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752B1 - 호스체인 - Google Patents

호스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752B1
KR100193752B1 KR1019950021758A KR19950021758A KR100193752B1 KR 100193752 B1 KR100193752 B1 KR 100193752B1 KR 1019950021758 A KR1019950021758 A KR 1019950021758A KR 19950021758 A KR19950021758 A KR 19950021758A KR 100193752 B1 KR100193752 B1 KR 100193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chain
legs
chain according
shaped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850A (ko
Inventor
아르쯔베르거 막쉬밀리안
바이슬러 레오나드
Original Assignee
한스 하베르어
바우어 스페찌 알티프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 하베르어, 바우어 스페찌 알티프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한스 하베르어
Publication of KR960003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7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 B65H2701/3911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호스체인은 호스를 수용하기 위해 대체로 U형상단면을 가지며, 스틸케이블들에 의해 그들의 다리부에서 연결되는 체인링크들로 구성된다. U형상단면부의 내경은 대략 호스의 외경과 일치하며, 이 U형상단면의 자유로운 상부다리부들은 호스주위를 넘어서 연장된다. 이 다리부들은 그들의 외측하단부에서 호스주위를 넘어서 연장되며 이 다리부아래 위치되는, 자유로운 다리부들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들을 갖는다. 그리고 U형상단면의 웨브는 그 외측에서 대략 호스의 외주곡면과 일치하는 오목리세스를 가진 돌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호스체인
제1도는 드럼위에 놓여진 호스체인의 부분단면도.
제2도는 호스체인의 부분측단면도.
제3도는 호스체인의 평면도.
제4도는 호스체인의 체인링크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따른 체인링크의 측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선 VI-VI을 따라 취해진 체인링크의 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화살표 VII의 방향에서의 체인링크의 평면도.
제8도는 특히 커플링부재로서의 체인링크의 다른 실시예.
제9도는 제8도의 선 IX-IX에 따라 취해진 체인링크의 단면도.
제10도는 측면에 위치된 호스체인 드럼을 구비한 슬로트벽 밀링도구의 전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스체인 12 : U형상의 체인링크
14 : 호스 16 : 스틸케이블
18 : 다리부 20 : 리세스
22 : 웨브 24 : 돌출부
26 : 케이블덕트 32 : 드럼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스틸케이블들에 의해 그들의 다리부 또는 돌기부들에서 연결되고 대체로 U형상의 단면을 가진, 호스를 수용하기 위한 체인링크들을 구비한 호스체인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또는 호스를 안내하기 위한 그와같은 호스체인 또는 링크체인들은 한 고정된 연결체에 연결된 가동(可動)의 소모재의 공급 또는 폐기를 위해 사용된다. 그 케이블 또는 호스들의 얽힘 또는 막힘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런 종류의 한 알려진 링크체인(독일특허 1131480)은 U형상단면을 가지며 하나의 커버로 밀폐될 수 있고 관절로 이어져서 상호 연결된 개개의 링크들을 구비한다. 라인(line)들은 이 링크들내에 위치된다. 이 개개의 링크들은 스틸와이어들에 의해 상호연결되어 구성되어서 체인은 지지되어 있지 않지만 일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다. 그와같은 체인들은 예를들어 이동가능하고 횡단가능한 랙크들의 연결을 위한 전화교환국을 위해 사용된다. 유사한 링크체인이 DE-G-1978457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링크체인 또는 뒤따르는 케이블가이드는 기계도구들과 연결되어 사용되며, 회전 또는 천공에 의한 손상에 대해 호스들 또는 케이블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다시 개개의 체인링크들은 U형상구조를 가지며 스틸와이어들에 의해 연결된다. 