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635B1 - 차량용 램프 및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635B1
KR102063635B1 KR1020180001842A KR20180001842A KR102063635B1 KR 102063635 B1 KR102063635 B1 KR 102063635B1 KR 1020180001842 A KR1020180001842 A KR 1020180001842A KR 20180001842 A KR20180001842 A KR 20180001842A KR 102063635 B1 KR102063635 B1 KR 102063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ns
filter
reflector
optic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3872A (ko
Inventor
김현지
이옥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1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635B1/ko
Priority to CN201811130103.4A priority patent/CN110017455A/zh
Priority to US16/239,989 priority patent/US20190211988A1/en
Priority to DE202019000049.6U priority patent/DE202019000049U1/de
Priority to EP19150411.7A priority patent/EP3508779A1/en
Publication of KR20190083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21S41/6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changing their light transmissivity, e.g. by liquid crystal or electrochrom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6Lase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76Light sources where the light is generated by photoluminescent material spaced from a primary light genera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1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being a surface of revolution or a planar surface, e.g. trunc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21S41/63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moving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20Illuminance distribution within the emitted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30Semiconductor la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01J2001/4446Type of detector
    • G01J2001/446Photodio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광에 기초한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 출력 장치; 및 상기 광을 감지하는 광 감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광 감지 장치는, 파장에 따라 광을 분리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에 의해 분리되는 광을 센싱하는 광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및 차량{Lamp for vehicle and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차량에는, 램프가 포함된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탑승자의 가시성 확보를 위한 램프(예를 들면, 헤드 램프, 포그 램프)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램프(예를 들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로 구분될 수 있다.
차량에 구비되는 각종 램프의 광원으로, 다양한 소자가 활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차량용 램프의 광원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는, 차량용 램프로써 요구되는 광량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는 반면,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생성되는 광이, 직접 사람에게 조사되는 경우, 위험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이저 광을 이용하면서, 세이프티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용 램프롤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레이저 광에 기초한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 출력 장치; 및 상기 광을 감지하는 광 감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광 감지 장치는, 파장에 따라 광 경로를 분리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에 의해 분리되는 광을 센싱하는 광 센서;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차량용 램프에 요구되는 광량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3-path 구조를 적용하여, 보다 슬림하게 차량용 램프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세이프티 시스템(safety system)을 구비하여, 레이저 광을 안전하게 이용하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차량 사고 발생등 돌발 생황에서도,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7은, 도 3의 A 방향에서 바라본 광 감지 장치를 예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경로가 도시된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측단면도를 예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예시한다.
차량(1)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차량(1)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차량(1)은, 차량용 램프(1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는, 헤드 램프,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포그 램프, 룸 램프(room lamp), 턴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데이타임 런닝 램프(daytime running lamp), 백 램프(bak lamp) 및 포지셔닝 램프(positioning lamp)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용 램프(10)로 헤드 램프를 예를들어 설명한다.
한편,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1)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1)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1)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1)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1)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7은, 도 3의 A 방향에서 바라본 광 감지 장치를 예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대략적인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경로가 도시된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차량용 램프(10)는, 광 출력 장치(100) 및 광 감지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출력 장치(100)는, 광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 출력 장치(100)는, 레이저 광에 기초한 가시광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광 출력 장치(100)는, 광원 기구(110), 렌즈(120), 제1 반사부(130), 반사형 형광체(140) 및 제2 반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기구(110)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광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
광원 기구(110)는, 레이저 광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 기구(110)는, 블루계열의 레이저 광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광원 기구(110)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LD)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기구(110)는, 렌즈(120)를 향해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광원 기구(110)에서 출력된 광은, 렌즈(120)를 투과하여, 제1 반사부(130)로 입사될 수 있다.
광원 기구(110)는, 렌즈(120)를 향해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광원 기구(110)는, 렌즈(120)의 광축(X)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광원 기구(110)는, 렌즈(120) 중, 중심에서 벗어난 부위를 향해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 기구(110)는, 렌즈(120) 중, 렌즈(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아래쪽 지점을 행햐 광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램프(10)에 광 리듀서(300)가 더 포함되는 경우, 광원 기구(110)는, 광 리듀서(300)를 향해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광원 기구(110)에서 렌즈(120)의 배면(122)으로 입사된 광은, 렌즈(120)를 투과하여, 제1 반사부(130)로 입사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램프(10)는, 광원 기구(110)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부재(600)는, 광원 기구(110)에 접촉되는 접촉판과, 접촉판에서 돌출된 방열 핀(Fin)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 출력 장치(100)는, 광 리듀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리듀서(300)는, 광원 기구(11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축소시켜(shrink) 제1 반사부(130)로 출사할 수 있다.
광 리듀서(300)는, 입사돠는 광의 광폭을 축소시켜 출사할 수 있다.
광 리듀서(300)는, 광원 기구(110)에서 출력되는 광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광 리듀서(300)는, 광원 기구(110)에서 출력되는 광의 단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광 리듀서(300)는, 입사되는 광을 제1 반사부(130)로 출사할 수 있다.
광원 기구(110)에서 출력된 광은, 광 리듀서(300)를 투과하고, 렌즈(120)를 투과하여, 제1 반사부(130)로 입사될 수 있다.
광 리듀서(300)는, 광원 기구(110)와 렌즈(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 리듀서(300)는, 광원 기구(110)의 전면과 렌즈(120)의 배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광 리듀서(300)는, 광원 기구(110) 및 렌즈(120)와 각각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광 리듀서(300)는, 렌즈(120)의 광축(X)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광 리듀서(300)의 일부는 렌즈(120)의 광축(X)에 위치할 수 있으나, 광 리듀서(300)의 광축(P)는, 렌즈(120)의 광축(X)과 이격될 수 있다.
