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428B1 - 캠바를 이용한 프레임 절곡유니트 - Google Patents

캠바를 이용한 프레임 절곡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428B1
KR102061428B1 KR1020180120148A KR20180120148A KR102061428B1 KR 102061428 B1 KR102061428 B1 KR 102061428B1 KR 1020180120148 A KR1020180120148 A KR 1020180120148A KR 20180120148 A KR20180120148 A KR 20180120148A KR 102061428 B1 KR102061428 B1 KR 102061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frame
bending
unit
cam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형
Original Assignee
킨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킨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킨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0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6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in press brakes or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Pliers with form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 B21D7/02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측에서 승강되는 캠 유니트에 의해서 턴테이블이 무동력으로 회전하면서 프레임을 절곡할 수 있도록 한 캠바를 이용한 프레임 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캠바를 이용한 프레임 절곡유니트{A frame bending unit using a cam-bar}
본 발명은 일자 형태의 프레임을 직각으로 절곡할 수 있도록 한 캠바를 이용한 프레임 절곡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상부측에서 승강되는 캠 유니트에 의해서 턴테이블이 무동력으로 회전하면서 프레임을 절곡할 수 있도록 한 캠바를 이용한 프레임 절곡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LCD 모니터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전기신호가 각 영상을 구현하도록 회로를 갖는 PCB어셈블리와, 상기 부품들을 내장할 수 있도록 케이스를 형성하는 전/후면 케비넷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사각형상의 구조를 가지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은 사각틀의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프레임(11)의 제작은 통상 도 1에서와 같이, 금속원판(10)에 절곡전의 프레임(11)형상으로 펀칭한 후 도 2에서와 같이 절곡하여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금속원판(10)으로부터 프레임(11)을 일체형으로 하여 펀칭제작하는 경우에는 펀칭된 프레임(11) 외측 및 내측의 금속원판(10)들이 쓸모없이 버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프레임 절곡장치가 한국특허등록 제10-0875543호에 개시되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을 "ㄱ"자 형상으로 절곡하는 장치로서, "ㄱ"자형으로 절곡된 2개의 프레임(20)을 도 4에서와 같이 상호 용접(25) 함으로써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20)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와 같이 금속원판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절곡장치는 프레임(20)을 절곡하기 위하여 제1,2액튜에이터(130)(120) 및 로터리액튜에이터(160)와 같은 복수의 액튜에이터들이 적용됨으로써, 각 액튜에이터들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야 함으로써 절곡속도가 지연되고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8755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절곡속도가 향상되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개선된 캠바를 이용한 프레임 절곡유니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수평면과 수직면을 갖도록 절곡된 일자형태의 프레임을 제1 절곡부를 갖도록 절곡시키는 프레임 절곡유니트에 있어서,
작업테이블과;
상기 작업테이에 배치되는 제1테이블과;
상기 제1테이블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측으로 제1장공이 형성된 제1턴테이블과, 상기 제1턴테이블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의 수직면이 결합되는 제1견인블럭을 구비하여 상기 제1 절곡부를 형성시키는 제1절곡유니트와;
