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354B1 -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 Google Patents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354B1
KR102063354B1 KR1020180043240A KR20180043240A KR102063354B1 KR 102063354 B1 KR102063354 B1 KR 102063354B1 KR 1020180043240 A KR1020180043240 A KR 1020180043240A KR 20180043240 A KR20180043240 A KR 20180043240A KR 102063354 B1 KR102063354 B1 KR 102063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hydraulic pressure
current
unit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9809A (ko
Inventor
최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043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354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89Criteria for brake rele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은 EPB(Electronic parking brake) 장치의 액추에이터로부터 현재 모터의 방향 동작 정보를 입력받고,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의 동작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의 동작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액추에이터의 오버 릴리스 판단을 위한 일정 크기의 유압값을 액추에이터에 제공하는 유압 인가부; 일정 크기의 유압값을 제공받아 동작하는 액추에이터로부터 현재 모터 전류값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을 카운팅하는 카운팅부; 및 입력된 현재 모터의 방향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액추에이터가 릴리스 방향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입력된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의 동작 요청 신호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패드가 교환 모드 상태인지를 판단하며, 카운팅된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의 크기와 시간을 이용하여 현재 액추에이터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Over release discrimination apparatus of Electronic parking brake apparatus and discrimin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lectronic parking brake) 장치는 운전자 친화적인 자동 브레이크 장치로 시동을 끄면 자동으로 브레이크가 작동하였고, 시동을 켜고 엑셀을 밟으면 자동으로 브레이크가 풀려 주차의 편리성을 향상시켰다.
일예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KR 10-1822815(2018.01.23)에 기재된 바와 같이, EPB가 구동상태(Apply) 상태인지 해제상태(Release)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EPB의 구동상태 및 해제상태에 따라 EPB의 작동값을 보정하여 제어하는 EPB 구동 제어 방법이 개시되었다.
그런데, 종래 EPB 구동 제어 방법은 액추에이터의 피스톤을 최대한 해제하기 위한 오버 릴리스된 상태(over release)를 빠르게 판단하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KR 10-1822815(2018.01.23)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액추에이터의 오버 릴리스된 상태를 빠르게 판단할 수가 있는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작업자가 손쉽게 현재 오버 릴리스된 상태임을 인지할 수가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액추에이터의 오버 릴리스된 상태를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는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EPB(Electronic parking brake) 장치의 액추에이터로부터 현재 모터의 방향 동작 정보를 입력받고,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의 동작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의 동작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액추에이터의 오버 릴리스 판단을 위한 일정 크기의 유압값을 액추에이터에 제공하는 유압 인가부; 일정 크기의 유압값을 제공받아 동작하는 액추에이터로부터 현재 모터 전류값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을 카운팅하는 카운팅부; 및 입력된 현재 모터의 방향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액추에이터가 릴리스 방향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입력된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의 동작 요청 신호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패드가 교환 모드 상태인지를 판단하며, 카운팅된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의 크기와 시간을 이용하여 현재 액추에이터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판단부는 카운팅된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의 크기와 시간이 설정된 목표 크기와 목표 시간이면, 현재 액추에이터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의 동작 요청 신호를 공급받은 이후에, 유압 인가부에서 일정 크기의 유압값을 액추에이터에 자동으로 제공하도록 유압 인가부에 유압 인가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판단부는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의 동작 요청 신호를 공급받은 이후에, 유압 인가부가 일정 크기의 유압값으로 액추에이터에 제공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지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압 인가부가 일정 크기의 유압값으로 액추에이터에 제공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면, 현재 유압 인가부가 이상(abnormal) 상태임을 식별시키는 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압 인가부가 일정 크기의 유압값으로 액추에이터에 제공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면, 액추에이터의 오버 릴리스 판단을 위한 일정 크기의 유압값을 작업자의 수동 작업에 의해 액추에이터에 제공하는 보조 유압 인가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EPB(Electronic Parking Brake) 장치의 액추에이터로부터 현재 모터의 방향 동작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현재 모터의 