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259B1 -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259B1
KR102063259B1 KR1020190078730A KR20190078730A KR102063259B1 KR 102063259 B1 KR102063259 B1 KR 102063259B1 KR 1020190078730 A KR1020190078730 A KR 1020190078730A KR 20190078730 A KR20190078730 A KR 20190078730A KR 102063259 B1 KR102063259 B1 KR 102063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water
filtration
water treatmen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덕
김문경
김태연
김태경
손영조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78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forward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oa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2Oxidation by 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은, 복수의 수처리 모듈들을 피처리수의 수질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급격한 수질 변화나 재난 상황 등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수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복수의 수처리 모듈들로 다양한 조합을 만드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최적의 수처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컴팩트하여 설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Modular 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처리수의 수질에 따라 복수의 수처리 모듈들을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한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 시스템은 고정형 설비로서 처리에 필요한 설비들이 현장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처리 시스템은 재난 상황이나 녹조 현상 등으로 인해 처리수 내 급격한 오염 물질 증가, 생태 독성 발생, 심미적 문제 등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피처리수가 지표수인지 하폐수인지에 따라 수처리 모듈들이 미리 정해져 설치되기 때문에, 계절이나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처리수의 성상 변화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17953호
본 발명의 목적은, 피처리수의 상태에 맞는 수처리 공정을 변화시켜 수행할 수 있는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은, 응집 모듈, 여과 모듈, 산화 모듈 및 재여과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수처리 모듈들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직렬 연결된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모듈마다 형성되어, 내부에서 수처리할 피처리수를 유입하는 수처리용 유입구와, 상기 수처리 모듈마다 형성되어, 내부에서 수처리되고 나온 피처리수를 토출하는 수처리용 배출구와, 상기 수처리 모듈마다 형성되어, 내부에서 수처리하지 않고 이송시킬 피처리수를 유입하는 이송용 유입구와, 상기 수처리 모듈마다 형성되어, 내부에서 수처리하지 않고 이송된 피처리수를 토출하는 이송용 배출구와, 상기 수처리 모듈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송용 유입구와 상기 이송용 배출구를 연결하여, 내부로 유입된 피처리수가 수처리되지 않고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내부 이송관과, 상기 수처리 모듈들 중에서 보다 상위에 배치된 상위 수처리 모듈의 상기 수처리용 배출구와 차상위에 배치된 차상위 수처리 모듈의 상기 수처리용 유입구를 연결하여, 상기 상위 수처리 모듈에서 수처리되고 나온 피처리수를 상기 차상위 수처리 모듈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수조 배출관과, 상기 상위 수처리 모듈의 상기 이송용 배출구와 상기 차상위 수처리 모듈을 연결하여, 상기 상위 수처리 모듈에서 상기 내부 이송관을 통해 수처리되지 않고 이송된 피처리수를 상기 차상위 수처리 모듈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이송용 배출관과, 상기 수조 배출관과 상기 이송용 배출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분기되어 상기 차상위 수처리 모듈의 상기 이송용 유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수조 배출관과 상기 이송용 배출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나온 피처리수를 상기 차상위 수처리 모듈에서 수처리되지 않고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이송용 유입관과, 상기 이송용 유입관이 분기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용 유입관을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수조 배출관에 구비되어,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센서와, 상기 수질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수질에 따라 상기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은, 복수의 수처리 모듈들을 피처리수의 수질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급격한 수질 변화나 재난 상황 등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수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복수의 수처리 모듈들로 다양한 조합을 만드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최적의 수처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컴팩트하여 설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에서 수처리 모듈들을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의 오존 반응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에서 응집 모듈과 산화 모듈만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에서 응집 모듈, 여과 모듈 및 산화 모듈을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에서 응집 모듈, 여과 모듈, 산화 모듈 및 재여과 모듈을 모두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은, 복수의 수처리 모듈들(100)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직렬 연결되되, 서로 연결된 상기 수처리 모듈들(100)을 피처리수의 수질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추가로 결합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상기 수처리 모듈들(100) 중에서 보다 상위에 배치된 상위 수처리 모듈(100a)과 상기 상위 수처리 모듈(100a)보다 하류측에 배치되는 차상위 수처리 모듈(100b)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수처리 모듈(100)은 각각 피처리수가 유입되어 수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조(110)와, 상기 수조(110)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 이송관(120)과, 상기 수조(110)에 형성되어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구들과, 상기 수조(110)의 타측에 형성되어 피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구들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이송관(120)은, 상기 수조(11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피처리수가 상기 수조(110)의 내부에서 수처리되지 않고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관이다. 즉, 상기 내부 이송관(120)은 상기 수조(110)의 내부를 관통하는 배관이기 때문에, 상기 수조(110)의 내부에서 수행되는 수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 복수의 유입구들은, 수처리용 유입구(101), 이송용 유입구(102) 및 추가 유입구(103)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유입구들은, 상기 수조(110)마다 3개씩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상기 수처리 모듈(100)이 수행하는 수처리 공정에 따라 적어도 일부는 밀봉되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배출구들은, 수처리용 배출구(104)와 이송용 배출구(105)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배출구들은, 상기 수조(110)마다 2개씩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상기 수처리 모듈(100)이 수행하는 수처리 공정에 따라 밀봉되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수처리 모듈들(100)은 각각 수행하는 수처리 공정에 따라 수처리를 위한 내부 구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나,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수조, 유입구, 배출구 및 내부 이송관을 포함한 기본 구조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수처리 모듈들(100)은 모듈 형태로 이루어져, 복수개를 서로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즉, 상기 상위 수처리 모듈(100a)과 상기 차상위 수처리 모듈(100b)의 결합시 배관의 연결을 용이하도록 방향만 바꾸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위 수처리 모듈(100a)과 상기 차상위 수처리 모듈(100b)은 수처리용 배출관(130), 이송용 배출관(140) 및 이송용 유입관(150)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수처리용 배출관(130)은, 상기 상위 수처리 모듈(100a)에서 수처리되고 나온 피처리수를 배출하는 배관이다. 상기 수처리용 배출관(130)은, 상기 상위 수처리 모듈(100a)의 수처리용 배출구(104)와 상기 차상위 수처리 모듈(100b)의 수처리용 유입구(103)를 연결하는 배관이다.
