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089B1 -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089B1
KR102063089B1 KR1020140090745A KR20140090745A KR102063089B1 KR 102063089 B1 KR102063089 B1 KR 102063089B1 KR 1020140090745 A KR1020140090745 A KR 1020140090745A KR 20140090745 A KR20140090745 A KR 20140090745A KR 102063089 B1 KR102063089 B1 KR 102063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image quality
cloud streaming
entire
streami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0025A (ko
Inventor
이동수
윤홍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0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089B1/ko
Priority to PCT/KR2015/003661 priority patent/WO2016010235A1/ko
Publication of KR20160010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중,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 화질 저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전체 구간 중 화질 저하 구간을 검색하여, 전체 구간을 고정 비트 레이트로 인코딩 후 화질 저하 구간을 추가 인코딩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동시 접속자를 최대로 보장하기 위해 인코딩은 최소로 하면서 일정 수준 이상의 컨텐츠 화질을 유지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YSTEM FOR CLOUD STREAMING SERVICE, METHOD OF IMPROVING CONTENT PICTURE QUALITY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 장치로 제공될 컨텐츠를 인코딩할 때 화질이 저하된 부분을 검색해 추가 인코딩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화질과 스트리밍 속도를 보장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은 개인의 통신 속도를 급격히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통신 속도의 향상은 원격지에 위치한 컴퓨터에 접속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하거나, 원격지 컴퓨터 제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마치 원격지 컴퓨터에 로컬 로그인한 것과 같이 원격지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서버에서 구동시키고 구동화면을 비디오 인코딩(encoding)을 통해 압축하여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는 전송된 비디오를 재생하여 마치 자신의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화면가상화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에서는 동시에 서비스 가능한 사용자의 수를 늘리기 위해, 컨텐츠를 항상 인코딩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 시에만 인코딩하는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이 때, 화질 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고정 비트 레이트(Constant Bit Rate; CBR)가 아니라 가변 비트 레이트(Variable Bit Rate; VBR)을 사용하여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VBR에 비해 CBR의 인코딩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속도가 중요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에서는 VBR 기술이 적합하지 않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1-0047310호, 2011년 5월 9일 공개 (명칭: 비디오 인코딩 장치 및 비디오 인코딩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동시 접속자를 최대로 보장하기 위해 인코딩은 최소로 하면서 일정 수준 이상의 컨텐츠 화질을 유지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VBR 인코딩 기술보다 적은 자원을 사용하면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속도를 유지하고, 화질 저하 없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중,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될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 화질 저하 여부를 판단하는 화질 판단부; 상기 화질 저하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전체 구간 중 화질 저하 구간을 검색하는 구간 검색부; 및 상기 컨텐츠의 전체 구간을 고정 비트 레이트(Constant Bit Rate; CBR)로 인코딩하고,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은 추가 인코딩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화질 판단부는 상기 전체 구간을 상기 고정 비트 레이트로 인코딩하여 상기 전체 구간에 상응하는 구간 검색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구간 검색 데이터 중 화질 노이즈 값이 기설정된 기준 노이즈 값 이상인 구간은 화질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구간 검색부는 상기 전체 구간 중 상기 화질 노이즈 값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노이즈 값 이상인 구간을 상기 화질 저하 구간으로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상기 전체 구간 중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과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을 비교하여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의 화질이 상기 나머지 구간의 화질에 상응하도록 추가 인코딩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상기 화질 저하 구간에 상응하는 상기 노이즈 값에 따라 추가 인코딩 횟수를 계산하고, 상기 추가 인코딩 횟수에 상응하게 상기 추가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상기 추가 인코딩 횟수가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추가 인코딩 횟수를 상기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는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단말 장치에게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속도를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화질 판단부는 상기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모션 벡터 값을 계산하고, 상기 전체 구간 중 상기 모션 벡터 값이 기설정된 기준 벡터 값 이상인 구간은 화질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구간 검색부는 상기 전체 구간 중 상기 모션 벡터 값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벡터 값 이상인 구간을 상기 화질 저하 구간으로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상기 화질 저하 구간에 상응하는 상기 모션 벡터 값에 따라 추가 인코딩 횟수를 계산하고, 상기 추가 인코딩 횟수에 상응하게 상기 추가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중,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될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 