방향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액추에이터가 릴리스 방향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현재 액추에이터가 릴리스 방향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이면,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의 동작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의 동작 요청 신호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패드가 교환 모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브레이크 패드가 교환 모드 상태이면, 액추에이터의 오버 릴리스 판단을 위한 일정 크기의 유압값을 액추에이터에 제공하는 단계; 일정 크기의 유압값을 제공받아 동작하는 액추에이터로부터 현재 모터 전류값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을 카운팅하는 단계; 및 카운팅된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의 크기와 시간을 이용하여 현재 액추에이터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의 동작 요청 신호를 공급받은 이후에, 유압 인가부가 일정 크기의 유압값으로 액추에이터에 제공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지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압 인가부가 일정 크기의 유압값으로 액추에이터에 제공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면, 현재 유압 인가부가 이상(abnormal) 상태임을 더 식별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압 인가부가 일정 크기의 유압값으로 액추에이터에 제공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면, 액추에이터의 오버 릴리스 판단을 위한 일정 크기의 유압값을 작업자의 수동 작업에 의해 액추에이터에 더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은, 액추에이터의 오버 릴리스된 상태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은, 작업자가 손쉽게 현재 오버 릴리스된 상태임을 인지할 수가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은, 액추에이터의 오버 릴리스된 상태를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 및 입력부와 유압 인가부 및 카운팅부와 판단부 및 제어부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의 오버 릴리스된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일예로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를 이용한 오버 릴리스 판별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를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를 이용한 오버 릴리스 판별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를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를 이용한 오버 릴리스 판별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 및 입력부와 유압 인가부 및 카운팅부와 판단부 및 제어부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의 오버 릴리스된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일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10)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100)는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101) 및 입력부(102)와 유압 인가부(104) 및 카운팅부(106)와 판단부(108) 및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입력부(102)는 EPB(Electronic parking brake) 장치(10)의 액추에이터(10a)로부터 현재 모터의 방향 동작 정보를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입력받고,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101)의 동작 요청 신호(P1)를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입력받는다.
이때, 현재 모터는 MOC((Motor On Caliper)와 MOD(Motor On DIH)중 적어도 하나일 수가 있고, 방향 동작 정보는 릴리스 방향 동작 정보와 어플라이 방향 동작 정보를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입력부(102)는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101)의 동작 요청 신호(P1)를 t1 시점 동안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입력받을 수가 있다.
이때,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101)는 브레이크 패드 교환시에, 액추에이터(10a)의 피스톤을 최대한 해제하기 위해 오버 릴리스된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모드일 수가 있다.
유압 인가부(104)는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101)의 동작 요청 신호(P1)를 입력부(102)에서 입력받으면, 액추에이터(10a)의 오버 릴리스 판단을 위한 일정 크기(HP1)의 유압값을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액추에이터(10a)에 제공한다.
이때, 유압 인가부(104)는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101)의 동작 요청 신호(P1)를 t1 시점 동안 입력부(102)에서 입력받으면, 액추에이터(10a)의 오버 릴리스 판단을 위한 일정 크기(HP1)의 유압값을 t2 시점 내지 t5 시점 동안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액추에이터(10a)에 제공할 수가 있다.
이때, 유압 인가부(104)는 액추에이터(10a)에 일정 크기(HP1)의 유압값을 인가하기 위해 유압 오일이 저장된 장치일 수가 있다.
카운팅부(106)는 일정 크기(HP1)의 유압값을 제공받아 동작하는 액추에이터(10a)로부터 현재 모터 전류값(C1)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CT1)을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카운팅한다.
이때, 카운팅부(106)는 일정 크기(HP1)의 유압값을 제공받아 동작하는 액추에이터(10a)로부터 t3 시점 내지 t5 시점 동안 현재 모터 전류값(C1)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CT1)을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카운팅할 수가 있다.
판단부(108)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모터의 방향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액추에이터(10a)가 릴리스 방향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S2)인지를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판단한다.
이때, 액추에이터(10a)는 t1 시점 및 t2 시점 동안 현재 모터 전류값(MC1)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MCD1)을 출력할 수가 있다.