상기 이송용 배출관(140)은, 상기 상위 수처리 모듈(100a)에서 상기 내부 이송관(120)을 통과하여 수처리되지 않고 이송된 피처리수를 배출하는 배관이다. 상기 이송용 배출관(140)은, 상기 상위 수처리 모듈(100a)의 이송용 배출구(105)와 상기 차상위 수처리 모듈(100b)의 추가 유입구(101)를 연결하는 배관이다.
상기 이송용 유입관(150)은, 상기 수처리용 배출관(130)에서 분기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위 수처리 모듈(100a)에서 나온 피처리수를 상기 차상위 수처리 모듈(100b)에서 수처리되지 않고 이송되도록 상기 내부 이송관(120)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배관이다. 상기 이송용 유입관(150)은, 상기 수처리용 배출관(130)에서 분기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수처리용 배출관(130)과 상기 이송용 배출관(140)에서 각각 분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송용 유입관(150)은, 상기 이송용 배출관(140)에서 분기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이송용 유입관(150)은, 상가 수처리용 배출관(130)에서 분기되어 상기 차상위 수처리 모듈(100b)의 상기 이송용 유입구(102)에 연결된다.
상기 수처리용 배출관(130)에서 상기 이송용 유입관(150)이 분기되는 지점에는, 상기 수처리용 배출관(130)과 상기 이송용 유입관(150)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밸브(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처리용 배출관(130)에는 상기 상위 수처리 모듈(100a)에서 수처리되고 나온 피처리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센서(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수처리 시스템은, 상기 수질측정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수질에 따라 상기 밸브(미도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수처리 모듈들(100)을 적용한 수처리 시스템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복수의 수처리 모듈들(100)은, 응집 모듈(10), 여과 모듈(20), 산화 모듈(30) 및 재여과 모듈(40)을 포함하고, 상기 응집 모듈(10), 상기 여과 모듈(20), 상기 산화 모듈(30) 및 상기 재여과 모듈(40)이 각각 1개씩 구비되고, 순서대로 직렬로 연결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응집 모듈(10), 상기 여과 모듈(20), 상기 산화 모듈(30) 및 상기 재여과 모듈(40) 중 적어도 하나가 2개 이상씩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동일한 수처리 모듈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순서가 바뀌어 배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처리 모듈들(100)은, 상기 응집 모듈(10), 상기 여과 모듈(20), 상기 산화 모듈(30) 및 상기 재여과 모듈(40)외에 다른 수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응집 모듈(10)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피처리수 내 오염 물질을 응집으로 제거하는 모듈이다. 상기 응집 모듈(10)은 화학적 응집 방식 또는 전기적 응집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전기적 응집 방식을 사용할 경우, 철 양극 또는 알루미늄 양극을 침지시킨 후 전압을 가해서 철 또는 알루미늄 양이온을 생성하고, 금속 양이온이 수산화물을 형성하여 응집할 수 있다.
상기 응집 모듈(10)은, 응집처리용 유입구(11)와 응집처리용 배출구(12)가 형성되고, 응집조 유입관(16)과 응집조 배출관(17)이 연결된다.
상기 응집처리용 유입구(11)는, 상기 응집 모듈(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응집조의 내부로 피처리수를 유입하기 위한 입구이다.
상기 응집처리용 배출구(12)는, 상기 응집 모듈(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응집조의 내부에서 응집처리된 피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이다.
상기 응집 모듈(10)은 다른 수처리 모듈들과 외형이 동일한 모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되지 않는 유입구나 배출구는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응집조 유입관(16)은 상기 응집처리용 유입구(11)에 연결된다.
상기 응집조 배출관(17)은 상기 응집처리용 배출구(12)에 연결된다.
상기 응집조 배출관(17)에는 여과조 이송용 유입관(18)이 분기되어 형성된다.
상기 응집조 배출관(17)에는 상기 응집 모듈(10)에서 응집 처리되어 나온 피처리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제1수질측정센서(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응집조 배출관(17)과 상기 여과조 이송용 유입관(18)이 분기되는 지점에는 제1밸브(61)가 설치된다.
상기 제1밸브(61)는, 상기 응집조 배출관(17)과 상기 여과조 이송용 유입관(18)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고, 나머지는 차폐시키는 밸브이다.
상기 수처리 시스템은, 상기 제1수질측정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수질에 따라 상기 제1밸브(6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여과 모듈(20)은, 상기 응집조 배출관(17)과 상기 여과조 이송용 유입관(18)에 의해 상기 응집 모듈(10)에 연결된다.
상기 여과 모듈(20)은, 피처리수의 수질에 따라 정밀여과(microfiltration), 초미세여과(ultrafiltration), 역삼투(reverse osmosis), 정삼투(forward osmosis)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여과 모듈(20)에는, 여과처리용 유입구(21), 여과처리용 배출구(22), 여과이송용 유입구(23) 및 여과이송용 배출구(24)가 형성된다.
