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969B1 -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 - Google Patents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969B1
KR102057969B1 KR1020180121684A KR20180121684A KR102057969B1 KR 102057969 B1 KR102057969 B1 KR 102057969B1 KR 1020180121684 A KR1020180121684 A KR 1020180121684A KR 20180121684 A KR20180121684 A KR 20180121684A KR 102057969 B1 KR102057969 B1 KR 102057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moving
pressing member
plate portion
moving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운
Priority to KR1020180121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07Transportable fodder pails or trough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대차 외측에 회전작동되어 사료를 집결하면서 밀어내는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이 이동대차와 가압부재 사이를 연결링크로 연결하며, 이동대차 내측에 연결링크를 회전 및 승강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설치하여, 가압부재가 사료통 내에 위치되도록 구동부로 연결링크를 회전시켜 가압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되, 연결링크를 승강 작동시켜 가압부재의 높이를 조절하고, 그 상태에서 가압부재를 회전작동시키면서 이동대차를 무인으로 이동시켜, 사료통 내에 흩어져 있는 사료들이 가압부재에 의해 집결되면서 일 방향으로 밀려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대차에 의해 가압부재가 사료통 내에서 흩어져 있는 사료를 집결하면서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료를 손쉽게 정리할 수 있고, 회전작동되는 가압부재로 사료들을 사료통과 가압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밀어내면서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료들의 엉킴 및 사료들이 가압부재 전단에 쌓여지는 것이 방지되고, 사료들이 쌓여지는 것이 방지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량의 사료를 밀어낼 수 있으며, 특히, 이동대차가 무인으로 작동되어 작업자의 노동력이 절감되어 인력 시간감축과 동시에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집결된 사료를 가축에게 재공급하여 사료의 낭비를 최소화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Unmanned feed automatic arrangement equipment}
본 발명은 사료 자동 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대차와 연결링크로 연결된 가압부재를 회전작동시켜, 사료통에 흩어져 있는 사료를 집결시키면서 밀어내는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장에서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렬로 정렬한 여러 가축들이 동시에 사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사료통을 사용한다.
여기서, 이러한 사료통 내에 사료를 배분하여 수용하게 되면, 가축들이 사료를 섭취하게 되고, 이때, 가축들이 사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사료들을 밀어내는 행동에 의해 사료통에서 사료가 이탈되거나 혹은 사료통 내에서 가축들의 입이 닿지 않는 부분으로 밀려나, 사료통 내에 사료가 쌓이게 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축사용 이동식 무인 사료 공급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마그네틱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와, 주행부 상부에 좌, 우측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료를 배출하는 사료공급부와, 사료공급부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사료공급부로 사료를 배출하는 사료통 및 주행부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사료를 수용하는 사료통을 청소하는 청소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부를 제어하여 마그네틱가이드를 따라 주행부가 주행되도록 하면, 전방에 설치된 청소부의 회전브러쉬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상태에서 사료통 내의 먼지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료배출수단의 컨베이어벨트가 회전브러쉬의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작동되고, 이때, 사료통의 개폐문이 개방되면서 사료통에서 낙하된 사료가 컨베이어벨트에 안내되어 사료통으로 사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때, 사료통은 그 외면에 복수개의 개폐문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개폐문은 상기 사료공급부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자유낙하방식에 의해 하방으로 개폐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 상으로 사료를 낙하시키는 것이다.
그 다음, 상기 회전브러쉬가 상기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사료통 내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사료통 내로 사료를 공급하여, 가축들이 사료를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브러쉬는 제어부의 조작 방식에 따라 좌, 우측으로 반복 회전되면서 사료통을 청소하거나 혹은 어느 한쪽의 길이방향으로 사료통을 청소 한후, 반대쪽의 사료통을 청소할 수 있다.
