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040B1 - 변속기 컨트롤 장치 - Google Patents

변속기 컨트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040B1
KR102062040B1 KR1020180113908A KR20180113908A KR102062040B1 KR 102062040 B1 KR102062040 B1 KR 102062040B1 KR 1020180113908 A KR1020180113908 A KR 1020180113908A KR 20180113908 A KR20180113908 A KR 20180113908A KR 102062040 B1 KR102062040 B1 KR 102062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ork
control
selec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한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2Gear shift yokes, e.g. shift f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9Shift rod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hift rails or rods; Speci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2Gear shift yokes, e.g. shift forks
    • F16H2063/321Gear shift yokes, e.g. shift forks characterised by the interface between fork body and shift rod, e.g. fixing means, bushes, cams or pins

Abstract

본 발명은, 컨트롤레일; 상기 컨트롤레일 보다 길이가 짧으며 상기 컨트롤레일 전방 좌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 포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레일; 상기 컨트롤레일 보다 길이가 짧으며 상기 제1 레일에 대향하여 상기 컨트롤레일 전방 우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2 포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레일; 상기 컨트롤레일 보다 길이가 짧으며 상기 컨트롤레일 후방 좌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3 포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 레일; 및 상기 컨트롤레일 보다 길이가 짧으며 상기 제3 레일에 대향하여 상기 컨트롤레일 후방 우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4 포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4 레일; 을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레일의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포크, 제2 포크, 제3 포크 및 제4 포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셀렉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컨트롤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변속기 컨트롤 장치{CONTROL DEVICE FOR TRANSMISSION}
본 발명은 시프트를 위한 변속기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증가로 인해 환경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상용차의 연비 효율 향상을 위한 다단화 변속기가 개발되었지만 운전자에 따라 효율의 차이가 발생하여 수동변속기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상용차에도 자동변속기를 장착하는 추세이다. 자동변속기는 편리하나 클러치를 대체하는 토크컨버터에 의해 연비효율이 더 악화되어 이를 보완하고자 자동화 수동변속기(AMT :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가 개발되었다.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트렌스미션 컨트롤 유닛(TCU : Transmission Control Unit)에 의해 자동변속되므로 운전자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나 트렌스미션 컨트롤 유닛, 액추에이터 등의 추가적인 부품의 발생으로 중량, 단가가 상승할 수밖에 없다.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기어 액추에이터가 클러치 조작을 대신해준다.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뛰어난 연비 및 동력성능, 그리고 편리한 조작까지 수동변속기와 자동변속기의 장점을 모두 갖춘 변속기이다.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자동차용 변속기 중 가장 단순한 형태인 수동변속기에서 클러치를 밟았다 떼는 기계장치만 추가한 정도의 단순한 구조로 설계된다. 따라서, 토크컨버터를 사용하는 자동변속기와는 비교도 되지 않는 단순함을 자랑한다.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컨트롤 장치는 레일, 포크, 액추에이터로 구성된다.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컨트롤 장치는 레일 및 포크에 대응하는 홀을 가공하고 이 홀에 스프링핀 또는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레일에 포크를 결합한다.
