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709B1 -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709B1
KR101051709B1 KR1020080129019A KR20080129019A KR101051709B1 KR 101051709 B1 KR101051709 B1 KR 101051709B1 KR 1020080129019 A KR1020080129019 A KR 1020080129019A KR 20080129019 A KR20080129019 A KR 20080129019A KR 101051709 B1 KR101051709 B1 KR 101051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unit time
transmission uni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0470A (ko
Inventor
안상준
이석찬
편용헌
Original Assignee
(주)씨디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디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씨디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080129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709B1/ko
Priority to PCT/KR2009/006749 priority patent/WO2010071303A2/ko
Publication of KR20100070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Abstract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할 데이터의 파일 정보를 독출하여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을 계산하고,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계산하여 계산된 가중치를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에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상태의 변화를 데이터 전송에 반영할 수 있고,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부터의 데이터 요청이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에도 클라이언트로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데이터, 버스트, 비트레이트, CBR, VBR, 헤더, 프레임, 가중치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과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이 동적으로 변화되도록 하면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망의 발달과 함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양한 방법과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전체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전체 전송 시간과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을 계산하여 결정하고 결정된 전체 전송 시간과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에 따라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전체 전송 시간과 전송 단위 시간당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일정하게 하여 전송하는 경우이다.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할 데이터의 인코딩 정보인 비트 레이트가 가변적으로 변화되는 경우 전송 단위 시간당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은 변화하게 된다.
비트 레이트는 전송 단위 시간당 얼마만큼의 데이터를 차지하게 압축할 것인지를 지정하는 단위이며, 또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 비트 레이트는 전송 단위 시간당 처리되는 비트 수를 나타낸다.
데이터 전송시 인코딩된 방식대로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통신망에서의 비트 레이트라는 용어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나타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 300Kbps 또는 1Mbps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통신망의 대역폭을 어느 정도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해야 되는지를 나타내게 되며, 이는 비트 레이트가 높을수록 손실 데이터가 적어 데이터의 질은 높아지나, 압축율은 낮아지며 전송 대역폭은 커지게 되어 전송시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데이터 파일을 인코딩시 비트 레이트의 크기 및/또는 비트 레이트 종류를 선택하여 인코딩을 하게 된다.
이러한 비트 레이트의 종류에는 비트 레이트가 가변적으로 변화되는 경우인 가변 비트 레이트(VBR: Variable Bit Rate)와 비트 레이트가 일정한 고정 비트 레이트(CBR: Constant Bit Rate)로 크게 구분되며, 가변 비트 레이트와 유사한 방법으로 평균 비트 레이트(ABR: Average Bit Rate)가 있으나, 가변 비트 레이트의 범주에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종래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는 비트 레이트가 가변 비트 레이트인 경 우에는 단위 시간당 전송되는 데이터량이 변화함에 비해 고정 비트 레이트인 경우 단위 시간당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일정하게 된다.
도 1에서와 같이 고정 비트 레이트인 경우 전체 전송 시간 t동안 모두 전송된 데이터의 량은 a*t가 되게 된다.
그러나, 도 2에서와 같이 가변 비트 레이트인 경우 전체 전송 시간 t동안 모두 전송된 데이터의 량은 각 전송 단위 시간당으로 전송된 데이터 전송량의 합계가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살펴본 종래의 데이터 전송 방법들은 모두 전송할 데이터의 전체 량에 따라 미리 전체 전송 시간과 각각의 전송 단위 시간당으로 전송될 데이터 양이 계산되고 계산된 전체 전송 시간과 각각의 전송 단위 시간당으로 전송될 데이터 양에 따라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전체 전송 시간과 각각의 전송 단위 시간당으로 전송될 데이터의 양을 결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의 버퍼나 서버의 부하,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대역폭 등 네트워크 상태 정보만 이용하여 계산하게 된다.
