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868B1 - 지표수와 해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지표수와 해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868B1
KR101991868B1 KR1020180015831A KR20180015831A KR101991868B1 KR 101991868 B1 KR101991868 B1 KR 101991868B1 KR 1020180015831 A KR1020180015831 A KR 1020180015831A KR 20180015831 A KR20180015831 A KR 20180015831A KR 101991868 B1 KR101991868 B1 KR 101991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reference value
filter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9029A (ko
Inventor
곽동근
김원태
김윤중
김정주
남해욱
박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80015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868B1/ko
Publication of KR20180019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7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0Solids, e.g. total solids [TS], total suspended solids [TSS] or volatile solids [V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장치는 지표수(A)를 제1유로(P1)로 이송하여 착수정(10), 혼화/응집조(20), 침전조(30) 및 여과조(40)로 처리하는 제1정수부(L1); 해수(B)를 제3유로(P3)로 이송하여 필터조(100), 역삼투막조(200)로 처리하는 제2정수부(L2);를 구비하고, 제1정수부(L1)와 제2정수부(L2)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소독조(50);로 이송하여 처리한다.
본 발명수처리 장치는 기존 운영되고 있는 일반정수시설을 이용하여 수처리장치를 운영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건설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지표수의 수처리와 해수 또는 기수를 탁도(Turbidity) 및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농도에 따라 지표수의 일반정수공정과 연계하여 수처리 할 수 있다.
특히 해수가 혼합된 혼합수 또는 기수를 활용하기 때문에 물부족 연안지역에 효과적인 수처리 방법이다.

Description

지표수와 해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THE METHOD FOR TREATING WATER USING THE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표수와 해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는 해수를 처리하는 해수담수화처리방법과 지표수를 처리하는 일반정수처리방법으로 구분된다.
지금까지는 지표수만으로 물 수요량을 충족시킬 수 있었지만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 가뭄, 도시화에 따른 수질오염 등으로 지표수가 점점 부족해 지고 있다.
우리나라 주요 8개 댐의 수량은 한계 저수위 수량을 확보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며, 지역간 수자원 보존량도 편차가 심해지고 있다.
이처럼 부족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해수를 담수화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만 담수화처리시설의 초기 건설비용 및 운영비용이 고가이고, 해수담수화처리시설의 용지선정 등의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한국특허 10-2011-0040149호 '비상수 지역용 정수처리장치'는 비상수 지역에 설치되는 정수처리장치로서, 땅속에 매설된 정수탱크; 정수탱크의 내벽과 이격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정수탱크의 바닥에 고정된 제1여과층; 제1여과층의 내측에 위치하며 하단부가 정수탱크의 바닥에 고정된 제2여과층; 정수탱크의 내벽과 제1여과층 사이의 제1공간으로 지표수를 공급하는 물유입관; 제2여과층의 내측에 형성된 제2공간에 설치되어 여과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제1공간에서 제2공간으로 향하는 횡방향압력을 발생시키는 수중모터를 포함하며, 제1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횡방향압력에 의해 제1 여과층 및 상기 제2 여과층을 거치면서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수 또는 기수의탁도(Turbidity), 염분농도를 간접측정하기 위한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농도에 따라 수처리공정을 조절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는 지표수(A)를 제1유로(P1)로 이송하여 착수정(10), 혼화/응집조(20), 침전조(30) 및 여과조(40)로 처리하는 제1정수부(L1); 해수(B)를 제3유로(P3)로 이송하여 필터조(100), 역삼투막조(200)로 처리하는 제2정수부(L2);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정수부(L1)와 상기 제2정수부(L2)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소독조(50);로 이송하여 처리한다.