개개의 링크들이 웨브들에 의해 관절로 이어지는 방식으로 상호연결되는 링크체인들과 비교하여 이 스틸와이어 견결은 링크들이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을 피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알려져 있는 호스 또는 링크체인들은 예를들어 지하작업도구들과 같이 높은 응력을 요구하는 것에는 부적합하다. 그러므로, DE-4119211 C1은 하나의 드럼위에 감겨질 수 있는 여러개의 평행한 호스들을 구비한 호스체인을 제안한다. 이 호스들은 종방향으로 소정의 공간들과 함께 횡바(crossbar)들과 상호연결되어서 그와같은 소정의 측방향 공간들에 의해 떨어져 있다. 이 횡바들은 두가닥으로 된 장력방지용이며, 스페이셔들에 의해 관절로 이어지는 방식으로 상호연결된다. 드럼위에 감겨질 때 그 스페이셔들은 겹쳐지며 또한 입체적으로 되어서 개개의 층(layer)들에 있는 호스들은 서로의 위에서 완화된 방식으로 안치된다. 상기의 공급호스들과는 별도로 그와같은 지하작업도구는 또한 일반적으로 세척액과 혼합된 폐액을 운송하기 위한 폐기라인을 요구한다. 이 라인 또는 호스는 공급호스들보다 훨씬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이에따라 별개의 드럼위에 감겨져야 하는 것이다. 그 호스가 압착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한 알려져 있는 지하작업도구는 호스가 단열로 그리고 여러층으로 감겨지는 하나의 수평하게 위치된 드럼을 사용한다. 그와같은 지하작업도구의 또다른 공지의 구조는 호스가 단층으로, 그리고 여러열의 나선형태로 감겨지는 수직하게 위치되는 드럼을 사용한다. 양자의 구조들은 비교적 커다란 공간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류의 호스체인을 더욱 개발시켜서 견고하며, 가혹한 조건하에서 높은 응력에 견디며, 제작하기가 용이하며, 그리고 수직의 드럼위에 다층으로 감기도록 한 호스체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특징적으로 기술된 발명, 즉 U형상단면의 내경이 대략 호스의 외경과 일치하며, U형상단면의 자유로운 상부다리부들은 호스주위를 넘어서 연장되며, 그 다리부들은 그들의 외측하단부에서 그들 아래에 배치되며 호스주위를 넘어서 연장되어 자유로운 다리부들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들을 구비하며, U형상단면의 웨브가 그 외측에서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은 호스체인의 확실한 안내와 저장을 보장하는 호스드럼의 공간을 절감하고 구조적으로 바람직한 수직배치를 허용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발은 종속항들로부터 모아질 수 있다. 돌출부는 그것이 그 아래 놓여진 체인링크에 위치된 호스의 주위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상기 호스는 유리하게 U형상단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더욱 유리한 개발에 따라서 상기 돌출부가 대략호스의 외주곡면과 일치하는 오목리세스를 구비한다는 사실로부터 더욱 유리한 고정이 초래된다. 본 발명의 더욱 유리한 개발은 돌출부의 폭이 U형상단면의 내경과 일치하도록 하여서 제공된다. 이것은 드럼위에 위치된 호스체인내에서 호스의 밀폐된 배치를 허용한다. 부가하여, 확실한 안내가 얻어져서 드럼위 또는 드럼안에서 호스체인이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유리한 개발에 따르면 각 체인링크는 그것의 종방향으로, 그리고 종축으로부터 시작하여 상단과 하단을 향하여 감소하는 폭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호스체인을 두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하여서 두 방향으로의 편향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구조의 단순하고 기술적인 변형은 상기 다리부의 상부 또는 하부반쪽이 종방향으로 사다리꼴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가능한 것이다. 사다리꼴은 하나의 단순한 측면의 모습이고, 이는 주물에 의해 용이하게 만들어 질 수 있다. 호스체인의 선회움직임을 저 마찰로, 그러므로 저 마모로 행하기 위해, 즉 호스체인의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더욱 유리한 개발에 따라서 상기 다리부들은 종방향으로 볼록하게 구성된다. 서로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이러한 형상의 표면들에 의해 저마찰과 저마모의 구름동작이 얻어지며, 이에따라 드럼위로 그리고 드럼으로부터 감겨지는 돈안 에너지 소비가 감소된 상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개발에 따르면, 다리부들은 각 케이스내에 다리부벽에 형성된 건사구멍이 구비된 관통케이블덕트를 가진다. 