한편, 광 리듀서(300)의 광축(P)은, 렌즈(120)의 광축(X)과 평행할 수 있다.
광 리듀서(300)는, 렌즈(120)의 후방에 배치되어, 렌즈(120)의 광축(X)과 평행한 방향으로 광을 출사할 수 있다.
광 리듀서(300)는, 제1 리듀서 렌즈(310) 및 제2 리듀서 렌즈(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듀서 렌즈(310)는, 광원 기구(110)에서 출력된 광의 광폭을 축소시킬 수 있다.
제1 리듀서 렌즈(310)는, 입사면(311)과 출사면(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듀서 렌즈(310)의 입사면(311)은, 광원 기구(110)을 마주볼 수 있다.
제1 리듀서 렌즈(310)의 출사면(312)은, 제2 리듀서 렌즈(320)의 입사면(321)을 마주볼 수 있다.
제1 리듀서 렌즈(310)는, 광원 기구(110)와 제2 리듀서 렌즈(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리듀서 렌즈(320)는, 제1 리듀서 렌즈(310)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폭을 축소시킬 수 있다.
제2 리듀서 렌즈(320)는, 입사면(321)과 출사면(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듀서 렌즈(320)의 입사면(321)은, 제1 리듀서 렌즈(310)의 출사면(312)을 마주볼 수 있다.
제2 리듀서 렌즈(320)의 출사면(322)은, 렌즈(120)의 배면을 마주볼 수 있다.
제2 리듀서 렌즈(320)는, 제1 리듀서 렌즈(310)와 이격될 수 있다.
제1 리듀서 렌즈(310)의 출사면(312)과 제2 리듀서 렌즈(320)의 입사면(321)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리듀서 렌즈(310)와 제2 리듀서 렌즈(320)는, 렌즈(120)의 광축(X)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리듀서 렌즈(310)와 제2 리듀서 렌즈(320)는, 공기를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리듀서 렌즈(310)와 제2 리듀서 렌즈(320)는, 전장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리듀서 렌즈(320)는, 제1 리듀서 렌즈(310)와 렌즈(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리듀서 렌즈(310)의 광축과 제2 리듀서 렌즈(320)의 광축은 일치할 수 있다.
제1 리듀서 렌즈(310) 및 제2 리듀서 렌즈(320) 각각은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311, 321)이, 광원 기구(110)를 향해 볼록할 수 있다.
제1 리듀서 렌즈(310) 및 제2 리듀서 렌즈(320) 각각은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312, 322)이, 광원 기구(110)를 향해 오목할 수 있다.
제2 리듀서 렌즈(320)의 직경(D2)은 제1 리듀서 렌즈(20)의 직경(D1)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리듀서 렌즈(320)의 두께(T2)는 상기 제1 리듀서 렌즈(20)의 두께(T1)보다 얇을 수 있다.
제1 리듀서 렌즈(310)에서 1차적으로 광이 축소되었기 때문에, 제2 리듀서 렌즈(320)는 주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제1 리듀서 렌즈(310)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듀서 렌즈(310)의 입사면(311)과 제2 리듀서 렌즈(320)의 입사면(321)은 곡률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리듀서 렌즈(310)를 투과하는 광의 폭이 축소되는 정도는 제1 리듀서 렌즈(310)의 입사면(311) 곡률에 크게 영향 받을 수 있고, 제1 리듀서 렌즈(310)의 입사면(311) 곡률이 클수록 제1 리듀서 렌즈(310)를 투과하는 광의 폭이 축소되는 정도가 클 수 있다.
즉, 제1 리듀서 렌즈(310)의 입사면(311) 곡률이 클수록 제2 리듀서 렌즈(320), 제1 반사부(120), 렌즈(130) 모두의 크기를 보다 축소할 수 있다.
제2 리듀서 렌즈(320)의 입사면(321)에는 제1 리듀서 렌즈(310)에서 1차적으로 폭이 축소된 광이 입사될 수 있고, 제2 리듀서 렌즈(320)의 입사면(321)은 광이 과도하게 축소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리듀서 렌즈(310)의 입사면(311) 곡률과 제2 리듀서 렌즈(320)의 입사면(321) 곡률이 상이할 경우, 제1 리듀서 렌즈(310)의 입사면(311) 곡률은 제2 리듀서 렌즈(320)의 입사면(321) 곡률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리듀서 렌즈(310)의 출사면(312)와 제2 리듀서 렌즈(320)의 출사면(322)은 곡률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리듀서 렌즈(310)는 그 출사면(312)의 곡률에 따라 제1 리듀서 렌즈(310)에서 출사된 광의 폭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리듀서 렌즈(310)의 출사면(312)은 그 출사면(312)을 통과한 광이 평행하게 출사되게 하는 곡률을 갖을 수 있다. 제1 리듀서 렌즈(310)의 출사면(312)은 그 출사면(312)을 통과한 광이 제1 리듀서 렌즈(310)의 출사면(312)과 제2 리듀서 렌즈(320)의 입사면(321) 사이에서 그 폭이 점차 축소되게 하는 곡률을 갖을 수 있다.
제2 리듀서 렌즈(320)는 그 출사면(322)의 곡률에 따라 제1 반사부(120)로 입사되는 광이 폭이 상이할 수 있고, 제2리듀서 렌즈(20)의 출사면(322)은 그 출사면(322)을 통과한 광이 제1 반사부(120)로 평행하게 입사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리듀서 렌즈(310)의 출사면(312) 곡률과 제2 리듀서 렌즈(320)의 출사면(322) 곡률이 상이할 경우, 제2 리듀서 렌즈(320)의 출사면(322) 곡률은 제1 리듀서 렌즈(310)의 출사면(312) 곡률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120)는,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렌즈(120)는, 반사형 형광체(140), 제1 반사부(130) 및 제2 반사부(150) 각각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렌즈(120)는, 반사형 형광체(140)의 전방에 위치하여, 반사형 형광체(140)를 보호할 수 있다.