상기 제1절곡유니트의 상부측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턴테이블을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경사면이 형성된 제1a캠바를 포함하는 제1캠 유니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캠 유니트는 각각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각 일면에 경사면을 갖는 상기 제1a캠바를 포함하여 제1b캠바와 제1c캠바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절곡유니트는 상기 제1테이블에 서로 대향 배치되고 각각 상기 제1b캠바와 제1c캠바에 연동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상기 프레임을 파지 또는 파지해제시키는 제1a 및 2a이동블럭과, 상기 제1테이블에 상기 제2a이동블럭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a캠바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제3a이동블럭과, 상기 제3a이동블럭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1장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제1푸시봉과, 상기 제3a이동블럭과 대향배치되어 상기 제1테이블에 고정되며 상기 제1견인블럭을 안내하는 제1고정블럭과, 상기 각 제1a,2a,3a이동블럭을 복원시키는 복수의 제1복원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턴테이블의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테이블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턴테이블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걸림턱에 록킹되고 타단부에 상기 록킹을 해제시키는 해제레버가 구비된 록킹봉과,
상기 록킹봉을 상기 제1턴테이블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가압스프링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프레임 절곡유니트는 상부측에서 승강되는 캠 유니트에 의해서 턴테이블이 무동력으로 회전하면서 프레임을 절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프레임 절곡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종래 절곡장치로 절곡된 프레임을 이용하여 LCD,PDP등의 모니터류 프레임을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종래 절곡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장치로 절곡된 상태의 프레임을 나타낸 개략 면면도,
도 8은 절곡 전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단면도,
도 10은 절곡전 프레임이 제1,2절곡유니트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본 발명 절곡유니트가 채용된 절곡장치의 평면도,
도 11은 프레임에 제1,2절곡부를 형성한 상태의 본 발명 절곡유니트가 채용된 장치의 평면도,
도 12는 제1,2절곡부 및 제3,4절곡부를 형성한 상태의 본 발명 절곡유니트가 채용된 장치의 평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절곡유니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동작도,
도 14는 제1절곡유니트 및 제1캠 유니트를 나타낸 사진,
도 15a 및 도 15b는 제3,4절곡유니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6은 제2캠 유니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17은 제3캠 유니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18은 제1절곡유니트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a 및 도 19b는 제1턴테이블의 록킹 및 록킹해제 상태를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캠바를 이용한 프레임 절곡장치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10a)과 수직면(10b)을 갖는 길이방향으로 긴 프레임(10)을 상부에서 승강되는 캠 유니트에 의해서 턴테이블이 연동되어 무동력으로 회전되면서 프레임이 절곡되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절곡유니트가 채용된 절곡장치를 나타낸 도 10을 참조하면, 이는 작업테이블(1)과; 상기 작업테이블(1)의 상부 일측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테이블(105)과; 상기 작업테이블(1)의 상부 타측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승강테이블(205)과; 상기 작업테이블(1)의 하부 일측에 고정 배치되는 제1고정테이블(305)과; 상기 작업테이블(1)의 하부 타측에 고정 배치되는 제2고정테이블(405)을 구비한다.
상기 제1,2승강테이블(105)(205)은 각각 실린더(106)(206)작동으로 상기 제1,2고정테이블(305)(405)의 상부위치에서 제1,2고정테이블(305)(405)과 동일평면 위치로 승강된다.(도 16 참조)
상기 제1테이블(105)에는 상기 제1 절곡부(16)를 형성시키는 제1절곡유니트(100)가 배치되며, 제1절곡유니트(100)는 제1테이블(105)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측으로 제1장공(151)이 형성된 제1턴테이블(150)과 이 제1턴테이블(15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10)이 결합되는 제1견인블럭(155)을 구비한다.
상기 제2승강테이블(205)에는 상기 제2 절곡부(17)를 형성시키는 제2절곡유니트(200)가 배치되며, 제2절곡유니트(200)는 제2승강테이블(205)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측으로 제2장공이 형성된 제2턴테이블(250)과 이 제2턴테이블(25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10)이 결합되는 제2견인블럭(255)을 구비한다.
상기 제1고정테이블(305)에는 상기 제3 절곡부(18)를 형성시키는 제3절곡유니트(300)가 배치되며, 상기 제3절곡유니트(300)는 제1고정테이블(305)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측으로 제3장공이 형성된 제3턴테이블(350)과 이 제3턴테이블(35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10)이 결합되는 제3견인블럭(355)을 구비한다.