상기 여과처리용 유입구(21)는, 상기 여과 모듈(20)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여과처리용 유입구(21)는, 상기 응집조 배출관(17)에 연결되어, 상기 응집 모듈(10)에서 나온 피처리수를 여과조의 내부 수처리 공간에서 여과 처리하기 위해 유입하는 입구이다.
상기 여과처리용 배출구(22)는, 상기 여과 모듈(20)의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여과처리용 배출구(22)는, 상기 여과 모듈(20)의 내부 수처리 공간에서 여과 처리된 피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이다.
상기 여과이송용 유입구(23)는, 상기 여과 모듈(20)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여과이송용 유입구(23)는, 상기 여과조 이송용 유입관(18)에 연결되어, 피처리수를 상기 여과 모듈(20)에서 여과처리하지 않고 이송시키기 위한 입구이다.
상기 여과이송용 배출구(24)는, 상기 여과 모듈(20)의 하면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여과조 내부 이송관(25)을 통과하여 여과처리되지 않는 피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이다.
상기 여과 모듈(20)의 내부는 수처리 공정이 수행되는 수처리 공간과 수처리 공정이 수행되지 않는 여과조 내부 이송관(25)으로 구획된다.
상기 여과 모듈(20)의 내부에는 여과조 내부 이송관(25)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여과조 배출관(27), 산화조 이송용 유입관(28) 및 여과조 이송용 배출관(29)이 연결된다.
상기 여과조 내부 이송관(25)은, 상기 여과 모듈(2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피처리수가 수처리되지 않고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내부 이송관이다. 상기 여과조 내부 이송관(25)은, 상기 여과이송용 유입구(23)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이송용 유입구(23)로 유입된 피처리수를 여과처리하지 않고 이송시키는 관이다. 상기 여과조 내부 이송관(25)은, 상기 여과 모듈(20)에서 여과처리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 개방된다.
상기 여과조 배출관(27)은, 상기 여과 모듈(20)에서 수처리되고 나온 피처리수를 배출하는 수처리용 배출관이다. 상기 여과조 배출관(27)은, 상기 여과 모듈(20)의 하면에 연결된 관이다. 상기 여과조 배출관(27)은, 상기 여과 모듈(20)의 내부 수처리 공간에서 여과처리된 피처리수를 상기 산화 모듈(30)로 배출하는 관이다.
상기 산화조 이송용 유입관(28)은, 상기 여과조 배출관(27)에서 분기되어 상기 산화이송용 유입구(33)에 연결된 관이다. 상기 산화조 이송용 유입관(28)은, 상기 여과 모듈(20)의 내부 수처리 공간에서 여과처리된 피처리수가 상기 산화 모듈(30)에서 산화처리되지 않도록 이송할 때 개방된다.
상기 여과조 이송용 배출관(29)은, 상기 내부 이송관(120)을 통과하여 수처리되지 않고 이송된 피처리수를 배출하는 이송용 배출관이다. 상기 여과조 이송용 배출관(29)은, 상기 여과 모듈(20)의 하면에 연결된 관이다.
상기 여과조 배출관(27)에는 상기 여과 모듈(20)에서 여과 처리되어 나온 피처리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제2수질측정센서(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여과조 배출관(27)과 상기 산화조 이송용 유입관(28)이 분기되는 지점에는 제2밸브(62)가 설치된다. 상기 제2밸브(62)는, 상기 여과조 배출관(27)과 상기 산화조 이송용 유입관(28)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고, 나머지는 차폐시키는 밸브이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2수질측정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수질에 따라 상기 제2밸브(62)의 개폐를 제어한다.
상기 산화 모듈(30)은, 상기 여과 모듈(20)의 하부에 연결된다. 즉, 상기 산화 모듈(30)은, 상기 여과조 배출관(27), 상기 산화조 이송용 유입관(28) 및 상기 여과조 이송용 배출관(29)에 의해 상기 여과 모듈(20)에 연결된다.
상기 산화 모듈(30)은, 산화제를 생성하거나 산화제를 주입하여 산화 처리하는 수처리 모듈이다. 상기 산화 모듈(30)에는 오존 생성기(미도시)나 자외선 램프(UV lamp) 장치(70)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산화 모듈(30)에 산화제를 주입하는 경우, NaOCl이나 H2O2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산화 모듈(30)에서 산화제를 생성하는 경우, 염소 이온이나 산소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불용성 양극 또는 음극에서 전기적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해 Cl2나 H2O2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산화 모듈(30)에 오존 생성기(미도시)나 상기 자외선 램프 장치(70)를 결합할 경우, NaOCl이나 H2O2에서 하이드록실 라디칼이나 염소 라디칼이 발생하여 산화력을 증가할 수 있어서 고도 산화처리가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좌외선 램프 장치(70)는, 지지판(72)에 복수의 자외선 램프들(71)이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좌외선 램프들(71)은 상기 산화 모듈(30)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산화 모듈(30)에는 산화처리용 유입구(31), 산화처리용 배출구(32), 산화이송용 유입구(33), 산화이송용 배출구(34) 및 추가 산화처리용 유입구(36)가 형성된다.
상기 산화처리용 유입구(31)는, 상기 산화 모듈(30)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산화처리용 유입구(31)는, 상기 여과조 배출관(27)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 모듈(20)에서 나온 피처리수를 산화조의 내부 수처리 공간에서 산화처리하기 위해 유입하는 입구이다.
상기 산화처리용 배출구(32)는, 상기 산화 모듈(30)의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산화처리용 배출구(32)는, 상기 산화 모듈(30)의 내부 수처리 공간에서 산화 처리된 피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이다.
