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159B1 -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159B1
KR102053159B1 KR1020180074299A KR20180074299A KR102053159B1 KR 102053159 B1 KR102053159 B1 KR 102053159B1 KR 1020180074299 A KR1020180074299 A KR 1020180074299A KR 20180074299 A KR20180074299 A KR 20180074299A KR 102053159 B1 KR102053159 B1 KR 102053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lution
browser
cloud streaming
image
global cach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4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3Cache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고려하여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설정하고, 브라우저가 원해상도보다 낮은 수준의 저해상도로 실행되는 경우, 글로벌 캐시를 통해 저해상도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품질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서버 자원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ETHOD FOR CLOUD STREAMING SERVICE USING SCALABLE CACHE IMAGE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글로벌 캐시에 일정 수준의 인코딩 이미지가 저장되는 경우에 브라우저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을 저해상도로 실행시킴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클라우드 스트리밍은 어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행시키되, 실행화면을 비디오 인코딩(Encoding)으로 압축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마치 자신의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한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동일한 UI 화면을 제공받아 볼 확률이 높을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화면에 대해 비디오 인코딩이 반복되는 비효율적 상황을 방지하게 위해 다수의 클라우드 브라우저들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글로벌 캐시(Global Cache)를 이용하는 기술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캐시를 통해 인코딩 코스트(Encoding Cost)를 줄임으로서 CPU 이용율 자원은 여유있지만, 메모리 자원의 제약으로 인해 동시에 구동 가능한 세션에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고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6-0131832호, 2016년 11월 16일 공개 (명칭: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리시프로컬 캐시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제한된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스 스트리밍 서비스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CPU 자원뿐만 아니라 메모리 자원도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동시에 구동 가능한 세션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품질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서버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브라우저의 해상도 설정을 글로벌 캐시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행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 자원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고려하여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브라우저가 원해상도보다 낮은 수준의 저해상도로 실행되는 경우, 상기 글로벌 캐시를 통해 상기 저해상도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브라우저는 상기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이 기준 저장량 미만일 경우에 원해상도로 실행되고, 상기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이 기준 저장량 이상일 경우에 저해상도로 실행될 수 있다.
이 때, 기준 저장량은 상기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상기 글로벌 캐시를 통해 제공 가능한 화면에 상응하는 비율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기준 저장량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개수가 많을수록 크게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개수가 적을수록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인코딩이 수행되는 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에 대해 원해상도 해시값과 저해상도 해시값을 산출하고, 상기 원해상도 이미지, 원해상도 해시값 및 저해상도 해시값을 상기 글로벌 캐시에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상기 글로벌 캐시에 상기 원해상도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원해상도로 스케일 업(SCALE UP)시켜서 실행하고, 원해상도로 실행되는 브라우저의 실행화면을 인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글로벌 캐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해시값에 상응하는 저해상도 해시값을 검색하고, 상기 저해상도 해시값에 매칭된 원해상도 해시값을 기반으로 상기 원해상도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글로벌 캐시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원해상도 이미지를 상기 저해상도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스케일 다운(SCALE DOWN)시켜서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저해상도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저해상도 해시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고려하여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설정하고, 상기 브라우저가 원해상도보다 낮은 수준의 저해상도로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글로벌 캐시를 통해 상기 저해상도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브라우저에 대한 해상도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 때, 브라우저는 상기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이 기준 저장량 미만일 경우에 원해상도로 실행되고, 상기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이 기준 저장량 이상일 경우에 저해상도로 실행될 수 있다.