이것은 개개의 체인링크들의 단순하고 확실한 연결을 허용하며, 언제든지 스틸케이블을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개개의 호스부분들을 상호연결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개발에 따라서 상기 다리부들은 종방향에 나사진 볼트들을 수용하기 위한 여러 구멍들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개발에 따르면, U형상단면의 웨브는 체인링크의 중심을 향하여 감소하는 폭을 가진다. 이에 의해 개개의 체인링크들의 무게가 감소하게 되며, 따라서 호스체인이 작동될 때 에너지가 절감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개발에 따르면, 호스체인은 모듈구조를 가지며, 이 호스체인모듈들은 그 단부에서 커플링기구를 가진다. 이 커플링기구들은 나사연결체와 클램프들에 의해 연결시킬 수 있는 체인링크로서, 평탄한 커플링표면을 가진 구조로 된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서 표준화된 호스체인부분들, 즉 원하는 빌딩깊이의 함수로서 특정길이를 가진 호스체인부분들을 용이하게 수송하여 그들을 현장에서 상호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여서 그와같은 지하작업도구들의 사용이 크게 촉진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호스체인(10)은 개개의, 그리고 대체로 U형상단면의 체인링크(12)들로 구성되며, 그 안에 호스(14)가 놓여진다. 그 개개의 체인링크(12)들은 그들의 다리부(18)에서 스틸케이블 또는 스틸와이어(16)들에 의해 연결된다. 스틸케이블(16)들은 검사구멍(28)(제5,6도 참조)들을 구비한 체인링크(12)들의 다리부(18)들에 위치한 케이블덕트(26)들을 통하여 연장된다. 개개의 체인링크(12)들내에 호스(14)가 확실히 배치되도록 일정한 수의 체인링크(12)들사이에는 스틸케이블(16)과 호스(14)주위에서 결합하는 클램프(13)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된다. 호스체인(10)은 지하작업도구, 예를들어 미도시된 슬로트벽밀링도구에 수직으로 위치된 드럼(32)위에 다층형식으로 감겨진다. 특히, 제1,4도 그리고 제8도로부터 추측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체인링크(12)의 U형상단면부는 대략 호스(14)의 외경과 일치하는 내경을 가진다. U형상단면의 다리부(18)들의 상부자유단은 체인링크(12)에 위치된 호스(14)의 둘레를 어느 정도까지 넘어서 연장된다. 그들의 하부외단부에는 그 폭이 대략 다리부(18)들의 상부자유단의 폭과 일치하는 리세스(20)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리세스(20)들은 호스체인(10)이 드럼(32)위에 감겨질 때 그 아래 위치된 체인링크(12)의 다리부(18)들의 상부자유단들을 수용한다. U형상단면의 웨브(22)의 외측에는 대략 호스의 외주곡면과 일치하는 오목리세스(21)를 가진 돌출부(24)가 마련된다. 그 돌출부(24)의 폭은 대략 U형상단면부의 내경과 일치하여서 돌출부(24)는 두 리세스(20)사이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드럼(32)에 대하여 호스체인(10)을 감고 풀을 때, 개개의 체인링크(12)들의 확실한 안내와 호스(14)의 견고한 배치를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하부체인링크(12)위에 배치된 상부체인링크(12)는 돌출부(24)에 의해 하부체인링크(12)를 한정시키고 오목리세스(21)에 의해 호스(14)를 고정시키기 때문이다. 제2,5,6도 그리고 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체인링크(12)는 상부와 하부를 향해 감소하는 폭을 갖고서, 종방향 즉, 중심종축으로부터 시작해서 호스의 방향으로 배치된다. 전술한 케이블덕트(26)는 제2도와 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축을 따라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다리부(18)의 상부반쪽 또는 하부반쪽은 종방향을 향하여 사다리꼴 구조를 이루는 바, 즉 종축으로부터 시작하여 다리부(18)의 선후테두리는 다리부(18)의 상하단에 대하여 대략 6도 내지 9도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7.5도의 각도를 이룬다. 이것에 의해 호스체인(10)은 체인링크(12)들의 상단과 하단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허용된다. 개개의 체인링크들의 저마찰을 유도하여 저마모 선회작용(pivoting)을 얻기 위해서 다리부(18)의 선후테두리들은 또한 블록한 구조(미도시)로 주어질 수 있다. 특히 제3도와 4도로부터 추측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체인링크(12)의 웨브(22)는 중심을 향하여 감소하는 폭을 가져서 U형상의 내부공간과 오목리세스(21)와 함께 대략 쌍곡선형태의 웨브(22)로 되는데, 이것은 체인링크의 무게를 감소시켜 주게 된다. 