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229B1 - 다기능 루버 창 - Google Patents

다기능 루버 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229B1
KR101988229B1 KR1020190023613A KR20190023613A KR101988229B1 KR 101988229 B1 KR101988229 B1 KR 101988229B1 KR 1020190023613 A KR1020190023613 A KR 1020190023613A KR 20190023613 A KR20190023613 A KR 20190023613A KR 101988229 B1 KR101988229 B1 KR 101988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rame
fine dust
engaging portion
lou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홍석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190023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E06B7/09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operable in sequence; characterised by additional independen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3/00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기능 루버 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소음 및 직사광을 차단하는 다기능 루버 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측이 미세먼지 필터이며, 타측 내부에 흡음재가 구비된 블레이드를 상황에 따라 회전시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상황에도 실내 환기가 가능하며, 직사광 및 외부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루버 창{MULTI-FUNCTIONAL LOUVER WINDOW}
본 발명은 루버 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기능 루버 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버(louver)란, 길고 가는 평판을 수평이나 수직 혹은 격자 모양으로 개구부의 앞면에 설치하여 직사광이나 비를 막고, 통풍이나 환기를 목적으로 하며, 공기 조화에서는 외기 흡입구·배기구 등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각종건물이나 설비 등 구조물에는 외기와의 통풍은 가능하면서 빗물이나 큰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루버가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루버는 통풍 또는 환기와 같이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소통되어야 한다는 특성상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소통되는 공간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 공간으로 소음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어 소음 차단에 대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선행문헌(한국등록실용신안 20-0467772호)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로 장착된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이동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하향 경사지게 장착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고, 상단에 수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선행문헌은 블레이드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야만 하므로 공기저항이 커져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것은 물론, 큰 공기저항에 따른 유동 공기와 블레이드 사이의 마찰에 의해 오히려 소음(풍찰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435007호(2014.08.28 공고) 2.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1449호(2016.10.04 공고)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소음 및 직사광을 차단하는 다기능 루버 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루버 창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블레이드 틀 및 양단이 상기 블레이드 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ㄱ자 형, 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레이드는 일측이 미세먼지 필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레이드는 타측이 흡음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의 타측은 다공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블레이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 및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 및 소음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측정 값을 기준으로 상기 블레이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측정 값을 기준으로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루버 창.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이 미세먼지 필터이며, 타측 내부에 흡음재가 구비된 블레이드를 상황에 따라 회전시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상황에도 실내 환기가 가능하며, 직사광 및 외부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루버 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루버 창의 단면 사시도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루버 창의 단면도
도 3b는 도 3a에서 블레이드가 회전한 단면도
도 3c는 도 3b에서 블레이드가 회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유닛의 기능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루버 창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루버 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루버 창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루버 창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블레이드가 회전한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b에서 블레이드가 회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유닛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루버 창은 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상황에도 실내 공기를 환기할 수 있으며, 직사광 및 외부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다기능 루버 창은 프레임(100), 창(200), 루버(300) 및 제어유닛(4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 및 창(200)은 주택이나 빌딩 같은 구조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내측에 창(200) 및 루버(3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창(200) 및 루버(300)가 결합되기 위해 창(200) 및 루버(300)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돌출 결합부 또는 홈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창(200)은 프레임(10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창(200)은 외측면이 프레임(100)의 내측면과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100)의 돌출 결합부 또는 홈 결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루버(300)는 프레임(10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외측면이 프레임(100)의 돌출 결합부 또는 홈 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루버(300)는 상황에 따라 블레이드(320)을 회전시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상황에도 실내를 환기할 수 있으며, 직사광 및 외부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루버(300)는 블레이드 틀(310) 및 블레이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틀(310)은 프레임(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외측면이 프레임(100)의 돌출 결합부 또는 홈 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에 블레이드(320)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다수의 블레이드(320)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블레이드(320)는 양단이 블레이드 틀(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다수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3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ㄱ자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 등 다수의 면을 가지고 있는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3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수직)방향으로 블레이드 틀(310)에 결합될 수 있으나, 장방향 결합으로 한정하지 않고, 단(수평)방향 및 사선으로 결합될 수 있다. 블레이드(320)은 미세먼지 필터부(321)와 흡음부(3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유닛(400)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회전하여 미세먼지 필터부(321) 및 흡음부(322) 중 어느 하나를 전면에 배치할 수 있다.
미세먼지 필터부(321)는 블레이드(320)의 일측에서 미세먼지 필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다.
흡음부(322)는 블레이드(32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흡음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흡음부(322)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공성 재질의 홈(미도시)으로 유입되는 소음을 흡음재가 흡음하여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흡음부(322)는 소음 차단 이외에 직사광의 유입량을 블레이드(320)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조절할 수 있으며, 완전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유닛(400)은 블레이드(320)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프레임(100) 또는 블레이드 틀(3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유닛(400)은 동작제어부(410), 방향제어부(420) 및 센서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제어부(410)는 블레이드(320)의 회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3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황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미세먼지 필터부(321) 및 흡음부(322) 중 어느 하나를 전면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동작제어부(410)는 센서부(430)에서 측정되는 측정 값을 기준으로 블레이드(3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방향제어부(420)는 블레이드(32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320) 전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방향제어부(420)는 센서부(430)에서 측정되는 측정 값을 기준으로 블레이드(32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430)는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 및 소음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측정 값을 기준으로 동작제어부(410) 및 방향제어부(420)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프레임
200 : 창
300 : 루버
310 : 블레이드 틀
320 : 블레이드
321 : 미세먼지 필터부
322 : 흡음부
400 : 제어유닛
410 : 동작제어부
420 : 방향제어부
430 : 센서부

