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548B1 - 케이블 베어 조립체 - Google Patents

케이블 베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548B1
KR102060548B1 KR1020180025748A KR20180025748A KR102060548B1 KR 102060548 B1 KR102060548 B1 KR 102060548B1 KR 1020180025748 A KR1020180025748 A KR 1020180025748A KR 20180025748 A KR20180025748 A KR 20180025748A KR 102060548 B1 KR102060548 B1 KR 102060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sides
pair
parallel
sid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5330A (ko
Inventor
박관흠
Original Assignee
(주)광동메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동메가텍 filed Critical (주)광동메가텍
Priority to KR1020180025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54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12Chain link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면부와, 제1면부의 폭방향 양측에서 외측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제1측부를 포함하여 병렬로 연속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블럭; 각 연결블럭의 제1면부와 대향하여 이격되게 한 쌍의 제1측부 단부에 위치하는 제2면부와, 제2면부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한 쌍의 제1측부의 외측과 일부분 중첩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측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직렬링크; 및 병렬로 배치된 연결블럭의 제1측부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병렬링크;를 포함하는 케이블 베어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케이블 베어가 복수의 연결핀으로 서로 연결되어 반복적인 움직임에 따라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며, 각종 케이블의 보호 및 정렬을 상시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베어 조립체 {Cable veyor assembly}
본 발명은 자동화 기기에 접속된 각종 케이블을 보호하면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케이블 베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베어는 반도체 장비, 크린룸 설비, 공작기계 로봇, 중단거리 산업기계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움직이는 기계부에 접속된 케이블이나 호스 등을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고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부식과 화학제품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공작기계, 산업기계 등 자동화 시스템에는 다수의 케이블 또는 유공압 호스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어 시스템을 운용함에 따라 각종 케이블들이 서로 꼬이거나 손상됨으로써 기계가 오동작하거나 누전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을 가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 또는 호스를 케이블 베어로 보호하여 정렬시키게 된다. 케이블 베어는 케이블 또는 유공압 호스의 전체길이에 대해서 삽입 장착하거나 취약부분에만 따로 일정길이로 삽입 장착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일정 길이만큼 복수의 링크를 핀으로 연설하게 된다.
즉, 종래의 케이블 베어는 복수의 링크가 각각 이웃하는 다른 링크와 핀으로 연설된 체인과 같은 구조체를 일정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배치되고, 그 양측의 링크들이 상호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케이블 베어는 자연스럽게 '⊂'형의 곡률을 이루면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케이블 베어는 수미터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어 포드(외부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어 사용되는데, 길이 방향으로 직선 및 곡선 구간이 반복됨으로써 포드 내에서 뒤집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종 케이블의 보호 및 정렬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0521호 (공고일자: 2004년 12월 10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반복적인 움직임에 의해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베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케이블 베어 조립체는, 제1면부와, 제1면부의 폭방향 양측에서 외측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제1측부를 포함하여 병렬로 연속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블럭; 각 연결블럭의 제1면부와 대향하여 이격되게 한 쌍의 제1측부 단부에 위치하는 제2면부와, 제2면부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한 쌍의 제1측부의 외측과 일부분 중첩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측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직렬링크; 및 병렬로 배치된 연결블럭의 제1측부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병렬링크;를 포함한다.
각 연결블럭은, 제1면부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쌍의 제1측부의 중간에는, 대칭된 제1관통구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병렬링크는, 병렬로 나열된 서로 다른 연결블럭 사이에 위치하여 마주하는 서로 다른 제1측부의 각 제1관통구를 서로 연통시키는 슬리브와, 병렬로 나열되어 마주하는 서로 다른 제1측부의 각 관통구를 통과하여 슬리브와 함께 고정결합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측부의 양측에는, 연결핀의 머리부와 대응되는 음형진 곡선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케이블 베어 조립체는, 제1면부와 제2면부 사이에 위치하되 제2면부와 접하게 배치되는 제3면부와, 제1관통구와 연통되는 제3관통구가 형성되며 제3면부의 폭방향 양측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한 쌍의 제1측부와 중첩되는 한 쌍의 제3측부를 포함하는 보강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베어 조립체에 의하면, 복수의 케이블 베어가 복수의 연결핀으로 서로 연결되어 반복적인 움직임에 따라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며, 각종 케이블의 보호 및 정렬을 상시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베어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요부를 분해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직선 구간에서의 연결블럭의 접촉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곡선 구간에서의 연결블럭의 접촉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베어 조립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베어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요부를 분해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직선 구간에서의 연결블럭의 접촉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곡선 구간에서의 연결블럭의 접촉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베어 조립체는, 복수의 연결블럭(110); 복수의 직렬링크(120); 