이 때, 기준 저장량은 상기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상기 글로벌 캐시를 통해 제공 가능한 화면에 상응하는 비율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기준 저장량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개수가 많을수록 크게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개수가 적을수록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인코딩이 수행되는 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에 대해 원해상도 해시값과 저해상도 해시값을 산출하고, 상기 원해상도 이미지, 원해상도 해시값 및 저해상도 해시값을 상기 글로벌 캐시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글로벌 캐시에 상기 원해상도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원해상도로 스케일 업(SCALE UP)시켜서 실행하고, 원해상도로 실행되는 브라우저의 실행화면을 인코딩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글로벌 캐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해시값에 상응하는 저해상도 해시값을 검색하고, 상기 저해상도 해시값에 매칭된 원해상도 해시값을 기반으로 상기 원해상도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원해상도 이미지를 상기 저해상도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스케일 다운(SCALE DOWN)시켜서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저해상도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저해상도 해시값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제한된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스 스트리밍 서비스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CPU 자원뿐만 아니라 메모리 자원도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동시에 구동 가능한 세션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품질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서버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브라우저의 해상도 설정을 글로벌 캐시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행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 자원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에 따라 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커버하는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글로벌 캐시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클라이언트(120-1~120-N) 및 네트워크(130)를 포함한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로컬 스토리지가 아닌, 인터넷상의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해놓고, 인터넷이 가능한 기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근하여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로부터 요청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가능한 클라이언트의 개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의 성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엔진이 실행되는 시점에 기 정의된 수만큼 클라우드 브라우저를 생성할 수 있는데, 클라우드 브라우저는 HTML, CSS 및 JavaScript등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하여 화면에 렌더링해줄 수 있다.
이 때,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은 웹 페이지의 큰 뼈대를 제공하고, CSS(Cascading Style Sheets)는 색깔이나 글씨체와 같은 디자인 요소를 관리하며, 자바스크립트(Javascritp)는 크로스 플랫폼, 객체지향 스크립트 언어로 웹페이지의 동작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고려하여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설정한다.
이 때, 브라우저는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이 기준 저장량 미만일 경우에 원해상도로 실행되고,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이 기준 저장량 이상일 경우에 저해상도로 실행될 수 있다.
이 때, 기준 저장량은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글로벌 캐시를 통해 제공 가능한 화면에 상응하는 비율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기준 저장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개수가 많을수록 크게 설정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개수가 적을수록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브라우저가 원해상도보다 낮은 수준의 저해상도로 실행되는 경우, 글로벌 캐시를 통해 저해상도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를 클라이언트(120-1~120-N)에게 제공한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인코딩이 수행되는 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에 대해 원해상도 해시값과 저해상도 해시값을 산출하고, 원해상도 이미지, 원해상도 해시값 및 저해상도 해시값을 글로벌 캐시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글로벌 캐시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해시값에 상응하는 저해상도 해시값을 검색하고, 저해상도 해시값에 매칭된 원해상도 해시값을 기반으로 원해상도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원해상도 이미지를 저해상도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스케일 다운시켜서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저해상도 이미지를 기반으로 저해상도 해시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글로벌 캐시에 원해상도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원해상도로 스케일 업(Scale Up)시켜서 실행하고, 원해상도로 실행되는 브라우저의 실행화면을 인코딩할 수 있다.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요청하고,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부터 요청에 따른 실행화면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치 요청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동영상이나 어플리케이션이 클라이언트에 상응하는 단말에서 실행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은 통신망에 연결되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통신 가능한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 유선 단말, 고정형 단말, 이동통신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 등의 다양한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120)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d),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TV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일 수도 있다.
또한,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은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의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의 입력부는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의 표시부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의 입력부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의 표시부는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의 표시부는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의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의 표시부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의 표시부는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의 입력부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의 저장부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장치 및 보조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의 저장부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은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의 통신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네트워크(13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120)의 통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의 통신부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은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의 제어부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실행과 동시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서비스 이용 요청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복수개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의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13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복수의 클라이언트들(120-1~120-N))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제한된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스 스트리밍 서비스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CPU 자원뿐만 아니라 메모리 자원도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동시에 구동 가능한 세션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품질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서버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브라우저의 해상도 설정을 글로벌 캐시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행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 자원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고려하여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설정한다(S210).