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248Y1 -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248Y1
KR200429248Y1 KR2020060019146U KR20060019146U KR200429248Y1 KR 200429248 Y1 KR200429248 Y1 KR 200429248Y1 KR 2020060019146 U KR2020060019146 U KR 2020060019146U KR 20060019146 U KR20060019146 U KR 20060019146U KR 200429248 Y1 KR200429248 Y1 KR 200429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vigation key
wireless terminal
navigation
laye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1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주)모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던테크 filed Critical (주)모던테크
Priority to KR20200600191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2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2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2UV or light sensit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12Vacuum deposition

Landscapes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네비게이션 키의 베이스인 합성 수지 재질의 필름 평판 시트의 전면(前面)에 요철 형태의 패턴층을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금속 재질감을 제공하는 한편, 키패드의 제조 공정중 네비게이션 키 형성 부위의 상면을 천연 다이아 바이트를 사용하여 입체 가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3D 입체 형상에 의한 금속 재질감 및 사출감을 구현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의 제조방법은, 필름평판시트 전면에 금속 재질감을 살리기 위해 일정 거리 이격하여 종횡(縱橫)으로 복수개의 요철형태의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 평판 시트의 각 상기 패턴층 배면에 금속을 진공 증착하는 금속 진공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증착단계에서 형성된 각 금속 진공 증착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탈막 단계와, 상기 탈막단계에서 상기 각 금속 진공 증착층이 제거된 상기 필름평판시트 배면에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를 표시하기 위해 실크스크린 인쇄에 의해 실크 스크린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 평판 시트로부터 유니트 단위로 복수개 형성된 상기 네비게이션 키를 낱개로 CNC 가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무선 단말기, 네비게이션, 천연다이아 바이트, 절삭홈, 요철 패턴

Description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Navigation Key of Mobile Phone}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키패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키패드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합성 수지 재질의 필름 평판 시트
101: 요철 형태의 패턴층 102: 하드 코팅층
103: 금속 진공 증착층 104: 실크스크린 인쇄층
110: 가이드 핀홀 111: 절취선
112: 제1 절삭 라인 홈 113: 제2 절삭 라인 홈
300: 컨베이어 라인 400: 에어 건(air gun)
본 고안은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네비게이션 키의 베이스인 합성 수지 재질의 필름 평판 시트의 전면(前面)에 요철 형태의 패턴층을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금속 재질감을 제공하는 한편, 키패드의 제조 공정중 네비게이션 키 형성 부위의 상면을 천연 다이아 바이트를 사용하여 입체 가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3D 입체 형상에 의한 금속 재질감 및 사출감을 구현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MP3등과 같은 무선 단말기는 송, 수신 상태 등과 같이 운용에 요구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해 주는 액정 화면과 신호발생 및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패드의 다수의 키가 끼워지는 홀을 갖는 키 패널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휴대용 게임기, 전자제품 리모콘 등에는 해당 기기의 조작을 위해 키 입력부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가 구비되고 이와 같은 키 입력부에는 통상, 방향을 가리키는 네비게이션 키(navigation key)가 구성되어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네비게이션 키는 상하좌우의 4가지 방향을 가리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네비게이션 키 구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휴대용 게임기, 전자제품 리모콘 등에 구비되는 네비게이션 키 구조는 상하좌우 방향에 대한 각각의 방향 입력단자와, 상기 4개의 방향 입력단자 사이의 중심에 위치하여 상하좌우 방향의 제어를 담당하는 폴(pole)로 구성된다. 상기 4개의 방향 입력단자는 방향 입력신호를 인식 및 처리하는 제어부와 각각 연결되고 또한, 상기 4개의 방향 입력단자는 각각 소정의 저항을 매개하여 전원(VCC)과 연결된다. 