상기 제2고정테이블(405)에는 상기 제4 절곡부(19)를 형성시키는 제4절곡유니트(400)가 배치되며, 제4절곡유니트(400)는 제2고정테이블(405)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측으로 제4장공이 형성된 제4턴테이블(450)과 이 제4턴테이블(45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10)이 결합되는 제4견인블럭(455)을 구비한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절곡유니트(100)의 상부측과 상기 제2절곡유니트(200)의 상부측에는 각각 실린더(515)(615) 작동으로 제1캠 유니트(510)와 제2캠 유니트(610)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15b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3절곡유니트(300)의 하부측과 상기 제4절곡유니트(400)의 하부측에는 각각 실린더(306)(406) 작동으로 제3캠 유니트(710)와 제4캠 유니트(810)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절곡장치의 개략적 작동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2고정테이블(305)(405)에 대해 상기 제1,2승강테이블(105)(205)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긴 상기 프레임(10)을 상기 제1,2절곡유니트(100)(200)에 안착시키고, 상기 제1,2캠 유니트(510)(610)을 하강시켜서 그 하강력으로 상기 제1,2승강테이블(105)(205)이 상기 제1,2고정테이블(305)(405)의 위치까지 하강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1,2캠 유니트(510)(610)의 작동으로 상기 제1,2절곡유니트(100)(200)를 연동하여 상기 제1,2절곡부(16)(17)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어서 도 12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상기 제3,4캠 유니트(710)(810)의 상승 작동으로 상기 제3,4절곡유니트(300)(400)를 연동하여서 상기 제3,4절곡부(18)(19)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2고정테이블(305)(405)에 대해 상기 제1,2승강테이블(105)(205)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제1,2절곡부(16)(17)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길이방향으로 긴 프레임(10)에 제1,2절곡부(16)(17)를 형성할때 프레임(10)의 양단부가 선회되게 되는데 이때 프레임(10)의 양단부가 상기 제1,2고정테이블(305)(405)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함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절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3,4 절곡유니트(100)(200)(300)(400) 각각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상기 제1절곡유니트(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고 나머지 절곡유니트에 대하여는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캠 유니트(510)(610) 각각의 구성은 동일하고, 또한 제3,4캠 유니트(710)(810) 각각의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제1,2캠 유니트(510)(610)는 상기 제1,2절곡유니트(100)(200)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하로 승강되고, 상기 제3,4캠 유니트(710)(810)는 상기 제3,4절곡유니트(300)(4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승강되도록 설명되었으나, 그 반대 위치에 배치되어 작동될 수도 있다.
도 14 내지 도1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캠 유니트(510)는 각각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각 일면에 경사면을 갖는 제1a캠바(511), 제1b캠바(512) 및 제1c캠바(513)가 삼각형태로 배치되며, 실린더(51)의 작동으로 상하로 승강된다.
도 10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1테이블(105)에는 상기 각 제1a캠바(511), 제1b캠바(512) 및 제1c캠바(513)들이 진입되도록 제1a캠공(101), 제2a캠공(102) 및 제3a캠공(10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캠 유니트(610) 및 상기 제2승강테이블(205)에도 상기 제1캠 유니트(510) 및 제1테이블(105)과 마찬가지로 제2a캠바(611), 제2b캠바(612) 및 제2c캠바(613) 및 캠공들이 형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도 13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절곡유니트(100)는 상기 제1테이블(105)에 서로 대향 배치되고 각각 상기 제1b캠바(512)와 제1c캠바(513)에 연동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상기 프레임(10)을 파지 또는 파지해제시키는 제1a 및 2a이동블럭(110)(210)과, 상기 제1테이블(105)에 상기 제2a이동블럭(120)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a캠바(511)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제3a이동블럭(130)과, 상기 제3a이동블럭(130)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1장공(1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턴테이블(150)을 회전시키는 제1푸시봉(135)과, 상기 제3a이동블럭(130)과 대향배치되어 상기 제1테이블(105)에 고정되며 상기 제1견인블럭(155)을 안내하는 제1고정블럭(140)과, 상기 각 제1a,2a,3a이동블럭(110)(120)(130)을 복원시키는 복수의 제1복원스프링(161)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1절곡유니트(100)는 상기 제1b캠바(512)와 제1c캠바(513)의 하강작동으로 상기 제1a이동블럭(110)과 제2a이동블럭(120)이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프레임(10)을 파지하고, 상기 제1a캠바(511)의 하강작동으로 상기 제1견인블럭(155)이 회동되면서 프레임(10)을 절곡하여 제1절곡부(16)를 형성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절곡유니트(200)는 제2턴테이블(250)이 상기 제1턴테이블(15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1절곡유니트(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작동설명에서는 제1절곡유니트(100)와 동일구성에 대하여 다른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제1,2절곡유니트(100)(200)는 상기 제1a이동블럭(110)과 제2a이동블럭(120) 그리고 제1b이동블럭(210)과 제2b이동블럭(220)이 상기 프레임(1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a캠바(511)와 제2a캠바(611)아가 하강되면서 상기 제1턴테이블(150)과 제2턴테이블(250)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제1,2절곡부(16)(17)를 형성하도록 한다.