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로컬 스토리지가 아닌,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해놓고, 인터넷이 가능한 기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근하여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엔진의 실행을 기반으로 로드되는 브라우저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이 때, 브라우저는 웹 엔진을 실행시킴으로써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고,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실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을 바탕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요청하고,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요청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치 요청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동영상이나 어플리케이션이 클라이언트에 상응하는 단말에서 실행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은 브라우저에서의 인코딩(Encoding)을 통해 이미지의 형태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동시에 많은 수의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의 부하가 집중되어 서비스가 원활하게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에서 브라우저들이 인코딩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는 글로벌 캐시를 구비하고, 한번 인코딩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해 다시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글로벌 캐시에서 해당 요청에 따른 인코딩 이미지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웹 어플리케이션의 UI 화면을 가상화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하는 경우, 동일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300)을 볼 확률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들이 동일하게 볼 확률이 높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인코딩한 이미지를 글로벌 캐시에 저장해 두고, 해당 화면에 대한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에 글로벌 캐시에서 인코딩 이미지를 찾아 제공할 수 있다. 즉, 인코딩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이미지를 검색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그만큼 서버의 작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글로벌 캐시를 이용하여 인코딩 횟수를 감소시킴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메모리 자원 제약으로 인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동시에 구동 가능한 세션에는 한계가 발생하게 된다. 즉, 메모리 자원이 부족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또는 클라이언트의 수에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 이용율 감소는 물론이거니와 메모리 자원까지 절약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때,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내의 브라우저에서의 인코딩을 통해 생성된 인코딩 이미지에 대한 저장량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은 글로벌 캐시의 저장 용량을 고려하여 판단될 수 있고,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개수를 고려하여 판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글로벌 캐시의 저장 용량을 고려하여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판단하는 경우, 글로벌 캐시에 아무것도 저장되지 않은 상태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0%로 판단하고, 글로벌 캐시가 가득찬 상태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100%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개수를 고려하여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판단하는 경우, 글로벌 캐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하나도 저장되지 않은 상태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0%로 판단하고, 글로벌 캐시에 모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이 저장된 상태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100%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 때, 브라우저는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이 기준 저장량 미만일 경우에 원해상도로 실행되고,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이 기준 저장량 이상일 경우에 저해상도로 실행될 수 있다.
즉,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인코딩 이미지가 적어서 글로벌 캐시의 활용성은 낮고 브라우저에서 인코딩을 수행할 가능성은 높은 경우, 브라우저를 원해상도로 실행함으로써 인코딩 이미지의 화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글로벌 캐시에 인코딩 이미지가 충분히 저장되어 있어서 글로벌 캐시의 활용성이 높은 경우에는 그만큼 브라우저에서 인코딩을 수행할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브라우저를 저해상도로 실행시킴으로써 브라우저를 원해상도 또는 고해상도로 실행시킬 때보다 메모리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저장량은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글로벌 캐시를 통해 제공 가능한 화면에 상응하는 비율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조하면, 그래프의 X축은 글로벌 캐시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나타내고, 그래프의 Y축은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인코딩 이미지를 통해 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커버되는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글로벌 캐시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410)이 약 15%일 경우에 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글로벌 캐시를 통해 제공 가능한 화면의 비율에 해당하는 이미지 커버량(420)은 약 70%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비율 그래프(400)를 참고하면, 이미지 저장량이 감소할수록 이미지 커버량도 감소하고, 이미지 저장량이 증가할수록 이미지 커버량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비율 그래프(400)에서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변경하기 위한 적정 지점을 설정하고, 설정된 지점에 해당하는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기준 저장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적정 수준에서 이미지 커버량을 먼저 설정하고, 비율 그래프(400)에서 이미 설정된 이미지 커버량을 산출하기 위한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찾아 기준 저장량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 때, 기준 저장량은 특정한 값으로 한정되지 않고,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관리자 또는 개발자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저장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개수가 많을수록 크게 설정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개수가 적을수록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개수가 10개인 웹 어플리케이션 A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개수가 100개인 웹 어플리케이션 B가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만약, 웹 어플리케이션 A와 웹 어플리케이션 B에 대해 글로벌 캐시에 대한 동일한 기준 저장량을 적용하여 본 발명과 같이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경우, 웹 어플리케이션 B를 실행할 때보다 웹 어플리케이션 A를 실행할 때의 자원 효율이 높을 수 있다.
즉, 웹 어플리케이션 A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브라우저를 저해상도로 실행하여도 글로벌 캐시의 사용율이 높아 실제로 브라우저에서 인코딩을 수행하는 횟수가 웹 어플리케이션 B를 실행할 때보다 적을 수 있다. 그러나, 웹 어플리케이션 B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브라우저를 저해상도로 실행하다가 다시 브라우저를 원해상도로 실행하여 인코딩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웹 어플리케이션 A를 실행할 때보다 자원 사용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 자원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개수에 따라 기준 저장량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브라우저가 원해상도보다 낮은 수준의 저해상도로 실행되는 경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글로벌 캐시를 통해 저해상도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S220).
이 때, 저해상도에 상응하는 해상도 수준은 서버 관리자 또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자유롭게 변경될 수도 있다.