이후, 가축이 섭취하지 못한 사료통 내의 사료 또는 사료통 내에 남겨진 사료는 작업자가 사료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사료를 밀어내어 사료를 정해진 장소에 집결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사료 섭취가 완료된 사료통 내의 사료를 수거하는 기능을 전혀 구현할 수 없고, 이 기능 구현 불가로 작업자가 사료통 내의 사료를 직접 수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일일 기준 적어도 3번 이상의 시간을 소요하여 작업자가 사료통 내에 쌓여진 사료를 직접 정리하여 작업자의 노동력 필요와 동시에 작업 시간이 지연되고, 또한, 사료통 내의 사료를 밀어내어 집결시키는 과정에서 사료의 량이 증가하여 작업자의 완력으로 사료를 밀어내는데 큰 어려움이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614884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대차 외측에 회전작동되어 사료를 집결하면서 밀어내는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이 이동대차와 가압부재 사이를 연결링크로 연결하며, 이동대차 내측에 연결링크를 회전 및 승강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설치하여, 가압부재가 사료통 내에 위치되도록 구동부로 연결링크를 회전시켜 가압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되, 연결링크를 승강 작동시켜 가압부재의 높이를 조절하고, 그 상태에서 가압부재를 회전작동시키면서 이동대차를 무인으로 이동시켜, 사료통 내에 흩어져 있는 사료들이 가압부재에 의해 집결되면서 일 방향으로 밀려나도록 하는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는,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회전작동되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사료통 내에서 흩어져 있는 사료를 집결시키면서 밀어내는 가압부재; 일단이 상기 이동대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재에 연결된 타단을 축으로 회전 또는 승강 작동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위치 및 높이를 조절하는 연결링크; 상기 이동대차 내측에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연결링크 일단과 연결되는 축부를 형성하여, 상기 축부를 승강 이동시키거나 혹은 회전작동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중공형상의 회전통체와; 상단이 상기 연결링크 타단에 고정되되, 하단이 상기 가압부재 상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회전통체는, 사료통 내의 사료들을 사료통과 회전통체 사이의 공간으로 집결시켜, 이 사료들을 밀어내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대차 내측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 상부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축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판부; 상기 고정판부 및 상기 승강판부 내측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 서로 엇갈리도록 교차되어 상기 구동부 양측에 구비되고, 그 일단이 상기 고정판부 및 승강판부 일단 각각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수평이동하는 상기 이동부재에 밀리거나 혹은 당겨져 상기 승강판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링크부재; 일단이 상기 고정판부 일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되, 타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수평 이동시키는 이동안내바; 및 상기 고정판부 하부에 고정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축부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 및 상기 승강판부 내측에는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봉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수평이동 하도록 안내하는 안내공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안내바는 볼 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안내바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가 수평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대차에 의해 가압부재가 사료통 내에서 흩어져 있는 사료를 집결하면서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료를 손쉽게 정리할 수 있고, 회전작동되는 가압부재로 사료들을 사료통과 가압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밀어내면서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료들의 엉킴 및 사료들이 가압부재 전단에 쌓여지는 것이 방지되고, 사료들이 쌓여지는 것이 방지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량의 사료를 밀어낼 수 있으며, 특히, 이동대차가 무인으로 작동되어 작업자의 노동력이 절감되어 인력 시간감축과 동시에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집결된 사료를 가축에게 재공급하여 사료의 낭비를 최소화 하면서, 사료 구입 비용을 절감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의 구동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를 평면에서 바라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6을 참조하면, 이동대차(100)는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대차(100)는 농장의 지면에 형성된 마그네틱선(M)따라 무인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대차(100)는 내부에 상기 이동대차(10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대차(100)는 외면 양측에 상기 이동대차(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바퀴(101)가 설치된다.
가압부재(200)는 상기 이동대차(100)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회전작동되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사료통(F) 내에서 흩어져 있는 사료를 집결시키면서 밀어낸다.
상기 가압부재(200)는 중공형상의 회전통체(201)와, 상단이 상기 연결링크(300) 타단에 고정되되, 하단이 상기 가압부재(200) 상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가압부재(200)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202)로 구성된다.
상기 제1구동모터(202)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통체(201)를 회전시킨다.
상기 가압부재(200)의 회전통체(201)는 사료통(F) 내의 사료들을 사료통(F)과 회전통체(201) 사이의 공간으로 집결시켜, 이 사료들을 밀어내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통체(201)는 상기 사료통(F) 내에 흩어져 있는 사료들이 상기 사료통(F)과 회전통체(201)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되도록, 사료들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밀어낸다.