그런데 기존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컨트롤 장치는 레일과 포크가 고정되고 변속시 레일 전체가 이동하기 때문에 케이스에 레일의 작동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컨트롤 장치는 레일 및 포크를 이동시키는 기어 액추에이터는 변속기 축방향의 직선방향으로 컨트롤 하는 타입을 흔히 적용하고 있고, 기어 액추에이터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위치를 임의로 떨어뜨려 구성할 수 없기에 레일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성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레일의 길이를 줄여 레일의 작동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컴팩트한 변속기 컨트롤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2133호(2010.07.16. 공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변속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레일의 수를 감소하고, 변속시 레일의 작동공간을 줄일 수 있는 변속기 컨트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컨트롤레일; 상기 컨트롤레일 보다 길이가 짧으며 상기 컨트롤레일 전방 좌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 포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레일; 상기 컨트롤레일 보다 길이가 짧으며 상기 제1 레일에 대향하여 상기 컨트롤레일 전방 우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2 포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레일; 상기 컨트롤레일 보다 길이가 짧으며 상기 컨트롤레일 후방 좌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3 포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 레일; 및 상기 컨트롤레일 보다 길이가 짧으며 상기 제3 레일에 대향하여 상기 컨트롤레일 후방 우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4 포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4 레일; 을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레일의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포크, 제2 포크, 제3 포크 및 제4 포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셀렉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컨트롤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3 포크의 셀렉트 시 상기 컨트롤레일은 일측 원주방향으로 축회전하며, 상기 컨트롤레일의 회전양에 따라 제1, 3 포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만 셀렉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4 포크의 셀렉트 시 상기 컨트롤레일은 타측 원주방향으로 축회전하며, 상기 컨트롤레일의 회전양에 따라 제2, 제4 포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만 셀렉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레일의 전방 외주에는 상기 제1 포크에 대응하는 제1 셀렉트 돌기 및 상기 제2 포크에 대응하는 제2 셀렉트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레일의 후방 외주에는 상기 제3 포크에 대응하는 제3 셀렉트 돌기 및 상기 제4 포크에 대응하는 제4 셀렉트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포크 상부에서 상기 제1 셀렉트 돌기의 회전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끝단 부위에 상기 제1 셀렉트 돌기가 삽입 가능한 제1 삽입부가 구비되는 제1 핑거가 마련되며, 상기 제2 포크 상부에서 상기 제2 셀렉트 돌기의 회전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끝단 부위에 상기 제2 셀렉트 돌기가 삽입 가능한 제2 삽입부가 구비되는 제2 핑거가 마련되고, 상기 제3 포크 상부에서 상기 제3 셀렉트 돌기의 회전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끝단 부위에 상기 제3 셀렉트 돌기가 삽입 가능한 제3 삽입부가 구비되는 제3 핑거가 마련되며, 상기 제4 포크 상부에서 상기 제4 셀렉트 돌기의 회전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끝단 부위에 상기 제4 셀렉트 돌기가 삽입 가능한 제4 삽입부가 구비되는 제4 핑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레일, 제2 레일, 제3 레일 및 제4 레일은 동일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컨트롤레일은 상기 제1 레일, 제2 레일, 제3 레일 및 제4 레일의 높이보다 위에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셀렉트 돌기, 제2 셀렉트 돌기, 제3 셀렉트 돌기 및 제4 셀렉트 돌기는 상기 컨트롤레일의 외주를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2, 3, 4 레일이 이동하지 않으므로 케이스 내부에 레일 작동 공간 확보가 필요 없고, 이로 인해 컴팩트한 변속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레일 수 감소로 변속기 전체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레일의 결합상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포크의 셀렉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포크의 셀렉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포크의 셀렉트를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포크의 셀렉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존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컨트롤 장치는 레일과 포크가 고정되고 변속시 레일 전체가 이동하기 때문에 케이스에 레일의 작동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컨트롤 장치는 레일 및 포크를 이동시키는 기어 액추에이터는 변속기 축방향의 직선방향으로 컨트롤 하는 타입을 흔히 적용하고 있고, 기어 액추에이터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위치를 임의로 떨어뜨려 구성할 수 없기에 레일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성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레일의 길이를 줄여 레일의 작동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컴팩트한 변속기 컨트롤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레일의 결합상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컨트롤레일(10), 컨트롤레일(10) 좌, 우 전방에 배열되는 제1, 2 레일(11, 12) 및 컨트롤레일(10)의 좌, 우 후방에 배열되는 제3, 4 레일(13, 14)을 포함한다.
컨트롤레일(10)은 회전 작동을 하면서, 제1 레일(1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포크(21), 제2 레일(1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 포크(22), 제3 레일(13)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3 포크(23) 및 제4 레일(14)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4 포크(24) 중 어느 하나와 셀렉트 된다.