상기 폴은 상기 제어부와 통신연결관계를 맺음과 동시에 접지(VSS)에 접속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네비게이션 키는 ABA합성수지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을 사출성형 후 도금이나 증착, 도장후 코팅단계를 통해 소정의 문자 또는 색상 등이 도장 및 코팅되고, 문자 또는 색상이 인쇄된 유니트 단위의 복수개의 네비게이션 키를 절단 프레스 공정 등을 통해 낱개로 분리하여 제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네비게이션 키의 경우 그 재질이 플라스틱 재질임으로 사용시 재질감이 떨어지고, 사출공정을 통한 표면구현 방식의 한계상 다양한 패턴을 구현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며, 여러 가지 복잡한 다단계 공정으로 인해 공정비용이 상승되고 불량률이 높아서 제조단가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네비게이션 키의 베이스인 합성 수지 재질의 필름 평판 시트의 전면(前面)에 요철 형태의 패턴층을 형성함으로써 네비게이션 키의 사용시 사용자에게 금속 재질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사출 공정이 아니라 CNC에 의한 평 판 가공을 통해서 간단히 네비게이션 키를 제조할 수 있음으로 제조공정을 대폭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조공정 비용을 현격히 절감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키패드의 제조 공정중 네비게이션 키 형성 부위의 상면을 천연 다이아 바이트를 사용하여 가공함으로써 네비게이션 키의 사용시 사용자에게 3D 입체 형상을 구현하여 금속 재질감 및 사출감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합성 수지재질의 네비게이션 키 베이스와, 상기 네비게이션 키 베이스 전면에 형성된 요철형태의 패턴층과, 상기 네비게이션 키 베이스 배면에 형성되며 에칭에 의해 일부가 제거되는 금속 진공 증착층과, 상기 금속 진공 증착층이 제거된 상기 네비게이션 키 베이스 하면에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를 표시하기 위해 실크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실크스크린 인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합성 수지재질의 네비게이션 키 베이스와, 상기 네비게이션 키 베이스 전면에 형성된 천연 다이아 입체 가공면과, 상기 네비게이션 키 베이스 배면에 형성되며 에칭에 의해 일부가 제거되는 금속 진공 증착층과, 상기 금속 진공 증착층이 제거된 상기 네비게이션 키 베이스 하면에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를 표시하기 위해 실크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실크스 크린 인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키패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f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의 제조 공정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의 제조방법은 요철 패턴 형성 단계(S100)와, 하드 코팅 단계(S110)와, 증착 및 실크스크린 인쇄 단계(S120)와, CNC 가공 단계(S130)와, 테스트 및 제품 출하 단계(S14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요철 패턴 형성 단계(S100)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 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 terephtha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과 같은 합성 수지 재질의 필름 평판 시트(100)의 전면(前面)에 금속 재질감을 살리기 위해 일정거리 이격하여 복수개의 요철 형태의 패턴층(101)을 형성한다. 각 요철 형태의 패턴층은 대략 원형이며, 필름 평판 시트(100)의 전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종횡(縱橫)으로 배열된다. 통상, 필름 평판 시트(100)의 전면에 유니트 단위의 요철 형태의 패턴층(101)이 약 80여 개가 안착되 며, 제품간의 간격은 약 4㎜ 정도가 바람직하나, 본 고안은 요철 형태의 패턴층의 형성 개수나 간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한 요철 형태의 패턴층(101)의 형성 방법으로는 통상의 기계가공 기법, 옵셋 인쇄(offset printing) 기법 또는 금형 성형 기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기계가공 기법으로는 회전 드럼 형태의 원형 형상을 가진 사포에 합성 수지 재질의 필름 평판 시트(100)의 전면을 통과시켜 줌으로써 요철을 형성하는 기법이다. 또한, 상기한 옵셋인쇄 기법은 서스 원형통에 부식 기법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일정량의 잉크를 도포하여 이전시키는 기법이며, 상기한 금형 성형 기법은 합성 수지 재질의 필름 평판 시트(100) 상에 UV 계열의 투명 도료를 얇게 도포한 후 구현하고자하는 요철 패턴이 형성된 금형을 열과 압력을 주어서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기법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요철 형태의 패턴층(101)의 형성을 상기와 같은 기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기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하드 코팅 단계(S110)에서는,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요철 형태의 패턴층(101)의 전면에 통상의 UV 코팅에 의해 하드 코팅층(102)을 형성하는 것으로 공압식 또는 유압식의 에어 건(air gun)(400)을 이용하여 컨베이어 라인(300)에서 X 및 Y축 방향으로 UV 도료를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하여 코팅한다.