상기 회전통체(201)은 상기 사료통(F)의 폭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링크(300)는 일단이 상기 이동대차(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부재(200)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재(200)에 연결된 타단을 축으로 회전 또는 승강 작동되어 상기 가압부재(200)의 위치 및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연결링크(300)를 일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링크(300)는 일단을 중심축으로 타단 까지의 직선거리의 가상의 원주 반경(CL) 내에서 회전되어 상기 가압부재(200)의 위치를 조절한다.
상기 연결링크(300)는 상기 구동부(400)의 축부(401)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가압부재(200)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연결링크(300)는 상기 가압부재(200)와 상기 구동부(40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가압부재(200)와 상기 구동부(400)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400)는 상기 이동대차(100) 내측에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연결링크(300) 일단과 연결되는 축부(401)를 형성하여, 상기 축부(401)를 승강 이동시키거나 혹은 회전작동시킨다.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 작동된다.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이동대차(100) 내측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 고정판부(402)와, 상기 고정판부(402) 상부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축부(401)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판부(403), 상기 고정판부(402) 및 상기 승강판부(403) 내측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404), 서로 엇갈리도록 교차되어 상기 구동부(400) 양측에 구비되고, 그 일단이 상기 고정판부(402) 및 승강판부(403) 일단 각각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이동부재(404)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수평이동하는 상기 이동부재(404)에 밀리거나 혹은 당겨져 상기 승강판부(403)를 승강 이동시키는 링크부재(405), 일단이 상기 고정판부(402) 일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되, 타단이 상기 이동부재(404)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404)를 수평 이동시키는 이동안내바(406) 및 상기 고정판부(402) 하부에 고정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축부(401)와 연결되어 상기 축부(401)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407)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부(402)는 상기 이동대차(100) 내에 고정 설치되어 타단이 상기 승강판부(403) 내의 이동부재(404)에 연결된 상기 링크부재(405) 일단의 회전을 지지한다.
상기 고정판부(402)는 상기 축부(401)를 관통시켜, 상기 축부(401)의 일단이 상기 제2구동모터(407)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판부(402)는 내측에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봉(408)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봉(408)은 상기 이동부재(404)의 수평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승강판부(402)는 상기 고정판부(402)와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부(402) 상부에서 상, 하로 승강 이동한다.
상기 승강판부(402)는 상기 제2구동모터(407)에 연결되는 상기 축부(401)의 일단을 관통 체결하되, 타단이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축부(401)를 상, 하로 승강 이동시킨다.
상기 승강판부(402)는 상기 승강판부(402) 일단에 연결된 링크부재(405) 및 상기 승강판부(403) 내의 이동부재(404)에 연결된 상기 링크부재(405)에 의해 상방으로 밀려나거나 혹은 하방으로 당겨져 승강 이동한다.
상기 승강판부(403)는 내측에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봉(408)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봉(408)은 상기 이동부재(404)의 수평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링크부재(405) 중 타단이 상기 고정판부(402) 내의 이동부재(404)에 연결되되 일단이 상기 승강판부(403) 일단에 연결된 상기 링크부재(405)는, 그 일단이 회전되면서 상기 승강판부(403)를 밀어내거나 혹은 당겨 상기 승강판부(403)를 승강 이동시킨다.
상기 링크부재(405) 중 타단이 상기 승강판부(403) 내의 이동부재(404)에 연결되되 일단이 상기 고정판부(402) 일단에 연결된 상기 링크부재(405)는, 그 타단이 상기 이동부재(404)에 의해 수평 이동되면서 상기 승강판부(403)를 밀어내거나 혹은 당겨 상기 승강판부(403)를 승강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부재(404)는 상기 고정판부(402) 및 상기 승강판부(403) 내에서 수평 이동되면서 상기 링크부재(405) 타단을 밀어내거나 혹은 당긴다.
상기 이동부재(404)는 상기 가이드봉(408)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404)가 상기 가이드봉(408)을 따라 수평이동 하도록 안내하는 안내공(404a)을 더 형성한다.