컨트롤레일(10)은 제1 레일(11), 제2 레일(12), 제3 레일(13) 및 제4 레일(14) 보다 길이가 긴 레일로 형성된다. 컨트롤레일(10)은 제1 레일(11), 제2 레일(12), 제3 레일(13) 및 제4 레일(14)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컨트롤레일(10)의 전방 외주를 따라 제1, 2 포크(21, 22)에 대응하는 제1, 2 셀렉트 돌기(101, 102)가 구비된다. 컨트롤레일(10)의 후방 외주를 따라 제3, 4 포크(23, 24)에 대응하는 제3, 4 셀렉트 돌기(103, 104)가 구비된다.
컨트롤레일(10) 전방 외주 또는 후방 외주에는 돌기부(105)가 구비된다. 돌기부(105)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컨대, 돌기부(105)는 구형일 수 있다.
일례로서, 액추에이터, 솔레노이드 밸브, 모터 등과 같은 공지된 장치와 돌기부(105)를 연결하여 컨트롤레일(10)의 좌, 우 방향으로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레일(10)의 전, 후 방향으로 작동은 공지된 기어 액추에이터(Gear Actuator) 등과 같은 장치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제1 셀렉트 돌기(101), 제2 셀렉트 돌기(102), 제3 셀렉트 돌기(103) 및 제4 셀렉트 돌기(104)는 대응하는 각 제1, 2, 3, 4 포크(21, 22, 23, 24)와 셀렉트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컨트롤레일(10)의 외주를 따라 위치를 달리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레일(11), 제2 레일(12), 제3 레일(13) 및 제4 레일(14)은 길이가 동일한 레일일 수 있다. 제1 레일(11)과 제3 레일(13)은 전, 후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2 레일(12)과 제4 레일(14)은 전, 후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1 포크(21) 상부에는 제1 레일(11)에 결합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제1 결합공(211)이 천공된다. 제2 포크(22) 상부에는 제2 레일(12)에 결합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제2 결합공(222)이 천공된다. 제3 포크(23) 상부에는 제3 레일(13)에 결합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제3 결합공(233)이 천공된다. 제4 포크(24) 상부에는 제4 레일(14)에 결합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제4 결합공(244)이 천공된다.
제1 포크(21) 상부에는 제1 핑거(211a)가 구비된다. 제2 포크(22) 상부에는 제2 핑거(222a)가 구비된다. 제3 포크(23) 상부에는 제3 핑거(233a)가 구비된다. 제4 포크(24) 상부에는 제4 핑거(244a)가 구비된다.
제1 핑거(211a)는 제1 포크(21) 상부에서 제1 셀렉트 돌기(101)의 회전 영역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1 핑거(211a)의 끝단에는 제1 삽입부(211b)가 구비된다. 컨트롤레일(10)의 회전 작동에 의해 제1 셀렉트 돌기(101)가 제1 삽입부(211b)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핑거(222a)는 제2 포크(22) 상부에서 제2 셀렉트 돌기(102)의 회전 영역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2 핑거(222a)의 끝단에는 제2 삽입부(222b)가 구비된다. 컨트롤레일(10)의 회전 작동에 의해 제2 셀렉트 돌기(102)가 제2 삽입부(222b)에 삽입될 수 있다.
제3 핑거(233a)는 제3 포크(23) 상부에서 제3 셀렉트 돌기(103)의 회전 영역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3 핑거(233a)의 끝단에는 제3 삽입부(233b)가 구비된다. 컨트롤레일(10)의 회전 작동에 의해 제3 셀렉트 돌기(103)가 제3 삽입부(233b)에 삽입될 수 있다.
