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163B1 -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163B1
KR102059163B1 KR1020190060607A KR20190060607A KR102059163B1 KR 102059163 B1 KR102059163 B1 KR 102059163B1 KR 1020190060607 A KR1020190060607 A KR 1020190060607A KR 20190060607 A KR20190060607 A KR 20190060607A KR 102059163 B1 KR102059163 B1 KR 102059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uttercup
present
antistatic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훈
최원식
손세진
김태규
박여름
이은수
Original Assignee
전진바이오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진바이오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진바이오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0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163B1/ko
Priority to CN202080001519.5A priority patent/CN112313375A/zh
Priority to PCT/KR2020/006755 priority patent/WO2020235977A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8Liquid soap, e.g. for dispensers; capsul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4Vegetable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50Modified hand or grip properties; Softening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미나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섬유유연제(액상, 시트형) 또는 세탁 세제와 같이 세탁에 관련된 일반생활 화학제품 (세제류) 적용하여, 정전기 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물 유래 추출물로서 상기 미나리 추출물의 특유의 향기를 낼 뿐만 아니라, 정전기 방지 효과가 뛰어남이 확인되어, 섬유 유연제 또는 의류 세탁 세제에 사용함으로써,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 {Antistatic composition using dropwort extract}
본 발명은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미나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섬유유연제(액상, 시트형) 또는 세탁 세제와 같이 세탁에 관련된 일반생활 화학제품 (세제류) 적용하여, 정전기 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나리 (Dropwort, Oenanthe javanica)는 쌍떡잎식물로 근채, 수근, 수영이라 불리기도 하며, 산형과의 다년생 초본으로써, 습지에서 재배하며,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중국 일본 등 아한대에서 열대에 이르는 지역에서 널리 분포하고 식용으로 재배하고 있다. 생물자원 정보에 의하면 민속 특산식물로 기재되어 있다. 주로 식용으로는 경엽을 사용하고, 약용으로는 지상부를 사용한다. 또한 미나리는 향신채소로, 변비 예방, 음주 후 숙취 제거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주요 성분으로는 수분 94.9%, 단백질 2.1%, 탄수화물 1.5%, 비타민 A와 B1을 비롯하여 비타민 B2와 C도 풍부하고, 섬유소, 칼륨 (K), 베타카로틴(β-carotene), 칼슘(Ca), 인(P) 및 철 등과 같은 무기 성분도 고루 함유되어 있다. (Kim JK.1984 Namsangdang Seoul Korea p. 244). 미나리에 관한 연구로는 형태적 특성 및 계통분류에 관한 연구, 미나리 성분 중 퍼시카린 (pericarin)의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의 활성 증진에 대한 연구, 미나리의 돌연변이 유발 억제작용과 항산과 효과, 묏미나리의 휘발성 풍비 성분, 학습의 연구, 중금속 제거 , 살균효과 및 헹굼성 관련 효과 등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식품으로서 해독작용, 이뇨작용, 중금속 배출, 간 기능 향상, 심혈관 질환 등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고, 미나리 추출물에는 아이소람네틴 (isorhamnetin), 알파피넨(α-pinene), 미르센(myrcene), 테르피놀렌(terpinolene) 등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추출물은 화장품 성분사전에 수록된 물질로서 산화방지제를 배합목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대부분 화장품 또는 샴푸 제조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독특한 향미 및 풍부한 플라보노이드 외 항산화 성분에 의한 약리작용으로 인해 기능성 식품 소재나 향신료로 활용도가 높은 약용식물로 보고되어 있다.
미나리는 독특한 향을 지니는데 그 향기 성분은 추출방법에 따라 줄기와 잎에 따라, 생유시기에 따라 그 성분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향기 성분은 탄화수소 14종, 알테히드류 5종, 알콜류 4종 및 기타 미지물질 50종으로 분리된 바 있다. 또한 추출방법에 따라 수증기 증류에 의해 추출된 성분은 23종, Ether 추출법에서는 16종 성분, Tenax GC 법에서는 9종의 성분이 확인되었다. 더욱 구체적으로, 미나리 향기 또는 정유 성분으로, 옥탄올, 리모넨, 풀레곤 (pulegone), 저마크렌 (germarcrene), α-피넨, β-피넨, 사비넨, γ-테르피넨, β-미르센 등이 있다. ( Rhee, H. J., Koh, M. S. and Choi, O. J. 1995. A study on the volatile constituents of the water dropwort (Oenanthe Stolonifera DC). Korean J Food Sci 11, 386-395.)