화질 저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화질 저하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전체 구간 중 화질 저하 구간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전체 구간을 고정 비트 레이트(Constant Bit Rate; CBR)로 인코딩하고,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은 추가 인코딩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화질 저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구간을 상기 고정 비트 레이트로 인코딩하여 상기 전체 구간에 상응하는 구간 검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간 검색 데이터 중 화질 노이즈 값이 기설정된 기준 노이즈 값 이상인 구간은 화질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화질 저하 구간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구간 중 상기 화질 노이즈 값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노이즈 값 이상인 구간을 상기 화질 저하 구간으로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구간 중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과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을 비교하여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의 화질이 상기 나머지 구간의 화질에 상응하도록 추가 인코딩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화질 저하 구간에 상응하는 상기 노이즈 값에 따라 추가 인코딩 횟수를 계산하고, 상기 추가 인코딩 횟수에 상응하게 상기 추가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가 인코딩 횟수가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추가 인코딩 횟수를 상기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로 결정하고, 상기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는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단말 장치에게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속도를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화질 저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모션 벡터 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 구간 중 상기 모션 벡터 값이 기설정된 기준 벡터 값 이상인 구간은 화질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화질 저하 구간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구간 중 상기 모션 벡터 값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벡터 값 이상인 구간을 상기 화질 저하 구간으로 검색하고,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화질 저하 구간에 상응하는 상기 모션 벡터 값에 따라 추가 인코딩 횟수를 계산하고, 상기 추가 인코딩 횟수에 상응하게 상기 추가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은,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 화질 저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전체 구간 중 화질 저하 구간을 검색하여, 상기 전체 구간을 고정 비트 레이트(Constant Bit Rate; CBR)로 인코딩 후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을 추가 인코딩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을 수신하는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상술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있어서 동시 접속자를 최대로 보장하기 위해 인코딩 횟수를 최소로 하면서 일정 수준 이상의 컨텐츠 화질을 유지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VBR 인코딩 기술보다 적은 자원을 사용하면서 스트리밍 속도를 유지하고, 화질의 저하 없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단말 장치들(120-1, ..., 120-N) 및 네트워크(130)를 포함한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단말 장치들(120-1, ..., 120-N) 중 어느 하나의 요청에 상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을 단말 장치들(120-1, ..., 120-N) 중 어느 하나로 제공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단말 장치들(120-1, ..., 120-N)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인코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컨텐츠를 인코딩 할 때에는 컨텐츠의 화질을 고려하여 화질 저하가 의심되는 구간을 추가 인코딩함으로써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컨텐츠 전체 구간에 대해 화질 저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전체 구간 중 화질 저하 구간을 검색하여, 컨텐츠의 전체 구간을 고정 비트 레이트(Constant Bit Rate; CBR)로 인코딩하고, 화질 저하 구간은 추가 인코딩하여 단말 장치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화질이 저하된 구간이 존재하는 컨텐츠에 대해서, 가변 비트 레이트(Variable Bit Rate; VBR)로 인코딩하지 아니하고, 해당 컨텐츠의 화질 저하 구간만을 추가 인코딩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전체 컨텐츠 내용 중에 화질이 저하된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화질이 저하된 구간이 존재하면 해당 구간에 한번 이상의 추가적인 인코딩을 수행하여, 해당 화질 저하 구간의 화질이 일반적인 다른 구간과 비슷하도록 보정할 수 있다. 이 때, 화질이 저하되지 않은 구간을 불필요하게 인코딩하지 않고, 일정 수준의 화질을 유지하는 정도로만 인코딩을 수행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의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20-1)로부터 요청된 컨텐츠의 A부터 Z까지의 전체 구간 중 A구간과 B구간의 화질이 저하된 경우, 나머지 전체 구간을 고정 비트 레이트로 인코딩을 수행한 뒤, A구간과 B구간만 추가적으로 한번 이상의 인코딩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구간이 B구간보다 화질이 저하된 정도가 심각하다면, A구간을 B구간보다 더 많은 횟수 추가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장치들(120-1, ..., 120-N)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부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단말 장치들(120-1, ..., 120-N)은 각각 통신망에 연결되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로,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 유선 단말, 고정형 단말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 등의 다양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들(120-1, ..., 120-N)은 각각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TV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일 수 있다.