여기서, 현재 액추에이터(도1의 10a)가 릴리스 방향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S2) 이전에는 액추에이터(도1의 10a)가 어플라이 완료된 상태(S1)일 수가 있고, 액추에이터(도1의 10a)가 릴리스 완료된 상태(S1)일 수가 있다.
또한, 판단부(108)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101)의 동작 요청 신호(P1)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패드가 교환 모드 상태인지를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판단한다.
일예로, 판단부(108)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101)의 동작 요청 신호(P1)를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공급받으면, 브레이크 패드가 교환 모드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판단할 수가 있다.
또한, 판단부(108)는 카운팅부(106)에 의해 카운팅된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CT1)의 크기와 시간을 이용하여 현재 액추에이터(10a)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S3)인지를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판단한다.
일예로, 판단부(108)는 카운팅부(106)에 의해 카운팅된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CT1)의 크기와 시간이 설정된 목표 크기와 목표 시간인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액추에이터(10a)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S3)인 것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이때, 판단부(108)는 t3 시점 내지 t5 시점 동안 카운팅부(106)에 의해 카운팅된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CT1)의 크기와 시간이 설정된 목표 크기와 목표 시간인 것으로 판단하면, t4 시점 이후부터 현재 액추에이터(10a)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S3)인 것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제어부(110)는 입력부(102)에 입력 명령을 전달하고, 유압 인가부(104)에 유압 인가 명령을 전달하며, 카운팅부(106)에 카운팅 명령을 전달하고, 판단부(108)에 판단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일예로, 제어부(110)는 입력부(102)로부터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101)의 동작 요청 신호(P1)를 공급받은 이후에, 유압 인가부(104)에서 일정 크기(HP1)의 유압값을 액추에이터(10a)에 자동으로 제공하도록 유압 인가부(104)에 유압 인가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입력부(102)로부터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101)의 동작 요청 신호(P1)를 t1 시점 동안 공급받은 이후에, 유압 인가부(104)에서 일정 크기(HP1)의 유압값을 t2 시점 내지 t5 시점 동안 액추에이터(10a)에 자동으로 제공하도록 유압 인가부(104)에 유압 인가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제어부(110)는 판단부(108)에서 현재 액추에이터(10a)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S3)인 것으로 판단하면, 유압 인가부(104)에 유압 해제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판단부(108)에서 t4 시점 이후부터 현재 액추에이터(10a)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S3)인 것으로 판단하면, 유압 인가부(104)에 유압 해제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를 이용한 오버 릴리스 판별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도1의 10)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도1의 100)를 이용한 오버 릴리스 판별 방법(300)은 제 1 입력 단계(S202)와 제 1 판단 단계(S204) 및 제 2 입력 단계(S206)와 제 2 판단 단계(S208) 및 제 1 유압 제공 단계(S210)와 제 1 카운팅 단계(S212) 및 제 3 판단 단계(S214)를 포함한다.
제 1 입력 단계(S202)는 EPB(Electronic parking brake) 장치(도1의 10)의 액추에이터(도1의 10a)로부터 현재 모터의 방향 동작 정보를 제어부(도1의 110)의 제어에 따라 입력부(도1의 102)에서 입력받는다.
제 1 판단 단계(S204)는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현재 모터의 방향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액추에이터(도1의 10a)가 릴리스 방향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도2의 S2)인지를 제어부(도1의 110)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의 108)에서 판단한다.
이때, 액추에이터(도1의 10a)는 t1 시점 및 t2 시점 동안 현재 모터 전류값(도2의 MC1)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MCD1)을 출력할 수가 있다.
제 2 입력 단계(S206)는 판단부(도1의 108)에서 현재 액추에이터(도1의 10a)가 릴리스 방향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도2의 S2)인 것으로 판단하면,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도1의 101)의 동작 요청 신호(도2의 P1)를 제어부(도1의 110)의 제어에 따라 입력부(도1의 102)에서 입력받는다.