상기 필터조(100)는 MF(Micro Filter)조(110)와 UF(Ultra Filter)조(1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삼투막조(200)는 SWRO(Sea Water Reverse Osmosis, 해수역삼투막)조(210)와 BWRO(Brackish Water Reverse Osmosis, 기수역삼투막)조(220)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수(B)를 상기 착수정(10)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2유로(P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조(40) 처리 이후 상기 처리수를 SW유로(P4)를 이용하여 상기 SWRO조(210)로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조(40)에서 처리된 상기 처리수를 BW유로(P5)를 이용하여 상기 BWRO조(220)로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조(100)에서 처리된 상기 처리수를 필터조유로(P6)를 이용하여 상기 BWRO조(220)로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일 실시 예의 수처리 방법은 탁도(Turbidity)의 기준값과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설정단계; 상기 해수(B)의 상기 탁도(Turbidity)가 상기 기준값 미만이고, 상기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가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지표수(A)를 상기 제1정수부(L1)를 이용하여 정수하는 L1정수단계; 상기 해수(B)를 상기 제2정수부(L2)를 이용하여 정수하는 L2정수단계; 상기 L1정수단계 및 상기 L2정수단계에서 수처리된 처리수를 상기 소독조(50)로 이송하여 처리하는 소독처리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또 다른 실시 예의 수처리 방법은 탁도(Turbidity)의 기준값과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설정단계; 상기 해수(B)의 상기 탁도(Turbidity)가 상기 기준값 미만이고, 상기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가 상기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지표수(A)를 상기 제1정수부(L1)를 이용하여 정수하는 L1정수단계; 상기 해수(B)를 상기 제3유로(P3)를 통해 상기 필터조(100)에서 수처리하는 필터조정수단계; 상기 필터조정수단계 이후 상기 필터조유로(P6)를 이용하여 상기 해수(B)를 상기 BWRO조(220)로 이송하고, 처리하는 BW정수단계; 상기 L1정수단계 및 상기 BW정수단계에서 수처리된 처리수를 상기 소독조(50)로 이송하여 처리하는 소독처리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또 다른 실시 예의 수처리 방법은 탁도(Turbidity)의 기준값과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설정단계; 상기 해수(B)의 상기 탁도(Turbidity)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가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지표수(A)를 상기 제1유로(P1)를 이용하여 상기 착수정(10)으로 이송하는 P1이송단계; 상기 해수(B)를 상기 제2유로(P2)를 이용하여 상기 착수정(10)으로 이송하는 P2이송단계; 상기 지표수(A)와 상기 해수(B)가 혼합되어 상기 착수정(10), 혼화/응집조(20), 상기 침전조(30) 및 상기 여과조(40)에서 처리하는 L1정수단계; 상기 L1정수단계 이후, 상기 SW유로(P4)를 이용하여 상기 L1정수단계에서 수처리된 처리수를 상기 SWRO조(210)로 이송하는 SW이송단계; 상기 처리수를 상기 SWRO조(210)와 상기 BWRO조(220)에서 정수하는 SW-BW정수단계; 상기 SW-BW정수단계 이후 처리수를 상기 소독조(50)로 이송하여 처리하는 소독처리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또 다른 실시 예의 수처리 방법은 탁도(Turbidity)의 기준값과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설정단계; 상기 해수(B)의 상기 탁도(Turbidity)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가 상기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지표수(A)를 상기 제1유로(P1)를 이용하여 상기 착수정(10)으로 이송하는 P1이송단계; 상기 해수(B)를 상기 제2유로(P2)를 이용하여 상기 착수정(10)으로 이송하는 P2이송단계; 상기 지표수(A)와 상기 해수(B)가 혼합되어 상기 착수정(10), 혼화/응집조(20), 상기 침전조(30) 및 상기 여과조(40)에서 처리되는 L1정수단계; 상기 L1정수단계 이후, 상기 BW유로(P5)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수를 상기 BWRO조(220)로 이송하는 BW이송단계; 상기 처리수를 상기 BWRO조(220)에서 정수하는 BW정수단계; 상기 BW정수단계 이후 상기 처리수를 상기 소독조(50)로 이송하여 처리하는 소독처리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수처리시 상기 탁도(Turbidity)의 기준값은 5~15 NTU이고, 상기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기준값은 800~1200mg/L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운영되고 있는 일반정수시설을 이용하여 수처리장치를 운영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건설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수 또는 기수의 탁도(Turbidity) 및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농도에 따라 지표수를 정수하는 일반정수시설과 연계하여 해수 또는 기수를 수처리 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수처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수 또는 기수를 활용하기 때문에 물부족 연안지역에 효과적인 수처리 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지표수와 해수룰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표수와 해수룰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장치는 지표수(A)를 제1유로(P1)로 이송하여 착수정(10), 혼화/응집조(20), 침전조(30) 및 여과조(40)로 처리하는 제1정수부(L1); 해수(B)를 제3유로(P3)로 이송하여 필터조(100), 역삼투막조(200)로 처리하는 제2정수부(L2);를 구비하고, 제1정수부(L1)와 제2정수부(L2)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소독조(50);로 이송하여 처리한다.