Claims (10)

  1. 내측에 돌출 결합부 또는 홈 결합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외측면이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돌출 결합부 또는 상기 홈 결합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
    상기 창을 기준으로 실외측 또는 실내측에 구비되는 루버; 및
    상기 루버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루버는
    외측면이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돌출 결합부 또는 상기 홈 결합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레이드 틀 및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틀의 내측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되며,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일측에 미세먼지 필터로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기설정된 간격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미세먼지 필터부 및
    타측에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흡음재가 구비되고, 상기 미세먼지 필터부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흡음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수직방향, 수평방향 및 사선 방향 중 하나로 상기 블레이드 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루버 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 및 소음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측정 값을 기준으로 상기 블레이드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미세먼지 필터부 및 상기 흡음부 중 어느 하나를 전면에 배치시키는 동작제어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측정 값을 기준으로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며,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방향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루버 창.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23613A 2019-02-28 2019-02-28 다기능 루버 창 KR101988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613A KR101988229B1 (ko) 2019-02-28 2019-02-28 다기능 루버 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613A KR101988229B1 (ko) 2019-02-28 2019-02-28 다기능 루버 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229B1 true KR101988229B1 (ko) 2019-06-12

Family

ID=66846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613A KR101988229B1 (ko) 2019-02-28 2019-02-28 다기능 루버 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2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4293A (ko) * 2008-09-23 2010-04-01 유영흥 슬라이딩가능한 루버조립체
KR20100105216A (ko) * 2009-03-20 2010-09-29 주식회사 엔휀스타 방음창
KR101435007B1 (ko) 2013-04-22 2014-08-28 반석공조시스템(주) 소음 저감형 루버
KR20160042478A (ko) * 2014-10-10 2016-04-20 강민성 십자형 수직회전날개를 구비하는 갤러리용 창호
KR200481449Y1 (ko) 2014-07-25 2016-10-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다기능 루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4293A (ko) * 2008-09-23 2010-04-01 유영흥 슬라이딩가능한 루버조립체
KR20100105216A (ko) * 2009-03-20 2010-09-29 주식회사 엔휀스타 방음창
KR101435007B1 (ko) 2013-04-22 2014-08-28 반석공조시스템(주) 소음 저감형 루버
KR200481449Y1 (ko) 2014-07-25 2016-10-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다기능 루버
KR20160042478A (ko) * 2014-10-10 2016-04-20 강민성 십자형 수직회전날개를 구비하는 갤러리용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7297B2 (en) Passive ventilation control system
US10386090B2 (en) Reconfigurable system allowing air flow through an open window while blocking precipitation
CN101812957B (zh) 隔音通风窗
CN102155147B (zh) 根据窗外风速风向调节叶片开度及方向的百叶窗
KR101650811B1 (ko) 리노베이션 건물의 에너지절약 외피통풍구조
KR101988229B1 (ko) 다기능 루버 창
CN208456431U (zh) 透明透气防风防雨防蚊蝇复合窗
CN113338782A (zh) 一种自动消声通风百叶窗
KR20180045963A (ko) 이동식 환풍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1452A (ko) 발코니부 설치형 이중외피 시스템 및 실내 환경 제어방법
KR20180001693U (ko) 이동식 환풍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4790841A (zh) 隔音防雨百叶窗
KR100662657B1 (ko)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
KR102059928B1 (ko) 다기능 블라인드 창
JP2018159209A (ja) 換気装置及び建具
JP3208332U (ja) 換気装置
JP4143047B2 (ja) 換気機能付き窓
JP2006194567A (ja) 建物の風量調整換気装置
RU2262642C2 (ru) Аэр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амятников гражданской и церковной архитектуры
KR20100008157U (ko) 창호용 빗물 차단판
KR100874612B1 (ko) 방화 차양장치
Ariosto et al. Evaluation of Residential Window Retrofit Solutions for Energy Efficiency
KR100916848B1 (ko) 자연 환기장치
JPH1061343A (ja) 窓を利用した空気取り入れ方法
EP2989277B1 (en) Window privacy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