복수의 병렬링크(130); 및 복수의 보강링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블럭(110)은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재로서 곡선 구간을 포함하여 케이블 베어 조립체의 내측에 병렬로 연속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각 연결블럭(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진 제1면부(111)와, 제1면부(111)의 폭방향 양측에서 외측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제1측부(112) 및 제1면부(111)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접촉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면부(111)는 본 실시예에서 직사각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평면을 가지는 정사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1면부(111)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각각의 접촉부(113)가 만곡지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절개부(111a)가 일정 간격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측부(112) 역시 본 실시예에서 직사각 형태를 가지며,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의 직렬링크(120)와 회전지지수단(B)으로 연결될 수 있는 삽입공(도면부호 생략)이 각각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측부(112)의 중간(제1측부(112)와 제2측부(122)가 중첩되지 않은 부분)에는 제1관통구(112a)가 각각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접촉부(113)는 각각 직사각 형태의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경사각도에 의해 연결블럭(110)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케이블 베어 조립체의 연결블럭(110)들이 직선구간 및 곡선구간에서 서로 인접한 각 연결블럭(110)의 접촉부(113)의 상측이 서로 선접촉되어 반력이 형성되는데, 서로 인접한 각 연결블럭(110)의 접촉부(113) 간에 직선구간보다 곡선구간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힘이 작용하게 된다.
복수의 직렬링크(120)는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재로서, 복수의 연결블럭(110)과 회전지지수단(B)을 이용해 교차되게 연결되며,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연결블럭(110)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복수의 직렬링크(120)는 각 연결블럭(110)의 제1면부(111)와 대향하여 이격되게 한 쌍의 제1측부(112) 단부에 위치하는 제2면부(121)와, 제2면부(12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한 쌍의 제1측부(112)의 외측과 일부분 중첩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측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면부(121)는 제1면부(111)와 같이 직사각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평면을 가지는 정사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 쌍의 제2측부(122)는 연결블럭(110)의 한 쌍의 제1측부(112)를 둘러싸듯 위치하며, 양측 가장자리에 제1측부(112)의 삽입공(도면부호 생략)과 대응하는 또 다른 삽입공(도면부호 생략)이 각각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측부(122)의 양측에는 후술할 연결핀(132)의 머리부와 대응되는 음형진 곡선면(122a)이 각각 형성되어 케이블 베어 조립체의 이동시 직선 및 곡선 구간에서 연결핀(132)의 머리부가 제2측부(122)의 측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병렬링크(130)는 병렬로 배치된 연결블럭(110)의 제1측부(112)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ㄷ'형상의 부재로서, 병렬로 나열된 서로 다른 연결블럭(110) 사이에 위치하여 마주하는 서로 다른 제1측부(112)의 각 제1관통구(112a)를 서로 연통시키는 슬리브(131)와, 병렬로 나열되어 마주하는 서로 다른 제1측부(112)의 각 관통구(112a)를 통과하여 슬리브(131)와 함께 고정결합되는 연결핀(132)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131)는 내부에 직선 형상의 삽입부가 마련된 관 형상으로 양측 개방되게 마련되며, 서로 다른 제1측부(112)들을 이격시키고자 하는 거리만큼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핀(132)은 병렬로 나열된 서로 다른 연결블럭(110)들을 일체로 연결하도록 그 머리부가 어느 하나의 연결블럭(110)의 제1측부(112)의 제1관통구(112a)를 관통 및 슬리브(131)로 삽입되며, 그 단부가 다른 하나(병렬로 나열된 마지막)의 연결블럭(110)의 제1측부(112)의 제1관통구(112a)를 관통하여 제1측부(112)의 외측 면에 리벳팅될 수 있다.
보강링크(140)는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재로서, 연결블럭(110)과 대칭으로 결합되어 연결블럭(110)의 휨을 방지하며, 직렬링크(120)를 연결블럭(110)에 보다 안전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보강링크(140)는 제1면부(111)와 제2면부(121) 사이에 위치하되 제2면부(121)와 접하게 배치되는 제3면부(141)와, 제1관통구(112a)와 연통되는 제3관통구(142a)가 형성되며 제3면부(141)의 폭방향 양측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한 쌍의 제1측부(112)와 중첩되는 한 쌍의 제3측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면부(141)와 제3측부(142)는 공히 직사각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평면을 가지는 정사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3측부(142)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제1측부(112)의 삽입공 및 제2측부(122)의 삽입공과 대응되는 또 다른 삽입공(도면부호 생략)이 각각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제3관통구(142a)는 이들 삽입공의 사이 즉, 제1측부(112)의 중간(제1측부(112)와 제2측부(122)가 중첩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어 제1관통구(112a)와 대응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케이블 베어 조립체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베어 조립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조립된 케이블 베어 조립체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드(150, 외부 케이스)의 삽입부(150a)에 삽입하여 기계부의 이동시 외부로의 분진 배출을 방지함은 물론, 꼬임 및 자체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포드는 폴리 우레탄과 같이 굽힘이 자유롭고 신축성 재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2개의 합성수지 시트를 라미네이트 방식으로 접합하여 성형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연결블럭(110), 복수의 직렬링크(120) 및 복수의 보강링크(140)가 병렬로 다수 배치된 케이블 베어를 복수의 병렬링크(130)로 서로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직선 및 곡선 구간이 반복되는 움직임에 대응하여 기계부의 동작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케이블 베어 조립체에 의하면, 복수의 케이블 베어가 복수의 연결핀으로 서로 연결되어 반복적인 움직임에 따라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며, 각종 케이블의 보호 및 정렬을 상시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연결블럭
111: 제1면부
112: 제1측부
113: 접촉부
120: 직렬링크
121: 제2면부
122: 제2측부
130: 병렬링크
131: 슬리브
132: 연결핀
140: 보강링크
141: 제3면부
142: 제3측부
B: 회전지지수단