상기 산화이송용 유입구(33)는, 상기 산화 모듈(30)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산화이송용 유입구(33)는, 상기 산화조 이송용 유입관(28)에 연결되어, 피처리수를 상기 산화 모듈(30)에서 산화처리하지 않고 이송시키기 위한 입구이다.
상기 산화이송용 배출구(34)는, 상기 산화 모듈(30)의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산화이송용 배출구(34)는, 후술하는 산화조 내부 이송관(35)을 통과하여 산화처리되지 않는 피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이다.
상기 추가 산화처리용 유입구(36)는, 상기 산화 모듈(30)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추가 산화처리용 유입구(36)는, 상기 여과조 이송용 배출관(29)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 모듈(20)에서 여과처리되지 않고 나온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입구이다.
상기 산화 모듈(30)의 내부는 수처리 공정이 수행되는 수처리 공간과 수처리 공정이 수행되지 않는 산화조 내부 이송관(35)으로 구획된다.
상기 산화 모듈(30)의 내부에는 산화조 내부 이송관(35)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산화조 배출관(37), 재여과조 이송용 유입관(38) 및 산화조 이송용 배출관(39)이 연결된다.
상기 산화조 내부 이송관(35)은, 상기 산화 모듈(3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피처리수가 수처리되지 않고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내부 이송관이다. 상기 산화조 내부 이송관(35)은, 상기 산화이송용 유입구(33)에 연결되어, 상기 산화이송용 유입구(33)로 유입된 피처리수를 산화처리하지 않고 이송시키기 위한 관이다. 상기 산화조 내부 이송관(35)은, 상기 산화 모듈(30)에서 산화처리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 개방된다.
상기 산화조 배출관(37)은, 상기 산화 모듈(30)에서 산화처리된 피처리수를 배출하는 수처리용 배출관이다. 상기 산화조 배출관(37)은, 상기 산화 모듈(30)의 하면에 연결된 관이다.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유입관(38)은, 상기 산화조 배출관(37)에서 분기되어 상기 재여과이송용 유입구(43)에 연결된 관이다.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유입관(38)은, 상기 산화 모듈(30)의 내부 수처리 공간에서 산화처리된 피처리수가 상기 재여과 모듈(40)에서 재여과 처리되지 않도록 이송할 때 개방된다.
상기 산화조 이송용 배출관(39)은, 상기 산화조 내부 이송관(35)을 통과하여 수처리되지 않고 이송된 피처리수를 배출하는 이송용 배출관이다. 상기 산화조 이송용 배출관(39)은, 상기 산화 모듈(30)의 하면에 연결된 관이다.
상기 산화조 배출관(37)에는 상기 산화 모듈(30)에서 산화 처리되어 나온 피처리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제3수질측정센서(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산화조 배출관(37)과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유입관(38)이 분기되는 지점에는 제3밸브(63)가 설치된다. 상기 제3밸브(63)는, 상기 산화조 배출관(37)과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유입관(38)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고, 나머지는 차폐시키는 밸브이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3수질측정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수질에 따라 상기 제3밸브(63)의 개폐를 제어한다.
상기 재여과 모듈(40)은, 상기 산화 모듈(30)의 하부에 연결된다. 즉, 상기 재여과 모듈(20)은, 상기 산화조 배출관(37),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유입관(38) 및 상기 산화조 이송용 배출관(39)에 의해 상기 산화 모듈(30)에 연결된다.
상기 재여과 모듈(40)은, 입상 활성탄을 채운 흡착탑에 피처리수를 흘리는 방식으로 처리하는 활성탄 모듈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재여과 모듈(40)내 입상 활성탄에 미생물을 번식하여 생물 활성탄을 형성하면 미생물에 의한 분해도 가능하다.
상기 재여과 모듈(40)에는, 재여과처리용 유입구(41), 재여과처리용 배출구(42), 재여과이송용 유입구(43), 재여과이송용 배출구(44) 및 추가 재여과처리용 유입구(46)가 형성된다.
상기 재여과처리용 유입구(41)는, 상기 재여과 모듈(40)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재여과처리용 유입구(41)는, 상기 산화조 배출관(37)에 연결되어 상기 산화 모듈(30)에서 나온 피처리수를 재여과조의 내부 수처리 공간에서 재여과 처리하기 위해 유입하는 입구이다.
상기 재여과처리용 배출구(42)는, 상기 재여과 모듈(40)의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재여과처리용 배출구(42)는, 상기 재여과조의 내부 수처리공간에서 재여과 처리된 피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이다.
상기 재여과이송용 유입구(43)는, 상기 재여과 모듈(40)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재여과이송용 유입구(43)는,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유입관(38)에 연결되어 피처리수를 상기 재여과 모듈(40)에서 여과처리하지 않고 이송시키기 위한 입구이다.
상기 재여과이송용 배출구(44)는, 상기 재여과 모듈(40)의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재여과이송용 배출구(44)는, 후술하는 재여과조 내부 이송관(45)을 통과하여 여과처리되지 않는 피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이다.
상기 추가 재여과처리용 유입구(46)는, 상기 재여과 모듈(4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배출관(49)에 연결되어 상기 재여과 모듈(40)에서 여과처리되지 않고 나온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입구이다.
상기 재여과 모듈(40)의 내부는 수처리 공정이 수행되는 수처리 공간과 수처리 공정이 수행되지 않는 재여과조 내부 이송관(45)으로 구획된다.
상기 재여과 모듈(40)의 내부에는 재여과조 내부 이송관(45)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재여과조 배출관(47), 재여과조 이송용 배출관(49)이 연결된다.