그러나 전체 전송 시간과 각각의 전송 단위 시간당으로 전송될 데이터의 양을 결정된 후에도 네트워크의 상황은 변화할 수 있어 이러한 네트워크 상태의 변화를 데이터 전송에 즉각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동영상을 시청하는 도중 통신 연결이 단절되는 경우 클라이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수신된 데이터만이 플레이될 수 있으므로 시청 도중 동영상이 끊기는 현상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앞부분만을 보고 시청 여부를 결정하여 마음에 들지 않을 때에는 동영상 시청을 중단하고, 다른 콘텐츠 보기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전체를 모두 시청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는 동영상의 전체 파일이 사용자의 클라이언트에 다운로드 되거나 사용자가 시청하지 않는 동영상 부분까지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게 되어 결국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부터의 데이터 요청이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서버의 자원을 계속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서버의 부하가 증가되며, 이러한 경우에도 클라이언트로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태의 변화를 데이터 전송에 즉시 반영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그리고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최소화하고, 클라이언트부터의 데이터 요청이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에도 클라이언트로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전송할 데이터의 파일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a); 상기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을 계산하는 단계(b); 상기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c); 및 상기 계산된 가중치를 상기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에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단계(a)에서 상기 파일 정보는 상기 파일의 헤더(header) 크기 정보 및 인코딩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은 상기 데이터의 파일의 전체 크기에서 상기 파일의 헤더 크기를 감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인코딩 정보는 인코딩 방식, 인코딩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인코딩 방식이 가변 비트 레이트(VBR: Variable Bit Rate)인 경우 상기 가중치는 상기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의 편차가 최소로 되도록 계산될 수 있다.
상기 단계(b)와 상기 단계(c)는 데이터 수신단의 버퍼의 크기 및 데이터 수신 단 및 데이터 송신단 사이의 대역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더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단계(c)에서, 상기 가중치는 미리 설정된 최대값 및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계(c)에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전송 단위 시간별로 계산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의 전송은 데이터가 버스트 방식으로 전송되는 버스트 구간과 버스트 방식이 아닌 방식으로 전송되는 속도 제한 구간으로 나누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데이터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전송할 데이터의 파일 정보를 독출하는 파일 정보 독출부; 상기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을 계산하고, 상기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에 적용될 가중치를 계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계산된 가중치를 상기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에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파일 독출부에서 독출하는 상기 파일 정보는 상기 파일의 헤더(header) 크기 정보 및 인코딩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을 상기 데이터의 파일의 전체 크기에서 상기 파일의 헤더 크기를 감하여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인코딩 정보는 인코딩 방식, 인코딩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인코딩 정보가 가변 비트 레이트(VBR: Variable Bit Rate)인 경우 상기 가중치는 상기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의 편차가 최소로 되도록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데이터 수신단의 버퍼의 크기 및 데이터 수신단 및 데이터 송신단 사이의 대역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가중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미리 설정된 최대값 및 최소값에 따라 상기 가중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전송 단위 시간당으로 상기 가중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에서의 데이터 전송은 데이터가 버스트 방식으로 전송되는 버스트 구간과 버스트 방식이 아닌 방식으로 전송되는 속도 제한 구간으로 나누어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전송할 데이터의 파일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a); 상기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을 계산하는 단계(b); 상기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c); 및 상기 계산된 가중치를 상기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에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단계(a)에서 상기 파일 정보는 상기 파일의 헤더(header) 크기 정보 및 인코딩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은 상기 데이터의 파일의 전체 크기에서 상기 파일의 헤더 크기를 감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인코딩 정보는 인코딩 방식, 인코딩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인코딩 방식이 가변 비트 레이트(VBR: Variable Bit Rate)인 경우 상기 가중치는 상기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의 편차가 최소로 되도록 계산될 수 있다.
상기 단계(b)와 상기 단계(c)는 데이터 수신단의 버퍼의 크기 및 데이터 수신단 및 데이터 송신단 사이의 대역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더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단계(c)에서, 상기 가중치는 미리 설정된 최대값 및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계(c)에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전송 단위 시간별로 계산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의 전송은 데이터가 버스트 방식으로 전송되는 버스트 구간과 버스트 방식이 아닌 방식으로 전송되는 속도 제한 구간으로 나누어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네트워크 상태의 변화를 데이터 전송에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최소화하고, 클라이언트부터의 데이터 요청이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에도 클라이언트로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 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데이터의 전송단을 서버, 데이터의 수신단을 클라이언트라 칭하기로 하나,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전송 방법은 클라이언트와 서버뿐만 아니라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이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적용되는 순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적용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먼저 전송할 데이터의 파일 정보를 독출한다(S300).