한편,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요철 패턴 구현 공정에서 형성한 가이드 핀홀(110)을 기준으로 일정배열이 형성된 패턴의 외곽을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가공하여 필름 평판 시트(100)마다 항상 동일한 크기의 절취선(111)을 형성시켜 후공정에서 항상 동일한 위치에 패턴이 배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증착 및 실크스크린 인쇄 단계(S120)에서는,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 수지 재질의 필름 평판 시트(100)의 각 요철형태의 패턴층(101) 배면(背面)에 니켈, 알루미늄 또는 크롬 등과 같은 금속을 진공 증착하여 금속 진공 증착층(103)을 형성한 후, 에칭에 의한 탈막 공정을 수행하여 금속 진공 증착층(103)의 일부를 제거한다. 이어서, 그 배면에 통상의 실크스크린 인쇄를 하여 실크스크린 인쇄층(104)을 형성하여 문자 또는 색상이 인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한 금속 진공 증착층(103)의 형성전에 합성 수지 재질의 필름 평판 시트(100)의 각 요철형태의 패턴층(101) 배면(背面)에 통상의 투명 도료를 이용한 투명 인쇄를 함으로써 합성 수지 재질의 필름 평판 시트(100)의 전면에서 볼 때에 금속 질감이 나면서 배면의 백라이팅시 불빛이 투과되어 보이는 것(일명 초콜릿 타입)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한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가공 단계(S140)에서는,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키를 후술하는 유니트(낱개) 단위로의 CNC 가공 공정에서 용이하게 절단하기 위하여, 천연 다이아 바이트(도면 번호 미부여)를 이용하여 개개의 네비게이션 키 형성 부위에서 외측 외곽 라인을 따라 가공하여 제1 절삭 라인 홈(112)을 형성하고 또한, 내측 외곽 라인(최종 네비게이션 키에서 중앙 관통홀 기준)을 따라 제2 절삭 라인 홈(113)을 형성한다. 이러한 절삭 라인 홈은 천연 다이아 바이트를 이용하여 원자재 두께로 0.4T에서 대략 0.2T로 경사지게 연마하여 가공됨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에 있어서는 그 가공 두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한 천연 다이아 바이트는 초경 바이트나 인조 다이아(PCD) 바이트에 비하여 그 강도가 월등히 우수함으로 가공날이 날카로우면서도 마모가 되지 않아 그 가공 영역이 보다 매끈해짐으로, 네비게이션 키의 제1 및 2 절삭 라인 홈(112)(113)을 프레스하여 절단하는 경우 사출한 것과 동일한 사출감을 나타내게 되어 종래보다 공정이 개선 및 단축되고 그로 인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천연 다이아 바이트(도면 번호 미부여)를 이용하여 개개의 네비게이션 키 형성 부위에 가공 형성된 제1 절삭 라인 홈(112) 및 제2 절삭 라인 홈(113)을 천연 다이아 바이트 대신에 값이 저렴한 초경 바이트나 인조 다이아(PCD) 바이트를 이용해 낱개로 가공하여 따냄으로써 최종 완제품이 네비게이션 키가 완성된다.