또한 미나리의 당 함량에 대한 분석 결과 잎에서는 프럭토스 625mg, 글루코스 616mg, 스쿠로스 856mg 이였고, 줄기에서는 프럭토스 745mg, 글루코스 666mg, 수크로스 637mg 이었다.
정전기는, 전하가 정지 상태에 있어 흐르지 않고 머물러 있는 전기를 의미한다. 합성섬유나 천연섬유는 정전기를 띠기 쉬우며, 인체와의 마찰이나 섬유간의 마찰, 기타 물체들과의 마찰로 인해 정전기가 발생되고, 합성 섬유는 소수성 섬유이고 전기 절연체여서, 정전기 발생으로 먼지를 흡착하기도 하고, 때에 따라서는 발화원인이 되기도 한다.
정전기는 건조한 겨울에 빈번히 일어나게 된다. 특히 털, 스웨터, 카펫 등과 같은 방한의류, 양모 제품, 침구류 등에 의해서 수만 볼트의 정전기가 생길 수 있다.
섬유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는 금속의 성질을 띠는 물건과의 접촉이 두려워지고, 정전기 발생 시 기분 나쁨과 고통이 동반하며, 직접적으로 인체로 흡수되어 스파크가 일어남과 동시에 전류의 자극이 발생하여 찌릿하면서 인체로 흘러서 신체리듬을 자극시키므로, 정전기가 심할 경우 증상을 입을 수도 있으며 또한 손톱 밑의 피부가 갈라지고 터져서 피를 흘리는 등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름보다는 신체리듬을 해치는 습도가 낮고 기온이 하향하는 겨울(11월 내지 3월)에 더욱 발생빈도가 증가하는데, 이는 습도가 낮아 건조한 영향도 있지만, 상기 방한의류, 양모 제품 및 침구류 등에 사용되는 화학 섬유가 포함되는 겨울철 의류의 특성상 정전기가 더 많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정전기 방지 효과가 있는 섬유유연제는 몇몇 개발 완료된 제품이 있으나, 화학물질로 이루어진 대전방지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정전기 방지의 주된 작용으로 효과를 나타내고, 화학합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정전기 방지 또는 완화 조성물은 인체에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거나 그 자체의 냄새로 인해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섬유유연제 및 세탁세제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기능 대비 가격이 저렴한 화학물질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섬유유연제 및 세탁세제를 사용하는 옷(섬유), 이불 등은 세탁 후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고, 공기 중에 잔존하는 화학물질이 호흡기로 흡입되어, 피부 질환, 호흡기 질환 등을 발생시켜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세탁되고 난 후 버려지는 세탁물에 화학물질이 잔존하여 환경 및 수질오염을 일으키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여 장기간 사용 시 환경적으로도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체와 환경의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는 천연친환경성의 대전방지용 또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 소재로부터 정전기 방지 또는 대전 방지에 효과가 있는 활성물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미나리 추출물이 정전기 방지에 효과가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인 특성을 갖는 소재이며, 섬유유연제(액상, 시트형) 또는 세탁세제를 포함하는 세탁에 관련된 유연제 및 세제를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나리 추출물(Dropwort, Oenanthe javanic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이용하여여 추출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미나리 중량대비 1:0.1 내지 1:10 비로 추출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기간이 12시간 내지 6일을 특징으로 하며, 열수 추출, 용매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효성분 함량 0.05 중량 % 내지 10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시트형 또는 액상형 섬유 유연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류 세탁 세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미나리 추출물은 부작용이나 독성이 거의 없는 천연물 유래 추출물로서 정전기 방지 효과가 뛰어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은 섬유 유연제 또는 의류 세탁 세제에 사용함으로써,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나리 추출물(Dropwort, Oenanthe javanic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미나리는 생물로 사용하거나 자연건조, 오븐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 등의 건조법을 이용한 건조물 또는 착즙, 분쇄, 절단, 파쇄 등의 방법을 통하여 한 가지 이상의 과정을 거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의미하며, 물,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는 추출과정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미나리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미나리추출물은 미나리의 잎 또는 줄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나리추출물은 초음파추출, 열수추출 또는 용매추출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미나리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미나리를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나리를 추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롤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에탄올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또는 부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미나리추출물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미나리를 수확 후 입지 및 실온에서 5 내지 7일 동안 자연건조 시키고, 분쇄하여 건조 중량의 약 1 내지 200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0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 등과 같은 저급 알코올의 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를 용출 용매로써 사용하고, 추출 온도는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추출 기간은 약 12시간 내지 6일, 바람직하게는 5일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미나리추출물에 포함된 화합물은 아이소람네틴 (isorhamnetin), 알파피넨(α-pinene), 미르센(myrcene), 테르피놀렌(terpinolene) 등이 있으며, 이러한 화합물은 추출물로부터 통상의 분리 정제과정을 거쳐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미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시트형 또는 액상형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섬유유연제”는 세탁 후 마지막 헹굼 단계에서 정전기 방지 및 옷감을 부드럽게 해주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세탁보조제로, 세탁물을 약한 산성으로 중화시켜 보호하는 역할을 동시에 한다. 