독출되는 파일 정보에는 파일의 헤더(header) 크기, 인코딩 정보, 파일 크기 그리고 동영상 파일인 경우 파일의 재생 시간, 키 프레임(key frame), 프레임, 프레임 인덱스(frame index) 등의 다양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독출되는 파일 정보 중 인코딩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를 부호화하는 형식을 나타내는 정보로써 인코딩 방식, 인코딩 알고리즘, 프레임당 데이터 크기 등 다양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일의 인코딩(encoding) 정보 중 인코딩 방식은 가변 비트 레이트(VBR: Variable Bit Rate)와 고정 비트 레이트(CBR: Constant Bit Rate)로 구분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인코딩 알고리즘은 정보를 부호화하는데 이용되는 알고리즘에 대한 정보로써 이러한 알고리즘 정보를 이용하여 디코딩 과정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되는 것은 아니다.
키 프레임 정보는 동영상 데이터에서 순서 내의 단일 동작의 시작 프레임과 끝 프레임 등 가장 중심이 되는 프레임에 대한 정보이다.
키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프레임 단위 들 중 가장 앞에 위치하게 되며, 뒤 프레임을 재생하는 데 있어 기준이 되는 프레임으로서 전체 동영상 데이터를 기준으로 판단하면 중간 중간에 기준이 되는 프레임에 해당한다.
프레임 인덱스는 동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의 위치에 대한 색인 정보이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파일 정보들은 바람직하게는 파일 헤더로부터 독출될 수 있으며, 다양한 파일 정보를 독출함으로써 필요한 다른 다양한 정보를 계산해 내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만약 파일의 전체 재생 시간 정보가 파일 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파일의 전체 크기와 인코딩 형식, 프레임 인덱스 정보 등을 이용하여 파일의 전체 재생 시간 정보를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재생 시간 정보의 계산 등은 예시에 불과하며,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시간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정보를 계산하거나 추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할 데이터의 파일에 포함된 정보를 독출하여 독출된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으로 데이터량을 계산하여 결정한다(S302).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의 계산은 전송하여야 할 전체 데이터의 파일 크기와 파일의 인코딩 정보 그리고 클라이언트의 버퍼의 크기,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대역폭 정보와 같은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전송 단위 시간당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는 실제 데이터의 내용을 구성하지 않는 파일의 헤더 크기와 실제 데이터의 내용을 구성하는 본문의 크기를 고려하여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단위 시간당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되는 경우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또한 변화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 전송량의 계산이 종래의 클라 이언트의 버퍼 크기나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대역폭 정보 등의 네트워크 상태 정보만을 고려하여 되는 경우에 비해 본 발명과 같이 파일의 헤더(header) 크기 정보, 인코딩 정보, 파일 크기 정보, 재생 시간 정보, 키 프레임(key frame) 정보 등의 다양한 파일 정보를 더 이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파일의 헤더 크기 정보를 독출하여 전체 파일의 크기에서 본문을 구성하지 않는 파일의 헤더 크기를 빼면 실제 데이터의 내용을 구성하는 본문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본문의 크기 계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면 파일의 인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실제 재생되는 시간을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으며, 만약 프레임의 구성과 관련된 정보까지 독출하여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실제 재생되는 시간의 계산은 더욱 정확하게 계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의 계산 방법은 전송할 데이터를 구성하는 파일의 정보를 미리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아무런 제한이 없다.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과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이 계산되면, 계산된 전체 전송 시간 동안 각각의 전송 단위 시간당으로 계산된 데이터 양의 데이터를 전송한다(S30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304에서의 데이터 전송시 계산된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과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에 따라 무조건적으로 데이 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가중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가중치에 따라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가중치는 전술한 전체 데이터의 전송 시간과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 양을 계산할 때와 같이 독출한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과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 양이 계산되면 종래와 같이 계산된 결과에 따라 무조건적으로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데이터가 전송될 때에도 가중치를 적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중치는 전술한 전송할 파일의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가중치의 계산시에는 파일 정보뿐만 아니라 전술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더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한편, 가중치의 계산과 계산된 가중치를 데이터 전송시에 적용함으로써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은 동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의 예시를 살펴본다.