네트워크(13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및 단말 장치들(120-1, ..., 120-N)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130)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130)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단말 장치들(120-1, ..., 120-N) 사이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단말 장치들(120-1, ..., 120-N) 상호간에 사용되는 네트워크와 상이한 것일 수도 있고, 동일한 것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화질 판단부(210), 구간 검색부(220), 제어부(230), 통신부(24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한다.
화질 판단부(21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중,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될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 화질 저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전체 구간을 고정 비트 레이트로 인코딩하여 전체 구간에 상응하는 구간 검색 데이터를 생성하고, 구간 검색 데이터 중 화질 노이즈 값이 기설정된 기준 노이즈 값 이상인 구간은 화질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간 검색 데이터는 고정 비트 레이트로 인코딩 된 컨텐츠의 각 구간마다의 화질 노이즈 값을 기반으로 생성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 때,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모션 벡터 값을 계산하고, 전체 구간 중 모션 벡터 값이 기설정된 기준 벡터 값 이상인 구간은 화질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간 검색부(220)는 화질 저하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컨텐츠의 전체 구간 중 화질 저하 구간을 검색한다.
이 때, 전체 구간 중 화질 노이즈 값이 기설정된 기준 노이즈 값 이상인 구간을 화질 저하 구간으로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전체 구간 중 모션 벡터 값이 기설정된 기준 벡터 값 이상인 구간을 화질 저하 구간으로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의 전체 구간을 일정한 비율에 따라 하나 이상의 구간으로 분류하고, 하나 이상의 구간마다 상응하는 노이즈 값 및 모션 벡터 값을 각각 기설정된 기준 노이즈 값 및 기설정된 기준 벡터 값과 비교하여 화질 저하 구간을 검색할 수 있다. 전체 구간을 분류하는 비율은 컨텐츠의 종류나 데이터 크기에 따라서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기준 노이즈 값과 기설정된 기준 벡터 값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와 사용자의 단말 장치간의 데이터 송수신 속도나 네트워크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컨텐츠의 전체 구간을 고정 비트 레이트로 인코딩하고, 화질 저하 구간은 추가 인코딩하여 단말 장치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서 CBR 인코딩을 수행한 뒤, 화질 개선이 필요한 하나 이상의 화질 저하 구간에 대해서 추가로 인코딩을 한번 이상 수행하여 해당 구간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화질 저하 구간에서 인코딩을 한번 이상 중복하여 수행함으로써, 화질 저하 구간에 상응하는 컨텐츠의 프레임 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어 화질 개선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전체 구간 중 화질 저하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과 화질 저하 구간을 비교하여, 화질 저하 구간의 화질이 나머지 구간의 화질에 상응하도록 추가 인코딩할 수 있다.
이 때, 화질 저하 구간에 상응하는 노이즈 값에 따라 추가 인코딩 횟수를 계산하고, 추가 인코딩 횟수에 상응하게 추가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화질 저하 구간에 상응하는 모션 벡터 값에 따라 추가 인코딩 횟수를 계산하고, 추가 인코딩 횟수에 상응하게 추가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의 전체 구간 중 하나 이상의 화질 저하 구간마다 각각 화질 열화 정도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 이상의 화질 저하 구간마다의 노이즈 값 및 모션 벡터 값에 따라 추가로 인코딩하는 횟수를 달리하여 화질 개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추가 인코딩 횟수가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추가 인코딩 횟수를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단말 장치에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속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때, 컨텐츠의 전체 구간 중 화질 저하 구간의 화질 열화 정도가 심각하더라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는데 영향을 줄 만큼의 추가 인코딩을 수행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가 단말 장치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때 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에서 추가 인코딩을 통한 화질 개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단말 장치들과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4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단말 장치가 요청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화면을 단말로 제공한다.