상기 섬유 유연제는 일반 세탁기에 사용하는 액상형 일 수 있으며, 건조기에 사용되는 시트형도 해당된다. 일반적으로 의류의 정전기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세탁시 사용되는 섬유유연제는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섬유유연제는 다양한 양이온성 및 비이온성 화합물, 실리콘 등을 사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섬유 유연제 중 시트형 섬유유연제는 적은 용량으로 가벼워서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유연제는 색소, 방부제, 산화방지제, 소포제 등과 같은 소량의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미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류 세탁세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세탁세제”는 옷, 인형, 이불 등의 세탁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세제이다. 종류는 액체형, 가루형, 젤형, 시트형 및 필름형이 있다. 또한, 섬유유연제, 세탁세제, 세탁비누, 표백제, 얼룩제거제 중 하나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 추출물은 섬유 유연제 (액상형 또는 시트형) 또는 세탁세제에 도포, 분산 및 담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세탁세제는 무기 표백제로 과붕산염, 과탄산연, 과인산염, 과황산염 및 과규산염과 같은 과수화물 염, 유기 표백제로 디아실 및 테르라아실퍼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유기 과산화산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방부제, 안정화제, 색소를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 미나리추출물 준비
미나리를 물로 완전히 세척하고 자연건조를 5 내지 7일 시킨 후, 절단하였다. 절단된 미나리 0.1kg에 중량 대비 1.2배의 메탄올을 가하여 5일간 실온에서 추출한 후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미나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세하게는 추출물 자체를 사용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시킨 뒤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 정전기 방지 시험 (마찰대전압 측정)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된 미나리추출물의 정전기 방지 효과 확인하기 위하여, KSK-0555B의 시험방법 (마찰대전압 측정법)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상기 시험은 폴리에스터 원단에 추출물을 분사하여 면 또는 모 마찰포에 기계로 문질러 발생하는 전압을 측정하였다. 시험조건은 온도 20±2℃, 상대습도 40±2%R.H., 400r/min 이였다.
상기 실험방법에 따라 실험한 결과는 하기 표1에서 나타난 바와 같다.
마찰 대전압 (단위 : Volt, V)
항목 함량 마찰포 종류
대조군(무처리) - 6100 6900
대조군(물) - 6100 6700
미나리추출물 50 (%) 170 210
100 (%) 170 97
[실시예 3] : 정전기 방지 시험 (반감기 측정)
상기 정전기 방지 시험 (마찰대전압 측정법)의 시험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한 다음, 온도 20±2℃, 40% RH 조건에서, KSK-0555A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초기 전압 150V을 인가한 후, 전압이 반으로 떨어지는 시간으로 정전압 누설속도를 측정하였고, 누설속도 (Sec)가 10 이하면, 매우 우수로 ◎, 10 내지 102 이면, 우수로 ○, 102 내지 103이면 보통으로 △, 103이상면 불량으로 ×하여 하기 표 2와 같이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감기 (단위 : sec)
항목 함량 마찰포 종류
대조군(무처리) - × ×
대조군(물) - × ×
미나리추출물 50 (%)
100 (%)
[실시예 4] : 표면 전기저항 측정
상기 정전기 방지 시험 (마찰대전압 측정법)의 시험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한 다음, 온도 20±2℃, 40% RH 조건에서 ASTM D257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표면 전기 저항 (단위: Ω/㎠)
항목 함량 마찰포 종류
대조군(무처리) - 108 109
대조군(물) - 108 109
미나리추출물 50 (%) 105 105
100 (%) 105 104
상기 결과 (표1, 표2, 표3) 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된 미나리 추출물은 우수한 정전기 방지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은 천연의 식물성 물질을 사용하여 종래 화학성분에 의한 부작용을 감소시키고, 미나리 추출물에 정유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향기가 나타나, 건조기에 사용되는 시트형 섬유 유연제로 적용될 경우, 일정기간 방향제의 기능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향기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정전기를 완화 또는 방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미나리를 세척하고 자연건조를 5 내지 7일 시킨 후, 절단한 상기 미나리에 중량 대비 1.2배의 물,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가하여 5일간 추출한 후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수득한 미나리(Oenanthe java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 기능성 섬유 유연제
  7. 미나리를 세척하고 자연건조를 5 내지 7일 시킨 후, 절단한 상기 미나리에 중량 대비 1.2배의 물,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가하여 5일간 추출한 후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수득한 미나리(Oenanthe java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 기능성 세탁 세제.