이 때, 저해상도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은 원해상도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보다 해상도가 낮기 때문에 실제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인코딩 이미지는 브라우저가 원해상도로 실행될 때 인코딩된 원해상도 이미지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글로벌 캐시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해시값에 상응하는 저해상도 해시값을 검색하고, 저해상도 해시값에 매칭된 원해상도 해시값을 기반으로 원해상도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해시값은 저해상도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해 산출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글로벌 캐시에서 해시값에 상응하는 저해상도 해시값이 검색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저해상도 해시값에 매칭된 원해상도 해시값을 이용하여 원해상도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글로벌 캐시 내에 저해상도 해시 리스트를 구비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해시값이 저해상도 해시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검색할 수도 있다.
또한, 브라우저가 원해상도로 실행되었다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해시값도 원해상도에 상응하게 산출된 것이므로, 글로벌 캐시에서 해시값에 상응하는 원해상도 이미지를 바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인코딩이 수행되는 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에 대해 원해상도 해시값과 저해상도 해시값을 산출하고, 원해상도 이미지, 원해상도 해시값 및 저해상도 해시값을 글로벌 캐시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원해상도 이미지를 저해상도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스케일 다운(Scale Down)시켜서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저해상도 이미지를 기반으로 저해상도 해시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인코딩은 브라우저가 원해상도로 실행되는 경우에 수행되므로, 인코딩을 통해 생성되는 인코딩 이미지는 원해상도 이미지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브라우저가 저해상도로 실행되었을 경우에 글로벌 캐시에서 이에 대응하는 원해상도 이미지를 검색 가능하도록, 원해상도 이미지에 매칭되는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한 뒤 이에 대해 산출된 해시값을 원해상도 이미지에 대한 원해상도 해시값과 매칭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저해상도 이미지는 브라우저에 대한 저해상도 수준과 동일하게 스케일 다운되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우저가 원해상도로 실행될 경우의 해상도가 1280 X 720에 상응하고, 브라우저가 저해상도로 실행될 경우의 해상도가 960 X 540에 상응한다고 가정한다면, 1280 X 720에 상응하는 원해상도 이미지도 960 X 540에 상응하게 스케일 다운시켜서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글로벌 캐시에 원해상도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원해상도로 스케일 업(Scale Up)시켜서 실행하고, 원해상도로 실행되는 브라우저의 실행화면을 인코딩할 수 있다.
즉, 인코딩 이미지가 글로벌 캐시에 저장되어 있지 않고, 브라우저는 저해상도로 실행되고 있는 상태일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에게 원해상도의 인코딩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서 브라우저를 다시 원해상도로 스케일 업시킨 이후에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인코딩이 완료되면,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다시 저해상도로 스케일 다운시켜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따른 실행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제한된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스 스트리밍 서비스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CPU 자원뿐만 아니라 메모리 자원도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동시에 구동 가능한 세션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품질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서버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브라우저의 해상도 설정을 글로벌 캐시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행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 자원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글로벌 캐시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글로벌 캐시(510)는 원해상도 브라우저(520)를 통해 인코딩되는 인코딩 이미지(511-1~511-N)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글로벌 캐시에 저장되는 인코딩 이미지(511-1~511-N)는 인코딩 이미지에 대한 원해상도 해시값(HASH)과 함께 저장될 수 있고, 원해상도 해시값(HASH)은 인코딩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스케일 다운시켰을 경우에 상응하는 저해상도 해시값(SCALED HASH)과 매칭될 수 있다.
즉, 글로벌 캐시(510)에는 원해상도로 인코딩된 인코딩 이미지(511-1~511-N), 원해상도 해시값(HASH) 및 저해상도 해시값(SCALED HASH)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코딩 이미지(511-1~511-N)들을 기반으로 생성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해시값들을 이용하여 저해상도 해시 리스트(SCALED HASH LIST)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저해상도 해시 리스트는 특정한 저해상도 해시값에 대한 원해상도의 인코딩 이미지를 검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글로벌 캐시(510)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이 기준 저장량 이상이 되어 브라우저의 해상도가 변경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저해상도 브라우저(530)로 실행될 수 있다.