상기 이동부재(404)는 상기 이동안내바(406)와 볼 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안내바(406)의 회전작동에 의해 수평이동한다.
상기 이동안내바(406)는 상기 이동부재(404)를 수평이동시켜, 이 이동부재(404)에 연결된 상기 링크부재(405) 타단이 밀려나거나 혹은 당겨지도록 한다.
상기 이동안내바(406)는 상기 이동부재(404)와 볼 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안내바(406)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404)가 수평이동한다.
상기 이동안내바(406)는 그 일단에 제3구동모터(406a)가 설치되어, 이 제3구동모터(406a)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부재(404)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구동모터(407)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축부(401)를 회전시켜 이 축부(401)에 연결된 상기 연결링크(300)가 정해진 각도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가축들이 사료를 섭취한 사료통(F) 내에 사료들이 흩어져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농장의 바닥면에 형성된 마그네틱선(M) 상에 이동대차(100)가 위치되도록 하여, 이 이동대차(100)가 상기 마그네틱선(M)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동대차(100)는 그 하부에 상기 마그네틱선(M)을 감지하는 감지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이에따라, 상기 이동대차(100)가 상기 마그네틱선(M)을 따라 주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대차(100)의 주행경로 상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된 사료통(F) 주변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연결링크(300)가 정해진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가압부재(200)를 상기 사료통(F) 상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부(400)의 제2구동모터(407)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축부(401)를 회전시키고, 이에따라, 상기 축부(401)에 연결된 상기 연결링크(300)가 가상의 원주 반경(CL) 내에서 회전되어 상기 가압부재(200)를 상기 사료통(F) 상부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후, 상기 구동부(400)의 제3구동모터(406a)가 역방향으로 회전작동되면서 상기 이동안내바(406)를 회전시키고, 이때, 상기 이동안내바(406)와 볼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된 상기 이동부재(404)가 당겨지면서 상기 링크부재(405) 타단을 당기게 된다.
그러면, 상기 링크부재(405) 중 일단이 상기 고정판부(402)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승강판부(403) 내의 이동부재(404)에 연결된 상기 링크부재(405)가 상기 이동부재(404)를 밀어내고, 또한, 상기 링크부재(405) 중 일단이 상기 승강판부(403)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고정판부(402) 내의 이동부재(404)에 연결된 상기 링크부재(405)가 상기 이동부재(404)에 당겨져 상기 승강판부(403)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부(403) 상면에 밀착된 상기 축부(401)의 타단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링크(405)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이때, 상기 연결링크(405)에 연결된 상기 가압부재(20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사료통(F) 내로 진입된다.
여기서, 상기 사료통(F) 내로 진입된 상기 가압부재(200) 하단은 상기 사료통(F) 바닥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연결링크(300) 타단에 설치된 제1구동모터(20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통체(201)를 회전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이동대차(100)가 상기 마그네틱선(M)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사료통(F) 내에 흩어져 있는 사료들이 집결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구동모터(202)에 의해 상기 회전통체(201)가 회전구동되면서, 상기 사료통(F) 바닥면에 흩어져 있는 사료들이 상기 회전통체(201) 외면에 밀려 상기 회전통체(201)와 상기 사료통(F) 사이의 공간에 머무르게 되고, 그 상태에서 전방으로 연속 이동하여 사료들이 상기 회전통체(201)와 상기 사료통(F) 사이의 공간에 집결된 상태로 일 방향으로 밀려나가는 것이다.
이후, 상기 사료통(F) 내의 사료를 일 방향으로 밀어내어 사료 정리가 완료되면, 상기 제1구동모터(202)의 회전이 정지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부(400)의 제3구동모터(406a)가 정방향으로 회전작동되면서 상기 이동안내바(406)를 회전시키고, 이때, 상기 이동안내바(406)와 볼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된 상기 이동부재(404)가 밀려나면서 상기 링크부재(405) 타단을 밀어낸다.