이 경우, 해수 또는 기수의 탁도(Turbidity)와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농도에 따라 지표수는 제1정수부에서 처리하고, 해수는 제1정수부 또는 제2정수부를 이용하여 수처리 할 수 있다.
필터조(100)는 MF(Micro Filter)조(110)와 UF(Ultra Filter)조(1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필터조는 MF(Micro Filter)조와 UF(Ultra Filter)조를 하나 또는 둘의 조합으로 운영할 수 있기 때문에 해수 또는 기수의 탁도(Turbidity)에 따라 효율적인 필터조 운영이 가능하다.
역삼투막조(200)는 SWRO(Sea Water Reverse Osmosis, 해수역삼투막)조(210)와 BWRO(Brackish Water Reverse Osmosis, 기수역삼투막)조(220)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역삼투막조가 SWRO(Sea Water Reverse Osmosis, 해수역삼투막)조(210)와 BWRO(Brackish Water Reverse Osmosis, 기수역삼투막)조(22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수 또는 기수의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농도에 따라 효율적인 역삼투막조 운영이 가능하다.
해수(B)를 착수정(10)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2유로(P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해수 또는 기수의 탁도(Turbidity)와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농도에 따라 제2유로를 이용하여 해수 또는 기수를 착수정으로 이송할 수 있다.
여과조(40) 처리 이후 처리수를 SW유로(P4)를 이용하여 SWRO조(210)로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해수 또는 기수의 탁도(Turbidity)와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농도에 따라 SW유로(P4)를 이용하여 해수 또는 기수를 SWRO조(210)로 이송할 수 있다.
여과조(40)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BW유로(P5)를 이용하여 BWRO조(220)로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해수 또는 기수의 탁도(Turbidity)와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농도에 따라 BW유로(P5)를 이용하여 해수 또는 기수를 BWRO조(220)로 이송할 수 있다.
필터조(100)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필터조유로(P6)를 이용하여 BWRO조(220)로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해수 또는 기수의탁도(Turbidity)와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농도에 따라필터조유로(P6)를 이용하여 해수 또는 기수를 BWRO조(220)로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일 실시 예의 수처리 방법은 탁도(Turbidity)의 기준값과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설정단계; 해수(B)의 탁도(Turbidity)가 기준값 미만이고,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지표수(A)를 제1정수부(L1)를 이용하여 정수하는 L1정수단계; 해수(B)를 제2정수부(L2)를 이용하여 정수하는 L2정수단계; L1정수단계 및 L2정수단계에서 수처리된 처리수를 소독조(50)로 이송하여 처리하는 소독처리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 예에서 해수 및 기수의 탁도(Turbidity)와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농도는 제2유로(P2) 및 제3유로(P3)로 이송전에 확인하고, 이에 따라 제2유로 및 제3유로로 이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지표수는 제1유로(P1)로 이송되어 제1정수부(L1)에서 정수되고, 해수 또는 기수는 제3유로(P2)로 이송되어 제2정수부(L2)에서 정수되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정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또 다른 실시 예의 수처리 방법은 탁도(Turbidity)의 기준값과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설정단계; 해수(B)의 탁도(Turbidity)가 기준값 미만이고,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지표수(A)를 제1정수부(L1)를 이용하여 정수하는 L1정수단계; 해수(B)를 제3유로(P3)를 통해 필터조(100)에서 수처리하는 필터조정수단계; 필터조정수단계 이후 필터조유로(P6)를 이용하여 해수(B)를 BWRO조(220)로 이송하고, 처리하는 BW정수단계; L1정수단계 및 BW정수단계에서 수처리된 처리수를 소독조(50)로 이송하여 처리하는 소독처리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지표수는 제1유로(P1)로 이송되어 제1정수부(L1)에서 정수 되고, 해수 또는 기수는 제3유로(P2)로 이송되어 필터조(100) 및 BWRO조(220)에서 정수된다.