여기서, 제 2 입력 단계(S206)는 판단부(도1의 108)에서 현재 액추에이터(도1의 10a)가 릴리스 방향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도2의 S2)인 것으로 판단하면,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도1의 101)의 동작 요청 신호(도2의 P1)를 t1 시점 동안 제어부(도1의 110)의 제어에 따라 입력부(도1의 102)에서 입력받을 수가 있다.
이때, 현재 액추에이터(도1의 10a)가 릴리스 방향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도2의 S2) 이전에는 액추에이터(도1의 10a)가 어플라이 완료된 상태(도2의 S1)일 수가 있고, 액추에이터(도1의 10a)가 릴리스 완료된 상태(도2의 S1)일 수가 있다.
반면에, 어플라이 동작 단계(S205)는 판단부(도1의 108)에서 현재 액추에이터(도1의 10a)가 릴리스 방향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어플라이 동작을 수행할 수가 있다.
제 2 판단 단계(S208)는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도1의 101)의 동작 요청 신호(도2의 P1)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패드가 교환 모드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10)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의 108)에서 판단한다.
일예로, 제 2 판단 단계(S208)는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도1의 101)의 동작 요청 신호(도2의 P1)를 제어부(도1의 110)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의 108)에서 공급받으면, 브레이크 패드가 교환 모드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10)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의 108)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제 1 유압 제공 단계(S210)는 판단부(도1의 108)에서 브레이크 패드가 교환 모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오버 릴리스 판단을 위한 일정 크기(도2의 HP1)의 유압값을 제어부(도1의 110)의 제어에 따라 유압 인가부(도1의 104)에서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 1 유압 제공 단계(S210)는 판단부(도1의 108)에서 브레이크 패드가 교환 모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오버 릴리스 판단을 위한 일정 크기(도2의 HP1)의 유압값을 t2 시점 내지 t5 시점 동안 제어부(도1의 110)의 제어에 따라 유압 인가부(도1의 104)에서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 제공할 수가 있다.
일예로, 제 1 유압 제공 단계(S210)는 입력부(도1의 102)로부터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도1의 101)의 동작 요청 신호(도2의 P1)를 제어부(도1의 110)에서 공급받은 이후에, 유압 인가부(도1의 104)에서 일정 크기(도2의 HP1)의 유압값을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 자동으로 제공하도록 제어부(도1의 110)에서 유압 인가부(도1의 104)에 유압 인가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 1 유압 제공 단계(S210)는 입력부(도1의 102)로부터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도1의 101)의 동작 요청 신호(도2의 P1)를 t1 시점 동안 제어부(도1의 110)에서 공급받은 이후에, 유압 인가부(도1의 104)에서 일정 크기(도2의 HP1)의 유압값을 t2 시점 내지 t5 시점 동안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 자동으로 제공하도록 제어부(도1의 110)에서 유압 인가부(도1의 104)에 유압 인가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반면에, 릴리스 동작 단계(S209)는 판단부(도1의 108)에서 브레이크 패드가 교환 모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릴리스 동작을 수행할 수가 있다.
제 1 카운팅 단계(S212)는 일정 크기(도2의 HP1)의 유압값을 제공받아 동작하는 액추에이터(도1의 10a)로부터 현재 모터 전류값(도2의 C1)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도2의 CT1)을 제어부(도1의 110)의 제어에 따라 카운팅부(도1의 106)에서 카운팅한다.
여기서, 제 1 카운팅 단계(S212)는 일정 크기(도2의 HP1)의 유압값을 제공받아 동작하는 액추에이터(도1의 10a)로부터 t3 시점 내지 t5 시점 동안 현재 모터 전류값(도2의 C1)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도2의 CT1)을 제어부(도1의 110)의 제어에 따라 카운팅부(도1의 106)에서 카운팅할 수가 있다.
제 3 판단 단계(S214)는 카운팅부(도1의 106)에 의해 카운팅된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도2의 CT1)의 크기와 시간을 이용하여 현재 액추에이터(도1의 10a)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도2의 S3)인지를 제어부(도1의 110)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의 108)에서 판단한다.
