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631B1 - 패널 접합장치 - Google Patents

패널 접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631B1
KR102056631B1 KR1020180160885A KR20180160885A KR102056631B1 KR 102056631 B1 KR102056631 B1 KR 102056631B1 KR 1020180160885 A KR1020180160885 A KR 1020180160885A KR 20180160885 A KR20180160885 A KR 20180160885A KR 102056631 B1 KR102056631 B1 KR 102056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unit
frame
fixing
turn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경원
Original Assignee
문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경원 filed Critical 문경원
Priority to KR1020180160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631B1/ko
Priority to PCT/KR2019/017615 priority patent/WO2020122645A1/ko
Priority to CN201980080865.4A priority patent/CN113168056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는, 굽힘 변형 가능한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각각의 일면이 마주한 상태로 합착하기 위한 복수의 패널 합착유닛과, 복수의 패널 합착유닛이 장착되는 턴테이블과, 턴테이블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턴테이블 회전장치와,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패널 합착유닛은, 제1 패널이 접하는 곡면형의 패널 받침부를 갖는 패널 받침대와, 턴테이블과 패널 받침대 사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 프레임과, 제1 패널의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승강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1 고정유닛과, 제1 패널의 타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승강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2 고정유닛과, 제1 패널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각각 고정한 제1 고정유닛 및 제2 고정유닛이 하강하여 제1 패널을 패널 받침대에 밀착시키면서 굽힘 변형시킬 수 있도록 승강 프레임을 하강시키는 프레임 승강장치와, 제2 패널이 안착되는 패널 안착대와, 패널 안착대에 안착된 제2 패널의 일면이 패널 받침대에 접하여 굽힘 변형된 제1 패널의 일면에 합착될 수 있도록 패널 안착대를 이송시키는 패널 이송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패널 접합장치{PANEL BO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패널 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패널을 자동으로 접합하여 곡면형의 패널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는 패널 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스마트폰, 디지털 TV, PC, 노트북, PDA,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가 출시되면서 평판 표시 장치나 터치 패널 등의 패널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평판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장치(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이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경량, 박형, 저전력구동, 풀-컬러, 고해상도 구현 등의 특징으로 인해 각종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액정 표시 패널에 편광판과 백라이트 유닛을 합착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를 비롯하여 각종 평판 표시 장치는 평판 표시 패널에 투명 보호판 등 다양한 기능의 패널을 합착하여 제조한다.
터치 패널은 각종 평판 표시 장치의 표시 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표시 장치를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입력장치이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스마트폰의 필수 부품으로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 패널에 투명한 도전성 전극 패널을 합착하여 제조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패널 제품에 사용되는 패널들은 접착제나 접착필름을 통해 접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곡면 형상을 갖는 패널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이나 TV 등의 제품들이 다수 출시되고 있는데, 종래의 장치 및 방법으로는 곡면형의 패널을 포함하는 둘 이상의 패널을 접합하는데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불량 발생률이 높은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536237호 (2015. 07. 1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두 개의 패널을 정밀하면서도 신속하게 접합하여 곡면형의 패널 조립체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패널 접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는, 굽힘 변형 가능한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각각의 일면이 마주한 상태로 합착하기 위한 복수의 패널 합착유닛; 상기 복수의 패널 합착유닛이 장착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장착된 상기 복수의 패널 합착유닛을 소정의 회전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턴테이블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턴테이블 회전장치; 및 상기 복수의 패널 합착유닛과 상기 턴테이블 회전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합착유닛은, 상기 턴테이블에 연결되는 받침 기둥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턴테이블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패널이 접하는 곡면형의 패널 받침부를 갖는 패널 받침대와,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패널 받침대 사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 프레임과, 상기 제1 패널의 일단부가 놓이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패널 받침대를 향해 전진하거나 상기 패널 받침대로부터 후퇴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1 고정대와, 상기 승강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대를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 고정대 가이드와, 상기 제1 패널의 일단부에 접하여 상기 제1 패널을 상기 제1 고정부에 압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 고정 이동장치를 갖는 제1 고정유닛과, 상기 제1 패널의 타단부가 놓이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패널 받침대를 향해 전진하거나 상기 패널 받침대로부터 후퇴할 수 있도록 상기 패널 받침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고정대와 마주하여 상기 승강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2 고정대와, 상기 승강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고정대를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고정대 