 형성단계(S250, S260, S270)
본 단계들은 UV몰딩층 형성단계, 증착층 형성단계, 컬러인쇄층 형성단계로서, 이전 단계에서 합지된 제2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외부로 노출된 하프톤 잉크인쇄층에 UV몰딩층, 증착층, 컬러인쇄층을 순차로 형성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본 단계들의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2를 참조하면, 본 단계에서는 제2 보호필름(230, 도 10 참조)을 제거하고 외부로 노출된 하프톤 잉크인쇄층(220)에 UV몰딩층(250), 증착층(260), 컬러인쇄층(270)을 순차로 형성한다(도 12의 (a) 참조). 이어서, 후술될 제3 보호필름(280)이 인쇄 면으로 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UV몰딩층(250)은 설정패턴(251)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패턴(251)은 특정 형상 및 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증착층(260)은 UV몰딩층(250)의 설정패턴(251) 면에 실버 컬러로 증착될 수 있다. 즉, 이 단계에서의 증착층(260)은 컬러에 상관 없이 멀티 실버(Multi Silver) 증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컬러인쇄층(270)은 상하로 적층된 다수 개의 컬러인쇄부(271, 272, 273, 27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제1, 2, 3 컬러인쇄부(271, 272, 273)은 화이트 컬러로 인쇄될 수 있으며, 제4 컬러인쇄부(274)는 블랙 컬러로 인쇄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컬러인쇄부의 개수 및 컬러 종류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특정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단계에서 UV몰딩층(250)의 두께는 8~15㎛일 수 있다.
제3 보호필름 합지단계(S280)
본 단계는 제3 보호필름 합지단계로서, 이전 단계에서 형성된 컬러인쇄층에 제3 보호필름을 합지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본 단계의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2의 (b)를 참조하면 본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형성된 컬러인쇄층(270)에 제3 보호필름(280)을 합지한다.
제3 보호필름(280)은 앞서 설명한 제1, 2 보호필름과 같은 PET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과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3 보호필름(280)은 30~50㎛일 수 있는데, 컬러인쇄층(270)의 인쇄 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므로 지나치게 두께가 두꺼울 필요가 없다.
이하, 상술된 단계들을 통해 마련된 장식부재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에 합지되는 공정을 거쳐 글라스의 장식부재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글라스 합지 공정에서는, 이형필름(242)을 먼저 제거한다. 이어서, 이형필름(242)의 제거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 점착층(241)에 글라스(290)를 합지시킬 수 있다.
이후, 글라스(290)를 점착층(241)에 합지한 상태로 오토클레이브(미도시)에 투입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미세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다양한 메탈릭 컬러(Metallic Color) 구현에 유리하며, 둘째, 전, 후면 색상 편차를 최소화하여 색감 제현성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증착으로 구현이 어려운 컬러, 예를 들면 골드(Gold), 핑크 골드(Pink Gold), 사파이어 블루(Sapphire Blue) 등의 컬러 구현이 용이하여 생산성 및 공정 수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어 원가 절감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증착 컬러를 1가지 컬러(예: Multi Silver 등)로 통일할 수 있어 증착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프톤(Halftone) 인쇄를 실크 스크린 인쇄로 구현할 수 있으나, 스크린 인쇄의 특성상 일정 불량을 앉고 가야 했고, 인쇄 도막 두께와 인쇄 표면의 인쇄 레벨링으로 인한 제품의 품질 유지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는데,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실크 스크린 인쇄 시 생산성이 낮고 균일한 인쇄가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서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하여 인쇄 시 멀티 어레이(Multi Array)가 가능하고 인쇄 속도가 빨라져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그라비아 인쇄로 1도 인쇄를 진행한 후 시트 절단 후 UV몰딩층, 증착층, 컬러 인쇄층을 형성하는 후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10: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부재
111: 이형필름
112: 점착층
113: 옵티컬필름
114: 프라이머코팅층
115: 제1 보호필름
120: 하프톤 잉크인쇄층
130: 제2 보호필름
140: UV몰딩층
141: 패턴
150: 증착층
160: 컬러인쇄층
161: 제1 컬러인쇄부
162: 제2 컬러인쇄부
163: 제3 컬러인쇄부
164: 제4 컬러인쇄부
170: 제3 보호필름
180: 글라스
21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부재
211, 214: 제1 보호필름
212: 옵티컬필름
213: 프라이머코팅층
220: 하프톤 잉크인쇄층
230: 제2 보호필름
241: 점착층
242: 이형필름
250: UV몰딩층
251: 패턴
260: 증착층
270: 컬러인쇄층
271: 제1 컬러인쇄부
272: 제2 컬러인쇄부
273: 제3 컬러인쇄부
274: 제4 컬러인쇄부
280: 제3 보호필름
290: 글라스

Claims (13)