저장부(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25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250)는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는 메모리가 탑재되어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 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은 제어부(310), 통신부(320), 입력부(330), 표시부(340) 및 저장부(350)를 포함한다.
입력부(330)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330)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입력부(330)는 표시부(34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33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33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요청하거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을 제공 받기 위한 입력 신호를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표시부(340)는 단말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340)는 단말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34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34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 표시부(340)는 입력부(33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34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저장부(35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단말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3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31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350)는 단말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요청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통신부(32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32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320)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랜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은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망에 접속하며,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32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통신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요청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을 수신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310)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1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별도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실행과 동시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서비스 이용 요청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단말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중,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될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 화질 저하 여부를 판단한다(S410).
이 때, 전체 구간을 고정 비트 레이트로 인코딩하여 전체 구간에 상응하는 구간 검색 데이터를 생성하고, 구간 검색 데이터 중 화질 노이즈 값이 기설정된 기준 노이즈 값 이상인 구간은 화질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간 검색 데이터는 고정 비트 레이트로 인코딩 된 컨텐츠의 각 구간마다의 화질 노이즈 값을 기반으로 생성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 때,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모션 벡터 값을 계산하고, 전체 구간 중 모션 벡터 값이 기설정된 기준 벡터 값 이상인 구간은 화질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의 처음 부분부터 순차적으로 모션 벡터 값을 계산하면서, 모션 벡터 값이 기설정된 기준 벡터 값 이상인 부분을 화질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은 화질 저하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전체 구간 중 화질 저하 구간을 검색한다(S420).
이 때, 전체 구간 중 화질 노이즈 값이 기설정된 기준 노이즈 값 이상인 구간을 화질 저하 구간으로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전체 구간 중 모션 벡터 값이 기설정된 기준 벡터 값 이상인 구간을 화질 저하 구간으로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의 전체 구간을 일정한 비율에 따라 하나 이상의 구간으로 분류하고, 하나 이상의 구간마다 상응하는 노이즈 값 및 모션 벡터 값을 각각 기설정된 기준 노이즈 값 및 기설정된 기준 벡터 값과 비교하여 화질 저하 구간을 검색할 수 있다. 전체 구간을 분류하는 비율은 컨텐츠의 종류나 데이터 크기에 따라서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기준 노이즈 값과 기설정된 기준 벡터 값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와 사용자의 단말 장치간의 데이터 송수신 속도나 네트워크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은 컨텐츠의 전체 구간을 고정 비트 레이트로 인코딩하고, 화질 저하 구간은 추가 인코딩하여 단말 장치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S430).
예를 들어,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서 CBR 인코딩을 수행한 뒤, 화질 개선이 필요한 하나 이상의 화질 저하 구간에 대해서 추가로 인코딩을 한번 이상 수행하여 해당 구간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화질 저하 구간에서 인코딩을 한번 이상 중복하여 수행함으로써, 화질 저하 구간에 상응하는 컨텐츠의 프레임 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어 화질 개선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전체 구간 중 화질 저하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과 화질 저하 구간을 비교하여, 화질 저하 구간의 화질이 나머지 구간의 화질에 상응하도록 추가 인코딩할 수 있다.
이 때, 화질 저하 구간에 상응하는 노이즈 값에 따라 추가 인코딩 횟수를 계산하고, 추가 인코딩 횟수에 상응하게 추가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화질 저하 구간에 상응하는 모션 벡터 값에 따라 추가 인코딩 횟수를 계산하고, 추가 인코딩 횟수에 상응하게 추가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의 전체 구간 중 하나 이상의 화질 저하 구간마다 각각 화질 열화 정도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 이상의 화질 저하 구간마다의 노이즈 값 및 모션 벡터 값에 따라 추가로 인코딩하는 횟수를 달리하여 화질 개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추가 인코딩 횟수가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추가 인코딩 횟수를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단말 장치에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속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때, 컨텐츠의 전체 구간 중 화질 저하 구간의 화질 열화 정도가 심각하더라고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는데 영향을 줄 만큼의 추가 인코딩을 수행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단말 장치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때 영향을 주지 않은 정도에서 추가 인코딩을 통한 화질 개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는 먼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다(S510).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서비스 요청에 상응하게 단말 장치로 전송될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 화질 저하 여부를 판단한다(S515).