일예로, 제 3 판단 단계(S214)는 카운팅부(도1의 106)에 의해 카운팅된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도2의 CT1)의 크기와 시간이 판단부(도1의 108)에 설정된 목표 크기와 목표 시간인 것으로 판단부(도1의 108)에서 판단하면, 현재 액추에이터(도1의 10a)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도2의 S3)인 것으로 판단부(도1의 108)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 3 판단 단계(S214)는 t3 시점 내지 t5 시점 동안 카운팅부(도1의 106)에 의해 카운팅된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도2의 CT1)의 크기와 시간이 판단부(도1의 108)에 설정된 목표 크기와 목표 시간인 것으로 판단부(도1의 108)에서 판단하면, t4 시점 이후부터 현재 액추에이터(도1의 10a)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도2의 S3)인 것으로 판단부(도1의 108)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도1의 10)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도1의 100)를 이용한 오버 릴리스 판별 방법(300)은 제 1 유압 해제 단계(S216)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유압 해제 단계(S216)는 판단부(도1의 108)에서 현재 액추에이터(도1의 10a)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도2의 S3)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도1의 110)에서 유압 인가부(도1의 104)에 유압 해제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 1 유압 해제 단계(S216)는 판단부(도1의 108)에서 t4 시점 이후부터 현재 액추에이터(도1의 10a)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도2의 S3)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도1의 110)에서 유압 인가부(도1의 104)에 유압 해제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를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10)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100)는 식별부(112)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식별부(112)는 판단부(108)에서 현재 액추에이터(10a)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도2의 S3)인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오버 릴리스된 상태임을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때, 식별부(11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작업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경보기(미도시)와 스피커(미도시) 및 발광 부재(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경보기(미도시)의 경보 동작과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 및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오버 릴리스된 상태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식별부(11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작업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HMI 모듈(미도시)의 HMI 메시지 표시 동작 및 HUD 모듈(미도시)의 HUD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오버 릴리스된 상태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를 이용한 오버 릴리스 판별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도5의 10)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도5의 100)를 이용한 오버 릴리스 판별 방법(300)은 제 1 식별 단계(S215)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제 1 식별 단계(S215)는 제 3 판단 단계(S214) 이후와 유압 해제 단계(S216) 이전에 수행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제 1 식별 단계(S215)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압 해제 단계(S216)와 동기화되어 수행할 수가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제 1 식별 단계(S215)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압 해제 단계(S216) 이후에 수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 1 식별 단계(S215)는 판단부(도5의 108)에서 현재 액추에이터(도5의 10a)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도2의 S3)인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오버 릴리스된 상태임을 제어부(도5의 110)의 제어에 따라 식별부(도5의 112)에서 식별시킬 수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를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10)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100)의 판단부(108)는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101)의 동작 요청 신호(도2의 P1)를 공급받은 이후에, 유압 인가부(104)가 일정 크기(도2의 HP1)의 유압값으로 액추에이터(10a)에 제공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지를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식별부(112)는 판단부(108)에서 유압 인가부(104)가 일정 크기(도2의 HP1)의 유압값으로 액추에이터(10a)에 제공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유압 인가부(104)가 이상(abnormal) 상태임을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식별부(112)는 판단부(108)에서 현재 액추에이터(10a)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도2의 S3)인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오버 릴리스된 상태임을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때, 식별부(11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작업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경보기(미도시)와 스피커(미도시) 및 발광 부재(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경보기(미도시)의 경보 동작과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 및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유압 인가부(104)가 이상 상태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현재 오버 릴리스된 상태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식별부(11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작업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HMI 모듈(미도시)의 HMI 메시지 표시 동작 및 HUD 모듈(미도시)의 HUD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유압 인가부(104)가 이상 상태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현재 오버 릴리스된 상태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보조 유압 인가부(114)는 판단부(108)에서 유압 인가부(104)가 일정 크기(도2의 HP1)의 유압값으로 액추에이터(10a)에 제공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액추에이터(10a)의 오버 릴리스 판단을 위한 일정 크기(도2의 HP1)의 유압값을 작업자의 수동 작업에 의해 액추에이터(10a)에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보조 유압 인가부(114)는 식별부(112)에서 현재 오버 릴리스된 상태임을 식별하면, 작업자의 수동 작업에 의해 액추에이터(10a)에 제공되는 유압을 해제할 수가 있다.