이때 필터조(100)에서 처리된 해수 및 기수는 필터조유로(P6)를 이용하여 BWRO조(220)로 바로 이송되기 때문에 해수 및 기수의 경제적인 수처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또 다른 실시 예의 수처리 방법은 탁도(Turbidity)의 기준값과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설정단계; 해수(B)의 탁도(Turbidity)가 기준값 이상이고,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지표수(A)를 제1유로(P1)를 이용하여 착수정(10)으로 이송하는 P1이송단계; 해수(B)를 제2유로(P2)를 이용하여 착수정(10)으로 이송하는 P2이송단계; 지표수(A)와 해수(B)가 혼합되어 착수정(10), 혼화/응집조(20), 침전조(30) 및 여과조(40)에서 처리하는 L1정수단계; L1정수단계 이후, SW유로(P4)를 이용하여 L1정수단계에서 수처리된 처리수를 SWRO조(210)로 이송하는 SW이송단계; 처리수를 SWRO조(210)와 BWRO조(220)에서 정수하는 SW-BW정수단계; SW-BW정수단계 이후 처리수를 소독조(50)로 이송하여 처리하는 소독처리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지표수는 제1유로(P1)로 이송되어 제1정수부(L1)에서 정수 되고, 해수 또는 기수는 제2유로(P2)를 이용하여 착수정(10)으로 모두 이송되어, 제1정수부에서 처리된 이후, 지표수와 해수 또는 기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SW유로(P4)를 이용하여 SWRO조(210)로 이송한다.
SWRO조(210)로 이송된 혼합수는 SWRO조(210)와 BWRO조(220)에서 정수 되고, 소독조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정수 된다.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또 다른 실시 예의 수처리 방법은 탁도(Turbidity)의 기준값과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설정단계; 해수(B)의 탁도(Turbidity)가 기준값 이상이고,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지표수(A)를 제1유로(P1)를 이용하여 착수정(10)으로 이송하는 P1이송단계; 해수(B)를 제2유로(P2)를 이용하여 착수정(10)으로 이송하는 P2이송단계; 지표수(A)와 해수(B)가 혼합되어 착수정(10), 혼화/응집조(20), 침전조(30) 및 여과조(40)에서 처리되는 L1정수단계; L1정수단계 이후, BW유로(P5)를 이용하여 처리수를 BWRO조(220)로 이송하는 BW이송단계; 처리수를 BWRO조(220)에서 정수하는 BW정수단계; BW정수단계 이후 처리수를 소독조(50)로 이송하여 처리하는 소독처리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지표수는 제1유로(P1)로 이송되어 제1정수부(L1)에서 정수 되고, 해수 또는 기수는 제2유로(P2)를 이용하여 착수정(10)으로 모두 이송되어, 제1정수부에서 처리된 이후, 지표수와 해수 또는 기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BW유로(P5)를 이용하여 BWRO조(220)로 이송한다.