렌즈(120)는 전면(121), 배면(122) 및 둘레면(123)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120)는, 집광 렌즈일 수 있다.
렌즈(120)의 전면(121)은, 차량용 램프(10)에서 광이 출력되는 방향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렌즈(120)의 전면(121)은, 차량(1)의 직진 진행 방향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렌즈(120)의 배면(122)은, 평평할 수 있다.
렌즈(120)의 배면(122)은, 차량용 램프(10)에서 광이 출력되는 방향을 향해 오목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렌즈(120)는, 광축(X)을 가질 수 있다.
렌즈(120)는, 광축(X)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여기서, 렌즈(120)의 광축(X)은, 렌즈(120)의 회전 대칭축 또는 중심축일 수 있다.
렌즈(120)의 광축(X)은, 렌즈(120)의 전면(121) 중심과 렌즈(120)의 배면(122) 중심을 지나는 직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렌즈(120)의 전면(121)에, 제1 반사부(130) 및 제2 반사부(150)가 접촉될 수 있다. 이경우, 렌즈(120)와 제1 반사부(130) 및 제2 반사부(15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렌즈(120)의 내부에 제1 반사부(130) 및 제2 반사부(150)가 위치할 수도 있다.
이중 사출을 통해, 렌즈(120)의 내부에 제1 반사부(130) 및 제2 반사부(150)가 형성된 렌즈(120)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반사부(130) 및 제2 반사부(150)는 렌즈(120)의 광축(X)을 중심으로 상하 대칭되게 렌즈(120)의 전면(121)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30)는, 제1 반사부(130)로 입사되는 광을 반사형 형광체(140)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 반사부(130)는, 광원 기구(110)에서 출력된 레이저 광을 렌즈(120)의 후방으로 반사할 수 있다.
제1 반사부(130)에 의해 반사된 광은, 렌즈(120)를 투과하여, 반사형 형광체로 입사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와 일체화되게 렌즈(120)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의 전면(122)에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반사부(130)는 반사형 형광체(140)의 배치 위치에 따라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형 형광체(140)가 렌즈(120)의 후방에 배치될 경우,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의 후방에 렌즈(120)와 이격되게 위치되거나, 렌즈(120)의 배면에 구비되거나, 렌즈(120)의 전면에 구비되거나, 렌즈(120)의 전방에 렌즈(120)와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의 후방에 렌즈(120)와 이격되게 구비된 상태에서, 광원 기구(110)에서 출사된 광을 반사형 형광체(140)와 렌즈(120)의 사이로 반사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의 배면에 렌즈(120)와 일체로 구비된 상태에서, 광원 기구(110)에서 출사된 광을 반사형 형광체(140)와 렌즈(120)의 사이로 반사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의 전면에 렌즈(120)와 일체로 구비된 상태에서, 광원 기구(110)에서 출사된 후 렌즈(120)를 투과한 광이 반사형 형광체(140)를 향해 반사되게 렌즈(120)로 반사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의 전방에 렌즈(120)와 이격되게 구비된 상태에서, 광원 기구(110)에서 출사된 후 렌즈(120)를 투과한 광이 반사형 형광체(140)를 향해 반사되게 렌즈(120)로 반사시킬 수도 있다.
제1 반사부(130)가 렌즈(120)의 후방이나 전방에 렌즈(120)와 이격되게 구비될 경우, 차량용 발광기구의 부품수는 증가될 수 있고, 렌즈(120)와 제1 반사부(130) 사이의 이격 거리로 인해 차량용 발광기구의 크기가 증대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30)는 차량용 발광기구의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차량용 발광기구의 컴팩트화를 위해 렌즈(120)의 배면(32)이나 전면(121)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의 배면 전체나 렌즈(120)의 전면 전체에 구비될 경우, 반사형 형광체(140)에서 반사된 광을 모두 후방으로 반사되게 되고, 반사형 형광체(140)에서 반사된 광은 렌즈(120)의 전방으로 출사되지 못한다.
즉,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의 배면 일부나 렌즈(120)의 전면 일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가 충분한 광 출사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의 광축(X) 이외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의 광축(X)과 렌즈(120)의 둘레면(123)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의 배면 일부 영역에 구비되거나 렌즈(120)의 전면 일부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30)는 광원 기구(110)에서 출사된 광을 반사형 형광체(140)로 반사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30)는 입사된 광을 렌즈(120)의 후방으로 반사할 수 있다.
제1 반사부(130)는 반사형 형광체(140)와 렌즈(120)의 거리를 고려하여 그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형 형광체(140)는 렌즈(120)의 배면(122)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의 전면(121)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의 전면 일부 영역에 구비될 수 있고, 광원 기구(110) 특히, 광 리듀서(300)에서 출사된 광은 렌즈(120)를 투과하여 제1 반사부(130)로 입사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반사부(130)에서 반사된 광은 렌즈(120)를 투과하여 반사형 형광체(140)로 입사될 수 있고, 반사형 형광체(140)에 의해 파장이 변화된 광은 렌즈(120)를 투과하여 전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렌즈(120)는 광이 3차례 투과하는 3-path 렌즈일 수 있고, 차량용 발광기구는 이러한 3-path 렌즈에 의해 컴팩트화가 가능할 수 있다.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의 볼록한 전면(121) 일부에 볼록한 전면(121)을 따라 형성되고, 그 단면 형상이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의 전방에서 볼 때,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의 전면(121)에 형성된 오목 미러일 수 있다. 제1 반사부(130)는 그 전면이 볼록하고, 그 배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1 반사부(130)는 그 전면이 후술하는 프로젝션 렌즈(700)를 마주볼 수 있고, 렌즈(120)와 프로젝션 렌즈(700) 사이에서 렌즈(120) 및 프로젝션 렌즈(70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의 전면(121) 중 렌즈(120)의 광축(X) 이외에 코팅된 반사코팅층일 수 있다. 또는, 제1 반사부(130)는 렌즈(120)의 전면(121) 중 렌즈(120)의 광축(X) 이외에 부착된 반사시트일 수 있다.