단계(S515)의 판단 결과 컨텐츠에 화질이 저하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 CBR 인코딩을 수행하고(S520), 컨텐츠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전달한다(S570).
단계(S515)의 판단 결과 컨텐츠의 화질이 저하된 부분이 존재하면, 컨텐츠의 전체 구간 중 화질 저하 구간을 검색한다(S530).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화질 저하 구간에 상응하는 노이즈 값 및 모션 벡터 값에 따라 화질 저하 구간을 추가 인코딩할 횟수를 계산한다(S540).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계산한 추가 인코딩 횟수와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를 비교한다(S545).
단계(S545)의 비교 결과 추가 인코딩 횟수가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보다 많으면, 추가 인코딩 횟수를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와 동일하기 결정하고(S550),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 CBR 인코딩을 수행하고 화질 저하 구간에 대해서 추가 인코딩 횟수에 상응하게 추가 인코딩을 수행한다(S560).
단계(S545)의 비교 결과 추가 인코딩 횟수가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보다 작거나 같으면,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 CBR 인코딩을 수행하고 화질 저하 구간에 대해서 추가 인코딩 횟수에 상응하게 추가 인코딩을 수행한다(S560).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단계들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순서, 그 역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일정 수준이상의 컨텐츠 화질과 스트리밍 속도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서비스의 속도를 향상시키고 최대 동접자 수를 늘리기 위해 하드웨어를 구매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110: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20-1~ 120-N: 단말
130: 네트워크 210: 화질 판단부
220: 구간 검색부 230: 제어부
240: 통신부 250: 저장부
310: 제어부 320: 통신부
330: 입력부 340: 표시부
350: 저장부

Claims (20)

  1.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중,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될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 화질 저하 여부를 판단하는 화질 판단부;
    상기 화질 저하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전체 구간 중 화질 저하 구간을 검색하는 구간 검색부; 및
    상기 컨텐츠의 전체 구간을 고정 비트 레이트(Constant Bit Rate; CBR)로 인코딩하고,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은 추가 인코딩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 구간 중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과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을 비교하여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의 화질이 상기 나머지 구간의 화질에 상응하도록 추가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질 판단부는
    상기 전체 구간을 상기 고정 비트 레이트로 인코딩하여 상기 전체 구간에 상응하는 구간 검색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구간 검색 데이터 중 화질 노이즈 값이 기설정된 기준 노이즈 값 이상인 구간은 화질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간 검색부는
    상기 전체 구간 중 상기 화질 노이즈 값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노이즈 값 이상인 구간을 상기 화질 저하 구간으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4. 삭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질 저하 구간에 상응하는 상기 노이즈 값에 따라 추가 인코딩 횟수를 계산하고, 상기 추가 인코딩 횟수에 상응하게 상기 추가 인코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 인코딩 횟수가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추가 인코딩 횟수를 상기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는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단말 장치에게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속도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질 판단부는
    상기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모션 벡터 값을 계산하고, 상기 전체 구간 중 상기 모션 벡터 값이 기설정된 기준 벡터 값 이상인 구간은 화질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간 검색부는
    상기 전체 구간 중 상기 모션 벡터 값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벡터 값 이상인 구간을 상기 화질 저하 구간으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질 저하 구간에 상응하는 상기 모션 벡터 값에 따라 추가 인코딩 횟수를 계산하고, 상기 추가 인코딩 횟수에 상응하게 상기 추가 인코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1.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중,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될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 화질 저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화질 저하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전체 구간 중 화질 저하 구간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전체 구간을 고정 비트 레이트(Constant Bit Rate; CBR)로 인코딩하고,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은 추가 인코딩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구간 중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과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을 비교하여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의 화질이 상기 나머지 구간의 화질에 상응하도록 추가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화질 저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구간을 상기 고정 비트 레이트로 인코딩하여 상기 전체 구간에 상응하는 구간 검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간 검색 데이터 중 화질 노이즈 값이 기설정된 기준 노이즈 값 이상인 구간은 화질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구간 중 상기 화질 노이즈 값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노이즈 값 이상인 구간을 상기 화질 저하 구간으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14. 삭제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화질 저하 구간에 상응하는 상기 노이즈 값에 따라 추가 인코딩 횟수를 계산하고, 상기 추가 인코딩 횟수에 상응하게 상기 추가 인코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가 인코딩 횟수가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추가 인코딩 횟수를 상기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로 결정하고,
