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333B1 -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3333B1 KR102063333B1 KR1020180089700A KR20180089700A KR102063333B1 KR 102063333 B1 KR102063333 B1 KR 102063333B1 KR 1020180089700 A KR1020180089700 A KR 1020180089700A KR 20180089700 A KR20180089700 A KR 20180089700A KR 102063333 B1 KR102063333 B1 KR 1020633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spring
- rotating member
- elevator
- 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 B66B13/20—Lock mechanisms actuated mechanically by abutments or projections on the ca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13—Locks with rotary bolt without provision for la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관리자가 키(key)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구비된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게 하는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설치되고, 전후로 관통된 내부 수용공간부,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부의 후방에 외주연을 따라 돌출된 단턱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서, 전부가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부에 배치되고 후부가 상기 단턱의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전방에 외주연을 따라 돌출된 플랜지, 그리고 상기 플랜지의 전방에 형성된 키 접속부를 갖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탄성 변형되었다가 회전부재를 복귀시키게 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바디에 끼워진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설치되어 비상시 또는 점검시에 관리자가 키(key)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열 수 있도록 도어에 구비된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게 하는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비상시 또는 점검시 관리자가 키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0580호(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에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엘리베이터 도어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형성된 도어관통공에 고정되는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 관통공에 형성되며 열쇠에 맞물려 회전되는 내측회전부와, 상기 외부하우징에 일측이 결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과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하우징과 탄성부재 및 플레이트 순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회전부의 끝단이 외부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내측회전부가 회전되면 플레이트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탄성부재로 사용되는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스프링에 녹이 슬거나 이물질이 끼어 내측회전부가 원활하게 회전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내측회전부에 회전제한돌기를 형성하고, 외부하우징에 상기 회전제한돌기가 위치하게 되는 회전제한오목부를 형성하여 내측회전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회전제한돌기가 내측회전부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강성이 떨어지고, 따라서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쉽게 훼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프링의 오염 및 훼손을 방지하여 작동이 원활하게 하고, 회전각도의 제한을 위한 구성이 반복적인 사용에도 훼손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설치되고, 전후로 관통된 내부 수용공간부,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부의 후방에 외주연을 따라 돌출된 단턱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서, 전부가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부에 배치되고 후부가 상기 단턱의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전방에 외주연을 따라 돌출된 플랜지, 그리고 상기 플랜지의 전방에 형성된 키 접속부를 갖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탄성 변형되었다가 회전부재를 복귀시키게 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바디에 끼워진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각도제한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회전각도제한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부에 상호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된 두 걸림턱; 상기 회전부재의 바디에서 상기 두 걸림턱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바디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삽입공; 및 상기 삽입공에 결합되고, 양단부가 상기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걸림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두 걸림턱의 측면에 각각 접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걸림부재는 스프링 핀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전부재의 플랜지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스프링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걸림턱에는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제2스프링결합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부재의 복귀를 위한 스프링이 하우징에 내장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스프링의 오염 및 훼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회전부재가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각도제한수단의 걸림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어 회전부재에 장착됨으로써, 걸림부재를 강성이 우수한 소재로 구비할 수 있으며, 따라서 회전각도제한수단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에서 하우징, 회전부재 및 걸림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에서 하우징, 회전부재 및 걸림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트랜스포머의 구성을 설명하면서 이에 적용된 코일구조를 함께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2의 [A]는 하우징(100)을 절단하여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B]는 회전부재(200)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2의 [C]는 해당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는 하우징(100), 회전부재(200), 스프링(300) 및 회전판(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00)은 엘리베이터의 도어(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후로 관통된 내부 수용공간부(110),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부(110)의 후방에 외주연을 따라 돌출된 단턱(120)을 갖는다.
하우징(100)은 엘리베이터의 도어(10)에 형성된 구멍(11)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0)는 엘리베이터 카(elevator car)에 구비된 도어 또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구비된 도어(10)일 수 있다. 하우징(100)이 상기 구멍(11)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전단부에는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된 플랜지(150)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50)의 후방에는 하우징(1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너트(600)를 체결하기 위한 수나사(160)가 형성된다.