제4 핑거(244a)는 제4 포크(24) 상부에서 제4 셀렉트 돌기(104)의 회전 영역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4 핑거(244a)의 끝단에는 제4 삽입부(244b)가 구비된다. 컨트롤레일(10)의 회전 작동에 의해 제4 셀렉트 돌기(104)가 제4 삽입부(244b)에 삽입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1, 2, 3, 4 포크의 셀렉트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포크의 셀렉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어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컨트롤레일(10)이 도 4과 같이 화살표 방향의 일측 원주방향으로 축회전하면, 컨트롤레일(10)의 제1 셀렉트 돌기(101)가 제1 핑거(211a)의 제1 삽입부(211b)로 삽입되면서 제1 포크(21)의 셀렉트가 이루어진다.
제1 포크(21)의 셀렉트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컨트롤레일(10)을 전, 후 방향으로 움직이면 셀렉트된 제1 포크(21)가 제1 레일(11)을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1 포크(21)가 전, 후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1 포크(21)와 연결되는 변속기의 슬리브가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변속이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포크의 셀렉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어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컨트롤레일(10)이 도 5와 같이 화살표 방향의 타측 원주방향으로 축회전하면, 컨트롤레일(10)의 제2 셀렉트 돌기(102)가 제2 핑거(222a)의 제2 삽입부(222b)로 삽입되면서 제2 포크(22)의 셀렉트가 이루어진다.
제2 포크(22)의 셀렉트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컨트롤레일(10)을 전, 후 방향으로 움직이면 셀렉트된 제2 포크(22)가 제2 레일(12)을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2 포크(22)가 전, 후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2 포크(22)와 연결되는 슬리브가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변속이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포크의 셀렉트를 도면이다.
기어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컨트롤레일(10)이 도 6와 같이 화살표 방향의 일측 원주방향으로 축회전하면, 컨트롤레일(10)의 제3 셀렉트 돌기(103)가 제3 핑거(233a)의 제3 삽입부(233b)로 삽입되면서 제3 포크(23)의 셀렉트가 이루어진다.
제3 포크(23)의 셀렉트 시에는 제1 포크(21)의 셀렉트 때보다 컨트롤레일(10)의 회전양을 크게한다.
이와 같이 제1 포크(21)의 셀렉트 때보다 컨트롤레일(10)의 회전양을 크게하면, 제1 셀렉트 돌기(101)는 제1 핑거(211a)의 제1 삽입부(211b)를 지나가고 제3 셀렉트 돌기(103)만 제1 핑거(211a)의 제1 삽입부(211b)에 삽입되어 제3 포크(23)의 셀렉트가 이루어진다.
일례로서, 제1, 3 포크(21, 23)의 셀렉트 시 컨트롤레일(10)의 회전양 제어는 트렌스미션 컨트롤 유닛(TCU : Transmission Control Unit) 등과 같은 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포크(23)의 셀렉트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컨트롤레일(10)을 전, 후 방향으로 움직이면 셀렉트된 제3 포크(23)가 제3 레일(13)을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3 포크(23)가 전, 후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3 포크(23)와 연결되는 슬리브가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변속이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포크의 셀렉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어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컨트롤레일(10)이 도 7과 같이 화살표 방향의 타측 원주방향으로 축회전하면, 컨트롤레일(10)의 제4 셀렉트 돌기(104)가 제4 핑거(244a)의 제4 삽입부(244b)로 삽입되면서 제4 포크(24)의 셀렉트가 이루어진다.
제4 포크(24)의 셀렉트 시에는 제2 포크(22)의 셀렉트 때보다 컨트롤레일(10)의 회전양을 크게한다.
이와 같이 제4 포크(24)의 셀렉트 때보다 컨트롤레일(10)의 회전양을 크게하면, 제2 셀렉트 돌기(102)는 제2 핑거(222a)의 제2 삽입부(222b)를 지나가고 제4 셀렉트 돌기(104)만 제4 핑거(244a)의 제4 삽입부(244b)에 삽입되어 제4 포크(24)의 셀렉트가 이루어진다.