만일 체인링크(12)가 주물의 형태로 된다면 강화된 리브들의 구조로부터 그 이상의 무게절감이 초래된다. 왜냐하면 그 결과로 체인링크(12)의 강도에 불리하게 영향을 주지않은 채, 나머지 벽부분들이 상대적으로 얇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8도와 9도는 체인링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체인링크(12)는 개개의 호스체인부분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커플링기구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것은 특히 호스체인(10)이 모듈구조를 갖는 경우에, 즉 일정길이를 가진 개개의 호스체인모듈들로 구성되어 지하작업도구의 작업깊이에 상응하여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에 중요하다. 제8도와 9도에 도시된 체인링크(12)의 실시예에 이러한 목적을 적용하기 위해 다리부(18)의 종방향에는 나사진 볼트들을 수용하기 위한 여러개의 구멍(30)들이 있으며 그 커플링면은 평탄하여서, 각 호스체인모듈의 전단과 후단에 배치된 두 개의 그와 같은 체인링크(12) 또는 체인링크 반쪽들은 함께 나사결합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는 호스체인모듈들을 연결하기 위한 댐핑부재들 또는 클램프들을 개재함으로써 함께 수반된다.
상기에 기술된 호스체인에 의해서 지하작업도구에서 유체, 특히 세척액과 결합된 폐액을 운반하기 위한 호스(14)의 다층배열은 상기 도구에 수직으로 배치된 드럼(32)위에서 발생한다. 호스체인(10)은 또한 지하작업도구, 예를들어 슬로트벽밀링도구위에 작용하는 호스체인(10)의 무게가 상기 도구에 실리거나 해제되어, 결과적으로 이 도구의 조절을 행하는 방식으로 호스(14)의 통제되는 감기와 풀기를 허용하는 것이다.

Claims (14)

  1. 스틸 케이블에 의해 그들의 다리부에서 상호 연결되며 호스들 수용하기 위해 대체로 U형상의 단면을 갖는 체인 링크들을 포함하는 호스 체인에 있어서, U형상 단면부의 내경은 대략 호스(14)의 외경과 일치하며, U형상 단면의 자유로운 상부 다리부(18)들은 호스 주위를 넘어서 연장되며, 상부 다리부(18)들은 그 외측 하단부에, 그들 아래에 배치되며 호스 주위를 넘어서 연장되는 자유로운 다리부(18)들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20)들을 구비하며, U형상 단면의 웨브(22)는 그 외측에 돌축부(2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4)는 그 아래 위치된 체인 링크(12) 안에 놓여진 호스(14)의 둘레에 접촉 또는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성되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4)는 호스(14)의 외부 곡면과 대략 일치하는 오목 리세스(2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4)의 폭은 U형상 단면부의 내경과 대략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인.
  5. 제1항에 있어서, 각 체인 링크(12)는 종방향으로, 그리고 그 종축으로부터 시작하여 상단과 하단을 향하여 감소하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18)들의 상부 또는 하부 반쪽은 종방향으로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18)들은 종방향으로 볼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18)들은 각각 종방향으로 향하여진 관통 케이블 덕트(2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덕트(26)는 검사 구멍(2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18)들에는 각각 나사진 볼트들을 수용하기 위한여러개의 구멍들이 종방향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인.
  11. 제1항에 있어서, U형상 단면의 웨브(22)는 상기 체인 링크(12)의 중심을 향하여 감소하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체인(10)은 모듈 구조를 가지며, 이 호스 체인 모듈들은 그 단부에 커플링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기구들은, 평탄한 커플링면을 가지며 나사 연결부와 클램프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체인 링크(12)들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인.
  14. 제1항에 있어서, 스로트벽 밀링 도구의 경우 세척액이 혼합된 폐액의 운송을 위한 폐기라인의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인.