즉, 하우징(100)은 상기 플랜지(150)가 상기 구멍(11)의 일측에 걸리도록 구멍(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멍(11)의 타측에 걸리도록 상기 수나사(160)에 체결되는 너트(600)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도어(10)에 고정된다. 미설명 부호 700은 너트(600)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00)에 끼워지는 고무와셔(rubber washer)이다.
회전부재(2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서, 전부(前部)가 하우징(100)의 수용공간부(110)에 배치되고, 후부(後部)가 하우징(100)의 단턱(120)의 내측을 통과하여 하우징(10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바디(210), 상기 바디(210)의 전방에 외주연을 따라 돌출된 플랜지(220), 그리고 상기 플랜지(220)의 전방에 형성된 키 접속부(230)를 갖는다.
바디(210)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우징(100)에 삽입되며, 후부가 하우징(100)의 후방으로 노출된다. 하우징(100)에서 노출된 바디(210)의 후부에는 회전판(500)의 결합을 위한 수나사(260)가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210)의 중앙 부위에는 스냅링(900)의 장착을 위한 고정홈(27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스냅링(900)은 상기 고정홈(270)에 끼워져 하우징(100)에 삽입된 회전부재(200)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방지하게 된다.
플랜지(220)는 하우징(100)의 수용공간부(110)보다는 작고 단턱(120)의 내측 구멍보다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부재(200)가 하우징(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220)와 상기 단턱(120)의 사이에는 스프링(300)이 내장될 공간이 마련된다.
키 접속부(230)는 관리자가 키(key)를 이용하여 회전부재(2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부재(200)의 전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키 접속부(230)는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며 돌출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조 외에도 키 접속부(230)는 키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구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과 회전부재(200)에는 하우징(100)에 삽입된 회전부재(20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도록 회전각도제한수단이 구비된다.
도 4는 상기 회전각도제한수단이 잘 나타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에서 하우징, 회전부재 및 걸림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각도제한수단은, 하우징(100)의 수용공간부(110)에 상호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된 두 걸림턱(130); 회전부재(200)의 바디(210)에서 상기 두 걸림턱(1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바디(210)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삽입공(240); 및 상기 삽입공(240)에 결합되고, 양단부가 상기 바디(21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두 걸림턱(130)은 각각 부채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부(110) 내벽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배열된다. 이때 두 걸림턱(130)의 사이에는 상기 수용공간부(110)의 내벽을 따라 걸림부재(400)의 양단부가 각각 이동할 수 있는 두 공간(S)이 마련되며, 이때 상기 두 공간(S)은 회전부재(200)가 대략 80 ~ 120°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걸림부재(400)는 핀(pin)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공(240)에 압입된다. 상기 바디(210)의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재(400)는 양단부는 회전부재(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두 걸림턱(130)의 측면에 각각 접하여 걸리게 되고, 이에 의하여 회전부재(200)의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400)는 탄성이 있는 얇은 강판을 'C' 형태로 가공한 스프링 핀(spring pi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각도제한수단은 걸림부재(400)가 별도로 구비되어 회전부재(200)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걸림부재(400)를 하우징(100) 및 회전부재(200)에 비해 강성이 우수한 소재로 구비할 수 있으며, 따라서 걸림부재(400)가 반복적인 사용에도 쉽게 훼손되지 않고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각도제한수단은 걸림부재(400)의 양단부가 두 개의 걸림턱(130)에 각각 접하여 걸리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회전부재(200)의 회전 시 걸림턱(130) 및 걸림부재(400)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력이 두 곳으로 분산되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스프링(300)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전부재(200)를 복귀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스프링(300)은 회전부재(200)의 회전에 의해 탄성 변형되었다가 복원력에 의해 회전부재(200)를 복귀시키게 된다.
스프링(300)은 하우징(100)의 수용공간부(110)에 배치되도록 회전부재(200)의 바디(210)에 끼워진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부가 회전부재(20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하우징(100)에 고정된다.