상기 재여과조 내부 이송관(45)은, 상기 재여과 모듈(4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피처리수가 수처리되지 않고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내부 이송관이다. 상기 재여과조 내부 이송관(45)은, 상기 재여과이송용 유입구(43)에 연결되어, 상기 재여과이송용 유입구(43)로 유입된 피처리수를 여과처리하지 않고 이송시키는 관이다. 상기 재여과조 내부 이송관(45)은, 상기 재여과 모듈(40)에서 여과처리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 개방된다.
상기 재여과조 배출관(47)은, 상기 재여과 모듈(40)에서 수처리되고 나온 피처리수를 배출하는 수처리용 배출관이다. 상기 재여과조 배출관(47)은, 상기 재여과 모듈(40)의 하면에 연결된 관이다.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배출관(49)은, 상기 재여과조 내부 이송관(45)을 통과하여 수처리되지 않고 이송된 피처리수를 배출하는 이송용 배출관이다.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배출관(49)은, 상기 재여과 모듈(40)의 하면에 연결된 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피처리수의 수질이 미리 설정된 제1설정 범위 이내로서 수처리 부하가 크지 않는 일반 수처리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일반 수처리 모드에서는, 상기 응집 모듈(10)과 상기 산화 모듈(30)에서만 수처리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여과 모듈(20)과 상기 재여과 모듈(40)에서는 수처리 공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응집 모듈(10)에서 응집 처리된 피처리수는 상기 응집조 배출관(17)을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밸브(61)가 상기 여과조 이송용 유입관(18)을 개방시키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응집 모듈(10)에서 응집 처리된 피처리수는 상기 여과 모듈(20)의 내부 수처리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여과조 이송용 유입관(18)을 통해 상기 여과조 내부 이송관(25)으로 유입된다.
즉, 상기 응집 모듈(10)에서 응집 처리된 피처리수는 상기 여과 모듈(20)의 내부 수처리 공간에서 수처리되지 않고, 상기 여과조 내부 이송관(25)을 통해 이송된 후 상기 여과조 이송용 배출관(29)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여과조 이송용 배출관(29)을 통해 배출된 피처리수는 상기 산화 모듈(30)의 내부 수처리 공간으로 유입된다.
상기 산화 모듈(30)의 내부 수처리 공간으로 유입된 피처리수는 산화처리된 후 상기 산화조 배출관(37)을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2밸브(62)가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유입관(38)을 개방시키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산화 모듈(30)에서 산화 처리된 피처리수는 상기 재여과 모듈(40)의 내부 수처리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유입관(38)을 통해 상기 재여과조 내부 이송관(45)으로 유입된다.
즉, 상기 산화 모듈(30)에서 산화 처리된 피처리수는 상기 재여과 모듈(40)의 내부 수처리 공간에서 수처리되지 않고, 상기 재여과조 내부 이송관(45)을 통해 이송된 후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배출관(49)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일반 수처리 모드에서는, 상기 여과 모듈(20)과 상기 재여과 모듈(40)에서 수처리를 하지 않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응집조 배출관(17)에 설치된 상기 제1수질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수질이 미리 설정된 제1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밸브(61)가 상기 여과조 이송용 유입관(18)을 차폐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수질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수질이 미리 설정된 제1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여과 모듈(20)에서 여과 처리가 추가로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피처리수를 상기 여과 모듈(20)의 내부 수처리 공간으로 유입시켜 여과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산화조 배출관(37)에 설치된 상기 제3수질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수질이 미리 설정된 제3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3밸브(63)가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유입관(38)을 차폐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3수질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수질이 미리 설정된 제3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재여과 모듈(40)에서 재여과 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피처리수를 상기 재여과 모듈(40)의 내부 수처리 공간으로 유입시켜 여과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일반 수처리 모드에서도 상기 제1수질측정센서와 상기 제3수질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수질에 따라 상기 여과 모듈(20)과 상기 재여과 모듈(40)에서 수처리 반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수질측정센서(미도시)에서 측정한 수질이 미리 설정된 제2설정범위일 경우, 고도 처리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고도 처리 모드에서는 상기 응집 모듈(10), 상기 여과 모듈(20) 및 상기 산화 모듈(30)에서 수처리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재여과 모듈(40)에서만 수처리 공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응집 모듈(10)에서 응집 처리된 피처리수는 상기 응집조 배출관(17)을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밸브(61)가 상기 여과조 이송용 유입관(18)을 차폐시키고, 상기 응집조 배출관(17)이 완전히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응집 모듈(10)에서 응집 처리된 피처리수는 상기 여과 모듈(20)의 내부 수처리 공간으로 유입된다.
상기 여과 모듈(20)의 내부 수처리 공간으로 유입된 피처리수는 여과 처리된다.
상기 여과 모듈(20)의 내부 수처리 공간에서 여과 처리된 피처리수는 상기 여과조 배출관(27)을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2밸브(62)가 상기 산화조 이송용 유입관(28)을 차폐시키고, 상기 여과조 배출관(27)이 완전히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여과 모듈(20)에서 여과 처리된 후 나온 피처리수는 상기 산화 모듈(30)의 내부 수처리 공간으로 유입된다.
상기 산화 모듈(30)의 내부 수처리 공간으로 유입된 피처리수는 산화 처리된다.
상기 산화 모듈(30)의 내부 수처리 공간에서 산화 처리된 피처리수는 상기 산화조 배출관(37)을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3밸브(63)가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유입관(38)을 개방시키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산화 모듈(30)에서 산화 처리된 피처리수는 상기 재여과 모듈(40)의 내부 수처리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유입관(38)을 통해 상기 재여과조 내부 이송관(45)으로 유입된다.