도 15b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3캠 유니트(710)는 실린더(715)의 작동으로 승강작동되며, 각각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각 일면에 경사면을 갖는 상기 제3a캠바(711), 제3b캠바(712) 및 제3c캠바(713)를 구비한다.
상기 제4캠 유니트(810)는 상기 제3캠 유니트(710)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되고 마찬가지로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며, 각각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각 일면에 경사면을 갖는 상기 제4a캠바(811)를 포함하여 제4b캠바(812)와 제4c캠바(813)를 구비한다.(도 15b에 도면부호는 생략됨)
상기 제3,4절곡유니트(300)(400)는 상기 제1,2절곡유니트(100)(2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다만 제3,4턴테이블의 회전방향이 상기 제1,2턴테이블(150)(250)과 반대방향이다.
상기 제3절곡유니트(300)는 상기 제1고정테이블(305)에 대향 배치되고 각각 상기 제3b캠바(712)와 제3c캠바(713)에 연동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상기 프레임(10)을 파지 또는 파지해제시키는 제1c 및 2c이동블럭(310)(320)과, 상기 제1고정테이블(305)에 상기 제2c이동블럭(320)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a캠바(711)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제3c이동블럭(330)과, 상기 제3c이동블럭(330)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3장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3턴테이블(350)을 회전시키는 제3푸시봉(335)과, 상기 제3c이동블럭(330)과 대향배치되어 상기 제1고정테이블(305)에 고정되며 상기 제3견인블럭(355)을 안내하는 제3고정블럭(340)과, 상기 각 제1c,2c,3c이동블럭을 복원시키는 복수의 제3복원스프링(361)을 구비한다.
상기 제4절곡유니트(400)는 상기 제2고정테이블(405)에 대향 배치되고 각각 상기 제4b캠바(812)와 제4c캠바(813)에 연동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상기 프레임을 파지 또는 파지해제시키는 제1d 및 제2d이동블럭(410)(420)과, 상기 제2고정테이블(405)에 상기 제2d이동블럭(420)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4a캠바(811)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제3d이동블럭(430)과, 상기 제3d이동블럭(430)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4장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4턴테이블(450)을 상기 제3턴테이블(35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4푸시봉(435)과, 상기 제3d이동블럭(430)과 대향배치되어 상기 제2고정테이블(405)에 고정되며 상기 제4견인블럭(455)을 안내하는 제4고정블럭(440)과, 상기 각 제1d,2d,3d이동블럭을 복원시키는 복수의 제4복원스프링(461)을 구비한다.
도 12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상기 제3,4절곡유니트(300)(400)는 상기 제1c이동블럭(310)과 제2c이동블럭(320) 그리고 상기 제1d이동블럭(410)과 제2d이동블럭(420)이 상기 프레임(1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3a캠바(711)와 제4a캠바(811)가 상승되면서 상기 제3턴테이블(350)과 제4턴테이블(450)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제3,4절곡부(18)(19)를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1턴테이블(150)의 외주면에 걸림턱(1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테이블(105)에는 록킹봉(170)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록킹봉(170)의 일단부는 가압스프링(172)에 의해서 상기 제1턴테이블(150)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록킹봉(170)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해제레버(171)가 구비되어 있다.