이때, 스프링(300)의 일단부가 회전부재(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링(300)의 일단부는 회전부재(200)의 플랜지(220)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회전부재(200)의 플랜지(220)에는 스프링(30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스프링결합공(2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스프링(300)의 타단부가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링(300)의 타단부는 하우징(100)의 단턱(120)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걸림턱(130)에는 스프링(300)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제2스프링결합공(140)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하우징(100), 회전부재(200) 및 스프링(300)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회전부재(200)의 복귀를 위한 스프링(300)이 하우징(100)에 내장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스프링(300)의 오염 및 훼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회전부재(200)가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회전판(500)은 기다란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부재(200)의 후단부에 결합된다.
회전판(500)은 일측에는 회전부재(200)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관통공(510)이 형성된다. 회전판(500)은 관통공(510)에 의해 회전부재(200)의 후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판(5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접하도록 회전부재(200)의 수나사(260)에 체결된 두 고정너트(800)에 의해 회전부재(200)에 결합된다. 이때 회전판(500)이 헛돌지 않도록, 상기 회전부재(200) 후단부의 외주면 일부 구간과 상기 관통공(510)의 일부 구간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500)의 타측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상측에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2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 잠금장치(20)는 상호 맞물리게 구비된 고정걸림쇠(21) 및 회전걸림쇠(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걸림쇠(22)는 회전축(2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회전 동작에 의해 고정걸림쇠(21)와 맞물리어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잠그거나 고정걸림쇠(21)에서 벗어나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잠금해제할 수 있게 구비된다.
회전판(500)은 상기 회전걸림쇠(22)에 연결됨으로써 회전걸림쇠(22)를 회전축(23)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회전판(500)과 회전걸림쇠(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선(30)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볼트 등의 결합용 기계요소에 의해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어떤 방식으로든 회전판(500)과 회전걸림쇠(22)는 회전판(500)의 회전에 의해 회전걸림쇠(22)가 고정걸림쇠(21)에서 벗어날 수 있게 연결된다.
결국, 엘리베이터 관리자는 도어 잠금 해제용 키를 회전부재(200)의 키 접속부(230)에 접속시킨 후 회전부재(200)를 회전시킴으로써 도어 잠금장치(20)를 해제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500)에는 도어 잠금장치(20)를 해제하기 위해 회전되는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화살표 형태의 표시부(520)가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520)는 스티커를 회전판(500)에 부착하거나, 회전판(500)의 표면에 각인하는 등의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수용공간부
120 : 단턱 130 : 걸림턱
140 : 제2스프링결합공 150 : 플랜지
160 : 수나사 200 : 회전부재
210 : 바디 220 : 플랜지
230 : 키 접속부 240 : 삽입공
250 : 제1스프링결합공 260 : 수나사
270 : 고정홈 300 : 스프링
400 : 걸림부재 500 : 회전판
510 : 관통공 520 : 표시부
600 : 너트 700 : 고무와셔
800 : 고정너트 900 : 스냅링
120 : 단턱 130 : 걸림턱
140 : 제2스프링결합공 150 : 플랜지
160 : 수나사 200 : 회전부재
210 : 바디 220 : 플랜지
230 : 키 접속부 240 : 삽입공
250 : 제1스프링결합공 260 : 수나사
270 : 고정홈 300 : 스프링
400 : 걸림부재 500 : 회전판
510 : 관통공 520 : 표시부
600 : 너트 700 : 고무와셔
800 : 고정너트 900 : 스냅링
Claims (4)
-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설치되고, 전후로 관통된 내부 수용공간부(110),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부(110)의 후방에 외주연을 따라 돌출된 단턱(120)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서, 전부가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부(110)에 배치되고 후부가 상기 단턱(120)의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바디(210), 상기 바디(210)의 전방에 외주연을 따라 돌출된 플랜지(220), 그리고 상기 플랜지(220)의 전방에 형성된 키 접속부(230)를 갖는 회전부재(200);
상기 회전부재(200)의 회전에 의해 탄성 변형되었다가 회전부재(200)를 복귀시키게 되는 스프링(300); 및