즉, 상기 재여과조 내부 이송관(45)으로 유입된 피처리수는 상기 재여과 모듈(40)의 수처리 공간에서 수처리되지 않고, 상기 재여과조 내부 이송관(45)을 통해 이송된 후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배출관(4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고도 수처리 모드에서는, 피처리수가 상기 응집 모듈(10), 상기 여과 모듈(20), 상기 산화 모듈(30) 및 상기 재여과 모듈(40)을 차례로 통과하되, 상기 응집 모듈(10), 상기 여과 모듈(20) 및 상기 산화 모듈(30)에서는 각각 해당되는 수처리 반응을 하고, 상기 재여과 모듈(40)에서는 상기 재여과조 내부 이송관(45)을 통과하기 때문에 재여과 수처리 반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고도 수처리 모드에서는, 상기 재여과 모듈(40)에서 수처리를 하지 않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산화조 배출관(37)에 설치된 상기 제3수질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수질이 미리 설정된 제3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3밸브(63)가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유입관(38)을 차폐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3수질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수질이 미리 설정된 제3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재여과 모듈(40)에서 재여과 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피처리수를 상기 재여과 모듈(40)의 수처리 공간으로 유입시켜 여과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고도 처리 모드에서도 상기 제3수질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수질에 따라 상기 재여과 모듈(40)에서 수처리 반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도 처리 모드에서, 상기 응집 모듈(10)과 상기 산화 모듈(30)에서만 수처리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여과 모듈(20)과 상기 재여과 모듈(40)에서는 수처리 공정을 수행하되, 상기 자외선 램프 장치(70)나 상기 오존 반응기(미도시)가 결합된 상기 산화 모듈(30)로 대체하여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수질측정센서(미도시)에서 측정한 수질이 미리 설정된 제3설정범위일 경우, 초고도 처리 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3설정범위는 상기 제2설정범위보다 수질이 더 나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초고도 처리 모드에서는 상기 응집 모듈(10), 상기 여과 모듈(20), 상기 산화 모듈(30) 및 상기 재여과 모듈(40)에서 모두 수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응집 모듈(10)에서 응집 처리된 피처리수는 상기 응집조 배출관(17)을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밸브(61)가 상기 여과조 이송용 유입관(18)을 차폐시키고, 상기 응집조 배출관(17)이 완전히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응집 모듈(10)에서 응집 처리된 피처리수는 상기 여과 모듈(20)의 내부 수처리 공간으로 유입된다.
상기 여과 모듈(20)의 내부 수처리 공간으로 유입된 피처리수는 여과 처리된다.
상기 여과 모듈(20)의 내부 수처리 공간에서 여과 처리된 피처리수는 상기 여과조 배출관(27)을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2밸브(62)가 상기 산화조 이송용 유입관(28)을 차폐시키고, 상기 여과조 배출관(27)이 완전히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여과 모듈(20)에서 여과 처리된 후 나온 피처리수는 상기 산화 모듈(30)의 수처리 공간으로 유입된다.
상기 산화 모듈(30)의 수처리 공간으로 유입된 피처리수는 산화 처리된다.
상기 산화 모듈(30)의 내부 수처리 공간에서 산화 처리된 피처리수는 상기 산화조 배출관(37)을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3밸브(63)가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유입관(38)을 차폐시키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산화 모듈(30)에서 산화 처리된 피처리수는 상기 재여과조 내부 이송관(45)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재여과 모듈(40)의 수처리 공간에서 수처리 반응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재여과 모듈(40)의 수처리 공간으로 유입된 피처리수는 재여과 처리된다.
상기 재여과 모듈(40)의 내부 수처리 공간에서 재여과 처리된 피처리수는 상기 재여과조 배출관(4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초고도 수처리 모드에서는, 피처리수가 상기 응집 모듈(10), 상기 여과 모듈(20), 상기 산화 모듈(30) 및 상기 재여과 모듈(40)을 모두 차례로 통과하면서, 각각 해당되는 수처리 반응을 하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초고도 처리 모드에서, 상기 응집 모듈(10)과 상기 산화 모듈(30)에서만 수처리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여과 모듈(20)과 상기 재여과 모듈(40)에서는 수처리 공정을 수행하되, 상기 자외선 램프 장치(70)나 상기 오존 반응기(미도시)가 결합된 상기 산화 모듈(30)로 대체하여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응집 모듈(10), 상기 여과 모듈(20), 상기 산화 모듈(30) 및 상기 재여과 모듈(40)이 1개씩 차례로 연결되어, 피처리수의 수질에 따라 수처리 반응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재난 상황 등의 발생으로 인한 추가적인 수처리 공정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수처리 모듈(100)을 추가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처리 모듈(100)의 개수를 줄여서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수처리 공정을 모듈화하여, 수처리 모듈들의 개수 조절이 용이해질 수 있으므로, 급격한 수질 변화나 재난 상황 등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조합을 만들어낼 수 있으므로, 최적의 수처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응집 모듈 16: 응집조 유입관
17: 응집조 배출관 20: 여과 모듈
25: 여과조 내부 이송관 27: 여과조 배출관
28: 산화조 이송용 유입관 29: 여과조 이송용 배출관
30: 산화 모듈 35: 산화조 내부 이송관
37: 산화조 배출관 38: 산화조 이송용 유입관
39: 산화조 이송용 배출관 40: 재여과 모듈
45: 재여과조 내부 이송관 47: 재여과조 배출관
49: 재여과조 이송용 배출관 100: 수처리 모듈

Claims (10)

  1. 응집 모듈, 여과 모듈, 산화 모듈 및 재여과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수처리 모듈들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직렬 연결된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모듈마다 형성되어, 내부에서 수처리할 피처리수를 유입하는 수처리용 유입구와,
    상기 수처리 모듈마다 형성되어, 내부에서 수처리되고 나온 피처리수를 토출하는 수처리용 배출구와,
    상기 수처리 모듈마다 형성되어, 내부에서 수처리하지 않고 이송시킬 피처리수를 유입하는 이송용 유입구와,
    상기 수처리 모듈마다 형성되어, 내부에서 수처리하지 않고 이송된 피처리수를 토출하는 이송용 배출구와,
    상기 수처리 모듈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송용 유입구와 상기 이송용 배출구를 연결하여, 내부로 유입된 피처리수가 수처리되지 않고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내부 이송관과,