상기한 테스트 및 제품 출하 단계(S150)에서는, 최종 완제품인 각 네비게이션 키를 최종 테스트하기 위해 부착된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비닐을 때어내고 불량 테스트를 수행한 후에 다시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비닐을 부착하고 네비게이션 키 완제품을 출하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키패드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 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의 제조방법은 증착 및 실크스크린 인쇄 단계(S200)와, CNC 가공 단계(S210)와, UV 코팅 단계(S220)와, 테스트 및 제품 출하 단계(S14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증착 및 실크스크린 인쇄 단계(S200)에서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폴리 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 terephtha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과 같은 합성 수지 재질의 필름 평판 시트(200)를 마련한 다음, 필름 평판 시트(200)의 배면에 통상의 UV 코팅에 의해 하드 코팅층(201)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압식의 에어 건(air gun)을 이용하여 X 및 Y축 방향으로 UV 도료를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하여 코팅한다. 계속해서, 합성 수지 재질의 필름 평판 시트(200)의 하드 코팅층(201) 배면(背面)에 니켈, 알루미늄 또는 크롬 등과 같은 금속을 진공 증착하여 금속 진공 증착층(203)을 형성한 후, 에칭에 의한 탈막 공정을 수행하여 금속 진공 증착층(203)의 일부를 제거한다. 이어서, 그 배면에 통상의 실크스크린 인쇄를 하여 실크스크린 인쇄층(204)을 형성하여 문자 또는 색상이 인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한 금속 진공 증착층(202)의 형성전에 합성 수지 재질의 필름 평판 시트(200)의 배면(背面)에 통상의 투명 도료를 이용한 투명 인쇄를 함으로써 합성 수지 재질의 필름 평판 시트(200)의 전면에서 볼 때에 금속 질감이 나면서 배면의 백라이팅시 불빛이 투과되어 보이는 것(일명 초콜릿 타입)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 이러한 투명 인쇄는 선택사항이며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상기한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가공 단계(S210)에서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키를 후술하는 유니트(낱개) 단위로의 CNC 가공 공정에서 용이하게 절단하기 위하여, 천연 다이아 바이트(도면 번호 미부여)를 이용하여 개개의 네비게이션 키 형성 부위에서 외측 외곽 라인을 따라 가공하여 제1 절삭 라인 홈(212)을 형성하고 또한, 내측 외곽 라인(최종 네비게이션 키에서 중앙 관통홀 기준)을 따라 제2 절삭 라인 홈(213)을 형성한다. 이러한 절삭 라인 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천연 다이아 바이트를 이용하여 원자재 두께로 0.4T에서 대략 0.2T로 경사지게 연마하여 가공됨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에 있어서는 그 가공 두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개개의 네비게이션 키 형성 부위의 상면(210)을 상기한 천연 다이아 바이트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를 갖도록 가공함으로써 3D 입체 형상을 구현하여 금속 재질감 및 사출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천연 다이아 바이트(도면 번호 미부여)를 이용하여 개개의 네비게이션 키 형성 부위에 가공 형성된 제1 절삭 라인 홈(212) 및 제2 절삭 라인 홈(213)을 천연 다이아 바이트 대신에 값이 저렴한 초경 바이트나 인조 다이아(PCD) 바이트를 이용해 낱개로 가공하여 따냄으로써 최종 완제품이 네비게이션 키가 완성된다.
상기한 UV 코팅 단계(S220)에서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입체 형상의 개개의 네비게이션 키 형성 부위의 상면(210)에 통상의 UV 코팅에 의해 UV 코팅층(미도시)을 형성하는 것으로 공압식의 에어 건(air gun)(400)을 이용하여 컨베이 어 라인(300)에서 스핀들(301)을 이용하여 X 및 Y축 방향으로 UV 도료를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하여 코팅할 수도 있다.