일례로서, 제2, 4 포크(22, 24)의 셀렉트 시 컨트롤레일(10)의 회전양 제어는 트렌스미션 컨트롤 유닛(TCU : Transmission Control Unit) 등과 같은 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포크(24)의 셀렉트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컨트롤레일(10)을 전, 후 방향으로 움직이면 셀렉트된 제4 포크(24)가 제4 레일(14)을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4 포크(24)가 전, 후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4 포크(24)와 연결되는 슬리브가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변속이 이루어진다.
한편, 제1 포크(21), 제2 포크(22), 제3 포크(23), 제4 포트(24)는 기존의 변속기 시스템과 같이 슬리브와 연결되어 슬리브를 원하는 기어변속단으로 이동시켜 변속이 이루어지게 한다. 컨트롤레일(10)은 기존의 변속기 시스템과 같이 기어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전, 후 작동 또는 좌, 우 회전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치합단에 타단으로 변속시에는 기존 치합단을 반드시 중립상태로 복귀시키고 다른 단으로 변속시켜야 한다.
컨트롤레일(10)이 중립상태에 있을 경우 제1, 2, 3, 4 포크(21, 22, 23, 34)와 컨트롤레일(10)의 제1, 2, 3, 4 셀렉트 돌기(101, 102, 103, 104)가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컨트롤레일(10)이 전, 후 방향 및 좌, 우 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이 가능하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2, 3, 4레일과 제1, 2, 3, 4 포크를 분리시켜 고정된 제1, 2, 3, 4 레일 위를 제1, 2, 3, 4 포크가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체 레일의 중량을 줄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 레일의 중량을 줄임으로써 레일의 이동공간의 확보를 위해 필요했던 변속기 내부 공간을 줄이고 이로 인해 케이스를 컴팩트하게 설계하여 변속기 사이즈와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컨트롤레일
11 : 제1 레일
12 : 제2 레일
13 : 제3 레일
14 : 제4 레일
21 : 제1 포크
22 : 제2 포크
23 : 제3 포크
24 : 제4 포크
101 : 제1 셀렉트 돌기
102 : 제2 셀렉트 돌기
103 : 제3 셀렉트 돌기
104 : 제4 셀렉트 돌기
105 : 돌기부
211 : 제1 결합공
211a : 제1 핑거
211b : 제1 삽입부
222 : 제2 결합공
222a : 제2 핑거
222b : 제2 삽입부
233 : 제3 결합공
233a : 제3 핑거
233b : 제3 삽입부
244 : 제4 결합공
244a : 제4 핑거
244b : 제4 삽입부

Claims (7)

  1. 컨트롤레일;
    상기 컨트롤레일 보다 길이가 짧으며 상기 컨트롤레일 전방 좌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 포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레일;
    상기 컨트롤레일 보다 길이가 짧으며 상기 제1 레일에 대향하여 상기 컨트롤레일 전방 우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2 포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레일;
    상기 컨트롤레일 보다 길이가 짧으며 상기 컨트롤레일 후방 좌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3 포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 레일; 및
    상기 컨트롤레일 보다 길이가 짧으며 상기 제3 레일에 대향하여 상기 컨트롤레일 후방 우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4 포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4 레일;
    을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레일의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포크, 제2 포크, 제3 포크 및 제4 포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셀렉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컨트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3 포크의 셀렉트 시 상기 컨트롤레일은 일측 원주방향으로 축회전하며, 상기 컨트롤레일의 회전양에 따라 제1, 3 포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만 셀렉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컨트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4 포크의 셀렉트 시 상기 컨트롤레일은 타측 원주방향으로 축회전하며, 상기 컨트롤레일의 회전양에 따라 제2, 제4 포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만 셀렉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컨트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레일의 전방 외주에는 상기 제1 포크에 대응하는 제1 셀렉트 돌기 및 상기 제2 포크에 대응하는 제2 셀렉트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레일의 후방 외주에는 상기 제3 포크에 대응하는 제3 셀렉트 돌기 및 상기 제4 포크에 대응하는 제4 셀렉트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컨트롤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크 상부에서 상기 제1 셀렉트 돌기의 