  1. (a-1) 이형필름, 점착층, 옵티컬필름, 프라이머코팅층, 제1 보호필름이 상하로 적층된 필름형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a-2) 상기 필름형 부재에서 상기 제1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프라이머코팅층에 설정 컬러의 하프톤(halftone) 잉크인쇄층을 그라비아 인쇄하는 단계;
    (a-3) 상기 하프톤 잉크인쇄층에 제2 보호필름을 합지하는 단계;
    (a-4) 상기 제2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하프톤 잉크인쇄층에 UV몰딩층을 형성하는 단계;
    (a-5) 상기 UV몰딩층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a-6) 상기 증착층에 컬러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a-7) 상기 컬러인쇄층에 제3 보호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글라스 합지 시,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점착층에 글라스를 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에서,
    상기 필름형 부재에서,
    상기 이형필름, 상기 옵티컬필름, 상기 제1 보호필름은 PET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형필름은 상기 옵티컬필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 보호필름은 상기 옵티컬필름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하프톤 잉크인쇄층은 1~2㎛ 두께로 그라비아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4) 단계에서, UV몰딩층은 설정패턴을 갖도록 성형되고,
    상기 (a-5) 단계에서, 상기 증착층은 상기 UV몰딩층의 설정패턴 면에 실버 컬러로 증착되며,
    상기 (a-6) 단계에서, 상기 컬러인쇄층은 상하로 적층된 다수 개의 컬러인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를 상기 점착층에 합지한 상태로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여 잔류 기포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6. (b-1) 프라이머코팅층이 일면에 형성된 옵티컬필름의 상, 하부 각각으로 제1 보호필름이 형성된 필름형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b-2) 하부의 상기 제1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프라이머코팅층에 설정 컬러의 하프톤 잉크인쇄층을 그라비아 인쇄하는 단계;
    (b-3) 상기 하프톤 잉크인쇄층에 제2 보호필름을 합지하는 단계;
    (b-4) 상부의 상기 제1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옵티컬필름의 상부에 점착층과 이형필름을 순차로 형성하는 단계;
    (b-5) 상기 제2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하프톤 잉크인쇄층에 UV몰딩층을 형성하는 단계:
    (b-6) 상기 UV몰딩층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b-7) 상기 증착층에 컬러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b-8) 상기 컬러인쇄층에 제3 보호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글라스 합지 시,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점착층에 글라스를 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필름형 부재에서,
    상기 옵티컬필름, 상기 제1 보호필름은 PET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보호필름은 상기 옵티컬필름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에서,
    상기 하프톤 잉크인쇄층은 1~2㎛ 두께로 그라비아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4) 단계에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옵티컬필름에 하드 코팅(hard coating) 방식으로 설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4) 단계에서,
    상기 점착층은,
    점착필름 형태로 준비하여, 상기 옵티컬필름에 라미네이션 방식으로 설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5) 단계에서, UV몰딩층은 설정패턴을 갖도록 성형되고,
    상기 (b-6) 단계에서, 상기 증착층은 상기 UV몰딩층의 설정패턴 면에 실버 컬러로 증착되며,
    상기 (b-7) 단계에서, 상기 컬러인쇄층은 상하로 적층된 다수 개의 컬러인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를 상기 점착층에 합지한 상태로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여 잔류 기포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글라스 장식부재.
KR1020160093739A 2016-07-22 2016-07-22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및 그 장식부재 KR101810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739A KR101810833B1 (ko) 2016-07-22 2016-07-22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및 그 장식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739A KR101810833B1 (ko) 2016-07-22 2016-07-22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및 그 장식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833B1 true KR101810833B1 (ko) 2017-12-20

Family

ID=6093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739A KR101810833B1 (ko) 2016-07-22 2016-07-22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및 그 장식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8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788B1 (ko) * 2018-08-07 2019-09-25 (주)코반케미칼 멀티 톤 컬러 구현이 가능한 데코필름 제조 방법 및 그 데코필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526Y1 (ko) 2007-03-02 2008-06-16 김철환 인테리어용 장식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526Y1 (ko) 2007-03-02 2008-06-16 김철환 인테리어용 장식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788B1 (ko) * 2018-08-07 2019-09-25 (주)코반케미칼 멀티 톤 컬러 구현이 가능한 데코필름 제조 방법 및 그 데코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718B1 (ko) 합지 공정을 이용한 멀티 색상 구현 장식필름 제조방법
CN107211549B (zh) 壳体部件、电子设备以及壳体部件的制造方法
KR102045537B1 (ko) 입체패턴을 갖는 데코필름 제조방법, 그 데코필름을 이용한 글라스 구조체 형성방법 및 복합시트 구조체 형성방법
CN110588196B (zh) 一种塑胶外壳uv印刷工艺
KR101444234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글라스 전사 패턴 형성방법 및 그 글라스 전사 패턴 구조물
CN113132510B (zh) 壳体和电子设备
KR101021061B1 (ko) 반사 방지용 디스플레이 윈도우 패널의 제조 방법
KR20170113929A (ko) 아트 커버 글라스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아트 커버 글라스
JPWO2017179463A1 (ja) 構造体、電子機器、加飾フィルム、及び構造体の製造方法
KR20180064024A (ko) 그라데이션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810833B1 (ko) 그라비아 인쇄를 이용한 글라스 장식부재 제조방법 및 그 장식부재
US20160347115A1 (en) Ornament piece and manufacture method
CN111093017A (zh) 摄像头装饰件的加工方法、摄像头装饰件和电子设备
KR20180059152A (ko) 그라데이션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9039A (ko) 글라스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81327A (ko) 모바일 기기용 슬리밍 커버 글라스 및 그 제조방법
CN110484862B (zh) 复合涂层Logo及其制备方法与包含其的陶瓷盖板和电子设备
KR102068069B1 (ko) 장식시트를 가지는 곡면 글라스 성형방법
KR101513684B1 (ko) 모바일 기기용 글라스의 인쇄층 형성방법 및 그 인쇄층 형성구조
KR101833945B1 (ko) 틴트 컬러가 구현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 제조방법
JP4862173B2 (ja) 金属調化粧シート及び金属調フィルム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US20180141309A1 (en) Decoration of a metallic appearance for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49667B1 (ko) 글라스 장식부재 형성방법 및 그 형성구조
KR200429248Y1 (ko)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KR102117321B1 (ko) 코팅 공정을 이용한 멀티 색상 구현 장식필름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