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143B1 -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143B1
KR102062143B1 KR1020180087495A KR20180087495A KR102062143B1 KR 102062143 B1 KR102062143 B1 KR 102062143B1 KR 1020180087495 A KR1020180087495 A KR 1020180087495A KR 20180087495 A KR20180087495 A KR 20180087495A KR 102062143 B1 KR102062143 B1 KR 102062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ep
ethanol
temperature
ethoxypropionate
high p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순
김주혁
박현정
Original Assignee
(주) 신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디프 filed Critical (주) 신디프
Priority to KR1020180087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08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reacting carboxylic acids or symmetrical anhydrides with the hydroxy or O-metal group of organ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86Processes carried out with a view to control or to change the pH-value; Applications of buffer salts; Neutralisation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4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67/5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in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 C07C67/54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in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4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67/62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 C07C69/67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saturated acids
    • C07C69/708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759Purification of compounds synthesis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개시제 존재하에 에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에탄올로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를 합성한 뒤 반응 생성물로부터 고순도로 EEP를 정제하고, 미반응 에탄올과 에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재생하하여 재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고순도 EEP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순도 EEP의 제조방법은 신속하게 고순도의 EEP 정제가 가능하며 증류공정에서 방출되는 공정용매를 재사용하므로 경제적으로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 {Method for producing high purity Ethyl 3-Ethoxypropionate}
본 발명은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에틸아크릴레이트와 에탄올로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를 합성한 뒤 투과증발막 및 복수개의 정제타워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미반응물을 수거하여 재사용하고 공정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연속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thyl 3-Ethoxypropionate)는 저휘발성 용매로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3-Ethoxypropionic acid ethyl ester) 또는 에틸 베타-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thyl beta-Ethylpropionate)등 다른 이름으로도 불리며, 페인트를 희석(Thinner)하거나 반도체 등 전자부품 생산의 세정공정(Cleaning process)에서 주로 사용된다. 그 중 반도체 장치의 제조공정에서 세정제로써의 사용은 식각 공정에서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며, 포토레지스트를 효과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잔류물이 없어야한다. 따라서 반도체 공정에서의 포토레지스트 세정제는 고순도의 화합물로 구성되어야 한다.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를 합성하는 원료와 공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촉매 존재하에 에틸아크릴레이트 단량체(ethyl acrylate monomer)와 에탄올로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를 합성하는 공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합성반응에서는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뿐 아니라 미반응 상태인 에탄올 및 에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도 중화결과물인 염과 함께 남아있게 된다. 이때 반응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에탄올을 과량 투입하므로 에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에탄올이 잔류하게 된다. 이중 염은 주로 필터를 사용하여 제거하고, 소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 미반응 에탄올은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서 회수하여도 재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하게 된다.
미국 등록특허 US5081285호는 [PRODUCTION OF ETHYL 3-ETHOXYPROPANOATE BY ACID CATALYZED ADDITION OF ETHANOL TO ETHYL ACRYLATE]에 관한 것으로, 에탄올을 에틸 아크릴레이트에 첨가하여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는 에탄올과 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상대적 반응비를 나타낼 뿐 미반응 원료물질의 회수에 관한 방법은 제시되지 않았다. 반응잔류물을 단순히 재생하기 위해 물이 많이 포함된 에탄올을 반응기에 재투입하면 에탄올에 포함된 물이 반응기 내의 촉매, 반응 개시제 등을 비활성화 시키기 때문에 단순히 폐기하는 경우가 많아, 에탄올의 낭비가 많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고순도의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를 낮은 공정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이 요구된다.