광원 기구(110), 광 리듀서(300) 및 제1 반사부(130)는, 위에서 보거나 옆에서 볼때,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형 형광체(140)는, 렌즈(1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형 형광체(140)는, 제1 반사부(130)에서 반사된 광의 파장을 변환하여 렌즈(120)로 반사할 수 있다.
광의 파장 변환시 열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반사형 형광체(140)는 렌즈(120)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형 형광체(140)는 렌즈(120)의 후방에 렌즈(12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반사형 형광체(140)는 렌즈(120)의 배면(122)을 마주보게 배치되고 렌즈(120)의 배면(122)을 향해 광을 반사할 수 있다.
반사형 형광체(140)는 렌즈(120)의 광축(X)에서 렌즈(120)의 배면(122)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반사형 형광체(140)의 전면은 렌즈(120)의 배면(122)과 평행할 수 있다.
반사형 형광체(140)는 렌즈(120)의 광축(X) 이외에 렌즈(120)의 광축(X)에 대해 편심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반사형 형광체(140)는 렌즈(120)의 광축(X)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형 형광체(140)는 렌즈(120)의 배면(122)을 마주보는 파장 변환층과, 파장 변환층의 후방에 배치된 반사부을 포함할 수 있다.
파장 변환층은 파장 변환 막으로 구성될 수 있고, Opto ceramic을 포함할 수 있다.
파장 변환층은 반사부 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반사부(130)에서 반사된 광의 파장을 변환할 수 있다.
파장 변환층은 외부에서 블루 계열의 광이 입사되면 황색 계열의 광으로 전환하는 파장 변환막일 수 있다.
파장 변환층은 황색의 Opto ceramic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외면에 코팅된 반사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는 금속(meta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부는 파장 변환층을 지지할 수 있고, 파장 변환층을 투과한 광은 반사부에 의해 렌즈(120)의 배면(122)을 향해 반사할 수 있다.
블루 계열의 광이 제1 반사부(130)에 의해 반사형 형광체(140)로 반사되면, 파장 변환층의 표면에서는 블루 계열의 광 일부가 표면 반사되고, 블루 계열의 광 중 파장 변환층의 내부로 입사된 광은 파장 변환층 내부에서 여기될 수 있고, 이러한 광은 반사부에 의해 파장 변환층 전방으로 반사될 수 있다.
파장 변환층의 표면에서 표면 반사된 블루 계열의 광과, 파장 변환층 전방으로 출사된 황색 계열의 광은 혼합될 수 있고, 반사형 형광체(140)의 전방으로는 화이트 계열의 광이 출사되며, 이러한 화이트 계열의 광은 렌즈(120)를 투과하여 렌즈(120) 전방을 향해 출사될 수 있다.
반사형 형광체(140)와 렌즈(120) 사이의 거리(L1)는 차량용 발광기구의 전후 폭을 결정할 수 있고, 반사형 형광체(140)는 열에 의한 렌즈(12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렌즈(120)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형 형광체(140)에는 반사형 형광체(140)의 방열을 돕는 방열부재(141)가 배치될 수 있다. 방열부재(141)는 반사형 형광체(140)에 접촉되는 접촉판(143)과, 접촉판(143)에 돌출된 방열 핀(144, Fin)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판(143)은 반사부의 배면에 면접촉되게 부착될 수 있다.
차량용 발광기구는 렌즈(120)의 전방에 배치될 프로젝션 렌즈(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션 렌즈(700)는 렌즈(120) 보다 크기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로젝션 렌즈(700)의 광축은 렌즈(120)의 광축(X)과 일치될 수 있다.
한편, 반사형 형광체(140)에서 출사되는 화이트 계열의 광은, 차량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차량 외부로 출력되는 화이트 계열의 광은, 헤드 램프의 로우빔 또는 하이빔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반사형 형광체(140)에서 출사되는 화이트 계열 광의 일부는, 제2 반사부(150)로 향할 수 있다.
제2 반사부(150)는, 반사형 형광체(140)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렌즈(120)의 후방으로 반사할 수 있다.
제2 반사부(150)에 의해 반사된 광은, 렌즈(120)를 투과하여, 광 감지 장치(200)로 입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반사부(150)는, 입사된 광을 광 감지 장치(200)를 향해, 렌즈(120)의 광축(X)과 평행하게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제2 반사부(150)에 의해 광 감지 장치(200)로 반사된 광은 광 감지 장치(200)에서 감지될 수 있고, 그 감지 결과에 따라 차량용 발광기구의 안전성이 판단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50)는, 렌즈(120)와 일체화되게 렌즈(120)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2 반사부(150)는, 렌즈(120)의 전면(122)에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반사부(150)는, 렌즈(1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반사부(150)는, 렌즈(120)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반사부(150)는, 광 감지 장치(200)의 배치 위치에 따라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반사부(150)는, 광 감지 장치(200)의 미러(230)를 향해 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50)는 렌즈(120)의 전면(121)에 제1 반사부(130)와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고, 반사형 형광체(140)에서 반사된 광을 렌즈(120)의 후방으로 반사할 수 있다.