도 19a에서와 같이 프레임(10)이 제1견인블럭(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캠 유니트(510)의 하강작동으로 제1턴테이블(150) 및 제1견인블럭(155)이 회전되면서 도 19b에서와 같이 프레임(10)이 절곡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캠 유니트(510)가 상승되게 되면 상기 제1복원스프링(161)의 복원력으로 상기 제3a이동블럭(130) 및 제1푸시봉(135)이 후퇴되면서 상기 제1턴테이블(150) 및 제1견인블럭(155)을 원위치 회전시키면서 절곡된 프레임(10)을 다시 펼쳐지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캠 유니트(510)를 상승시키더라도 절곡된 프레임(10)이 절곡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턴테이블(150)이 원위치로 복원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록킹구조가 요구되며, 또한 프레임(10)의 절곡이 완료된 후 장치로부터 프레임(10)을 분리시키고 상기 해제레버(171)의 작동으로 제1턴테이블(150)의 록킹을 해제하여 원위치로 복원회전시킨다.
상기 제1턴테이블(150)의 록킹 및 록킹해제구조는 상기 제2,3 및 제4턴테이블(250)(350)(450)에도 동일한 구조로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프레임 절곡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프레임(10)을 상기 제1,2절곡유니트(100)(200)에 배치되는 상기 제1,2승강테이블(105)(205)의 제1,2견인블럭(155)(255)에 안착하여 지지시킨다.
이때 상기 제1,2승강테이블(105)(205)은 상기 제1,2고정테이블(305)(405)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이어서 상기 제1,2캠 유니트(510)(610)을 하강시켜서 그 하강력으로 상기 제1,2승강테이블(105)(205)이 상기 제1,2고정테이블(305)(405)의 위치까지 하강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1,2캠 유니트(510)(610)의 작동으로 상기 제1,2절곡유니트(100)(200)를 연동하여 상기 제1,2절곡부(16)(17)가 형성되도록 한다.(도 11 참조)
상기와 같이 상기 제1,2고정테이블(305)(405)에 대해 상기 제1,2승강테이블(105)(205)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제1,2절곡부(16)(17)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길이방향으로 긴 프레임(10)에 제1,2절곡부(16)(17)를 형성할때 프레임(10)의 양단부가 선회되게 되는데 이때 프레임(10)의 양단부가 상기 제1,2고정테이블(305)(405)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함이다.
상기 제1절곡유니트(100) 부분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10,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캠 유니트(510)의 제1b캠바(512) 및 제1c캠바(513)가 각각 제1캠공(102)과 제1c캠공(103)에 진입되어 제1a이동블럭(110)과 제2a이동블럭(120)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프레임(10)을 파지한다.
또한, 상기 제1a캠바(511)가 제1a캠공(101)에 진입되면서 제3a이동블럭(130) 및 제1푸시봉(135)을 연동하여 제1복원스프링(161)을 압축시키면서 제1고정블럭(140)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되는 상기 제1푸시봉(135)에 연동되어서 상기 제1턴테이블(150) 및 제1견인블럭(15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프레임(10)을 절곡하여 제1절곡부(16)(도 7 참조)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 19b에서와 같이 프레임(10)의 제1절곡부(16)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1턴테이블(150)은 상기 록킹봉(170)에 의해서 록킹되어 원위치로 복원회전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a이동블럭(110)과 제2a이동블럭(120)이 먼저 이동되어 프레임(1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3a이동블럭(130)이 이동되어 프레임(10)을 절곡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제1b캠바(512) 및 제1c캠바(513)의 경사두께와 제1a캠바(511)의 경사두께 차이에 의해서 결정된다.
상기 제2절곡유니트(200)에서의 제2절곡부(17)를 형성하는 동작은 상기 제1절곡유니트(10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다만, 제2절곡유니트(200)의 제2턴이블(250)의 회전방향이 제1턴테이블(150)과 반대이다.)
상기와 같이 제1,2절곡부(16)(17)가 형성된 후 상기 제3,4절곡유니트(300)(400)에서 제3,4절곡부(18)(19)가 형성된다.