이 때, 저해상도 브라우저(530)에서는 현재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해시값을 산출할 수 있는데, 현재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은 저해상도 브라우저(530)에서 실행되고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화면이므로 저해상도 해시값이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저해상도 브라우저(530)는 산출된 저해상도 해시값이 저해상도 해시 리스트(SCALED HASH LIST)에 매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글로벌 캐시(510)에서 원해상도의 인코딩 이미지 또는 원해상도의 캐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라우저의 구동 및 동작을 저해상도로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메모리 자원은 절약하면서도 사용자에게는 원래의 해상도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통신부(610), 프로세서(620) 및 메모리(630)를 포함한다.
통신부(610)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610)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따른 실행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고려하여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설정한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로컬 스토리지가 아닌,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해놓고, 인터넷이 가능한 기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근하여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엔진의 실행을 기반으로 로드되는 브라우저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이 때, 브라우저는 웹 엔진을 실행시킴으로써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고,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실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을 바탕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요청하고,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요청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치 요청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동영상이나 어플리케이션이 클라이언트에 상응하는 단말에서 실행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은 브라우저에서의 인코딩(Encoding)을 통해 이미지의 형태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동시에 많은 수의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로의 부하가 집중되어 서비스가 원활하게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에서 브라우저들이 인코딩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는 글로벌 캐시를 구비하고, 한번 인코딩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해 다시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글로벌 캐시에서 해당 요청에 따른 인코딩 이미지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웹 어플리케이션의 UI 화면을 가상화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하는 경우, 동일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300)을 볼 확률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들이 동일하게 볼 확률이 높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인코딩한 이미지를 글로벌 캐시에 저장해 두고, 해당 화면에 대한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에 글로벌 캐시에서 인코딩 이미지를 찾아 제공할 수 있다. 즉, 인코딩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이미지를 검색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그만큼 서버의 작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글로벌 캐시를 이용하여 인코딩 횟수를 감소시킴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메모리 자원 제약으로 인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동시에 구동 가능한 세션에는 한계가 발생하게 된다. 즉, 메모리 자원이 부족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또는 클라이언트의 수에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 이용율 감소는 물론이거니와 메모리 자원까지 절약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때,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내의 브라우저에서의 인코딩을 통해 생성된 인코딩 이미지에 대한 저장량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은 글로벌 캐시의 저장 용량을 고려하여 판단될 수 있고,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개수를 고려하여 판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글로벌 캐시의 저장 용량을 고려하여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판단하는 경우, 글로벌 캐시에 아무것도 저장되지 않은 상태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0%로 판단하고, 글로벌 캐시가 가득찬 상태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100%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개수를 고려하여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판단하는 경우, 글로벌 캐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하나도 저장되지 않은 상태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0%로 판단하고, 글로벌 캐시에 모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이 저장된 상태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100%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 때, 브라우저는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이 기준 저장량 미만일 경우에 원해상도로 실행되고,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이 기준 저장량 이상일 경우에 저해상도로 실행될 수 있다.
즉,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인코딩 이미지가 적어서 글로벌 캐시의 활용성은 낮고 브라우저에서 인코딩을 수행할 가능성은 높은 경우, 브라우저를 원해상도로 실행함으로써 인코딩 이미지의 화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글로벌 캐시에 인코딩 이미지가 충분히 저장되어 있어서 글로벌 캐시의 활용성이 높은 경우에는 그만큼 브라우저에서 인코딩을 수행할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브라우저를 저해상도로 실행시킴으로써 브라우저를 원해상도 또는 고해상도로 실행시킬 때보다 메모리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저장량은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글로벌 캐시를 통해 제공 가능한 화면에 상응하는 비율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조하면, 그래프의 X축은 글로벌 캐시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나타내고, 그래프의 Y축은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인코딩 이미지를 통해 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커버되는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글로벌 캐시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410)이 약 15%일 경우에 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글로벌 캐시를 통해 제공 가능한 화면의 비율에 해당하는 이미지 커버량(420)은 약 70%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비율 그래프(400)를 참고하면, 이미지 저장량이 감소할수록 이미지 커버량도 감소하고, 이미지 저장량이 증가할수록 이미지 커버량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비율 그래프(400)에서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변경하기 위한 적정 지점을 설정하고, 설정된 지점에 해당하는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기준 저장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적정 수준에서 이미지 커버량을 먼저 설정하고, 비율 그래프(400)에서 이미 설정된 이미지 커버량을 산출하기 위한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찾아 기준 저장량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 때, 기준 저장량은 특정한 값으로 한정되지 않고,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관리자 또는 개발자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저장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개수가 많을수록 크게 설정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개수가 적을수록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개수가 10개인 웹 어플리케이션 A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개수가 100개인 웹 어플리케이션 B가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만약, 웹 어플리케이션 A와 웹 어플리케이션 B에 대해 글로벌 캐시에 대한 동일한 기준 저장량을 적용하여 본 발명과 같이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경우, 웹 어플리케이션 B를 실행할 때보다 웹 어플리케이션 A를 실행할 때의 자원 효율이 높을 수 있다.