미국 등록특허 5081285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5개의 정제타워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고순도의 EEP를 정제하고, 미반응물인 에탄올 중 수분을 투과증발막 시스템으로 탈수하여 EEP 합성반응에 재사용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의 연속식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 제조공정에서 고순도로 EEP를 제조하면서 미반응물은 회수하여 재사용하고 제조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연속식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합성반응기에서 물이 포함된 에탄올(Ethanol)과 에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ethyl acrylate monomer, EAM)를 1.2:1 내지 2:1 몰비로 혼합하고, 반응개시제를 EAM 1 중량부 대비 0.2 내지 0.6중량부로 투입하여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thyl 3-ethoxypropionate. EEP)를 합성하는 합성단계; 상기 합성반응기에서 합성된 반응생성물을 중화반응기에서 중화하는 중화단계; 상기 중화단계를 거친 반응생성물을 하부의 온도를 100℃ 내지 120℃로, 상부의 온도를 70℃ 내지 80℃로 유지하는 제1 정제타워로 공급하여 상기 제1 정제타워의 하부에서 염을 포함한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기 제1 정제타워의 상부로 물이 포함된 에탄올, EAM 및 EEP가 포함된 제1 정제 생성물을 배출하는 1차 EEP 정제단계; 상기 제1 정제 생성물은 하부의 온도를 120℃ 내지 130℃로, 상부의 온도를 65℃ 내지 75℃로 유지하는 제2 정제타워로 공급하여 에탄올, EAM 및 소량의 EEP를 포함하는 제1 잔여물을 상부로 배출하고, 하부로 EEP가 포함된 제2 정제 생성물을 배출하는 2차 EEP 정제단계; 상기 제2 정제 생성물은 하부의 온도를 95℃ 내지 105℃로, 상부의 온도를 60℃ 내지 70℃로 유지하는 제3 정제타워로 공급하여 에탄올, EAM 및 소량의 EEP를 포함하는 제2 잔여물을 상부로 배출하고, EEP가 포함된 제3 정제 생성물을 배출하는 3차 EEP 정제단계;상기 제3 정제 생성물은 하부의 온도를 105℃ 내지 110℃로, 상부의 온도를 75℃ 내지 80℃로 유지하는 제4 정제타워로 공급하여 상부에서 EEP 수득하고, 하부로 그 외 불순물을 농축 및 배출하는 4차 EEP 정제단계; 상기 제1 및 제2 잔여물은 하부의 온도를 85℃ 내지 105℃로, 상부의 온도를 70℃ 내지 80℃로 유지하는 제5 정제타워로 공급하여 상부로 물이 포함된 에탄올 및 EAM을 초류탱크로 공급하고, 잔여 EEP는 하부로 배출하여 제2 정제타워로 공급하는 5차 EEP 정제단계; 및 상기 초류 탱크에 저장된 물이 포함된 에탄올과 EAM을 상기 초류 탱크와 연결된 투과증발막에 통과시켜 0.05 중량%의 물이 포함된 에탄올과 EAM를 상기 합성반응기로 보내는 반응물 회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투과증발막은 관형 NaA 제올라이트(Zeolite)를 포함하고, 알루미나(Al2O3)를 포함하는 다공성 지지부에 형성된 모듈이 스테인레스 스틸 하우징에 내장되는,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반응개시제는 나트륨에톡시드(sodium ethoxide)인,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중화단계는 황산 또는 에탄올에 희석한 황산을 사용하는,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5 정제타워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투과증발막은 6 내지 10단의 직렬 및/또는 병렬로 혼합 구성되는,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투과증발막은 3000 Pa(N/㎡) 이하의 압력조건 및 105℃ 내지 110℃의 온도조건에서 구동되는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순도 EEP의 제조방법은 신속하게 고순도의 EEP 정제가 가능하며 증류공정에서 방출되는 공정용매를 재사용함에 따라 효율적으로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합성반응기에서 물이 포함된 에탄올(Ethanol)과 에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ethyl acrylate monomer, EAM)를 1.2:1 내지 2:1 몰비로 혼합하고, 반응 개시제를 EAM 대비 0.2 내지 0.6중량부로 투입하여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thyl 3-ethoxypropionate. EEP)를 합성하는 합성단계; 상기 합성반응기에서 합성된 반응생성물을 중화반응기에서 중화하는 중화단계; 상기 중화단계를 거친 반응생성물을 하부의 온도를 100℃ 내지 120℃로, 상부의 온도를 70℃ 내지 80℃로 유지하는 제1 정제타워로 공급하여 상기 제1 정제타워의 하부에서 염을 포함한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기 제1 정제타워의 상부로 물이 포함된 에탄올, EAM 및 EEP가 포함된 제1 정제 생성물을 배출하는 1차 EEP 정제단계; 상기 제1 정제 생성물은 하부의 온도를 120℃ 내지 130℃로, 상부의 온도를 65℃ 내지 75℃로 유지하는 제2 정제타워로 공급하여 에탄올, EAM 및 소량의 EEP를 포함하는 제1 잔여물을 상부로 배출하고, 하부로 EEP가 포함된 제2 정제 생성물을 배출하는 2차 