상기한 테스트 및 제품 출하 단계(S230)에서는, 최종 완제품인 각 네비게이션 키를 최종 테스트하기 위해 부착된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비닐을 때어내고 불량 테스트를 수행한 후에 다시 스크래치 방지용 보호비닐을 부착하고 네비게이션 키 완제품을 출하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키의 베이스인 합성 수지 재질의 필름 평판 시트의 전면(前面)에 요철 형태의 패턴층을 형성함으로써 네비게이션 키의 사용시 사용자에게 금속 재질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패드의 제조 공정중 네비게이션 키 형성 부위의 상면을 천연 다이아 바이트를 사용하여 가공함으로써 네비게이션 키의 사용시 사용자에게 3D 입체 형상을 구현하여 금속 재질감 및 사출감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합성 수지재질의 네비게이션 키 베이스와,
    상기 네비게이션 키 베이스 전면에 형성된 요철형태의 패턴층과,
    상기 네비게이션 키 베이스 배면에 형성되며 에칭에 의해 일부가 제거되는 금속 진공 증착층과,
    상기 금속 진공 증착층이 제거된 상기 네비게이션 키 베이스 하면에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를 표시하기 위해 실크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실크스크린 인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2.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합성 수지재질의 네비게이션 키 베이스와,
    상기 네비게이션 키 베이스 전면에 형성된 천연 다이아 입체 가공면과,
    상기 네비게이션 키 베이스 배면에 형성되며 에칭에 의해 일부가 제거되는 금속 진공 증착층과,
    상기 금속 진공 증착층이 제거된 상기 네비게이션 키 베이스 하면에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를 표시하기 위해 실크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실크스크린 인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태의 패턴층의 전면에 UV 코팅에 의해 하드 코팅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키 베이스의 배면에는 투명 인쇄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KR2020060019146U 2006-07-14 2006-07-14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KR200429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146U KR200429248Y1 (ko) 2006-07-14 2006-07-14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146U KR200429248Y1 (ko) 2006-07-14 2006-07-14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302A Division KR100820750B1 (ko) 2006-07-14 2006-07-14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248Y1 true KR200429248Y1 (ko) 2006-10-19

Family

ID=41777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146U KR200429248Y1 (ko) 2006-07-14 2006-07-14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24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763B1 (ko) * 2006-06-29 2007-11-01 신익규 키패드 표면무늬 성형가공 방법
KR100841527B1 (ko) 2006-08-22 2008-06-25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홀로그램이 형성된 투명필름 키패드 제조방법 및 그 키패드
KR101026915B1 (ko) 2008-12-12 2011-04-04 김양현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키패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763B1 (ko) * 2006-06-29 2007-11-01 신익규 키패드 표면무늬 성형가공 방법
KR100841527B1 (ko) 2006-08-22 2008-06-25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홀로그램이 형성된 투명필름 키패드 제조방법 및 그 키패드
KR101026915B1 (ko) 2008-12-12 2011-04-04 김양현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키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3574B (zh) 一种光学膜片的制备方法、背盖及电子设备
KR101240027B1 (ko) 금속 질감의 입체 패턴의 포함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06453703B (zh) 一种透明显示面板盲孔表面的装饰方法
JP2010141311A (ja) 電子装置ハウジ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23570B1 (ko) 터치스크린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13929A (ko) 아트 커버 글라스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아트 커버 글라스
KR200429248Y1 (ko)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CN101730412A (zh) 壳体及其制作方法
CN101365306B (zh) 显示面板的窗口板结构及其制造方法
CN102156600A (zh) 电容式触摸屏及其制造方法和触摸显示器件
KR20170081327A (ko) 모바일 기기용 슬리밍 커버 글라스 및 그 제조방법
CN107433817A (zh) 一种装饰薄膜及装饰玻璃
KR100820750B1 (ko) 무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및 그 제조방법
CN211378445U (zh) 一种装饰膜、盖板及电子设备
KR20040052730A (ko) 키버튼 제조방법
KR20180129039A (ko) 글라스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8312421B (zh) 洗衣机控制面板装饰板及其制造方法以及洗衣机
CN101276698A (zh) 薄形按键面板的制作方法
CN215269063U (zh) 壳体装置及电子终端设备
CN113747710B (zh) 盖板及其制备方法、电子设备
CN107718990A (zh) 一种夜光工艺品及其制作方法
KR101928345B1 (ko)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CN202053589U (zh) 具立体纹路结构的基板
KR100793833B1 (ko) 무선 단말기의 유기 이엘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CN207388727U (zh) 一种夜光工艺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