제2 반사부(150)는 렌즈(12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50)는, 렌즈(120)의 볼록한 전면(121)에 단면 형상이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50)는 렌즈(120)의 볼록한 전면(121)에 렌즈(120)의 전면(121)을 따라 형성된 오목 미러일 수 있다.
제1 반사부(130)와 제2 반사부(150)는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30)와 제2 반사부(150)는 렌즈(120)의 광축(X)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30)와 제2 반사부(150)는 렌즈(120)의 전면(121)에 180°위상차를 갖고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30)가 렌즈(120)의 전면(121) 중 좌측 영역에 형성될 경우, 제2 반사부(150)는 렌즈(120)의 전면(121) 중 우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30)가 렌즈(120)의 전면(121) 중 상측 영역에 형성될 경우, 제2 반사부(150)는 렌즈(120)의 전면(121) 중 하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30)와 제2 반사부(150)는 렌즈(120)의 광축(X)으로부터 동일거리에 구비되거나 렌즈(120)의 광축(X)과 거리가 상이할 수 있다.
제1 반사부(130)와 제2 반사부(150)는 렌즈(120)의 광축(X)으로부터 동일거리에 구비될 경우, 2개의 반사부 중 어느 하나가 제1 반사부(130)로 기능할 수 있고, 다른 하나가 제2 반사부(150)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반사부(130)와 렌즈(120)의 광축(X) 사이의 제1거리가 제2 반사부(150)와 렌즈(120)의 광축(X) 사이의 제2거리 보다 짧거나 길 수 있다. 이 경우, 광원 기구(110)는 2개의 반사부 중 어느 하나를 마주보는 위치이면서 차량용 발광기구를 보다 컴팩트화할 수 있거나 그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광원 기구(110)가 2개의 반사부 중 어느 하나를 마주볼 경우, 광원 기구(110)가 마주보는 광원 기구(110)가 제1반사부로 기능할 수 있고, 광원 기구(110)가 마주보지 않는 반사부가 제2 반사부(150)로 기능할 수 있다.
제2 반사부(150)는, 렌즈(120)의 전면 중 렌즈(120)의 광축(X) 이외에 코팅된 반사코팅층으로 구성되거나 렌즈(120)의 전면 중 렌즈(120)의 광축(X) 이외에 부착된 반사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반사형 형광체(140)에서 렌즈(120)로 반사된 광 중 일부는 제2 반사부(150)로 입사될 수 있다.
반사형 형광체(140)에서 제2 반사부(150)로 입사된 광은 제2 반사부(150)에 의해 렌즈(120)의 후방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50)에 의해 렌즈(120)의 후방 방향으로 반사된 광은 렌즈(120)의 배면(122)을 투과하고, 제2 반사부(150)에서 반사된 후 렌즈(120)의 배면(122)을 투과한 광은 렌즈(120)의 광 감지 장치(200)를 향할 수 있다.
광 감지 장치(200)는, 렌즈(1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광 감지 장치(200)는, 제2 반사부(15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광 감지 장치(200)는, 제2 반사부(15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광 감지 장치(200)가, 렌즈(120) 또는 제2 반사부(150)의 후방에 배치됨으로 인해, 차량용 램프(10) 제작시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들게된다. 그에 따라, 차량용 램프(10)와 차량용 램프 주변 부품의 디자인 자유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광 감지 장치(200)는, 광원 기구(110)와 렌즈(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 감지 장치(200)는, 광 출력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 감지 장치(200)는, 광원 기구(110)에서 출력되고, 렌즈(120), 제1 반사부(130), 반사형 형광체(140) 및 제2 반사부(150)를 거친 광을 감지할 수 있다.
광 감지 장치(200)는, 렌즈(120)의 광축(X)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광 감지 장치(200)는, 반사형 형광체(140)와 간섭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감지 장치(200)는, 구조체(201), 필터(210), 광 센서(220), 미러(230) 및 디퓨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체(201)는, 필터(210), 광센서(220), 미러(230) 및 디퓨저(240)를 고정할 수 있다.
구조체(201)는, 필터(210), 광센서(220), 미러(230) 및 디퓨저(240)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필터(210)는, 파장에 따라 가시광을 분리할 수 있다.
필터(210)는, 제2 반사부(150)에서 반사되는 광을 파장에 따라 분리할 수 있다.
필터(210)는, 제2 반사부(150)에서 반사되는 가시광을 제1 파장을 가지는 제1 광과 제2 파장을 가지는 제2 광으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210)는, 제2 반사부(150)에서 반사되는 화이트 계열의 광을 옐로우 계열의 광과 블루 계열의 광으로 분리할 수 있다. 옐로우 계열의 광은, 제1 광 경로를 통해 광 센서(220)에 입사될 수 있다. 블루 계열의 광은, 제2 광 경로를 통해 광 센서(220)에 입사될 수 있다.