회전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끝단 부위에 상기 제1 셀렉트 돌기가 삽입 가능한 제1 삽입부가 구비되는 제1 핑거가 마련되며, 상기 제2 포크 상부에서 상기 제2 셀렉트 돌기의 회전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끝단 부위에 상기 제2 셀렉트 돌기가 삽입 가능한 제2 삽입부가 구비되는 제2 핑거가 마련되고, 상기 제3 포크 상부에서 상기 제3 셀렉트 돌기의 회전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끝단 부위에 상기 제3 셀렉트 돌기가 삽입 가능한 제3 삽입부가 구비되는 제3 핑거가 마련되며, 상기 제4 포크 상부에서 상기 제4 셀렉트 돌기의 회전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끝단 부위에 상기 제4 셀렉트 돌기가 삽입 가능한 제4 삽입부가 구비되는 제4 핑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컨트롤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 제2 레일, 제3 레일 및 제4 레일은 동일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컨트롤레일은 상기 제1 레일, 제2 레일, 제3 레일 및 제4 레일의 높이보다 위에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컨트롤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렉트 돌기, 제2 셀렉트 돌기, 제3 셀렉트 돌기 및 제4 셀렉트 돌기는 상기 컨트롤레일의 외주를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컨트롤 장치.
KR1020180113908A 2018-09-21 2018-09-21 변속기 컨트롤 장치 KR102062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908A KR102062040B1 (ko) 2018-09-21 2018-09-21 변속기 컨트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908A KR102062040B1 (ko) 2018-09-21 2018-09-21 변속기 컨트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040B1 true KR102062040B1 (ko) 2020-01-03

Family

ID=69155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908A KR102062040B1 (ko) 2018-09-21 2018-09-21 변속기 컨트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0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7843A (ja) * 2002-12-18 2004-07-15 Fuji Heavy Ind Ltd 手動変速機のシフトコントロール機構
KR20090047661A (ko) * 2007-11-08 2009-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구
KR20100082133A (ko) 2009-01-08 2010-07-16 다이모스(주) 다단 변속 구현 타입 시프트 러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프트 레일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7843A (ja) * 2002-12-18 2004-07-15 Fuji Heavy Ind Ltd 手動変速機のシフトコントロール機構
KR20090047661A (ko) * 2007-11-08 2009-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구
KR20100082133A (ko) 2009-01-08 2010-07-16 다이모스(주) 다단 변속 구현 타입 시프트 러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프트 레일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454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gearshift mechanism
WO2018089650A1 (en) Dual cam spring-loaded shifting transmission assembly
JP5630578B2 (ja) 車両用手動変速機の操作機構
US20150260285A1 (en) Shifting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Gearbox, and Shifting Method
WO2012133621A1 (ja) 変速機
JP5874651B2 (ja) 手動変速機
JP4252905B2 (ja) 変速機
KR102062040B1 (ko) 변속기 컨트롤 장치
KR101656959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US10443720B2 (en) Apparatus for moving shift rail of transmission
KR20150071118A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2062039B1 (ko) 변속기 컨트롤 장치
US10507717B2 (en) Gear operating mechanism in transmission
KR20080054956A (ko) 수동 변속기용 자동 변속 조작 장치
KR20200012979A (ko) 기어박스 내 시프트 제어 장치
CN108869733B (zh) 倒档用的输入轴制动系统和方法
JP6609575B2 (ja) シフトフォークモジュール
JP2009228745A (ja) 手動変速機
JP4638155B2 (ja) マニュアル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誤作動防止装置
JP2014047881A (ja) 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EP2020516A1 (en) Synchronizer for transmission
US20160108994A1 (en) Transmission with reverse gear brake
JP2005061631A (ja) 切換え伝動装置、特に自動車のための自動化された切換え伝動装置
KR100925927B1 (ko) 수동변속기 구조
KR101592818B1 (ko) 차량용 변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