이때, 보조 유압 인가부(114)는 액추에이터(10a)에 일정 크기(도2의 HP1)의 유압값을 작업자의 수동 작업에 의해 인가하기 위해 또는 유압을 해제하기 위해 유압 오일이 저장된 장치일 수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를 이용한 오버 릴리스 판별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도7의 10)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도7의 100)를 이용한 오버 릴리스 판별 방법(300)중 제 4 판단 단계(S211a)는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도7의 101)의 동작 요청 신호(도2의 P1)를 공급받은 이후에, 유압 인가부(도7의 104)가 일정 크기(도2의 HP1)의 유압값으로 액추에이터(도7의 10a)에 제공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지를 제어부(도7의 110)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7의 108)에서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제 2 식별 단계(S211b)는 판단부(도7의 108)에서 유압 인가부(도7의 104)가 일정 크기(도2의 HP1)의 유압값으로 액추에이터(도7의 10a)에 제공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유압 인가부(도7의 104)가 이상(abnormal) 상태임을 제어부(도7의 110)의 제어에 따라 식별부(도7의 112)에서 식별시킬 수가 있다.
제 2 유압 제공 단계(S211c)는 식별부(도7의 112)에서 현재 유압 인가부(도7의 104)가 이상(abnormal) 상태임을 식별하면, 액추에이터(도7의 10a)의 오버 릴리스 판단을 위한 일정 크기(도2의 HP1)의 유압값을 보조 유압 인가부(도7의 114)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수동 작업에 의해 액추에이터(도7의 10a)에 더 제공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제 2 유압 제공 단계(S211c)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판단부(도7의 108)에서 유압 인가부(도7의 104)가 일정 크기(도2의 HP1)의 유압값으로 액추에이터(도7의 10a)에 제공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액추에이터(도7의 10a)의 오버 릴리스 판단을 위한 일정 크기(도2의 HP1)의 유압값을 보조 유압 인가부(도7의 114)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수동 작업에 의해 액추에이터(도7의 10a)에 더 제공할 수가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도7의 10)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도7의 100)를 이용한 오버 릴리스 판별 방법(300)은 제 2 카운팅 단계(S213)와 제 5 판단 단계(S215) 및 제 3 식별 단계(S217)와 제 2 유압 해제 단계(S219)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제 2 카운팅 단계(S213)는 일정 크기(도2의 HP1)의 유압값을 제공받아 동작하는 액추에이터(도7의 10a)로부터 현재 모터 전류값(도2의 C1)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도2의 CT1)을 제어부(도7의 110)의 제어에 따라 카운팅부(도7의 106)에서 카운팅할 수가 있다.
제 5 판단 단계(S215)는 카운팅부(도7의 106)에 의해 카운팅된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도2의 CT1)의 크기와 시간을 이용하여 현재 액추에이터(도7의 10a)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도2의 S3)인지를 제어부(도7의 110)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7의 108)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일예로, 제 5 판단 단계(S215)는 카운팅부(도7의 106)에 의해 카운팅된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도2의 CT1)의 크기와 시간이 판단부(도7의 108)에 설정된 목표 크기와 목표 시간인 것으로 판단부(도7의 108)에서 판단하면, 현재 액추에이터(도7의 10a)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도2의 S3)인 것으로 판단부(도7의 108)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제 3 식별 단계(S217)는 판단부(도7의 108)에서 현재 액추에이터(도7의 10a)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도2의 S3)인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오버 릴리스된 상태임을 제어부(도7의 110)의 제어에 따라 식별부(도7의 112)에서 식별시킬 수가 있다.