먼저 도 4와 도 5를 전술한 도 1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도 1과 같은 종래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는 전체 전송 시간(t)과 전송 단위 시간당 전송 데이터량(a)이 계산되어 결정되면 계산된 결과에 따라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도 4와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과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이 계산되더라도 실제 데이터의 전송시에는 전체 전송 시간(t1)과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a1)이 변화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도 1과 같이 전송 시간이 t로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은 a로 계산된 경우라도 전송할 데이터의 파일 정보에 따라 전송 시간과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이 t1과 a1로 변화할 수 있으며, 이는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수행된다.
도 4에서는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은 줄어들고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은 증가한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5는 전체 반대로 데이터 전송 시간은 늘어났지만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은 감소한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과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의 계산 후 네트워크 상태가 좋아졌거나 복수의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요청이 줄어든 경우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줄이고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에 대한 가중치를 증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반대로 도 5는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과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의 계산 후 네트워크 상태가 나빠졌거나 복수의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요청이 증가된 경우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늘리고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에 대한 가중치를 감소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1과 비교하여 전체 데이터 전송량은 t*a=t1*a1으로 같지만, 전체 전송 시 간과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을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할 수 있게 한다.
특히, 가중치를 데이터의 파일 정보를 포함하여 계산하고 계산된 가중치를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 적용함으로써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과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의 동적인 변화가 가능하게 하고 더욱 효율적인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데이터를 버스트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데이터 버스트 전송 방법을 적용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버스트 전송(Burst Mode Transfer)은 비트 레이트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트 레이트는 단위 시간당 출력되는 데이터의 양 즉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버스트 전송(Burst Mode Transfer)은 데이터를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버스트 방식의 데이터 전송은 네트워크의 상태 등에 따라 비트 레이트보다 큰 값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따라서 보다 빠르게 같은 양의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므로 전송 속도의 측면에서 유리하며, 여러 단말 사이에서 통신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의 구성이 복잡해고 연결되는 서버나 클라이언트의 처리 능력 이나 각각의 상태 등이 서로 다르며 네트워크의 상태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므로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버스트 방식으로 전송하기 어렵다.
특히 버스트 전송 방식은 전송 측인 서버의 자원을 계속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수신측인 다른 클라이언트의 추가적인 요청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렵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버스트 방식에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량과 전송 시간의 관계를 그래프를 통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구간1은 버스트 방식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구간으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버스트 구간'이라 칭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구간2는 버스트 방식이 아닌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간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버스트 구간과 대비하여 '속도 제한 구간'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버스트 구간과 속도 제한 구간을 모두 포함하여 전송되는 전체 데이터량은 전술한 도 1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도 1에서 전송한 데이터의 총량 a*t는 결국 버스트 구간의 데이터 전송량인 b*tb와 속도 제한 구간의 데이터 전송량인 c*tc의 합과 같게 된다.
버스트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특히 스트리밍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초기에 버스트 구간을 설정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속도 제한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콘텐츠를 시청함에 있어서 미리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 신하여 클라이언트의 버퍼 등에 저장하여 둠으로써 콘텐츠 시청 도중 데이터의 수신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콘텐츠 시청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는 버스트 구간과 속도 제한 구간 각각에 대해서도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과 가중치를 계산하여 데이터 전송시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6에서 tb와 tc 그리고 b와 c의 값이 계산되는 가중치의 적용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게 되어 버스트 구간과 속도 제한 구간이 변화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비트 레이트 정보가 고정 비트 레이트인 경우 이를 도시한 것이나, 도 2와 같이 비트 레이트 정보가 가변 비트 레이트인 경우에는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이 가변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정보가 가변 비트 레이트인 경우에도 전체 전송 시간과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을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정보가 가변 비트 레이트인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는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정보가 가변 비트 레이트인 경우 인코딩된 정보의 데이터 크기가 데이터량이 변화되어 전송될 수 있으므로 전송하여야 할 데이터량에 급격한 변화가 있는 경우 급격한 데이터량의 변화가 있는 해당 전송 단위 시간 이전의 가중치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가중치의 증가는 가중치 계산이 파일 정보에 포함된 인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됨으로써 적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해당 전송 단위 시간 이전의 가중치를 증가시킴으로써 데이터량이 큰 특정 전송 단위 시간에서 서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부하를 줄여줄 수 있게 된다.
