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928B1 - 다기능 블라인드 창 - Google Patents

다기능 블라인드 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928B1
KR102059928B1 KR1020190023614A KR20190023614A KR102059928B1 KR 102059928 B1 KR102059928 B1 KR 102059928B1 KR 1020190023614 A KR1020190023614 A KR 1020190023614A KR 20190023614 A KR20190023614 A KR 20190023614A KR 102059928 B1 KR102059928 B1 KR 102059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rame
window
blin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홍석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190023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3/00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기능 블라인드 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가능한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내부로 투과되는 일사량을 조절하고, 미세먼지 차단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다기능 블라인드 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가능한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블레이드를 일측으로 밀착 또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일사량을 조절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 필터를 이용하여 각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 내부에 흡음재가 구비되고, 블레이드가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을 흡음재가 흡수하여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블라인드 창{MULTI-FUNCTIONAL BLIND WINDOW}
본 발명은 블라인드 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기능 블라인드 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구조물의 내부로 투과되는 일사량의 조절 및 구조물의 내, 외부의 시야를 차단하기 위해 창문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된다.
종래의 블라인드는 건물로 투과되는 일사량이 작아지도록 빛의 차단 및 구조물의 내, 외부의 시야를 차단하기 위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다수의 평판을 일정 폭만큼 중첩시켜 배열한다. 그러나 평판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실내의 자연환기의 성능이 크게 저하되며, 평판 사이의 공간으로 소음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한국등록특허 10-1526059호)은 창틀 프레임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루버가 설치되는 제1 루버창과 제1 루버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루버가 설치되는 제2 루버창 및 제2 루버창의 단부를 지지하는 연결프레임을 이용하여 계절에 따라 건물 내부로 투과되는 일사량을 조절하고, 구조물의 내, 외부 시야를 차단하여 개인 사생활을 침해받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선행문헌은 루버창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루버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루버 간의 간격에 의해 발생되는 공간으로 미세먼지 및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526059호(2015.06.04 공고) 2. 한국등록특허 제10-1723222호(2017.04.05 공고)
본 발명은 슬라이드 가능한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내부로 투과되는 일사량을 조절하고, 미세먼지 차단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다기능 블라인드 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블라인드 창은 프레임(100), 창(200), 블라인드(300) 및 제어유닛(400)을 포함하고, 상기 창(200) 및 블라인드(300)는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에 상기 창(200) 및 블라인드(300)가 결합되기 위한 돌출 결합부 또는 홈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창(200)의 외측면은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면과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돌출 결합부 또는 홈 결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블라인드(300)는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블라인드(300)의 외측면은 상기 프레임(100)의 돌출 결합부 또는 홈 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라인드(300)는 상기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100)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블레이드 틀(310); 양단이 상기 블레이드 틀(3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블레이드(320); 상기 블레이드(3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블레이드(320)를 연결하는 미세먼지 필터(400); 및 상기 블레이드(32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500)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틀(310)은 외측면이 프레임(100)의 돌출 결합부 또는 홈 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320)는 상기 미세먼지 필터(400)의 폭에 의해 최대 간격이 정해지며, 상기 제어유닛(500)에 의해 최대 간격 내에서 간격이 자유롭게 조절되고, 상기 제어유닛(500)은 상기 블레이드(320)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블레이드(320)를 일측으로 밀착 또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하는 동작제어부(510) 및 상기 블레이드(320)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블레이드(320) 각각의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제어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320)는 내부에 흡음재가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320)는 “ㄱ”자 형태이고, 상기 블레이드(320)는 개구된 영역이 이웃하는 블레이드(320)를 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320)는 서로 겹쳐질 수 있고, 상기 미세먼지 필터(400)는 상기 블레이드(32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블레이드(320)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320)는 상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일측에 밀착 또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미세먼지 필터(400)는 블레이드(320)가 일측으로 밀착되면 상기 블레이드(320) 사이에서 절첩되어 블레이드(320) 사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ㄱ 자,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원형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내부에 흡음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다공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블레이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 