즉, 상기 링크부재(405) 중 일단이 상기 고정판부(402)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승강판부(403) 내의 이동부재(404)에 연결된 상기 링크부재(405)가 상기 이동부재(404)를 당기게 되고, 또한, 상기 링크부재(405) 중 일단이 상기 승강판부(403)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고정판부(402) 내의 이동부재(404)에 연결된 상기 링크부재(405)가 상기 이동부재(404)에 의해 밀려나 상기 승강판부(403)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승강판부(403) 상면에 밀착된 상기 축부(401)의 타단이 상기 승강판부(403)에 가압되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링크(30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이때, 상기 연결링크(300)에 연결된 상기 가압부재(200)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사료통(F) 내에서 이탈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구동부(400)의 제2구동모터(407)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축부(401)를 회전시키고, 이에따라, 상기 축부(401)에 연결된 상기 연결링크(300)가 가상의 원주(CL) 반경 내에서 회전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한편, 도6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통체(201)의 직경보다 상기 사료통(F) 내의 넓이가 넓게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회전통체(201)가 회전되면서 그 외주면을 따라 사료가 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한 후, 사료를 일 방향 누름 가압하여 사료통의 일 측면에 사료가 모여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통체(201)의 외면이 상기 사료통(F) 내의 타 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사료가 상기 사료통(F)의 일 측면으로 밀어내도록 회전작동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동대차(100)와 연결링크(300)로 연결된 가압부재(200)를 사료통(F) 내로 진입시키되, 이 가압부재(200)를 회전작동시켜 흩어져 있는 사료를 집결시키면서 일 방향으로 밀어내는 구조는, 이동대차(100)에 의해 가압부재(200)가 사료통(F) 내에서 흩어져 있는 사료를 집결하면서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료를 손쉽게 정리할 수 있고, 회전작동되는 가압부재(200)로 사료들을 사료통(F)과 가압부재(200) 사이의 공간으로 밀어내면서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료들의 엉킴 및 사료들이 가압부재(200) 전단에 쌓여지는 것이 방지되고, 사료들이 쌓여지는 것이 방지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량의 사료를 밀어낼 수 있으며, 특히, 이동대차(100)가 무인으로 작동되어 작업자의 노동력이 절감되어 인력 시간감축과 동시에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이동대차 200 : 가압부재
201 : 회전통체 202 : 제1구동모터
300 : 연결링크 400 : 구동부
401 : 축부 402 : 고정판부
403 : 승강판부 404 : 이동부재
404a : 안내공 405 : 링크부재
406 : 이동안내바 406a : 제3구동모터
407 : 제2구동모터 408 : 가이드봉
CL : 원주 반경 F : 사료통
M : 마그네틱선

Claims (6)

  1.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대차(100)와;
    상기 이동대차(100)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회전작동되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사료통(F) 내에서 흩어져 있는 사료를 집결시키면서 밀어내는 가압부재(200);
    일단이 상기 이동대차(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부재(200)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재(200)에 연결된 타단을 축으로 회전 또는 승강 작동되어 상기 가압부재(200)의 위치 및 높이를 조절하는 연결링크(300);
    상기 이동대차(100) 내측에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연결링크(300) 일단과 연결되는 축부(401)를 형성하여, 상기 축부(401)를 승강 이동시키거나 혹은 회전작동시키는 구동부(400);
    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이동대차(100) 내측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 고정판부(402)와;
    상기 고정판부(402) 상부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축부(401)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판부(403);
    상기 고정판부(402) 및 상기 승강판부(403) 내측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404);
    서로 엇갈리도록 교차되어 상기 구동부(400) 양측에 구비되고, 그 일단이 상기 고정판부(402) 및 승강판부(403) 일단 각각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이동부재(404)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수평이동하는 상기 이동부재(404)에 밀리거나 혹은 당겨져 상기 승강판부(403)를 승강 이동시키는 링크부재(405);
    일단이 상기 고정판부(402) 일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되, 타단이 상기 이동부재(404)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404)를 수평 이동시키는 이동안내바(406); 및
    상기 고정판부(402) 하부에 고정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축부(401)와 연결되어 상기 축부(401)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407);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200)는,
    중공형상의 회전통체(201)와;