도 2와 도 7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의해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정보가 가변 비트 레이트인 경우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이 급격하게 변화할 수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의하면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정보가 가변 비트 레이트인 경우에도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이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고 비교적 선형을 유지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7에서 전송 단위 시간 t9의 급격하게 증가한 데이터량에 해당하는 부분인 700 및 710 부분을 가중치에 따라 전송 단위 시간 t7과 t8에서 각각 나누어 전송 단위 시간 t7과 t8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증가시켜주는 것이다.
즉,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정보가 가변 비트 레이트인 경우 가중치를 이용하 여 전송 단위 시간당 전송되는 데이터 양의 편차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파일 정보의 이용하지 않거나 이용하는 경우라도 단순히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체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을 계산하여 결정하는 데에만 이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의 파일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을 계산하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전송 단위 시간에서도 독출된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전송할 데이터량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중치를 계산하여 가중치에 따라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게 함에 따라 서버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에서의 전송 단위 시간당 전송되는 데이터량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은 결국 상대적으로 서버의 부하가 고르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도 7의 예시에서 종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이라면 전송 단위 시간이 t9에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요청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서버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 중이므로 만약 추가적으로 발생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신속하게 이를 처리하기 어렵다.
특히 네트워크의 구성이 복잡해지면 복잡해질수록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추가적인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렵게 되며 결국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요소인 안정성과 신속성이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함에 있어서 서버에서의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클라이언트로 효율적으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버의 부하를 고르게 분산하여 결국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데이터의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까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동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동영상 중 앞부분만을 시청하고 동영상 시청을 중단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가 시청한 동영상 앞부분 이상의 크기에 해당하는 동영상 데이터가 클라이언트로 전송되어 저장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송시 적용되는 가중치가 독출된 파일 정보에 따라 변화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가중치를 예를 들면, 최대값과 최소값을 가지도록 설정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내로 조정함으로써 클라이언트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전체 데이터의 전송 시간과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 양을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하고 또한,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가중치를 데이터 전송시에도 적용하여 클라이언트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가중치의 적용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송 단위 시간별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정보가 VBR인 경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전술한 도 6과 같이 버스트 구간과 속 도 제한 구간을 나누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버스트 구간을 구성하는 tb와 b, 그리고 속도 제한 구간을 구성하는 tc와 c를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 계산하고 데이터 전송시에는 전송 시간 단위별로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버스트 구간을 구성하는 tb와 b, 그리고 속도 제한 구간을 구성하는 tc와 c가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특히 사용자가 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를 일부만 시청하는 경우 등에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 User Created Contents)의 경우 대부분의 사용자가 대부분 5초 이내 등 앞부분에서 시청을 중단하는 사례가 많은 경우 버스트 구간에서의 전체 전송 시간(도 6에서 tb)에 대한 가중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클라이언트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데이터 전송시 가중치를 적용하여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과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 양을 제한하는 경우라도 파일의 헤더가 차지하는 데이터 양은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고 우선적으로 데이터 전송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 방식의 경우 빠른 플레이의 시작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파일의 헤더 정보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므로 이는 가중치와 무관하게 먼저 버스트 구간에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6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버스트 구간과 속도 제한 구간으로 나누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예를 들면, 버스트 구간에서 수행된 데이터 전송량과 데이터 전송 시간을 고려하여 다음 구간인 속도 제한 구간의 가중치가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전송하여야 할 데이터의 총량이 100MB이고 버스트 구간에서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의 량이 10MB라고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서는 네트워크 상태와 파일 정보에 따라 다른 값으로 계산되는 가중치에 따라 10MB의 데이터가 모두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속도 제한 구간에서 가중치가 증가되도록 가중치를 계산하여 데이터 전송시 적용함으로써 속도 제한 구간에서의 데이터 전송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계산되는 가중치에 따라 버스트 구간에서 10MB 이상의 데이터가 전송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속도 제한 구간에서 가중치가 감소되도록 가중치를 계산하여 데이터 전송시 적용함으로써 속도 제한 구간에서의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버스트 구간과 속도 제한 구간의 전체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을 계산하고 또한 데이터 전송시 적용되는 가중치를 계산하여 버스트 구간과 속도 제한 구간에 모두 이용함으로써 서버의 효율을 더욱 증가시키고 원하는 데이터의 전송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콘텐츠 보호 방법은 프로그램으 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는 파일 정보 독출부(800), 연산부(810) 및 통신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일 정보 독출부(800)는 전송할 데이터의 파일 정보를 독출한다.