상기 제3절곡유니트(300)에서의 제3절곡부(18) 형성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도 7, 도 12, 도 15b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3캠 유니트(710)가 상기 제1고정테이블(305)의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되면 상기 제3b캠바(712)와 제3c캠바(713)아(713)가 상기 제1c이동블럭(310)과 제2c이동블럭(320)을 연동하여 이동시켜서 상기 프레임(10)을 파지하고, 이어서 제3a캠바(711)가 상기 제3c이동블럭(330) 및 제3푸시봉(335)을 이동시켜서 상기 제3턴테이블(350) 및 제3견인블럭(355)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3절곡부(18)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제4절곡유니트(400)에서의 제4절곡부(19)를 형성하는 동작은 상기 제3절곡유니트(30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다만, 제4절곡유니트(400)의 제4턴이블(450)의 회전방향이 제3턴테이블(350)과 반대이다.)
또한, 상기 제1절곡유니트(100)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0)의 제3,4절곡부(18)(19)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3,4턴테이블(350)(450)은 상기 록킹봉(170)에 의해서 록킹되어 원위치로 복원회전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2,3 및 4 절곡부(16)(17)(18)(19)가 형성된 후, 상기 제1,2캠 유니트(510)(610)를 상승시키고 상기 제3,4캠 유니트(710)(810)를 하강시켜서 각각 제1,2,3 및 4절곡유니트(100)(200)(300)(400)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절곡된 프레임(100)을 장치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해제레버(171)를 작동하여 각 제1,2,3, 및 4턴테이블(150)(250)(350)(450)들이 원위치로 복원 회전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프레임 절곡유니트는 상부측에서 승강되는 캠 유니트에 의해서 턴테이블이 무동력으로 회전하면서 프레임을 절곡할 수 있도록 한다.
10...프레임 100...제1절곡유니트
105...제1테이블 110...제1a이동블럭
120...제2a이동블럭 130...제3a이동블럭
140...제1고정블럭 150...제1턴테이블
155...제1견인블럭 200...제2절곡유니트
205...제2승강테이블 210...제1b이동블럭
220...제2b이동블럭 230...제3b이동블럭
240...제2고정블럭 250...제2턴테이블
255...제2견인블럭 300...제3절곡유니트
305...제3승강테이블 310...제1c이동블럭
320...제2c이동블럭 330...제3c이동블럭
340...제3고정블럭 350...제3턴테이블
355...제3견인블럭 400...제4절곡유니트
405...제4승강테이블 410...제1d이동블럭
420...제2d이동블럭 430...제3d이동블럭
440...제4고정블럭 450...제4턴테이블
455...제4견인블럭 510...제1캠 유니트
610...제2캠 유니트 710...제3캠 유니트
810...제4캠 유니트

Claims (2)

  1. 수평면(10a)과 수직면(10b)을 갖도록 절곡된 일자형태의 프레임(10)을 제1 절곡부(16)를 갖도록 절곡시키는 프레임 절곡유니트에 있어서,
    작업테이블(1)과;
    상기 작업테이블(1)에 배치되는 제1테이블(105)과;
    상기 제1테이블(105)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측으로 제1장공(151)이 형성된 제1턴테이블(150)과, 상기 제1턴테이블(15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수직면(10b)이 결합되는 제1견인블럭(155)을 구비하여 상기 제1 절곡부(16)를 형성시키는 제1절곡유니트(100)와;
    상기 제1절곡유니트(100)의 상부측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턴테이블(150)을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경사면이 형성된 제1a캠바(511)를 포함하는 제1캠 유니트(510);를 구비하며,
    상기 제1캠 유니트(510)는 각각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각 일면에 경사면을 갖는 상기 제1a캠바(511)를 포함하여 제1b캠바(512)와 제1c캠바(513)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절곡유니트(100)는 상기 제1테이블(105)에 서로 대향 배치되고 각각 상기 제1b캠바(512)와 제1c캠바(513)에 연동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상기 프레임(10)을 파지 또는 파지해제시키는 제1a 및 2a이동블럭(110)(120)과, 상기 제1테이블(105)에 상기 제2a이동블럭(120)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a캠바(511)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제3a이동블럭(130)과, 상기 제3a이동블럭(130)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1장공(1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턴테이블(150)을 회전시키는 제1푸시봉(135)과, 상기 제3a이동블럭(130)과 대향배치되어 상기 제1테이블(105)에 고정되며 상기 제1견인블럭(155)을 안내하는 제1고정블럭(140)과, 상기 각 제1a,2a,3a이동블럭(110)(120)(130)을 복원시키는 복수의 제1복원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턴테이블의 외주면에 걸림턱(152)이 형성되고,
    상기 제1테이블(105)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턴테이블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걸림턱(152)에 록킹되고 타단부에 상기 록킹을 해제시키는 해제레버(171)가 구비된 록킹봉(170)과,
    상기 록킹봉(170)을 상기 제1턴테이블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가압스프링(172)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바를 이용한 프레임 절곡유니트.