제 2 유압 해제 단계(S219)는 식별부(도7의 112)에서 현재 오버 릴리스된 상태임을 식별하면, 보조 유압 인가부(도7의 114)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수동 작업에 의해 액추에이터(도7의 10a)에 제공되는 유압을 해제할 수가 있다.
반면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도7의 10)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도7의 100)를 이용한 오버 릴리스 판별 방법(300)의 제 1 카운팅 단계(S212)와 제 3 판단 단계(S214) 및 제 1 유압 해제 단계(S216)는 제 4 판단 단계(S211a)의 판단부(도7의 108)에서 유압 인가부(도7의 104)가 일정 크기(도2의 HP1)의 유압값으로 액추에이터(도7의 10a)에 제공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도 4에 도시된 제 1 카운팅 단계(도4의 S212)와 제 3 판단 단계(도4의 S214) 및 제 1 유압 해제 단계(도4의 S216)와 동일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10)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100)는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입력부(102)와 카운팅부(106) 및 판단부(108)와 제어부(110)의 구성을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입력부(102)와 카운팅부(106) 및 판단부(108)와 제어부(1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량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입력과 카운트 및 판단하기 위한 ECU(Electronic Control Unit, 미도시) 또는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일 수가 있다.
또한, 입력부(102)와 카운팅부(106) 및 판단부(108)와 제어부(110)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입력과 카운트 및 판단할 수 있는 모든 제어 수단과 입력 수단 및 카운트 수단과 판단 수단이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10)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100) 및 그 판별 방법(300)은 브레이크 패드 교환시에, 모터 전류값(C1)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모터 전류 변화율값(CT1)의 크기와 시간을 이용하여 t4 시점 이후부터 액추에이터(10)의 오버 릴리스된 상태(S3)를 더욱 빠르게 판단할 수가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종래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는 모터 전류값(C1')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모터 전류 변화율값(CT1')의 크기와 시간을 이용하여 t6 시점 이후부터 액추에이터의 오버 릴리스된 상태(S3')를 판단하므로, 본 발명의 EPB 장치(10)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100)는 종래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보다 액추에이터(10)의 오버 릴리스된 상태(S3)를 더욱 빠르게 판단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10)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100) 및 그 판별 방법(300)은 식별부(112)를 포함하여 제 1 식별 단계(S215)를 더 수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10)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100) 및 그 판별 방법(300)은 현재 액추에이터(10a)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S3)이면, 현재 오버 릴리스된 상태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10)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100) 및 그 판별 방법(300)은 작업자가 손쉽게 현재 오버 릴리스된 상태임을 인지할 수가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10)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100) 및 그 판별 방법(300)은 식별부(112)와 보조 유압 인가부(114)를 포함하여 제 2 식별 단계(S211b)와 제 2 유압 제공 단계(S211c)를 수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10)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100) 및 그 판별 방법(300)은 유압 인가부(104)가 일정 크기(HP1)의 유압값으로 액추에이터(10a)에 제공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면, 현재 유압 인가부(104)가 이상(abnormal) 상태임을 식별하고, 액추에이터(10a)의 오버 릴리스 판단을 위한 일정 크기(HP1)의 유압값을 보조 유압 인가부(114)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수동 작업에 의해 액추에이터(10a)에 더 제공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PB 장치(10)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100) 및 그 판별 방법(300)은 액추에이터(10a)의 오버 릴리스 판단을 위한 일정 크기(HP1)의 유압값을 안정적으로 액추에이터(10a)에 제공할 수가 있으므로, 액추에이터(10a)의 오버 릴리스된 상태를 더욱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Claims (10)

  1. EPB(Electronic parking brake) 장치의 액추에이터로부터 현재 모터의 방향 동작 정보를 입력받고,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의 동작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의 동작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액추에이터의 오버 릴리스 판단을 위한 일정 크기의 유압값을 상기 액추에이터에 제공하는 유압 인가부;
    상기 일정 크기의 유압값을 제공받아 동작하는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현재 모터 전류값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을 카운팅하는 카운팅부;
    상기 입력된 현재 모터의 방향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액추에이터가 릴리스 방향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의 동작 요청 신호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패드가 교환 모드 상태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카운팅된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의 크기와 시간을 이용하여 현재 액추에이터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유압 인가부가 상기 일정 크기의 유압값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에 제공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액추에이터의 오버 릴리스 판단을 위한 일정 크기의 유압값을 작업자의 수동 작업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에 제공하는 보조 유압 인가부를 포함하는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카운팅된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의 크기와 시간이 설정된 목표 크기와 목표 시간이면, 현재 액추에이터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의 동작 요청 신호를 공급받은 이후에,