필터(210)는, 제1 필터(211) 및 제2 필터(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211)는, 가시광 중 제1 파장을 가지는 제1 광을 분리할 수 있다. 제1 필터(211)는, 제1 광을 투과시켜, 제1 광 센서(220)로 유도할 수 있다. 제1 필터(211)는, 제2 광을 반사시켜, 제2 필터(212)로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필터(211)는, 화이트 계열의 광에서 옐로우 계열의 광을 분리할 수 있다. 제1 필터(211)는, 분리된 옐로우 계열의 광을 제1 광 센서(221)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필터(211)는, 다이크로익 필터(Dichroic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211)는, 제2 필터(212)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필터(211)는, 제2 필터(212)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212)는, 가시광 중 제2 파장을 가지는 제2 광을 분리할 수 있다. 제2 필터(212)는, 제2 광을, 제1 광 센서(220)로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필터(212)는, 화이트 계열의 가시광에서 블루 계열의 광을 분리할 수 있다. 제2 필터(212)는, 분리된 블루 계열의 광을 제2 광 센서(222)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필터(212)는, 다이크로익 필터(Dichroic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212)는, 제1 필터(211)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212)는, 제1 필터(211)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필터(211) 및 제2 필터(212)의 배치 관계에 의해, 블루 계열의 광의 경로가 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필터(211) 및 제2 필터(212)의 배치 관계에 의해, 차량용 램프(10)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광 센서(220)는, 필터(210)에 의해 분리되는 광을 센싱할 수 있다.
광 센서(220)는, 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다.
광 센서(220)는, 제1 광 센서(221) 및 제2 광 센서(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센서(221)는, 제1 필터(211)에 의해 분리된 제1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광센서(221)는, 제1 광의 세기에 대한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광의 세기에 대한 데이터는, 제1 광 센서(221)의 센싱값으로 명명될 수 있다.
제1 광센서(221)는, 포토 다이오드(P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광 센서(221)는, 가시광의 광 경로(461)의 연장선(46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광 센서(221)는, 제2 반사부(150)에서 반사된 가시광이 미러(230)에 의해 반사되어 형성되는 광 경로(461)의 연장선(46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광센서(222)는, 제2 필터(212)에 의해 분리된 제2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광센서(222)는, 제2 광의 세기에 대한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광의 세기에 대한 데이터는, 제2 광 센서(222)의 센싱값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 광센서(222)는, 포토 다이오드(P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광센서(222)는, 가시광의 광 경로(461)와 평행한 선(463)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광센서(222)는, 제2 반사부(150)에서 반사된 가시광이 미러(230)에 의해 반사되어 형성되는 광경로(461)와 평행한 선(46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광 센서(222)는, 제1 광 센서(221)의 좌측방 또는 우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램프(10)를 헤드 램프라고 가정할 때, 제2 광 센서(222)는, 차량의 전진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제1 광센서(222)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광 센서(222)는, 제1 광 센서(221)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램프(10)를 헤드 램프라고 가정할 때, 제2 광 센서(222)는, 차량의 전진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제1 광센서(222)의 앞쪽 또는 뒤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광 센서(221) 및 제2 광 센서(222)의 배치 관계에 의해, 블루 계열의 광의 경로가 길어지게 된다.
광 센서(220)가 블루 계열의 광을 센싱할 때, 단위 면적당 광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항상 최대값을 출력하게 되어, 적정 센싱값이 출력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경우, 블루 계열의 광이 항상 기준값을 초과하게 되어, 적절한 센싱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본원 발명에 따라, 블루 계열 광의 경로가 길어지게 되면, 블루 계열 광의 단위 면적당 광량이 줄어들게 되어, 광 센서(220)의 출력 범위 내에서, 블루 계열 광의 세기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광 센서(221) 및 제2 광 센서(222)의 배치 관계에 의해, 차량용 램프(10)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광 센서(220)는, 데이터를 프로세서(500)에 제공할 수 있다.
미러(230)는, 가시광을 필터(210)를 향해 반사시킬 수 있다.
미러(230)는, 제2 반사부(150)에서 반사되는 화이트 계열의 가시광을 필터(210)를 향해 반사시킬 수 있다.
미러(230)는, 제2 반사부(150)에서 반사되는 화이트 계열의 가시광을 디퓨저(240)를 향해 반사시킬 수 있다.
디퓨저(240)는, 가시광을 분산시켜 필터(210)에 제공할 수 있다.
디퓨저(240)는, 미러(230)에 의해 반사되는 화이트 계열의 가시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디퓨저(240)는, 입사되는 가시광을 분산시킴으로 인해, 필터(210) 및 광 센서(220)로 유입되는 광의 단위 면적당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구조체(201)는, 미러(230)와 디퓨저(240) 사이에 형성된 홀(202)을 포함할 수 있다.
홀(202)은, 미러(230)에 의해 반사되는 가시광의 일부만 디퓨저(240)로 입사되게 한다.
차량용 램프(10)는, 프로세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용 램프(10)의 각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광 감지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광원 기구(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광 센서(220)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광원 기구(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제3 광 센서(223)의 센싱값과, 제1 광 센서(221)의 센싱값 및 제2 광 센서(222)의 센싱값을 비교하여, 광원 기구(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제3 광 센서(223)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기준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500)는, 제3 광 센서(223)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제1 광 센서(221)의 센싱값과 제1 기준값을 비교하여, 광원 기구(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500)는, 제1 광 센서(221)의 센싱값이 제1 기준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레이저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광원 기구(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500)는, 제1 광 센서(221)의 센싱값이 제1 기준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광원 기구(11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 광의 광량이 낮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제2 광 센서(222)의 센싱값과 제2 기준값을 비교하여, 광원 기구(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500)는, 제2 광 센서(222)의 센싱값이 제2 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레이저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광원 기구(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500)는, 제2 광 센서(222)의 센싱값이 제2 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광원 기구(11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 광의 광량이 낮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제2 광 센서(222)에 의해 제2 광이 센싱되는 상태에서, 제1 광 센서(221)에 의해 제1 광이 센싱되지 않는 경우, 레이저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광원 기구(110)를 제어할 수 있다.