및 상기 블레이드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드 가능한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블레이드를 일측으로 밀착 또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일사량을 조절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 필터를 이용하여 각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블레이드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외부의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상황에도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것과 동시에 실내 환기가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 내부에 흡음재가 구비되고, 블레이드가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을 흡음재가 흡수하여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블라인드 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블라인드 창의 단면 사시도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블라인드 창의 단면도
도 3b는 도 3a에서 블레이드가 일측으로 밀착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유닛의 기능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블라인드 창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블라인드 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블라인드 창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블라인드 창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블레이드가 일측으로 밀착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유닛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블라인드 창은 기본적으로 일사량 조절을 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블레이드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 차단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기능 블라인드 창은 다기능 블라인드 창은 프레임(100), 창(200), 블라인드(300) 및 제어유닛(4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 및 창(200)은 주택이나 빌딩 같은 구조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내측에 창(200) 및 블라인드(3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창(200) 및 블라인드(300)가 결합되기 위해 창(200) 및 블라인드(300)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돌출 결합부 또는 홈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창(200)은 프레임(10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창(200)은 외측면이 프레임(100)의 내측면과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100)의 돌출 결합부 또는 홈 결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블라인드(300)는 프레임(10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외측면이 프레임(100)의 돌출 결합부 또는 홈 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라인드(300)는 상황에 따라 블레이드(320)의 위치를 이동시켜 일사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 차단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블라인드(300)는 블레이드 틀(310) 및 블레이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틀(310)은 프레임(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외측면이 프레임(100)의 돌출 결합부 또는 홈 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에 블레이드(3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블레이드(320)는 양단이 블레이드 틀(3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320)는 제어유닛(500)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일측에 밀착 또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일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320)는 각 블레이드(320) 사이에 미세먼지 필터(4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미세먼지 필터(4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창(200)을 개방하여도 블레이드(320)사이에 구비된 미세먼지 필터(400)에 의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다.
블레이드(300)의 간격은 미세먼지 필터(400)의 폭에 의해 최대 간격이 정해질 수 있으며, 제어유닛(500)을 이용하여 최대 간격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3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ㄱ자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 등 미세먼지 필터(4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형상이면서 서로 겹쳐질 수 있는 형상이면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블레이드(3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수직)방향으로 블레이드 틀(310)에 결합될 수 있으나, 장방향 결합으로 한정하지 않고, 단(수평)방향 및 사선으로 결합될 수 있다.
블레이드(300)는 내부에 흡음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구비된 흡음재를 통해 소음을 흡음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다공성 재질의 홈(미도시)을 통해 흡음하여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미세먼지 필터(400)는 다수의 블레이드(3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32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 필터(400)는 블레이드(320)가 일측으로 밀착되면 각 블레이드(320) 사이에서 절첩 또는 블레이드 틀(310) 내부에 구비되는 롤(미도시)에 의해 권취될 수 있다.
제어유닛(500)은 블레이드(320)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프레임(100) 또는 블레이드 틀(3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유닛(500)은 동작제어부(510) 및 위치제어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제어부(510)는 블레이드(320)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320)의 동작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하여 블레이드(320)를 일측으로 밀착 또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다.
위치제어부(520)는 블레이드(32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320) 각각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제어부(520)는 블레이드(320)의 위치를 제어하여 개방하고자 하는 간격만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프레임
200 : 창
300 : 블라인드
310 : 블레이드 틀
320 : 블레이드
400 : 미세먼지 필터
500 : 제어유닛
510 : 동작제어부
520 : 위치제어부