    상기 수처리 모듈들 중에서 보다 상위에 배치된 상위 수처리 모듈의 상기 수처리용 배출구와 차상위에 배치된 차상위 수처리 모듈의 상기 수처리용 유입구를 연결하여, 상기 상위 수처리 모듈에서 수처리되고 나온 피처리수를 상기 차상위 수처리 모듈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수처리용 배출관과,
    상기 상위 수처리 모듈의 상기 이송용 배출구와 상기 차상위 수처리 모듈을 연결하여, 상기 상위 수처리 모듈에서 상기 내부 이송관을 통해 수처리되지 않고 이송된 피처리수를 상기 차상위 수처리 모듈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이송용 배출관과,
    상기 수처리용 배출관과 상기 이송용 배출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분기되어 상기 차상위 수처리 모듈의 상기 이송용 유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수처리용 배출관과 상기 이송용 배출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나온 피처리수를 상기 차상위 수처리 모듈에서 수처리되지 않고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이송용 유입관과,
    상기 이송용 유입관이 분기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용 유입관을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수처리용 배출관에 구비되어,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센서와,
    상기 수질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수질에 따라 상기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처리 모듈마다 형성되어, 상기 상위 수처리 모듈의 상기 이송용 배출구에서 나온 피처리수를 상기 차상위 수처리 모듈의 내부에서 수처리되도록 유입하는 추가 유입구를 더 포함하는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유입관은, 상기 수처리용 배출관에서 분기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수처리용 배출관과 상기 이송용 유입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된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화 모듈에는 오존 생성기와 자외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된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집 모듈, 상기 여과 모듈, 상기 산화 모듈 및 상기 재여과 모듈은 각각 적어도 1개 이상이 서로 착탈가능토록 결합된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여과 모듈은, 활성탄을 이용하여 수처리하는 활성탄 모듈인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
  7. 응집처리용 유입구와 응집처리용 배출구가 형성된 응집 모듈과;
    상기 응집처리용 배출구에 연결된 응집조 배출관과;
    상기 응집조 배출관에서 분기된 여과조 이송용 유입관과;
    상기 응집조 배출관과 상기 여과조 이송용 유입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나온 피처리수를 여과 처리하기 위한 여과 모듈과;
    상기 여과 모듈에 형성되고, 상기 응집조 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응집 모듈에서 나온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여과처리용 유입구와;
    상기 여과 모듈에 형성되고, 상기 여과조 이송용 유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 모듈에서 여과처리하지 않고 이송시킬 피처리수를 유입하기 위한 여과이송용 유입구와;
    상기 여과 모듈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여과이송용 유입구에 연결되어, 피처리수를 내부에서 여과처리되지 않고 이송시키기 위한 여과조 내부 이송관과;
    상기 응집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응집 모듈에서 나온 피처리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제1수질측정센서와;
    상기 응집조 배출관과 상기 여과조 이송용 유입관이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응집조 배출관과 상기 여과조 이송용 유입관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는 제1밸브와;
    상기 제1수질측정센서에서 측정한 수질에 따라 상기 제1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 모듈에 형성되고, 상기 여과 모듈의 내부 수처리 공간에서 여과 처리된 피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여과처리용 배출구와,
    상기 여과 모듈에 형성되고, 상기 여과조 내부 이송관을 통과하여 여과 처리되지 않은 피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여과이송용 배출구와,
    상기 여과처리용 배출구에 연결된 여과조 배출관과,
    상기 여과이송용 배출구에 연결된 여과조 이송용 배출관과,
    상기 여과조 배출관에서 분기된 산화조 이송용 유입관과,
    상기 여과조 배출관과 상기 여과조 이송용 배출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나온 피처리수를 산화 처리하기 위한 산화 모듈과,
    상기 산화 모듈에 형성되고, 상기 여과조 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 모듈에서 나온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산화처리용 유입구와,
    상기 산화 모듈에 형성되고, 상기 산화조 이송용 유입관에 연결된 산화이송용 유입구와,
    상기 산화 모듈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산화이송용 유입구에 연결되어, 피처리수를 내부에서 산화처리되지 않고 이송시키기 위한 산화조 내부 이송관과,
    상기 여과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 모듈에서 나온 피처리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제2수질측정센서와,
    상기 여과조 배출관과 상기 산화조 이송용 유입관이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조 배출관과 상기 산화조 이송용 유입관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는 제2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수질측정센서에서 측정한 수질에 따라 상기 제2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산화 모듈에 형성되고, 상기 산화 모듈의 내부 수처리 공간에서 산화처리된 피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산화처리용 배출구와,
    상기 산화 모듈에 형성되고, 상기 산화조 내부 이송관을 통과하여 산화 처리되지 않은 피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산화이송용 배출구와,
    상기 산화처리용 배출구에 연결된 산화조 배출관과,
    상기 산화이송용 배출구에 연결된 산화조 이송용 배출관과,
    상기 산화조 배출관과 상기 산화조 이송용 배출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나온 피처리수를 재여과 처리하기 위한 재여과 모듈과,
    상기 재여과 모듈에 형성되고, 상기 산화조 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산화 모듈에서 나온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재여과처리용 유입구와,
    상기 재여과 모듈에 형성되고, 상기 재여과 모듈의 내부 수처리공간에서 재여과처리된 피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재여과처리용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산화조 배출관에서 분기된 재여과조 이송용 유입관과,