렌즈(120), 제1 반사부(130), 반사형 형광체(140) 및 제2 반사부(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파손되거나, 자세가 변경되는 경우, 화이트 계열의 가시광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지 않게 된다. 블루 계열의 가시광이 인체에 조사되는 경우, 실명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위험을 미리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차량용 램프(10)는, 프로젝션 렌즈(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션 렌즈(700)는 전면(701)과, 배면(702)와, 둘레면(70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션 렌즈(700)의 전면(701)은 전방을 향해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프로젝션 렌즈(700)의 배면(702)은 평면일 수 있다.
프로젝션 렌즈(700)는 광축(X)을 중심으로 대칭된 구조일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는 렌즈(120)와 프로젝선 렌즈(700)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7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는 광 리듀서(300)를 지지하는 광 리듀서 서포터(3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리듀서 서포터(356)는 광 리듀서(300)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 리듀서 서포터(356)는 렌즈(120)의 광축(X)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광이 투과하는 광 투과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램프(10)의 각 구성은, 광의 경로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프로세서(500)의 제어에 따라, 광원 기구(110)가 턴 온되면, 광원 기구(110)에서는 블루 계열의 광이 출력될 수 있다.
광원 기구(110)에서 출력된 광은 광 리듀서(300)로 입사될 수 있다.
광원 기구(110)에서 출력된 광은, 제1 리듀서 렌즈(310)의 입사면(311)으로 입사될 수 있다.
제1 리듀서 렌즈(310)로 입사된 광은, 광폭이 축소될 수 있다.
광폭이 축소된 광은 제1 리듀서 렌즈(310)의 출사면(312)으로 출사될 수 있다.
제1 리듀서 렌즈(310)의 출사면(312)으로 출사된 광은 제2 리듀서 렌즈(320)의 입사면(321)으로 입사될 수 있다.
제2 리듀서 렌즈(320)로 입사된 광은, 광폭이 더 축소될 수 있다.
광폭이 더 축소된 광은 제2 리듀서 렌즈(320)의 출사면(322)으로 출사될 수 있다.
제2 리듀서 렌즈(320)의 출사면(322)으로 출사된 광은, 렌즈(120)의 배면(122)으로 입사될 수 있다.
렌즈(120)의 배면으로 입사된 광은 렌즈(120) 중 제1 반사부(130)의 후방 영역을 투과하여, 제1 반사부(130)로 입사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30)로 입사된 광은, 반사형 형광체(140)를 향해 반사될 수 있다.
제1 반사부(130)로 입사된 광은, 렌즈(120)를 투과하여, 반사형 형광체(140)로 입사될 수 있다.
반사형 형광체(140)로 입사된 광은, 반사형 형광체(140)에 의해 파장이 변화될 수 있다.
반사형 형광체(140)로 입사된 광은 화이트 계열의 광으로 변화되어 렌즈(120)를 향해 출사될 수 있다.
반사형 형광체(140)에서 출사되는 화이트 계열의 광은 렌즈(120) 및 프로젝션 렌즈(700)를 투과하여, 차량의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차량의 외부로 조사되는 화이트 계열의 광은, 헤드 램프의 로우빔 또는 하이빔으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반사형 형광체(140)에서 렌즈(120)로 출사된 광 중 일부는 제2 반사부(150)로 입사될 수 있다.
반사형 형광체(140)에서 제2 반사부(150)로 입사된 광은, 제2 반사부(150)에 의해, 렌즈(120)의 후방으로 반사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50)에 의해 반사된 광은, 광 감지 장치(200)로 입사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50)에 의해 반사된 광은, 미러(230)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미러(230)에 의해 반사된 광은 반사되어, 디퓨저(240)로 입사될 수 있다.
디퓨저(240)로 입사된 광은, 분산되어, 제1 필터(211)로 입사될 수 있다.
제1 필터(211)에 의해 분리된 제1 광은, 제1 광 센서(221)로 입사될 수 있다.
한편, 제1 필터(211)에 의해 분리된 제2 광은, 제2 필터(212)로 입사될 수 있다.
제2 필터(212)에 의해 분리된 제2 광은, 제2 광 센서(222)로 입사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광원 기구(110), 제1 광 센서(221) 및 렌즈(120)는, 위에서 볼때,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 센서(221) 및 제2 광 센서(222)는,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 센서(221) 및 제2 광 센서(222)는, 전폭 방향을 기준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광 센서(222)는, 차량의 전진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제1 광 센서(221)의 오른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광 센서(222)는, 차량의 전진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제1 광 센서(221)의 왼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광원 기구(110), 제2 광센서(222), 제1 광 센서(221) 및 렌즈(120)는, 위에서 볼때,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 센서(221) 및 제2 광 센서(222)는,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 센서(221) 및 제2 광 센서(222)는, 전장 방향을 기준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광 센서(222)는, 차량의 전진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제1 광 센서(22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광 센서(222)는, 차량의 전진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제1 광 센서(22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측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차량용 램프(10)는, 제3 광 센서(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광 센서(223)는, 광 센서(220)의 하위 구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제3 광 센서(223)는, 광원 기구(110)에서 출력되는 블루 계열의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제3 광 센서(223)는, 블루 계열 광의 세기에 대한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광 센서(223)에 의해 센싱되는 블루 계열 광의 세기에 대한 데이터는, 제3 광 센서(223)의 센싱값으로 명명될 수 있다.
제3 광 센서(223)는, 포토 다이오드(PD)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는, 하우징(99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998)은, 광 출력 장치(100) 및 광 감지 장치(200)를 수용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는, 광가이드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가이드부(410)는, 하우징(998) 내부에 경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광가이드부(410)는, 광원 기구(110)에서 생성되는 블루 계열의 광을 제3 광 센서(223)로 가이드할 수 있다.