상기 회전부재(2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각도제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3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부(110)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부재(200)의 바디(210)에 끼워진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300)의 일단부는 상기 회전부재(200)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300)의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각도제한수단은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부(110)에 상호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된 두 걸림턱(130);
상기 회전부재(200)의 바디(210)에서 상기 두 걸림턱(1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바디(210)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삽입공(240); 및
상기 삽입공(240)에 결합되고, 양단부가 상기 바디(21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걸림부재(400)의 양단부는 상기 회전부재(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두 걸림턱(130)의 측면에 각각 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400)는 스프링 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00)의 플랜지(220)에는 상기 스프링(30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스프링결합공(250)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걸림턱(130)에는 상기 스프링(300)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제2스프링결합공(1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9700A KR102063333B1 (ko) | 2018-08-01 | 2018-08-01 |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9700A KR102063333B1 (ko) | 2018-08-01 | 2018-08-01 |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3333B1 true KR102063333B1 (ko) | 2020-01-07 |
Family
ID=69153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9700A KR102063333B1 (ko) | 2018-08-01 | 2018-08-01 |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333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202000004102A1 (it) * | 2020-02-27 | 2021-08-27 | Marco Frigerio |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porte di cabina di ascensori manuali |
KR102597473B1 (ko) * | 2023-09-20 | 2023-11-02 | (주) 포유텍 | 보안성이 강화된 지상기기의 잠금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8135Y1 (ko) * | 2002-12-05 | 2003-03-19 | 허영태 | 미닫이문의 외부잠금구조 |
KR200419670Y1 (ko) * | 2006-03-30 | 2006-06-23 | 하양기 |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잠금 구조 |
KR101640580B1 (ko) | 2014-09-22 | 2016-07-18 | 문경필 |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
KR101880960B1 (ko) * | 2018-01-03 | 2018-07-23 | 진중섭 | 엘리베이터용 비상키 |
-
2018
- 2018-08-01 KR KR1020180089700A patent/KR1020633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8135Y1 (ko) * | 2002-12-05 | 2003-03-19 | 허영태 | 미닫이문의 외부잠금구조 |
KR200419670Y1 (ko) * | 2006-03-30 | 2006-06-23 | 하양기 |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잠금 구조 |
KR101640580B1 (ko) | 2014-09-22 | 2016-07-18 | 문경필 |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
KR101880960B1 (ko) * | 2018-01-03 | 2018-07-23 | 진중섭 | 엘리베이터용 비상키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202000004102A1 (it) * | 2020-02-27 | 2021-08-27 | Marco Frigerio |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porte di cabina di ascensori manuali |
KR102597473B1 (ko) * | 2023-09-20 | 2023-11-02 | (주) 포유텍 | 보안성이 강화된 지상기기의 잠금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3333B1 (ko) | 엘리베이터용 키 디바이스 | |
WO2017068807A1 (ja) | 車両バックドア用ラッチ装置 | |
JP4325794B2 (ja) | 車両用シートのロック装置 | |
JP2889203B2 (ja) | マンホール蓋の鍵孔用盲栓装置 | |
JP2015194003A (ja) | 電子キーシステムのキー装置 | |
JPH0967960A (ja) | キーハンドル取り外し型ロックハンドル装置 | |
JP5460623B2 (ja) | 施錠装置 | |
JP3080917B2 (ja) | 動力伝達ケーブルの取付け端末構造 | |
JP3972284B2 (ja) | キーシリンダの取付構造 | |
US9316028B2 (en) | Vehicle door latch | |
JP2008133587A (ja) |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 |
JP3315076B2 (ja) | 車両ロック装置におけるラッチ | |
JP3717729B2 (ja) | シリンダ錠取付装置 | |
JP2886074B2 (ja) | キャップにより孔を開放可能に閉止する構造 | |
JP2601933Y2 (ja) | 端子台 | |
JP3890492B2 (ja) | キ−シリンダの取付装置 | |
JPS5914845Y2 (ja) | 回転レバ−のロック装置 | |
JP2000248786A (ja) | 錠用止め輪 | |
CN117681244A (zh) | 锁扣件、连接结构、关节组件和机械臂 | |
JP4602274B2 (ja) | ドアロック装置の取付け構造 | |
JP2004263441A (ja) |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 |
JPS6247152Y2 (ko) | ||
JP2021156423A (ja) | 締結ファスナー | |
JP2001323690A (ja) | 車両ドアのシリンダ錠取付構造 | |
JP2000065023A (ja) | クリップによるラジエータグリルの着脱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