EEP 정제단계; 상기 제2 정제 생성물은 하부의 온도를 95℃ 내지 105℃로, 상부의 온도를 60℃ 내지 70℃로 유지하는 제3 정제타워로 공급하여 에탄올, EAM 및 소량의 EEP를 포함하는 제2 잔여물을 상부로 배출하고, EEP가 포함된 제3 정제 생성물을 배출하는 3차 EEP 정제단계;상기 제3 정제 생성물은 하부의 온도를 105℃ 내지 110℃로, 상부의 온도를 75℃ 내지 80℃로 유지하는 제4 정제타워로 공급하여 상부에서 EEP 수득하고, 하부로 그 외 불순물을 농축 및 배출하는 4차 EEP 정제단계; 상기 제1 및 제2 잔여물은 하부의 온도를 85℃ 내지 105℃로, 상부의 온도를 70℃ 내지 80℃로 유지하는 제5 정제타워로 공급하여 상부로 물이 포함된 에탄올 및 EAM을 초류탱크로 공급하고, 잔여 EEP는 하부로 배출하여 제2 정제타워로 공급하는 5차 EEP 정제단계; 및 상기 초류 탱크에 저장된 물이 포함된 에탄올과 EAM을 상기 초류 탱크와 연결된 투과증발막에 통과시켜 0.05 중량%의 물이 포함된 에탄올과 EAM를 상기 합성반응기로 보내는 반응물 회수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의 제조방법은 크게 합성단계, 중화단계, 정제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연속식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합성단계는 합성 반응기(10)에 에탄올(Ethanol)(11), 에틸아크릴레이트 단량체(ethyl acrylate monomer)(13) 및 반응 개시제(12)를 투입하고 반응시킨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반응은 120분 내지 180분 동안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120분 이하로 반응하게 되면 생성물인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의 수득률이 낮아질 수 있으며 180분 이상 반응시키면 반응물의 합성될 수 있는 양이 모두 완료되어 합성효율이 떨어지거나 또는 부반응물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에탄올 및 에틸아크릴레이트는 1.2:1 내지 2:1의 몰비로 투입되며, 상기 반응개시제는 한 구현예에서 나트륨에톡시드(Sodium ethoxide)이며, 에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대비 0.2 내지 0.6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에탄올은 수분 함량이 100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EEP의 합성은 첨가반응에 의한 것으로, 두 단계에 걸쳐 합성되는데, 첫 단계로 에탄올이 EAM에 첨가되며, 이때 부족한 양성자가 두 번째 단계에서공급되면서 반응이 완성된다. 따라서 양성자의 공여체가 필요한데 이는 에탄올 또는 수분에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수분함량이 높을 경우 본 발명의 반응개시제인 나트륨에톡시드와 반응하여 부산물이 다량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100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 반응기(10)에서 반응이 끝난 반응생성물은 중화반응기(20)로 투입되어 중화단계를 거친다. 상기 나트륨에톡시드 반응 개시제에 의해 염기성을 나타내는 반응생성물을 산(21)을 사용하여 중화하고 상기 중화는 반응개시제의 활성을 낮춰 부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산은 예를 들면 황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30%로 에탄올에 희석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희석하지 않은 황산을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상기 중화반응기(20)에서 중화작업을 마친 반응생성물은 정제를 위해 제1 정제타워로 공급된다. 상기 반응생성물에는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하는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미반응 물질인 에틸아크릴레이트, 다량의 에탄올, 물 및 중화반응 생성물인 염 등이 포함되어 있는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정제단계는 크게 2가지로 증류공정 및 투과증발공정을 사용한다. 상기 중화반응기로부터 공급되는 반응생성물로부터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를 분리하기 위해 먼저 증류공정으로 정제가 수행된다. 상기 증류는 증류탑인 제1 내지 제5 정제타워(31 내지 35)을 이용하여 1차 내지 5차 EEP 정제단계로 증류공정이 수행된다. 상기 제1 내지 제5 정제타워는 타워 하부에 증발기를 더 포함하여 증류하는데 필요한 열을 제공할 수 있고, 물질의 농축이 가능하다. 1차 EEP 정제단계는 상기 중화단계를 거치 반응생성물을 하부의 온도를 100℃ 내지 120℃로, 상부의 온도를 70℃ 내지 80℃로 유지하는 제1 정제타워(31)로 공급하고, 고형물(중화 염)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 정제타워(31)로 공급된 반응물은 상부로 EEP를 포함하는 기화된 모든 물질(제1 정제 생성물)을 배출하고, 하부로는 염을 포함한 고형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제타워의 상부로 배출된 제1 정제 생성물에는 물이 포함된 에탄올, EAM 및 EEP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제2 정제타워(32)로 공급된다.