광가이드부(410)는, 광원 기구(110)와 광 리듀서(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 차량
10 : 차량용 램프

Claims (16)

  1. 레이저 광에 기초한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 출력 장치; 및
    상기 광을 감지하는 광 감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광 감지 장치는,
    파장에 따라 광을 분리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에 의해 분리되는 광을 센싱하는 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가시광 중 제1 광을 분리하는 제1 필터; 및
    상기 가시광 중 제2 광을 분리하는 제2 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광 센서는,
    상기 제1 광을 센싱하는 제1 광 센서; 및
    상기 제2 광을 센싱하는 제2 광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센서는,
    상기 가시광의 광 경로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센서는,
    상기 가시광의 광 경로와 평행한 선상에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센서는,
    상기 제1 광 센서의 측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는,
    상기 제1 필터와 마주보고, 상기 제1 필터와 동일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는,
    상기 가시광 중 옐로우 계열의 광을 분리하여 상기 제1 광 센서에 제공하고,
    상기 제2 필터는,
    옐로우 광이 분리된 가시광 중 블루 계열의 광을 분리하여 상기 제2 광 센서에 제공하는 차량용 램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출력 장치는,
    렌즈;
    상기 레이저 광을 생성하는 광원기구;
    상기 레이저 광을 상기 렌즈의 후방으로 반사하는 제1 반사부;
    상기 렌즈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반사부에서 반사된 광의 파장을 변환하여 상기 렌즈로 반사하는 반사형 형광체;
    상기 반사형 형광체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상기 렌즈의 후방으로 반사하는 제2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제2 반사부에서 반사되는 광을 파장에 따라 분리하는 차량용 램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 출력 장치는,
    상기 광원기구에서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축소시켜 상기 제1 반사부로 출사하는 광 리듀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기구에서 출력되는 블루 계열의 광을 센싱하는 제3 광 센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기구에서 생성되는 광을 상기 제3 광 센서로 가이드하는 광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가이드부는,
    상기 광원 기구와 상기 광 리듀서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기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광 센서의 센싱값과,
    상기 제1 광 센서의 센싱값 및 상기 제2 광 센서의 센싱값을 비교하여, 상기 광원기구를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감지 장치는,
    상기 제2 반사부의 후방 및 상방에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감지 장치는,
    상기 가시광을 상기 필터를 향해 반사시키는 미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감지 장치는,
    상기 가시광을 분산시켜 상기 필터에 제공하는 디퓨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6.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차량용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80001842A 2018-01-05 2018-01-05 차량용 램프 및 차량 KR102063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842A KR102063635B1 (ko) 2018-01-05 2018-01-05 차량용 램프 및 차량
CN201811130103.4A CN110017455A (zh) 2018-01-05 2018-09-27 车辆用灯及车辆
US16/239,989 US20190211988A1 (en) 2018-01-05 2019-01-04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DE202019000049.6U DE202019000049U1 (de) 2018-01-05 2019-01-04 Leuchte für Fahrzeug und Fahrzeug
EP19150411.7A EP3508779A1 (en) 2018-01-05 2019-01-04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842A KR102063635B1 (ko) 2018-01-05 2018-01-05 차량용 램프 및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872A KR20190083872A (ko) 2019-07-15
KR102063635B1 true KR102063635B1 (ko) 2020-01-08

Family

ID=6501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842A KR102063635B1 (ko) 2018-01-05 2018-01-05 차량용 램프 및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211988A1 (ko)
EP (1) EP3508779A1 (ko)
KR (1) KR102063635B1 (ko)
CN (1) CN110017455A (ko)
DE (1) DE202019000049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931A (ko) * 2020-06-11 2021-1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조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5601A (ja) 2004-01-09 2005-07-21 Valeo Vision 自動車のための運転条件を検出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6252264A (ja) 2005-03-11 2006-09-21 Omron Corp 障害物報知装置
KR101732985B1 (ko) * 2016-03-29 2017-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발광기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046B1 (ko) * 2011-08-18 2017-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1472833B1 (ko) * 2013-07-16 2014-12-2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전류 제어 장치
KR20170082670A (ko) * 2016-01-06 2017-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EP3228926B1 (en) * 2016-03-29 2021-07-07 LG Electronics Inc. Lighting device for vehicle
KR20180001842A (ko) 2016-06-28 2018-01-05 하명호 모바일 단말기 연동형 업소용 이벤트 게임 시스템
KR101836845B1 (ko) * 2016-07-04 2018-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발광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5601A (ja) 2004-01-09 2005-07-21 Valeo Vision 自動車のための運転条件を検出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6252264A (ja) 2005-03-11 2006-09-21 Omron Corp 障害物報知装置
KR101732985B1 (ko) * 2016-03-29 2017-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발광기구
KR101781037B1 (ko) 2016-03-29 2017-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발광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11988A1 (en) 2019-07-11
KR20190083872A (ko) 2019-07-15
DE202019000049U1 (de) 2019-04-25
EP3508779A1 (en) 2019-07-10
CN110017455A (zh)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3597B2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
US9169985B2 (en) Lighting apparatus, headlamp, and mobile body
US10267468B2 (en) Light emitting module
EP3228926B1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
US10267471B2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 with lens with reflecting unit
MX2014007019A (es) Faro para vehiculo con fuente de luz laser.
EP3627037B1 (en) Vehicular lamp
JP5584023B2 (ja) 前照灯
JP6688182B2 (ja) 移動体の前照灯
KR102063635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
JP2013157241A (ja) 照明装置
EP3282172B1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
JP2013191478A (ja) 車両用の前照灯装置
KR20230030270A (ko) 램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EP3287688B1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
KR102435180B1 (ko) 차량용 램프
JP2024005944A (ja) 車両用灯具
JP2004152629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