    상단이 상기 연결링크(300) 타단에 고정되되, 하단이 상기 가압부재(200) 상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가압부재(200)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20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200)의 회전통체(201)는,
    사료통(F) 내의 사료들을 사료통(F)과 회전통체(201) 사이의 공간으로 집결시켜, 이 사료들을 밀어내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402) 및 상기 승강판부(403) 내측에는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봉(40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404)는 상기 가이드봉(408)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404)가 상기 가이드봉(408)을 따라 수평이동 하도록 안내하는 안내공(404a)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404)와 상기 이동안내바(406)는 볼 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안내바(406)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404)가 수평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
KR1020180121684A 2018-10-12 2018-10-12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 KR102057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684A KR102057969B1 (ko) 2018-10-12 2018-10-12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684A KR102057969B1 (ko) 2018-10-12 2018-10-12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969B1 true KR102057969B1 (ko) 2019-12-20

Family

ID=69062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684A KR102057969B1 (ko) 2018-10-12 2018-10-12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9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67079A (zh) * 2020-11-09 2021-01-05 李美瑜 一种全自动的畜牧养殖用畜牧投喂设备及其投喂方法
KR102237687B1 (ko) * 2020-12-07 2021-04-08 주식회사 반달소프트 곤충 사육 로봇
KR20230075793A (ko) 2021-11-23 2023-05-31 주식회사 다운 사료 자동정리 로봇
KR20240039829A (ko) 2022-09-20 2024-03-27 주식회사 다운 사료 자동정리 로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130B1 (ko) 2005-12-20 2007-03-28 임영빈 도로시설물 청소차량
KR101685162B1 (ko) 2014-12-26 2016-12-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동물복지를 위한 축사용 청소 로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130B1 (ko) 2005-12-20 2007-03-28 임영빈 도로시설물 청소차량
KR101685162B1 (ko) 2014-12-26 2016-12-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동물복지를 위한 축사용 청소 로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67079A (zh) * 2020-11-09 2021-01-05 李美瑜 一种全自动的畜牧养殖用畜牧投喂设备及其投喂方法
KR102237687B1 (ko) * 2020-12-07 2021-04-08 주식회사 반달소프트 곤충 사육 로봇
KR20230075793A (ko) 2021-11-23 2023-05-31 주식회사 다운 사료 자동정리 로봇
KR20240039829A (ko) 2022-09-20 2024-03-27 주식회사 다운 사료 자동정리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969B1 (ko) 축사용 무인 사료 자동 정리장치
KR101573826B1 (ko) 습식형 사료 급이기 및 이를 적용한 자동 급이 시스템
CN111846489A (zh) 一种草包自动解捆抽绳机
DE891669C (de) Einrichtung zum selbsttaetigen Ordnen und Weiterbefoerdern von Leerspulen zu einem Spulstellen entlang laufenden Transportband
EP2989890A1 (de)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füttern von gruppen von tieren
US4337729A (en) Traveling hopper feed delivery system
CN109322929A (zh) 一种圆锥滚子轴承合套装置及其工作方法
US4662506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elongated nonstraight elements
CN215957777U (zh) 一种鸡舍用自动投料装置
DE1611389A1 (de) Signaturen-Zufuehrvorrichtung
US3164128A (en) Poultry feeder
CN213992157U (zh) 一种黑水虻养殖接料架
CN205888213U (zh) 一种可自动卸料的切割装置
EP1250279B1 (de) Verfahren zum vereinzeln von spinnhülsen aus einer ungeordneten ansammlung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N112758698B (zh) 一种方捆集捆装置
CN214593526U (zh) 一种绵羊圈养用料槽投料装置
DE1877955U (de) Vorrichtung zum foerdern von zigaretten von einer zigarettenmaschine zu einer packmaschine.
CN214455231U (zh) 一种自动农产品晾晒机构
CN212220789U (zh) 一种草包自动解捆抽绳机
CN203975973U (zh) 一种新型青贮取料机
CN208624492U (zh) 杀青机自动喂料系统二级输送装置及杀青机自动喂料系统
CN221044066U (zh) 一种黑水虻养殖箱翻箱装置
CN214030729U (zh) 片板状物料投料机
CN219043718U (zh) 一种卷料生产线
CN220867267U (zh) 一种多层晾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