즉, 웹 어플리케이션 A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브라우저를 저해상도로 실행하여도 글로벌 캐시의 사용율이 높아 실제로 브라우저에서 인코딩을 수행하는 횟수가 웹 어플리케이션 B를 실행할 때보다 적을 수 있다. 그러나, 웹 어플리케이션 B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브라우저를 저해상도로 실행하다가 다시 브라우저를 원해상도로 실행하여 인코딩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웹 어플리케이션 A를 실행할 때보다 자원 사용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 자원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개수에 따라 기준 저장량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20)는 브라우저가 원해상도보다 낮은 수준의 저해상도로 실행되는 경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글로벌 캐시를 통해 저해상도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이 때, 저해상도에 상응하는 해상도 수준은 서버 관리자 또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자유롭게 변경될 수도 있다.
이 때, 저해상도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은 원해상도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보다 해상도가 낮기 때문에 실제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인코딩 이미지는 브라우저가 원해상도로 실행될 때 인코딩된 원해상도 이미지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글로벌 캐시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해시값에 상응하는 저해상도 해시값을 검색하고, 저해상도 해시값에 매칭된 원해상도 해시값을 기반으로 원해상도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해시값은 저해상도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해 산출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글로벌 캐시에서 해시값에 상응하는 저해상도 해시값이 검색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저해상도 해시값에 매칭된 원해상도 해시값을 이용하여 원해상도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브라우저가 원해상도로 실행되었다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해시값도 원해상도에 상응하게 산출된 것이므로, 글로벌 캐시에서 해시값에 상응하는 원해상도 이미지를 바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2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인코딩이 수행되는 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에 대해 원해상도 해시값과 저해상도 해시값을 산출하고, 원해상도 이미지, 원해상도 해시값 및 저해상도 해시값을 글로벌 캐시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원해상도 이미지를 저해상도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스케일 다운(Scale Down)시켜서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저해상도 이미지를 기반으로 저해상도 해시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인코딩은 브라우저가 원해상도로 실행되는 경우에 수행되므로, 인코딩을 통해 생성되는 인코딩 이미지는 원해상도 이미지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브라우저가 저해상도로 실행되었을 경우에 글로벌 캐시에서 이에 대응하는 원해상도 이미지를 검색 가능하도록, 원해상도 이미지에 매칭되는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한 뒤 이에 대해 산출된 해시값을 원해상도 이미지에 대한 원해상도 해시값과 매칭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저해상도 이미지는 브라우저에 대한 저해상도 수준과 동일하게 스케일 다운되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우저가 원해상도로 실행될 경우의 해상도가 1280 X 720에 상응하고, 브라우저가 저해상도로 실행될 경우의 해상도가 960 X 540에 상응한다고 가정한다면, 1280 X 720에 상응하는 원해상도 이미지도 960 X 540에 상응하게 스케일 다운시켜서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20)는 글로벌 캐시에 원해상도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원해상도로 스케일 업(Scale Up)시켜서 실행하고, 원해상도로 실행되는 브라우저의 실행화면을 인코딩할 수 있다.
즉, 인코딩 이미지가 글로벌 캐시에 저장되어 있지 않고, 브라우저는 저해상도로 실행되고 있는 상태일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에게 원해상도의 인코딩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서 브라우저를 다시 원해상도로 스케일 업시킨 이후에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인코딩이 완료되면,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다시 저해상도로 스케일 다운시켜서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630)는 브라우저에 대한 해상도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브라우저가 원해상도로 실행되는 경우에 상응하는 해상도 값과 브라우저가 저해상도로 실행되는 경우에 상응하는 해상도 값을 각각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630)는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메모리가 탑재되어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에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를 이용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제한된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스 스트리밍 서비스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CPU 자원뿐만 아니라 메모리 자원도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동시에 구동 가능한 세션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품질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서버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브라우저의 해상도 설정을 글로벌 캐시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행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내 자원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은 먼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실행되면(S702), 글로벌 캐시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이 기준 저장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04).