상기 제2 정제타워에서는 2차 EEP 정제단계가 수행되며, 상기 제2 정제타워는 하부의 온도가 120℃ 내지 130℃로, 상부의 온도가 65℃ 내지 75℃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2차 및 3차 EEP 정제단계는 EEP보다 끓는점이 낮은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정제 단계로, 종래 기술에서는 한번 증류로 EEP보다 끓는점이 낮은 물질을 분리해냈다. 그러나 이는 EEP의 손실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정밀한 증류를 수행하면서 EEP 생산과정 중 가장 오랜 시간이 필요하며, 소량의 생산물을 증류해야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정제타워를 2기(제2 정제타워 및 제3 정제타워)를 사용함으로써 공정 시간과 사용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한 사이클(cycle)의 공정에서 대량의 고순도 EEP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2차 및 3차 EEP 정제단계에서 발생한 산물에는 미반응물질 EAM 및 물이 함유된 에탄올을 포함되는데, 이는 하술되는 투과증발막을 통해 재사용이 가능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더욱 효율적으로 경제적이면서 고순도 EEP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2차 EEP 정제단계에서는 제2 정제타워 상부로 EEP보다 끓는점이 낮은 미반응 EAM과 물을 함유하는 에탄올, 소량의 EEP를 포함한 제1 잔여물이 배출되며, 하부로는 다량의 EEP를 포함한 제3 정제 생성물이 배출된다. 상기 제3 정제 생성물은 제3 정제타워로 공급되어 3차 EEP 정제단계를 거친다. 상기 3차 EEP 정제단계는 상기 2차 EEP 정제단계 보다 비교적 세밀하게 증류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3 정제 생성물 중 EEP보다 낮은 끓는점의 물질을 완전히 분리하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제3 정제타워는 하부의 온도를 95℃ 내지 105℃로, 상부의 온도를 60℃ 내지 70℃로 유지할 수 있다. EEP보다 낮은 끓는점인 제2 잔여물을 상부로, 다량의 EEP를 포함한 제3 정제 생성물을 하부로 배출하며 상기 제3 정제 생성물은 제4 정제타워로 공급된다. 상기 제4 정제타워에서는 EEP의 끓는점보다 높은 온도로 증류하는 과정으로 고순도의 EEP를 수득하는 단계이며, 공급된 제3 정제생성물 중 EEP를 분리해낸다. 상기 제4 정제타워는 하부의 온도를 105℃ 내지 110℃로, 상부의 온도를 75℃ 내지 80℃로 유지하며, 고순도의 EEP를 상부로 배출하여 EEP 저장탱크(341)에서 보관할 수 있다. 제4 정제타워의 하부에서는 EEP를 분리하고 남은 잔여 불순물을 농축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2 및 제3 정제타워의 상부에서 배출되는 제1 잔여물 및 제2 잔여물은은 제5 정제타워로 공급된다. 제5 정제타워에서는 5차 EEP 정제단계가 수행되며, 하부의 온도를 85℃ 내지 105℃로, 상부의 온도를 70℃ 내지 80℃로 유지하여, 상부로 물이 포함된 에탄올 및 EAM을 분리해낸다. 상기 물이 포함된 에탄올과 EAM은 초류탱크로 공급하고, 잔여 EEP는 하부로 배출하여 제2 정제타워로 공급하한다. 상기 제5 정제타워의 하부로부터 제2 정제타워로 공급되는 EEP는 제 2차 내지 5차의 EEP 정제단계를 재순환하며 고순도 EEP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초류는 증류시 가장 먼저나오는 증류액으로 본 발명에서는 에탄올과 EAM, 특히 에탄올이 다량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물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초류를 재사용하여 EEP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물을 제거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상기 초류에 포함된 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투과증발막(41)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에탄올은 물과 공비혼합물을 형성하므로, 일반적인 분리 공정으로는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없다. 따라서 투과증발(pervaporation) 공정을 사용하여 에탄올과 물을 분리한다. 투과증발 공정이란 혼합물중 하나 이상의 성분들이 선택적으로 분리막에 흡착되고 분리막을통해 확산된 후 분리막의 반대쪽에서 기체상태로 회수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에서 상기 투과증발은 TFF(Tangential Flow Filtration)방식이다. 상기 투과증발막을 거친 초류는 수분이 제거되어 바람직하게 0.05 중량%의 물이 포함된 에탄올과 에틸아크릴레이트가 혼합된 혼합물이며, 이는 합성단계의 합성반응기로 공급되어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합성에 사용될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투과증발막은 관형 NaA 제올라이트(Zeolite)를 포함하고, 알루미나(Al2O3)를 포함하는 다공성 지지부에 형성된 모듈이 스테인레스 스틸 하우징에 내장된다. 