    상기 기설정된 인코딩 횟수는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단말 장치에게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속도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화질 저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모션 벡터 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 구간 중 상기 모션 벡터 값이 기설정된 기준 벡터 값 이상인 구간은 화질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구간 중 상기 모션 벡터 값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벡터 값 이상인 구간을 상기 화질 저하 구간으로 검색하고,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화질 저하 구간에 상응하는 상기 모션 벡터 값에 따라 추가 인코딩 횟수를 계산하고, 상기 추가 인코딩 횟수에 상응하게 상기 추가 인코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 내지 제13항 및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0.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대해 화질 저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전체 구간 중 화질 저하 구간을 검색하여, 상기 전체 구간을 고정 비트 레이트(Constant Bit Rate; CBR)로 인코딩 후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을 추가 인코딩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화면을 수신하는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전체 구간 중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과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을 비교하여 상기 화질 저하 구간의 화질이 상기 나머지 구간의 화질에 상응하도록 추가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KR1020140090745A 2014-07-18 2014-07-18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63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745A KR102063089B1 (ko) 2014-07-18 2014-07-18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CT/KR2015/003661 WO2016010235A1 (ko) 2014-07-18 2015-04-13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745A KR102063089B1 (ko) 2014-07-18 2014-07-18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025A KR20160010025A (ko) 2016-01-27
KR102063089B1 true KR102063089B1 (ko) 2020-01-07

Family

ID=5507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745A KR102063089B1 (ko) 2014-07-18 2014-07-18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3089B1 (ko)
WO (1) WO201601023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429B1 (ko) 2014-03-20 2014-07-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 아티팩트 기반의 동영상 화질 최적화를 위한 비트레이트 결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505B1 (ko) * 2002-04-03 2004-10-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에서 스트리밍 데이터의 멀티비트 레이트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0751401B1 (ko) * 2005-12-14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호화기의 블록 크기 변환을 위한 변환기 및 그 변환방법
KR101051709B1 (ko) * 2008-12-18 2011-07-25 (주)씨디네트웍스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10047310A (ko)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인코딩 장치 및 비디오 인코딩 방법
KR101641612B1 (ko) * 2010-11-30 2016-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영상처리방법
KR101840008B1 (ko) * 2011-06-24 2018-05-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고화질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GB2505486B (en) * 2012-08-31 2016-0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reaming medi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429B1 (ko) 2014-03-20 2014-07-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 아티팩트 기반의 동영상 화질 최적화를 위한 비트레이트 결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10235A1 (ko) 2016-01-21
KR20160010025A (ko)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670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프로세스 단축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55012B1 (ko) 컨텐츠 공유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단말기
US10021162B2 (en) Cloud stream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oud streaming service
KR102247886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 타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49891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자원 상황 기반 프레임 레이트 조절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6308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31827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알파 레벨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4269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공통 캐시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7314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변화 영역의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63093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메모리 병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데이터 압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93929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동시 인코딩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124076A (ko) 최소 구동 모드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15566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와 텍스트의 분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13531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동일 세션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08293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파일의 화질 정보에 따른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138121A (ko) 부분 마스킹 기반의 효율적 캐시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73143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스틸 이미지 기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94677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102313530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617491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인코딩 장치 및 방법
KR102053159B1 (ko)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6828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94746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추가 인코딩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20150575A1 (en) Synched multimedia nested control device
KR102425277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자가 오류 검증을 위한 테스트 화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