이 때,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내의 브라우저에서의 인코딩을 통해 생성된 인코딩 이미지에 대한 저장량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저장량은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글로벌 캐시를 통해 제공 가능한 화면에 상응하는 비율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단계(S704)의 판단결과 글로벌 캐시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이 기준 저장량 이상이면,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브라우저를 원해상도로 실행할 수 있다(S706).
이 후,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제공이 요청되는 경우, 현재 브라우저에서 실행되고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가 글로벌 캐시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8).
이 때, 현재 브라우저에서 실행되고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대한 해시값인 원해상도 해시값을 산출하고, 원해상도 해시값에 매칭되는 값이 글로벌 캐시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통해 원해상도 이미지가 글로벌 캐시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S708)의 판단결과 현재 브라우저에서 실행되고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가 글로벌 캐시에 존재하지 않으면, 브라우저에서 인코딩을 수행하여 생성된 인코딩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S710).
이 후, 인코딩 이미지는 글로벌 캐시에 저장될 수 있다(S712).
이 때, 인코딩 이미지는 인코딩 이미지에 대한 원해상도 해시값 및 인코딩 이미지를 스케일 다운시켜서 생성된 저해상도 이미지에 대한 저해상도 해시값과 함께 글로벌 캐시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단계(S708)의 판단결과 현재 브라우저에서 실행되고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가 글로벌 캐시에 존재하면,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원해상도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복수개의 인코딩 이미지들 중 현재 브라우저에서 실행되고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대한 해시값에 상응하는 인코딩 이미지를 검출함으로써 원해상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계(S704)의 판단결과 글로벌 캐시의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이 기준 저장량 이상이 아니면,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브라우저를 저해상도로 실행할 수 있다(S716).
이 때, 저해상도는 원해상도보다 낮은 수준의 해상도에 상응할 수 있으며, 원해상도 및 저해상도에 상응하는 해상도 수준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관리자 또는 개발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제공이 요청되는 경우, 현재 브라우저에서 실행되고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가 글로벌 캐시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18).
이 때, 현재 브라우저에서 실행되고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대한 해시값, 즉 저해상도 해시값을 산출하고, 저해상도 해시값에 매칭되는 값이 저해상도 해시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통해 원해상도 이미지가 글로벌 캐시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S718)의 판단결과 현재 브라우저에서 실행되고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가 글로벌 캐시에 존재하면,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원해상도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S714).
이 때, 글로벌 캐시에서 저해상도 해시값에 매칭되는 원해상도 해시값을 검색하고, 검색된 원해상도 해시값에 상응하는 원해상도 이미지를 검색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계(S718)의 판단결과 현재 브라우저에서 실행되고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가 글로벌 캐시에 존재하지 않으면, 브라우저에서 인코딩을 수행하기 위해 브라우저를 원해상도로 실행할 수 있다(S720).
이 후, 원해상도로 복구된 브라우저에서 인코딩을 수행하여 생성된 인코딩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서비스를 처리하고(S722), 인코딩 이미지는 글로벌 캐시에 저장될 수 있다(S724).