본 발명의 투과증발막은 NaA 제올라이트(Zeolite)를 사용하며, 이는 고분자 분리막에 비하여 열적, 기계적,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NaY 제올라이트 분리막은 친수성을 가지므로 물/유기물 혼합물로부터 효율적인 물의 선택적 분리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초류 내 존재하는 물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에 효율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모듈은 24개이며, 투과증발막은 6 내지 10단의 직렬 및/또는 병렬로 혼합 구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과증발막은 진공조건에서 수행되며, 한 구현에에서 상기 투과증발막은 3000 Pa(N/㎡) 이하의 압력조건 및 105℃ 내지 110℃의 온도조건에서 구동된다. 본 발명의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의 제조방법은 5기의 정제타워를 사용하여 정제시간을 효율적으로 감소하면서도 고순도의 EEP를 생산할 수 있으며, 또한 반응 생성물 중 특히 에탄올을 효율적으로 재생하고 재사용하며 모든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므로 EEP 생산의 경제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원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원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10. 합성반응기
11. 에탄올 공급기
12. 반응 개시제 공급기
13. 에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공급기
20. 중화반응기
21. 산(acid) 공급기
31. 제1 정제타워
32. 제2 정제타워
33. 제3 정제타워
34. 제4 정제타워
35. 제5 정제타워
341. EEP 제품 탱크
40. 초류 탱크
41. 투과 증발막

Claims (6)

  1.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합성반응기에서 에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ethyl acrylate monomer, EAM)와 물이 포함된 에탄올(Ethanol)을 1:1.2 내지 1:2 몰비로 혼합하고, 반응개시제를 EAM 1 중량부 대비 0.2 내지 0.6 중량부로 투입하여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thyl 3-ethoxypropionate. EEP)를 합성하는 합성단계;
    상기 합성반응기에서 합성된 반응생성물을 중화반응기에서 중화하는 중화단계;
    상기 중화단계를 거친 반응생성물을 하부의 온도를 100℃ 내지 120℃로, 상부의 온도를 70℃ 내지 80℃로 유지하는 제1 정제타워로 공급하여 상기 제1 정제타워의 하부에서 염을 포함한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기 제1 정제타워의 상부로 EAM, EEP 및 물이 포함된 에탄올이 포함된 제1 정제 생성물을 배출하는 1차 EEP 정제단계;
    상기 제1 정제 생성물은 하부의 온도를 120℃ 내지 130℃로, 상부의 온도를 65℃ 내지 75℃로 유지하는 제2 정제타워로 공급하여 에탄올, EAM 및 소량의 EEP를 포함하는 제1 잔여물을 상부로 배출하고, 하부로 EEP가 포함된 제2 정제 생성물을 배출하는 2차 EEP 정제단계;
    상기 제2 정제 생성물은 하부의 온도를 95℃ 내지 105℃로, 상부의 온도를 60℃ 내지 70℃로 유지하는 제3 정제타워로 공급하여 에탄올, EAM 및 소량의 EEP를 포함하는 제2 잔여물을 상부로 배출하고, EEP가 포함된 제3 정제 생성물을 배출하는 3차 EEP 정제단계;
    상기 제3 정제 생성물은 하부의 온도를 105℃ 내지 110℃로, 상부의 온도를 75℃ 내지 80℃로 유지하는 제4 정제타워로 공급하여 상부에서 EEP 수득하고, 하부로 그 외 불순물을 농축 및 배출하는 4차 EEP 정제단계;
    상기 제1 및 제2 잔여물은 하부의 온도를 85℃ 내지 105℃로, 상부의 온도를 70℃ 내지 80℃로 유지하는 제5 정제타워로 공급하여 상부로 EAM 및 물이 포함된 에탄올을 초류탱크로 공급하고, 잔여 EEP는 하부로 배출하여 제2 정제타워로 공급하는 5차 EEP 정제단계; 및
    상기 초류 탱크에 저장된 EAM 과 물이 포함된 에탄올을 상기 초류 탱크와 연결된 투과증발막에 통과시켜 에탄올의 수분을 제거하여 EAM 및 0.05 중량%의 물이 포함된 에탄올을 상기 합성반응기로 보내는 반응물 회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투과증발막은 관형 NaA 제올라이트(Zeolite)를 포함하고, 알루미나(Al2O3)를 포함하는 다공성 지지부에 형성된 모듈이 스테인레스 스틸 하우징에 내장되는,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개시제는 나트륨에톡시드(sodium ethoxide)인,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단계는 황산 또는 에탄올에 희석한 황산을 사용하는,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정제타워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증발막은 6 내지 10단의 직렬 및/또는 병렬로 혼합 구성되는,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증발막은 3000 Pa(N/㎡) 이하의 압력조건 및 105℃ 내지 110℃의 온도조건에서 구동되는,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
KR1020180087495A 2018-07-27 2018-07-27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 KR102062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495A KR102062143B1 (ko) 2018-07-27 2018-07-27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495A KR102062143B1 (ko) 2018-07-27 2018-07-27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143B1 true KR102062143B1 (ko) 2020-01-03