독출되는 파일 정보는 전술할 바와 같이 파일의 헤더(header) 크기 정보, 인코팅 정보, 파일 크기 정보, 재생 시간 정보, 키 프레임(key frame) 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산부(810)는 파일 정보 독출부(800)에서 독출한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데이터의 전송 시간과 전송 단위 시간당 전송할 데이터량을 계산한다.
또한, 연산부(810)는 실제 데이터 전송시 적용되는 가중치를 계산한다.
연산부(810)는 전체 데이터의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전송할 데이터량과 데이터 전송시 적용되는 가중치를 계산함에 있어서 데이터의 파일 정보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의 버 퍼의 크기나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대역폭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통신부(820)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특히 데이터 전송시 연산부(810)에서 계산된 전체 데이터의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에 연산부(810)에서 계산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도 8에서는 미도시 하였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전송 장치에는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전송 장치를 별도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서버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전송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이 설치된 형태로 구현되거나 서버와 연결되는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량과 전송 시간의 관계를 그래프를 통해 예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량과 전송 시간의 관계를 그래프를 통해 예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적용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량과 전송 시간의 관계를 그래프를 통해 예시한 예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량과 전송 시간의 관계를 그래프를 통해 예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버스트 전송 방법에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량과 전송 시간의 관계를 그래프를 통해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량과 전송 시간의 관계를 그래프를 통해 예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Claims (19)

  1.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전송할 데이터의 파일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계산된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에 적용될 가중치를 전송 단위 시간별로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가중치를 상기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에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할 데이터의 파일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파일 정보는 상기 파일의 헤더(header) 크기 정보 및 인코딩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을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은 상기 데이터의 파일의 전체 크기에서 상기 파일의 헤더 크기를 감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정보는 인코딩 방식, 인코딩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계산된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에 적용될 가중치를 전송 단위 시간별로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코딩 방식이 가변 비트 레이트(VBR: Variable Bit Rate)인 경우 상기 가중치는 상기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의 편차가 최소로 되도록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계산된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에 적용될 가중치를 전송 단위 시간별로 계산하는 단계는,
    데이터 수신단의 버퍼의 크기 및 데이터 수신단 및 데이터 송신단 사이의 대역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더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계산된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에 적용될 가중치를 전송 단위 시간별로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중치는 미리 설정된 최대값 및 최소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은 데이터가 버스트 방식으로 전송되는 버스트 구간과 버스트 방식이 아닌 방식으로 전송되는 속도 제한 구간으로 나누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전송할 데이터의 파일 정보를 독출하는 파일 정보 독출부;
    상기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을 계산하고, 상기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에 적용될 가중치를 전송 단위 시간별로 계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계산된 가중치를 상기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에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독출부에서 독출하는 상기 파일 정보는 상기 파일의 헤더(header) 크기 정보 및 인코딩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을 상기 데이터의 파일의 전체 크기에서 상기 파일의 헤더 크기를 감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정보는 인코딩 방식, 인코딩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인코딩 정보가 가변 비트 레이트(VBR: Variable Bit Rate)인 경우 상기 가중치는 상기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의 편차가 최소로 되도록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데이터 수신단의 버퍼의 크기 및 데이터 수신단 및 데이터 송신단 사이의 대역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가중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미리 설정된 최대값 및 최소값에 따라 상기 가중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7. 삭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에서의 데이터 전송은 데이터가 버스트 방식으로 전송되는 버스트 구간과 버스트 방식이 아닌 방식으로 전송되는 속도 제한 구간으로 나누어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9.