Claims (6)

  1. 제1면부와, 상기 제1면부의 폭방향 양측에서 외측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제1측부를 포함하여 내측 곡률을 형성하도록 병렬로 연속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블럭;
    상기 각 연결블럭의 제1면부와 대향하여 이격되게 상기 한 쌍의 제1측부 단부에 위치하는 제2면부와, 상기 제2면부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제1측부의 외측과 일부분 중첩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측부를 포함하여 외측 곡률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직렬링크; 및
    병렬로 배치된 상기 연결블럭의 제1측부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병렬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각 연결블럭은, 상기 제1면부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접촉부를 더 포함하되, 각 접촉부는 직선구간 및 곡선구간에서 서로 인접한 접촉부의 상측과 서로 선접촉되어 반력을 형성시키며, 서로 인접한 접촉부 간에 직선구간보다 곡선구간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힘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베어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측부의 중간에는,
    대칭된 제1관통구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베어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링크는,
    병렬로 나열된 서로 다른 연결블럭 사이에 위치하여 마주하는 서로 다른 제1측부의 각 제1관통구를 서로 연통시키는 슬리브와,
    병렬로 나열되어 마주하는 서로 다른 제1측부의 각 관통구를 통과하여 상기 슬리브와 함께 고정결합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베어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부의 양측에는,
    상기 연결핀의 머리부와 대응되는 음형진 곡선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베어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부와 상기 제2면부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2면부와 접하게 배치되는 제3면부와,
    상기 제1관통구와 연통되는 제3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3면부의 폭방향 양측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제1측부와 중첩되는 한 쌍의 제3측부를 포함하는 보강링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베어 조립체.
KR1020180025748A 2018-03-05 2018-03-05 케이블 베어 조립체 KR102060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748A KR102060548B1 (ko) 2018-03-05 2018-03-05 케이블 베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748A KR102060548B1 (ko) 2018-03-05 2018-03-05 케이블 베어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330A KR20190105330A (ko) 2019-09-17
KR102060548B1 true KR102060548B1 (ko) 2019-12-30

Family

ID=68070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748A KR102060548B1 (ko) 2018-03-05 2018-03-05 케이블 베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5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1236A1 (en) 2001-02-14 2002-08-15 Prince Jeffrey Theorin Chain with selectively engaged links
JP2016095000A (ja) * 2014-11-14 2016-05-2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サイレントチェーン
US20170030441A1 (en) * 2015-07-28 2017-02-02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Flex-drive hinge actuator
JP6116925B2 (ja) 2013-02-05 2017-04-19 矢崎総業株式会社 給電用ケースの補強構造
KR101772922B1 (ko) * 2016-06-24 2017-08-30 박선화 케이블 지지 가이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521B1 (ko) 2004-05-13 2004-12-10 김두진 케이블 보호용 지지구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1236A1 (en) 2001-02-14 2002-08-15 Prince Jeffrey Theorin Chain with selectively engaged links
JP6116925B2 (ja) 2013-02-05 2017-04-19 矢崎総業株式会社 給電用ケースの補強構造
JP2016095000A (ja) * 2014-11-14 2016-05-2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サイレントチェーン
US20170030441A1 (en) * 2015-07-28 2017-02-02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Flex-drive hinge actuator
KR101772922B1 (ko) * 2016-06-24 2017-08-30 박선화 케이블 지지 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330A (ko)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788B1 (ko) 다관절형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CN102900810B (zh) 缆线类保护导引装置
KR101074440B1 (ko) 다관절형 케이블 보호안내장치
KR100727362B1 (ko) 소음과 분진을 저감시킨 케이블 베어
AU615691B2 (en) Line protecting apparatus
KR101032812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JP2011214704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用多関節支持部材
KR101779645B1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JP2013070552A (ja) 合成樹脂製のケーブル・配管類保護案内部材
JP5709813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1683951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KR102060548B1 (ko) 케이블 베어 조립체
US20170023102A1 (en) Device for guiding long object
KR20050047463A (ko) 케이블 보호안내장치
JP5709832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US20070018146A1 (en) Skate for cable protection guide
KR100922345B1 (ko) 처짐 방지 케이블 베어 장치
CN107850185B (zh) 链条用限制弯曲附件
TWI792115B (zh) 長條物之導引裝置
KR101760642B1 (ko) 케이블 보호장치
KR100193752B1 (ko) 호스체인
KR102008170B1 (ko)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CN112787298B (zh) 线缆引导装置
KR200441235Y1 (ko) 연설구조를 단순화시킨 케이블 베어
KR20100099834A (ko) 전선보호 케이블 베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