Claims (6)

  1. 프레임(100), 창(200), 블라인드(300) 및 제어유닛(400)을 포함하고,
    상기 창(200) 및 블라인드(300)는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에 상기 창(200) 및 블라인드(300)가 결합되기 위한 돌출 결합부 또는 홈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창(200)의 외측면은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면과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돌출 결합부 또는 홈 결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블라인드(300)는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블라인드(300)의 외측면은 상기 프레임(100)의 돌출 결합부 또는 홈 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라인드(300)는
    상기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100)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블레이드 틀(310);
    양단이 상기 블레이드 틀(3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블레이드(320);
    상기 블레이드(3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블레이드(320)를 연결하는 미세먼지 필터(400); 및
    상기 블레이드(32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500)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틀(310)은 외측면이 프레임(100)의 돌출 결합부 또는 홈 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320)는 상기 미세먼지 필터(400)의 폭에 의해 최대 간격이 정해지며,
    상기 제어유닛(500)에 의해 최대 간격 내에서 간격이 자유롭게 조절되고,
    상기 제어유닛(500)은
    상기 블레이드(320)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블레이드(320)를 일측으로 밀착 또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하는 동작제어부(510) 및
    상기 블레이드(320)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블레이드(320) 각각의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제어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320)는 내부에 흡음재가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320)는 ㄱ 자 형태이고,
    상기 블레이드(320)는 개구된 영역이 이웃하는 블레이드(320)를 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320)는 서로 겹쳐질 수 있고,
    상기 미세먼지 필터(400)는 상기 블레이드(32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블레이드(320)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320)는 상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일측에 밀착 또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미세먼지 필터(400)는 블레이드(320)가 일측으로 밀착되면 상기 블레이드(320) 사이에서 절첩되어 블레이드(320) 사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블라인드 창.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다공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블라인드 창.
  5. 삭제
  6. 삭제
KR1020190023614A 2019-02-28 2019-02-28 다기능 블라인드 창 KR102059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614A KR102059928B1 (ko) 2019-02-28 2019-02-28 다기능 블라인드 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614A KR102059928B1 (ko) 2019-02-28 2019-02-28 다기능 블라인드 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928B1 true KR102059928B1 (ko) 2019-12-27

Family

ID=6906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614A KR102059928B1 (ko) 2019-02-28 2019-02-28 다기능 블라인드 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9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394U (ja) * 1993-05-12 1994-11-25 貞夫 吉村 ブラインド網戸
JP3033730U (ja) * 1995-08-23 1997-02-07 義剛 榑林 防虫網付きブラインド
KR20100105216A (ko) * 2009-03-20 2010-09-29 주식회사 엔휀스타 방음창
KR101526059B1 (ko) 2013-04-10 2015-06-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차양형 접이식 루버창
KR101723222B1 (ko) 2014-12-26 2017-04-05 주식회사 윈플러스 복합개폐방식 윈도우 커버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394U (ja) * 1993-05-12 1994-11-25 貞夫 吉村 ブラインド網戸
JP3033730U (ja) * 1995-08-23 1997-02-07 義剛 榑林 防虫網付きブラインド
KR20100105216A (ko) * 2009-03-20 2010-09-29 주식회사 엔휀스타 방음창
KR101526059B1 (ko) 2013-04-10 2015-06-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차양형 접이식 루버창
KR101723222B1 (ko) 2014-12-26 2017-04-05 주식회사 윈플러스 복합개폐방식 윈도우 커버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95194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light
JP2007536492A (ja) 換気装置及びフレームシステム
JP2005521814A (ja) 二重ガラス断熱外壁材
KR102059928B1 (ko) 다기능 블라인드 창
KR20150006383A (ko) 이중 방충망 창호
KR101650811B1 (ko) 리노베이션 건물의 에너지절약 외피통풍구조
JP2006152561A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200419514Y1 (ko) 이중 창호
KR20170054852A (ko) 블라인드
CN206928878U (zh) 一种透明百叶窗
KR101433429B1 (ko) 배기덕트를 구비한 이중외피 커튼월
KR101988229B1 (ko) 다기능 루버 창
JP4325806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2186400B1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102621244B1 (ko) 방풍 및 방충 기능을 갖는 루버
RU2713665C1 (ru) Аэр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амятников гражданской и церковной архитектуры с улучшенной защитой от ветра и атмосферных осадков
US20060021720A1 (en) Curtain
JP3745873B2 (ja) ルーバー入り複層ガラス
KR102582248B1 (ko) 이중 버티컬 블라인드
JP3098637U (ja) ルーバー装置とこれに用いるルーバー。
KR101763385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KR101670251B1 (ko) 고정형 수직 차양 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6524528B2 (ja) 自然換気構造
KR20180101295A (ko) 투명 슬라트를 구비한 루버를 포함하는 이중외피 창호시스템
JP7015661B2 (ja) 建物外壁の開口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