가이드와, 상기 제1 패널의 타단부에 접하여 상기 제1 패널을 상기 제2 고정부에 압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고정부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를 이동시키는 제2 고정 이동장치를 갖는 제2 고정유닛과, 상기 제1 패널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각각 고정한 상기 제1 고정유닛 및 상기 제2 고정유닛이 하강하여 상기 제1 패널을 상기 패널 받침부에 밀착시키면서 굽힘 변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프레임을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 프레임에 상하 이동력을 제공하는 프레임 승강장치와, 상기 제2 패널이 안착되는 패널 안착대와, 상기 패널 안착대에 안착된 상기 제2 패널의 일면이 상기 패널 받침대에 접하여 굽힘 변형된 상기 제1 패널의 일면에 합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패널 안착대를 이송시키는 패널 이송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패널 합착유닛은, 상기 제1 고정대의 일측에서 상기 제2 고정대 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 로드와, 상기 제2 고정대의 일측에서 상기 제1 고정대 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 로드와, 상기 제1 패널이 상기 패널 받침부에 접하여 굽힘 변형되면서 발생하는 반력이 상기 제1 고정대와 상기 제2 고정대에 인가될 때 상기 제1 고정대와 상기 제2 고정대가 상호 연동하여 함께 상기 패널 받침대 측으로 전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 로드 및 상기 제2 연결 로드를 연결하는 이동 밸런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일측에는 상기 승강 프레임 측으로 연장되는 제1 스템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일측에는 상기 승강 프레임 측으로 연장되는 제2 스템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 밸런서는, 상기 승강 프레임에 배치되는 밸런서 베이스와, 상기 밸런서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헤드와, 상기 제1 스템이 접하여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스템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여 이격되고, 상기 회전 헤드의 외면에 상기 회전 헤드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밸런서 로드와, 상기 제2 스템이 접하여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스템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여 이격되고, 상기 회전 헤드의 외면에 상기 제1 밸런서 로드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밸런서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합착유닛은, 상기 제1 고정대를 상기 패널 받침대로부터 후퇴시키는 이동력을 상기 제1 고정대에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1 고정대 리턴장치와, 상기 제2 고정대를 상기 패널 받침대로부터 후퇴시키는 이동력을 상기 제2 고정대에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2 고정대 리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이송유닛은, 상기 패널 안착대에 놓이는 상기 제2 패널을 상하 반전시켜 상기 패널 받침대에 놓이는 상기 제1 패널의 일면에 합착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 프레임의 승강 방향에 대해 수직인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턴테이블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 안착대를 상하 반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반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이송유닛은, 상기 반전 프레임의 회전 중심축과 동일 선 상에 배치되는 반전 프레임 커플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경로 중에 배치되고, 상기 반전 프레임 커플링부와 맞물리는 회전 커플링부를 갖는 회전 툴 및 상기 회전 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구동부를 갖는 반전 구동장치와, 상기 반전 구동장치를 상기 반전 프레임 측으로 전진시키거나 상기 반전 프레임으로부터 후퇴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상기 반전 구동장치에 제공하는 진퇴장치를 구비하는 패널 이송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는, 상기 패널 받침대 위에서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이 합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패널을 상기 패널 받침대 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패널 받침대 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패널 가압부재와, 상기 패널 가압부재를 승강시키는 패널 가압 구동부를 갖는 패널 가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합착유닛은, 상기 반전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 안착대를 상기 반전 프레임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패널 안착대 지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가압유닛은 상기 패널 안착대가 상하 반전되어 상기 패널 받침대 위에서 놓인 상태에서 상기 패널 안착대 지지기구를 통해 상기 패널 안착대를 상기 패널 받침대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안착대 지지기구는, 상기 패널 안착대와 결합되고 상기 반전 프레임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반전 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로드와, 상기 반전 프레임에 대해 상대 이동한 패널 안착대를 원상 복귀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상기 패널 안착대에 제공하는 리턴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는, 상기 회전 경로 중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경로 중 소정의 위치에 정지한 패널 합착유닛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턴테이블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밀폐 커버와, 상기 밀폐 커버를 승강시키는 밀폐 커버 승강장치를 갖는 밀폐유닛; 및 상기 밀폐 커버에 의해 밀폐되는 공간에 진공압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밀폐유닛과 연결되는 진공압 발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는, 상기 제 1 패널 고정유닛과 상기 제 2 패널 고정유닛 및 상기 프레임 승강장치를 지지하도록 상기 턴테이블에 가동적으로 배치되는 가동 프레임; 및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패널 받침대에 놓이는 상기 제1 패널의 자세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 프레임을 움직이는 자세 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세 조절유닛은, 상기 가동 프레임을 상기 턴테이블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이동력을 상기 가동 프레임에 제공하는 제1 자세 조절 이동장치와, 상기 가동 프레임을 상기 턴테이블과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이동력을 상기 가동 프레임에 제공하는 제2 자세 조절 이동장치와, 상기 가동 프레임을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상기 가동 프레임에 제공하는 자세 조절 회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이 놓이는 복수의 패널 합착유닛이 턴테이블에 의해 회전 경로를 