이 때, 단계(S712)의 처리과정과 동일하게, 인코딩 이미지는 인코딩 이미지에 대한 원해상도 해시값 및 인코딩 이미지를 스케일 다운시켜서 생성된 저해상도 이미지에 대한 저해상도 해시값과 함께 글로벌 캐시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고려하여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설정하고, 브라우저가 원해상도보다 낮은 수준의 저해상도로 실행되는 경우, 글로벌 캐시를 통해 저해상도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서버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별도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보다 많은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110: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20-1~120-N: 클라이언트
130: 네트워크 300: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400: 비율 그래프 410: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
420: 이미지 커버량 510: 글로벌 캐시
511-1~511-N: 인코딩 이미지 520: 원해상도 브라우저
530: 저해상도 브라우저 610: 통신부
620: 프로세서 630: 메모리

Claims (10)

  1.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고려하여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브라우저가 원해상도보다 낮은 수준의 저해상도로 실행되는 경우, 상기 글로벌 캐시를 통해 상기 저해상도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우저는
    상기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이 기준 저장량 미만일 경우에 원해상도로 실행되고, 상기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이 기준 저장량 이상일 경우에 저해상도로 실행되고,
    상기 기준 저장량은
    상기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상기 글로벌 캐시를 통해 제공 가능한 화면에 상응하는 비율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저장량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개수가 많을수록 크게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개수가 적을수록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인코딩이 수행되는 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에 대해 원해상도 해시값과 저해상도 해시값을 산출하고, 상기 원해상도 이미지, 원해상도 해시값 및 저해상도 해시값을 상기 글로벌 캐시에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상기 글로벌 캐시에 상기 원해상도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원해상도로 스케일 업(SCALE UP)시켜서 실행하고, 원해상도로 실행되는 브라우저의 실행화면을 인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글로벌 캐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해시값에 상응하는 저해상도 해시값을 검색하고, 상기 저해상도 해시값에 매칭된 원해상도 해시값을 기반으로 상기 원해상도 이미지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캐시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원해상도 이미지를 상기 저해상도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스케일 다운(SCALE DOWN)시켜서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저해상도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저해상도 해시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9. 글로벌 캐시에 저장된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을 고려하여 브라우저의 해상도를 설정하고, 상기 브라우저가 원해상도보다 낮은 수준의 저해상도로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글로벌 캐시를 통해 상기 저해상도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원해상도 이미지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브라우저에 대한 해상도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우저는
    상기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이 기준 저장량 미만일 경우에 원해상도로 실행되고, 상기 인코딩 이미지 저장량이 기준 저장량 이상일 경우에 저해상도로 실행되고,
    상기 기준 저장량은
    상기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상기 글로벌 캐시를 통해 제공 가능한 화면에 상응하는 비율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0. 삭제
KR1020180074299A 2018-06-27 2018-06-27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53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299A KR102053159B1 (ko) 2018-06-27 2018-06-27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299A KR102053159B1 (ko) 2018-06-27 2018-06-27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159B1 true KR102053159B1 (ko) 2019-12-06

Family

ID=68836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299A KR102053159B1 (ko) 2018-06-27 2018-06-27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1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216A (ko) * 2015-01-05 2016-07-13 엔트릭스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서비스 품질 조절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31832A (ko) 2015-05-07 2016-11-16 엔트릭스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리시프로컬 캐시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32606A (ko) * 2015-05-11 2016-11-21 엔트릭스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공통 캐시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216A (ko) * 2015-01-05 2016-07-13 엔트릭스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서비스 품질 조절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31832A (ko) 2015-05-07 2016-11-16 엔트릭스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리시프로컬 캐시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32606A (ko) * 2015-05-11 2016-11-21 엔트릭스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공통 캐시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3639B2 (en) Delivery of instructions in host application
US11403117B2 (en) Methods for processing mini program, and related devices
US10091126B2 (en) Cloud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management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128440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voking service in mobile terminal
CN103443763A (zh) 包含对重写虚拟函数的调用的支持的isa桥接
EP2820541A1 (en) Persistent storage of profile data for script compilation
US11809429B2 (en) Method for processing model parameters, and apparatus
US10547711B2 (en) Using off-screen user interface data during remote sessions
KR20110044210A (ko) 컨텍스트 트리거형 배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US20190258736A1 (en) Dynamic Execution of ETL Jobs Without Metadata Repository
KR102053159B1 (ko)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218788B2 (en) High speed communication protocol
KR20190138121A (ko) 부분 마스킹 기반의 효율적 캐시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124076A (ko) 최소 구동 모드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10154785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공통 캐시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50116208A1 (en) Terminal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20160120017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프로세스 단축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34845B1 (ko) 선택적 인코딩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위한 장치
CN110019403B (zh) 一种查询方法及相关装置
CN107707620B (zh) 处理io请求的方法及装置
US20130286050A1 (en) Content auto-fit method and system
US11874890B2 (en) Multi-entry point navigation for user interfaces
KR102034850B1 (ko) 멀티 프레임을 고려한 키 처리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방법
US11635989B2 (en) Systems and methods dynamically routing an event to a component of a hybrid application
CN112333482B (zh) 一种列表的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