  2. 삭제
KR1020180120148A 2018-10-10 2018-10-10 캠바를 이용한 프레임 절곡유니트 KR102061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148A KR102061428B1 (ko) 2018-10-10 2018-10-10 캠바를 이용한 프레임 절곡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148A KR102061428B1 (ko) 2018-10-10 2018-10-10 캠바를 이용한 프레임 절곡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428B1 true KR102061428B1 (ko) 2020-02-11

Family

ID=6956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148A KR102061428B1 (ko) 2018-10-10 2018-10-10 캠바를 이용한 프레임 절곡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4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921A (ja) * 1994-03-01 1995-09-12 Kanbe Kogyo Kk 曲げ加工装置
KR100875543B1 (ko) 2007-02-12 2008-12-26 첨단하이테크 주식회사 프레임 절곡장치
JP3168568U (ja) * 2011-04-06 2011-06-16 奨 大塚 曲げ加工機
KR101432445B1 (ko) * 2013-06-12 2014-08-21 유재병 벤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921A (ja) * 1994-03-01 1995-09-12 Kanbe Kogyo Kk 曲げ加工装置
KR100875543B1 (ko) 2007-02-12 2008-12-26 첨단하이테크 주식회사 프레임 절곡장치
JP3168568U (ja) * 2011-04-06 2011-06-16 奨 大塚 曲げ加工機
KR101432445B1 (ko) * 2013-06-12 2014-08-21 유재병 벤딩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68568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6062B2 (ja) タークスヘッドスタンド
JP5631337B2 (ja) 成形装置
WO2021003914A1 (zh) 用于搅拌摩擦焊的夹具
DE112007003720T5 (de) Überführungseinrichtung
KR102015730B1 (ko) 프레임 펀칭장치
KR102006769B1 (ko) 프레임 절곡용 금형 구조체
KR102061427B1 (ko) 무동력 턴테이블을 이용한 프레임 2단 절곡장치
KR102061428B1 (ko) 캠바를 이용한 프레임 절곡유니트
CN107390313B (zh) 气泡导光板制造机构
CN102882105A (zh) 适用于组装pcb板连接器的治具
JP2014223651A (ja) 多段プレス装置
KR102245775B1 (ko) 동력 턴테이블을 이용한 프레임 2단 절곡장치
JP5886085B2 (ja) ステージ装置およびステージ装置の制御方法
CN212019039U (zh) 一种车桥推力杆折弯模具
CN113579615B (zh) 箱梁臂架的焊接定位工装
CN113752620B (zh) 一种上模快速换模结构及相关设备和方法
CN219668287U (zh) 一种工业机器人转运装置
CN220179229U (zh) 一种轴承拉拔器
CN109158454A (zh) 一种高强度高稳定性折弯机
JP2020044569A (ja) 箱曲げ用パンチ金型及び箱曲げ用金型セット
CN113909860B (zh) 一种钢带箱生产用锁扣装订装置
CN109838435B (zh) 一体化定位贴片机构
EP1074319A3 (en) Apparatus for pressing a metal plate into a desired shape
CN211226155U (zh) 一种举升装置
CN212313076U (zh) 打印平台及制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