BWRO조(220)로 이송된 혼합수는 BWRO조(220)에서 수처리 되고, 소독조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정수 된다.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수처리시 탁도(Turbidity)의 기준값은 5~15 NTU이고,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기준값은 800~1200mg/L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해수 또는 기수의 탁도(Turbidity)와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기준값을 각각 결정하고, 해수 또는 기수의 탁도(Turbidity)와 염분의 함유정도를 간접 측정할 수 있는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농도에 따라 제2유로(P2)와 제3유로(P3)로 해수 또는 기수를 이송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A : 지표수 B : 해수
P1 : 제1유로 P2 : 제2유로
P3 : 제3유로 P4 : SW유로
P5 : BW유로 P6 : 필터조유로
L1 : 제1정수부 L2 : 제2정수부
10 : 착수정 20 : 혼화/응집조
30 : 침전 40 : 여과조
50 : 소독조 100 : 필터조
110 : MF조 120 : UF조
200 : 역삼투막조 210 : SWRO조
220 : BWRO조

Claims (7)

  1. 지표수(A)를 제1유로(P1)로 이송하여 착수정(10), 혼화/응집조(20), 침전조(30) 및 여과조(40)로 처리하는 제1정수부(L1);
    해수(B)를 제3유로(P3)로 이송하여 필터조(100), 역삼투막조(200)로 처리하는 제2정수부(L2);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정수부(L1)와 상기 제2정수부(L2)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소독조(50);로 이송하여 처리하되,
    상기 필터조(100)는 MF(Micro Filter)조(110)와 UF(Ultra Filter)조(1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역삼투막조(200)는
    SWRO(Sea Water Reverse Osmosis, 해수역삼투막)조(210)와 BWRO(Brackish Water Reverse Osmosis, 기수역삼투막)조(220)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수처리 방법으로서,
    탁도(Turbidity)의 기준값과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설정단계;
    상기 해수(B)의 상기 탁도(Turbidity)가 상기 기준값 미만이고, 상기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가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지표수(A)를 상기 제1정수부(L1)를 이용하여 정수하는 L1정수단계;
    상기 해수(B)를 상기 제2정수부(L2)를 이용하여 정수하는 L2정수단계;
    상기 L1정수단계 및 상기 L2정수단계에서 수처리된 처리수를 상기 소독조(50)로 이송하여 처리하는 소독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40) 처리 이후 상기 처리수를 SW유로(P4)를 이용하여 상기 SWRO조(210)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40)에서 처리된 상기 처리수를 BW유로(P5)를 이용하여 상기 BWRO조(220)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방법.
  4. 지표수(A)를 제1유로(P1)로 이송하여 착수정(10), 혼화/응집조(20), 침전조(30) 및 여과조(40)로 처리하는 제1정수부(L1);
    해수(B)를 제3유로(P3)로 이송하여 필터조(100), 역삼투막조(200)로 처리하는 제2정수부(L2);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정수부(L1)와 상기 제2정수부(L2)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소독조(50);로 이송하여 처리하되,
    상기 필터조(100)는 MF(Micro Filter)조(110)와 UF(Ultra Filter)조(1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역삼투막조(200)는
    SWRO(Sea Water Reverse Osmosis, 해수역삼투막)조(210)와 BWRO(Brackish Water Reverse Osmosis, 기수역삼투막)조(220)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필터조(100)에서 처리된 상기 처리수를 필터조유로(P6)를 이용하여 상기 BWRO조(220)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으로서,
    탁도(Turbidity)의 기준값과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설정단계;
    상기 해수(B)의 상기 탁도(Turbidity)가 상기 기준값 미만이고, 상기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가 상기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지표수(A)를 상기 제1정수부(L1)를 이용하여 정수하는 L1정수단계;
    상기 해수(B)를 상기 제3유로(P3)를 통해 상기 필터조(100)에서 수처리하는 필터조정수단계;
    상기 필터조정수단계 이후 상기 필터조유로(P6)를 이용하여 상기 해수(B)를 상기 BWRO조(220)로 이송하고, 처리하는 BW정수단계;
    상기 L1정수단계 및 상기 BW정수단계에서 수처리된 처리수를 상기 소독조(50)로 이송하여 처리하는 소독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40) 처리 이후 상기 처리수를 SW유로(P4)를 이용하여 상기 SWRO조(210)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40)에서 처리된 상기 처리수를 BW유로(P5)를 이용하여 상기 BWRO조(220)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방법.