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전송할 데이터의 파일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계산된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에 적용될 가중치를 전송 단위 시간별로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가중치를 상기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 및 전송 단위 시간당 데이터량에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80129019A 2008-12-18 2008-12-18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051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019A KR101051709B1 (ko) 2008-12-18 2008-12-18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PCT/KR2009/006749 WO2010071303A2 (ko) 2008-12-18 2009-11-17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019A KR101051709B1 (ko) 2008-12-18 2008-12-18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470A KR20100070470A (ko) 2010-06-28
KR101051709B1 true KR101051709B1 (ko) 2011-07-25

Family

ID=4226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019A KR101051709B1 (ko) 2008-12-18 2008-12-18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51709B1 (ko)
WO (1) WO201007130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012B1 (ko) * 2011-05-31 2013-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위성통신환경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63089B1 (ko) * 2014-07-18 2020-01-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22735B1 (ko) * 2016-04-01 2017-04-03 (주)판도라티비 Cdn에서의 가변 비트레이트 콘텐츠 전송 서버 및 방법
CN114760491A (zh) * 2022-04-18 2022-07-15 北京金山云网络技术有限公司 直播数据的传输系统、方法和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6723152B (zh) * 2023-08-11 2023-10-20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智能配电变压器快检装置的数据传输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597A (ko) * 2003-10-31 2005-05-0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브이오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713B1 (ko) * 2002-09-17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장치 및 방법
KR101208520B1 (ko) * 2005-03-12 201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드백 정보 통신 방법
JP4643330B2 (ja) * 2005-03-28 2011-03-0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処理装置、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597A (ko) * 2003-10-31 2005-05-0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브이오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1303A4 (ko) 2010-10-28
WO2010071303A2 (ko) 2010-06-24
KR20100070470A (ko) 2010-06-28
WO2010071303A3 (ko) 201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5289B2 (ja) ビデオエンコーダ及びビデオをエンコードする方法
US102989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quality based streaming
US201903275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Quality Based Streaming
CN108271048B (zh) 一种兼顾吞吐量和视频缓冲的码率自适应调整装置和方法
CN100420250C (zh) 通信设备操作方法、数据呈现方法和设备
KR100999311B1 (ko) 이미지 또는 비디오 프로세싱을 위한 일반화된 기준디코더를 제공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US6185736B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traffic control apparatus, method of managing bandwidth resources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admitting a call, using variable-rate-encoding
EP2364551B1 (en) Multiplexed video streaming
EP2612495B1 (en) Adaptive streaming of video at different quality levels
US20020004840A1 (en) Streaming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same
US200201314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bit rate and cost of delivery of digital data
CN102883152A (zh) 具有适应性的媒体流传输
KR101051709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JP6876131B2 (ja) データバッファリング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記憶媒体
KR20100086178A (ko) 영상 전송 시스템 및 방법
Zahran et al. OSCAR: An optimized stall-cautious adaptive bitrate streaming algorithm for mobile networks
WO2012011490A1 (ja) コンテンツ取得装置、コンテンツ送信装置、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データ構造、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765103B (zh) 在网络上的发送
US20070110168A1 (en) Method for generating high quality, low delay video streaming
Jiang et al. A packet selection algorithm for adaptive transmission of smoothed video over a wireless channel
CN115842928A (zh) 视频码率切换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Laine et al. Network Capacity Estimators Predicting QoE in HTTP Adaptive Streaming
KR100931344B1 (ko) Vod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시스템,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KR101131379B1 (ko) Vbr 비디오 전송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722735B1 (ko) Cdn에서의 가변 비트레이트 콘텐츠 전송 서버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