KR1020190060607A 2019-05-23 2019-05-23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 KR102059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607A KR102059163B1 (ko) 2019-05-23 2019-05-23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
CN202080001519.5A CN112313375A (zh) 2019-05-23 2020-05-25 含有作为有效成分的水芹提取物的防静电组合物
PCT/KR2020/006755 WO2020235977A1 (ko) 2019-05-23 2020-05-25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607A KR102059163B1 (ko) 2019-05-23 2019-05-23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163B1 true KR102059163B1 (ko) 2019-12-24

Family

ID=69006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607A KR102059163B1 (ko) 2019-05-23 2019-05-23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59163B1 (ko)
CN (1) CN112313375A (ko)
WO (1) WO20202359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977A1 (ko) * 2019-05-23 2020-11-26 전진바이오팜 주식회사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454A (ko) * 2001-02-22 2001-06-05 박정호 미나리 성분이 함유된 화장 비누의 조성물
KR20180038360A (ko) * 2016-10-06 2018-04-16 박수근 황사 등의 미세먼지에 포함된 유해 중금속 제거 또는 안정화를 위한 환경친화적 중금속 제거제 또는 안정화제를 포함한 친환경 세제 또는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KR101875190B1 (ko) * 2017-10-23 2018-07-06 쓰리나이츠인베스트먼트주식회사 등차를 이용한 세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5952A (ja) * 2000-12-30 2002-07-23 Kazuo Sakuma 植物葉乾燥粉末の大量生産方法とその産物
CN102138666B (zh) * 2010-01-28 2014-04-09 中国林业科学研究院林产化学工业研究所 林下森林食用植物泡菜及其生物质洗涤剂的制备与方法
CN102604750A (zh) * 2012-01-12 2012-07-25 中国林业科学研究院林产化学工业研究所 一种林下草本基植物生物质洗涤剂的制备方法
KR102059163B1 (ko) * 2019-05-23 2019-12-24 전진바이오팜 주식회사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454A (ko) * 2001-02-22 2001-06-05 박정호 미나리 성분이 함유된 화장 비누의 조성물
KR20180038360A (ko) * 2016-10-06 2018-04-16 박수근 황사 등의 미세먼지에 포함된 유해 중금속 제거 또는 안정화를 위한 환경친화적 중금속 제거제 또는 안정화제를 포함한 친환경 세제 또는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KR101875190B1 (ko) * 2017-10-23 2018-07-06 쓰리나이츠인베스트먼트주식회사 등차를 이용한 세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파리세지엠 파리_부케 드레스 퍼퓸" (2016.09.29.) https://blog.naver.com/bulejh/22082324943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977A1 (ko) * 2019-05-23 2020-11-26 전진바이오팜 주식회사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35977A1 (ko) 2020-11-26
CN112313375A (zh)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iod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operties of six Sudanese cucurbit seeds and seed oils
JP2012077037A (ja) 洗浄剤
KR20190031983A (ko)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활화학제품용 조성물
KR102059163B1 (ko)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
CN101528273A (zh) 一种散发梅花香气的香料组合物
CN112220726A (zh) 一种释放远红外兼保湿沐浴露及其制备方法
JP2013155369A (ja) シラス石鹸
KR102227273B1 (ko) 세정 및 코팅기능이 강화된 그래핀이 포함된 자동차 세정용 조성물
KR101694484B1 (ko) 한방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519234B1 (ko) 울금 및 동백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91702B1 (ko) 석곡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N103054751A (zh) 芳香型护手霜
JP2004203848A (ja) 植物抽出物含有組成物
KR101508559B1 (ko) 목화다래 및 목화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JP4845349B2 (ja) ダニアレルゲン不活性化剤
KR102091937B1 (ko) 유채 오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클렌징 오일 조성물
KR102108501B1 (ko) 제주도 구상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47595B1 (ko)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을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KR20230017978A (ko) 우모 세탁용 친환경 세제 조성물
JPH02264706A (ja) 化粧料
KR20160131246A (ko) 비누 조성물
CN109609299A (zh) 一种纳米无患子皂及其制备方法
KR20090114658A (ko) 칡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WO2019130758A1 (ja) 揮発性ステロイド吸着剤及び消臭用組成物
KR100985229B1 (ko) 동아를 이용한 세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