    상기 유압 인가부에서 상기 일정 크기의 유압값을 상기 액추에이터에 자동으로 제공하도록 상기 유압 인가부에 유압 인가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인가부가 상기 일정 크기의 유압값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에 제공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면, 현재 유압 인가부가 이상(abnormal) 상태임을 식별시키는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6. 삭제
  7. EPB(Electronic Parking Brake) 장치의 액추에이터로부터 현재 모터의 방향 동작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현재 모터의 방향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액추에이터가 릴리스 방향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액추에이터가 릴리스 방향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이면,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의 동작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브레이크 패드 교환 모드의 동작 요청 신호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패드가 교환 모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패드가 교환 모드 상태이면, 상기 액추에이터의 오버 릴리스 판단을 위한 일정 크기의 유압값을 상기 액추에이터에 제공하는 단계;
    유압 인가부가 상기 일정 크기의 유압값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에 제공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액추에이터의 오버 릴리스 판단을 위한 일정 크기의 유압값을 작업자의 수동 작업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일정 크기의 유압값을 제공받아 동작하는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현재 모터 전류값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을 카운팅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팅된 현재 모터 전류 변화율값의 크기와 시간을 이용하여 현재 액추에이터가 오버 릴리스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인가부가 상기 일정 크기의 유압값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에 제공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면, 현재 유압 인가부가 이상(abnormal) 상태임을 더 식별시키는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방법.
  10. 삭제
KR1020180043240A 2018-04-13 2018-04-13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KR102063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240A KR102063354B1 (ko) 2018-04-13 2018-04-13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240A KR102063354B1 (ko) 2018-04-13 2018-04-13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809A KR20190119809A (ko) 2019-10-23
KR102063354B1 true KR102063354B1 (ko) 2020-01-07

Family

ID=6846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240A KR102063354B1 (ko) 2018-04-13 2018-04-13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3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6267A (ja) * 2009-08-26 2011-03-10 Mitsubishi Motors Corp 電気ブレー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815B1 (ko) 2012-03-09 2018-01-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Epb 구동 제어 방법
KR101791513B1 (ko) * 2015-10-30 2017-10-3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캘리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6267A (ja) * 2009-08-26 2011-03-10 Mitsubishi Motors Corp 電気ブレー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809A (ko)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0672B1 (ko)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8509329A5 (ko)
JP2021530400A (ja) モータ式の圧力生成装置のための制御装置、および2つのモータ式の圧力生成装置の間で少なくとも1つの情報を伝達する方法
KR102063354B1 (ko) Epb 장치의 오버 릴리스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US10202110B2 (en) Air detector and air detecting method
US20180056956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57439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119812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US20160121863A1 (en) Brake control apparatus of vehicle and brake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82268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CN109715455B (zh) 用于对车辆进行制动的阀、系统和方法
KR20200014402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102002610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JP6184373B2 (ja) 車両用制動システム
KR102367777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JPH04243655A (ja) 液圧発生装置の異常検出方法
KR101488163B1 (ko) 유압 제어 장치 및 그 유압 제어 방법
KR100476188B1 (ko) 차량상태를고려한브레이크제어장치
KR20140143886A (ko) 전기 부스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17898A (ko) 차량용 유압 제어 장치 및 그 유압 제어 방법
KR102029821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US10434997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26499A (ko) 유압 제어 장치 및 그 유압 제어 방법
CN107856656B (zh) 动态刹车装置及方法
KR101486277B1 (ko) 차량의 제동 장치 및 그 제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