  7. 제 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탁도(Turbidity)의 기준값은 5~15 NTU이고, 상기 TDS(Total Dissolved Solid, 총용존고형물질)의 기준값은 800~1200mg/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방법.
KR1020180015831A 2018-02-08 2018-02-08 지표수와 해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991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831A KR101991868B1 (ko) 2018-02-08 2018-02-08 지표수와 해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831A KR101991868B1 (ko) 2018-02-08 2018-02-08 지표수와 해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023A Division KR20170118360A (ko) 2016-04-15 2016-04-15 지표수와 해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029A KR20180019029A (ko) 2018-02-22
KR101991868B1 true KR101991868B1 (ko) 2019-06-21

Family

ID=6138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831A KR101991868B1 (ko) 2018-02-08 2018-02-08 지표수와 해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8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723B1 (ko) * 2020-11-04 2022-07-21 주식회사 미드니 수질 성상에 대응하여 운전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정수처리장치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정수처리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530B1 (ko) 2003-08-07 2006-02-20 주식회사 신우엔지니어링 다층구조식 침전지
KR101210872B1 (ko) 2012-05-31 2012-12-1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수질 변동에 적용가능한 막여과 정수장치
WO2013125373A1 (ja) 2012-02-21 2013-08-29 東レ株式会社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KR101360018B1 (ko) 2013-03-12 2014-02-12 재단법인 한국계면공학연구소 해안, 도서 지역을 위한 수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101507020B1 (ko) 2014-03-11 2015-04-0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복수의 취수처리부를 포함하는 해수 담수화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530B1 (ko) 2003-08-07 2006-02-20 주식회사 신우엔지니어링 다층구조식 침전지
WO2013125373A1 (ja) 2012-02-21 2013-08-29 東レ株式会社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KR101210872B1 (ko) 2012-05-31 2012-12-1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수질 변동에 적용가능한 막여과 정수장치
KR101360018B1 (ko) 2013-03-12 2014-02-12 재단법인 한국계면공학연구소 해안, 도서 지역을 위한 수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101507020B1 (ko) 2014-03-11 2015-04-0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복수의 취수처리부를 포함하는 해수 담수화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029A (ko)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2330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кислотных сточных вод
KR101447838B1 (ko) 역삼투압막을 이용한 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A2838892A1 (en) System for purifying polluted water and purification method
US20160030891A1 (en) Single-stage water treatment system
JP6210063B2 (ja) 造水方法および造水装置
Mijatović et al. Removal of natural organic matter by ultrafiltration and nanofiltration for drinking water production
KR101791207B1 (ko) 워터블랜딩을 이용한 해수담수화 시스템
KR101504545B1 (ko) 수질 변화에 대응 가능한 종합 정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356343B1 (ko) 역삼투막을 이용한 하·폐수 재이용 중수처리 시스템
KR101991868B1 (ko) 지표수와 해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20150077086A (ko) 수질측정 수단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KR101834888B1 (ko) 분배관로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Qin et al. Feasibility study for reclamation of a secondary treated sewage effluent mainly from industrial sources using a dual membrane process
KR101796633B1 (ko) 지표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JP5103747B2 (ja)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方法
KR101940412B1 (ko) 고도 후 처리 시스템
KR101507020B1 (ko) 복수의 취수처리부를 포함하는 해수 담수화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96632B1 (ko) 지표수와 해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642379B1 (ko) 다중 취수원을 이용한 먹는물 처리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UA80724C2 (en)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by means of bioreactor of membrane type
KR20170118360A (ko) 지표수와 해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CN112939368A (zh) 一种除盐率高的循环水排污水处理和回用方法
KR20230143763A (ko) 다중 수원의 혼합 원수를 이용한 저에너지 담수화 시스템
WO2013061057A1 (en) Water treatment methods and systems
CN104445774A (zh) 一种废水处理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