KR1019950021758A 1994-07-27 1995-07-22 호스체인 KR100193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426598.0 1994-07-27
DE4426598A DE4426598C1 (de) 1994-07-27 1994-07-27 Schlauchket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850A KR960003850A (ko) 1996-02-23
KR100193752B1 true KR100193752B1 (ko) 1999-06-15

Family

ID=652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1758A KR100193752B1 (ko) 1994-07-27 1995-07-22 호스체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708270B1 (ko)
JP (1) JP2667382B2 (ko)
KR (1) KR100193752B1 (ko)
AT (1) ATE159328T1 (ko)
DE (2) DE4426598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52377A1 (de) * 1997-11-26 1999-05-27 Lapp Kabelsysteme Gmbh Schleppkette
DE29907445U1 (de) * 1999-04-19 1999-08-05 Igus Gmbh Transportvorrichtung
DE19962829A1 (de) * 1999-12-23 2001-08-23 Kabelschlepp Gmbh Stra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serverstärkten Stranges einer Leitungsführungsanordnung
DE10216081B4 (de) 2002-04-11 2005-03-31 Kabelschlepp Gmbh Roboter mit einer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ATE402356T1 (de) * 2006-02-27 2008-08-15 Bauer Maschinen Gmbh Versorgungsband
KR100661773B1 (ko) * 2006-05-25 2006-12-28 김두진 로보체인의 링크플레이트 결합구조
KR100897371B1 (ko) 2008-05-15 2009-05-14 씨피시스템(주)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
IT1399696B1 (it) 2010-04-14 2013-04-26 Soilmec Spa Dispositivo di guida per tubi e cavi flessibili.
ITTO20110502A1 (it) 2011-06-08 2012-12-09 Soilmec Spa Dispositivo di supporto e guida per linee di alimentazione per dispositivi discavo.
ITTO20110832A1 (it) 2011-09-16 2013-03-17 Soilmec Spa Dispositivo di supporto e guida per linee di alimentazione per dispositivi di scavo.
JP7333978B1 (ja) * 2022-07-14 2023-08-28 株式会社Helical Fusion 線形材料保護部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31480B (de) 1961-02-08 1962-06-14 Kabelschlepp Gmbh Gliederkette zum Fuehren von elektrischen Kabeln od. dgl.
DE1978457U (de) 1964-10-07 1968-02-08 Fritz Baum Schleppkabel-fuehrung.
DE4119211C1 (ko) * 1991-06-11 1992-12-17 Bauer Spezialtiefbau Gmbh, 8898 Schrobenhausen,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850A (ko) 1996-02-23
EP0708270B1 (de) 1997-10-15
EP0708270A1 (de) 1996-04-24
JP2667382B2 (ja) 1997-10-27
JPH08100840A (ja) 1996-04-16
DE59500805D1 (de) 1997-11-20
DE4426598C1 (de) 1995-12-21
ATE159328T1 (de) 199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3752B1 (ko) 호스체인
US9464689B2 (en) Energy chain, particularly for clean room applications
PL86762B1 (ko)
US4373324A (en) Guide apparatus for flexible elements connected to relatively moving units
KR100983723B1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장치용 스케이트 유닛
CN101275622B (zh) 线缆保护导引装置
FI70869B (fi) Teleskopisk bom
US7434382B2 (en) Skate for cable protection guide
SK279671B6 (sk) Reťaz na prenos energie
AU2008267738A1 (en) Cable duct and branch
US8739507B2 (en) Interlocking cable track system
CN107636346B (zh) 具有用于外管线的保持器的导能链、接收元件和相应的侧接板
KR20220113750A (ko) 긴 물체의 안내 장치
KR100727361B1 (ko) 궤도 곡률이 조절되는 케이블 베어 시스템
KR100377842B1 (ko) 동력 공급 체인
JP3823276B2 (ja) ハンドホールまたはマンホール用接続管体とブロック体及びハンドホールまたはマンホール
KR200280302Y1 (ko) 케이블 보호용 체인
KR860000593Y1 (ko) 케이블 체인
KR101324034B1 (ko) 케이블 트레이
JP2009148049A (ja) トラフ接続具、トラフシステム及びトラフ接続部の施工方法
KR100886243B1 (ko) 지중케이블용 조립식 맨홀함 구조물
CN110620367A (zh) 引线引导元件和机器装置
KR200441235Y1 (ko) 연설구조를 단순화시킨 케이블 베어
RU27847U1 (ru) Силовая цепь
US20230407996A1 (en) Device for routing lines, pipes, and/or cables through a building structure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