Family

ID=69155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495A KR102062143B1 (ko) 2018-07-27 2018-07-27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1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141A (ko) * 2020-06-03 2021-12-10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알킬 3-알콕시 프로피오네이트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1285A (en) 1990-04-04 1992-01-14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Production of ethyl 3-ethoxypropanoate by acid catalyzed addition of ethanol to ethyl acrylate
CN101423475A (zh) * 2008-06-04 2009-05-06 浙江联盛化学工业有限公司 3-乙氧基丙酸乙酯的制备方法
JP6029221B2 (ja) * 2015-11-10 2016-11-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パッケージの集合体、半導体装置の集合体、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8043956A (ja) * 2016-09-16 2018-03-22 Jnc株式会社 β−アルコキシプロピオン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1285A (en) 1990-04-04 1992-01-14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Production of ethyl 3-ethoxypropanoate by acid catalyzed addition of ethanol to ethyl acrylate
CN101423475A (zh) * 2008-06-04 2009-05-06 浙江联盛化学工业有限公司 3-乙氧基丙酸乙酯的制备方法
JP6029221B2 (ja) * 2015-11-10 2016-11-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パッケージの集合体、半導体装置の集合体、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8043956A (ja) * 2016-09-16 2018-03-22 Jnc株式会社 β−アルコキシプロピオン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141A (ko) * 2020-06-03 2021-12-10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알킬 3-알콕시 프로피오네이트의 제조 방법
KR102400224B1 (ko) 2020-06-03 2022-05-23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알킬 3-알콕시 프로피오네이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687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ихлорпропанолов из глицерина
KR100733400B1 (ko) 아세트산, 메틸아세테이트 및 물을 분리하기 위한공비증류공정
NL8302020A (nl) Werkwijze voor de bereiding van ethyleenglykol.
KR20160105370A (ko)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제조 방법
CN100463897C (zh) 一种从乙酸与混合c4反应后的混合物中分离乙酸仲丁酯的方法
CN108059597B (zh) 一种反应精馏与渗透汽化集成生产乙酸乙酯的方法及其装置
EP1740526B1 (en) Method for recovering acrylic acid
RU2739768C2 (ru) Способ совмещенн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мочевины и мочевино-аммониевого нитрата
KR102062142B1 (ko)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
KR102224243B1 (ko)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2062143B1 (ko) 고순도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eep)의 제조방법
CN104961630B (zh) 一种2,5‑二氯苯酚的制备方法
JP2010047558A (ja) ビニルエチレン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KR100888065B1 (ko) 메틸아세테이트의 향상된 가수분해 방법
CN101130495B (zh) 从乙酸与丁烯或混合c4反应后的混合物中分离乙酸仲丁酯的方法
JP3803771B2 (ja) エチルアミン類の製造方法
CN109790096B (zh) 甲醇、丙酮去除单元及含该单元的苯酚、双酚a生产系统
CN111655661B (zh) 异丙醇纯化方法
KR102224268B1 (ko)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20000072037A (ko) 메틸아세테이트의 가수분해 방법 및 장치
KR102224267B1 (ko)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JP2007063159A (ja) メチルアミン類の製造方法
JP2019131526A (ja) 酢酸含有水溶液からの酢酸の回収方法
JPH09100258A (ja) エチルアミン類の製造方法
WO1999008998A1 (fr) Procede servant a preparer formam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