    상기 재여과 모듈에 형성되고,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유입관에 연결된 재여과이송용 유입구와,
    상기 재여과 모듈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재여과이송용 유입구에 연결되어, 피처리수를 내부에서 재여과처리하지 않고 이송시키기 위한 재여과조 내부 이송관과,
    상기 산화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산화 모듈에서 나온 피처리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제3수질측정센서와;
    상기 산화조 배출관과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유입관이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제3수질측정센서에서 측정한 수질에 따라 상기 산화조 배출관과 상기 재여과조 이송용 유입관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는 제3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수질측정센서에서 측정한 수질에 따라 상기 제3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
KR1020190078730A 2019-07-01 2019-07-01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 KR102063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730A KR102063259B1 (ko) 2019-07-01 2019-07-01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730A KR102063259B1 (ko) 2019-07-01 2019-07-01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259B1 true KR102063259B1 (ko) 2020-01-07

Family

ID=6915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730A KR102063259B1 (ko) 2019-07-01 2019-07-01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7910A1 (ko) * 2020-11-04 2022-05-12 주식회사 미드니 수질 성상에 대응하여 운전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정수처리장치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정수처리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265A (ja) * 2000-08-15 2002-02-28 Taisei Corp 濁水処理装置
KR100367219B1 (ko) * 1999-02-09 2003-01-14 엘지건설 주식회사 미량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고도정수처리장치
KR20120001845A (ko) * 2010-06-30 2012-01-05 효성굿스프링스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KR101239389B1 (ko) * 2012-04-10 2013-03-05 (주)이앤씨 자연형 침투도랑형 재이용수 활용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17953B1 (ko) 2017-01-11 2018-01-12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평상시와 재난시 각종 용수 공급이 가능한 친환경 모듈형 물생산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219B1 (ko) * 1999-02-09 2003-01-14 엘지건설 주식회사 미량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고도정수처리장치
JP2002061265A (ja) * 2000-08-15 2002-02-28 Taisei Corp 濁水処理装置
KR20120001845A (ko) * 2010-06-30 2012-01-05 효성굿스프링스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KR101239389B1 (ko) * 2012-04-10 2013-03-05 (주)이앤씨 자연형 침투도랑형 재이용수 활용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17953B1 (ko) 2017-01-11 2018-01-12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평상시와 재난시 각종 용수 공급이 가능한 친환경 모듈형 물생산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7910A1 (ko) * 2020-11-04 2022-05-12 주식회사 미드니 수질 성상에 대응하여 운전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정수처리장치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정수처리방법
KR20220060608A (ko) * 2020-11-04 2022-05-12 주식회사 미드니 수질 성상에 대응하여 운전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정수처리장치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정수처리방법
KR102422723B1 (ko) * 2020-11-04 2022-07-21 주식회사 미드니 수질 성상에 대응하여 운전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정수처리장치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정수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0136B (zh) 用於減少半導體製程用水之有機碳的紫外光活化氧化法
CN107709248A (zh) 水过滤系统和方法
KR102576272B1 (ko) 반응기 용기의 탈기를 위한 진보된 산화 처리 방법
KR102063259B1 (ko) 모듈형 수처리 시스템
CN201240961Y (zh) 催化氧化处理pvc废水装置
KR101469891B1 (ko) 지표수·지하수 워터블랜딩 수처리시스템 및 방법
KR20160085101A (ko) 하수 우수 종합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처리 시스템
CN108911301A (zh) 一种模块化有机废水处理系统
IL281874B1 (en) Systems for lowering hydrogen peroxide in wastewater
KR20150077086A (ko) 수질측정 수단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KR20210097437A (ko) 난분해성 유기물질 처리용 순환식 자외선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JP2014113511A (ja) 膜分離設備および膜分離設備の運転方法
JP2007136369A (ja) 生物学的排水処理装置及び生物学的排水処理方法
KR20150142665A (ko) 총인 제거효율이 향상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JP5188208B2 (ja) 濁水処理システム
KR101991868B1 (ko) 지표수와 해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685929B1 (ko) 개개의 간이정수장치의 수질판단 및 계측확인이 가능한 근거리통신 기능을 갖는 간이정수장치
KR100321231B1 (ko) 수위 및 유로변경과 간헐포기에 의한 질소, 인 제거방법및 장치
US11390548B2 (en) Water purification an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system
CN217600567U (zh) 一种化学制药废水处理系统
CN211664777U (zh) 基于多路水源进水可按比例勾兑原水的配水井
KR102414932B1 (ko) 고도산화 수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도산화 수처리 방법
US20240067547A1 (en) Anoxic Bioreactor Treatment followed by pH Adjusted Peroxide/Iron Treatment for Enhanced, Efficient Selenium Removal in Wastewaters
JP5876671B2 (ja) 下水処理方法及び下水処理装置
JP2018094532A (ja) めっき廃液処理装置およびめっき廃液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