따라 차례로 이송되면서 패널 로딩, 패널 촬영, 패널 자세 조절, 패널 합착, 패널 언로딩 등의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두 개의 패널을 접합하여 곡면형의 패널 조립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는 패널 받침대 위에 놓인 제1 패널의 양측 단부를 제1 고정유닛 및 제2 고정유닛이 잡고 아래쪽으로 당겨 제1 패널을 제2 패널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굽힘 변형시킨 후, 제2 패널이 제1 패널 위에 포개짐으로써,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이들 사이에 들뜸이 없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는 제1 고정유닛과 제2 고정유닛이 상호 연동하여 패널 받침대 위에 놓인 제1 패널의 양측 단부를 동일한 압력으로 당기면서 동일한 변형량으로 굽힘 변형시킴으로써, 좌우 대칭적인 고품질의 곡면형 패널 조립체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는 패널 안착대에 놓이는 제2 패널을 제1 패널 측으로 움직이기 위한 이동력을 제공하는 패널 이송 구동유닛과, 패널 합착유닛의 주위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유닛이 각각 회전 경로 중 소정의 위치에 하나씩 배치됨으로써, 구성 부품의 수를 줄이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이 로딩되고, 제1 패널과 제2 패널이 접합되어 곡면형의 패널 조립체가 만들어지는 패널 합착유닛을 밀폐시키기 위해 종래와 같이 패널 합착유닛이 별도의 하우징 내에 배치되지 않아도 되므로, 패널 합착유닛에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로딩하는 작업이나, 제1 패널과 제2 패널이 접합되어 이루어진 곡면형의 패널 조립체를 언로딩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패널 합착유닛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에 구비되는 패널 합착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에 구비되는 패널 합착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에 구비되는 패널 합착유닛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에 구비되는 패널 합착유닛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에 구비되는 패널 합착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에 구비되는 패널 이송유닛 및 패널 이송 구동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에 구비되는 밀폐유닛 및 패널 가압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10)는, 턴테이블(11)과, 복수의 패널 합착유닛(13)과, 비전장치(72)와, 패널 이송 구동유닛(74)과, 밀폐유닛(82)과, 진공압 발생장치(87)와, 패널 가압유닛(90)과, 제어장치(9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10)는 두 개의 패널(P1)(P2)을 정밀하면서도 신속하게 서로 접합시켜 곡면형의 패널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두 개의 패널(P1)(P2)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는 접착물질이 도포 또는 부착된 상태로 복수의 패널 합착유닛(13)에 로딩될 수 있고, 패널 합착유닛(13)은 패널들(P1)(P2)을 합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패널(P1)을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굽힘 변형 가능한 패널로, 제2 패널(P2)을 유리 등 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곡면형 패널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10)가 이러한 형태의 패널들을 접합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10)는 다양한 형태의 패널들을 접합하여 곡면형의 패널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10)를 구성하는 다양한 장치들과 패널 접합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은 제어장치(96)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장치(96)는 턴테이블(11)을 간헐적으로 회전시켜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이 로딩된 패널 합착유닛(13)을 소정의 회전 경로(C)를 따라 이송시킨다. 이때, 회전 경로(C) 중에는 패널 합착유닛(13)이 정지하는 복수의 작업 영역(Z1 ~ Z4)이 마련되며, 패널 합착유닛(13)이 복수의 작업 영역(Z1 ~ Z4)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패널 로딩, 패널 촬영, 패널 자세조절, 패널 합착, 패널 언로딩 등의 작업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턴테이블(11)은 지면과 평행하게 놓이고, 지면과 수직인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턴테이블(11)은 턴테이블 회전장치(12)에 의해 회전하여 복수의 패널 합착유닛(13)을 복수의 작업 영역(Z1~Z4)을 차례로 통과하도록 회전 경로(C)를 따라 이송시킬 수 있다. 턴테이블(11)에는 네 개의 패널 합착유닛(13)이 대략 90도 간격으로 회전 경로(C)를 따라 이격 배치된다. 턴테이블 회전장치(12)는 제어장치(96)에 의해 제어되어 턴테이블(11)을 90도씩 간헐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네 개의 패널 합착유닛(13)를 각 작업 영역(Z1 ~ Z4)에 차례로 위치시킬 수 있다.
제1 작업 영역(Z1)에서는 패널 합착유닛(13)에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이 로딩되는 로딩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패널(P1)이나 제2 패널(P2)을 패널 합착유닛(13)에 로딩하는 작업은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거나, 로딩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작업 영역(Z2)에서는 비전장치(72)가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을 촬영하고, 그 신호를 제어장치(96)에 송신한다. 비전장치(72)가 패널들(P1)(P2)을 촬영함으로써 패널들(P1)(P2)의 자세를 검출할 수 있다. 비전장치(72)는 패널 안착대(60)에 로딩된 제2 패널(P2)을 촬영하는 제1 촬영부(72a)와, 패널 합착유닛(13)에 로딩된 제1 패널(P1)을 촬영하기 위한 제2 촬영부(72b)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전장치(72)는 이와 같이 두 개의 촬영부(72a)(72b)를 포함하는 구조 이외에,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을 촬영하여 패널들(P1)(P2)의 이미지를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를 제어장치(96)에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제2 작업 영역(Z2)에서 비전장치(72)가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을 촬영함으로써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에 대한 자세 검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자세 검출 작업 후,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이 정확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 중 적어도 하나의 자세를 조절하는 자세 조절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널 합착유닛(13)에 의해 제1 패널(P1)의 자세만 조절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제2 패널(P2)의 자세만 조절되거나,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 모두에 대한 자세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자세 조절 작업은 제2 작업 영역(Z2) 이외에, 회전 경로(C) 중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이 접합되기 전 회전 경로(C) 상의 적당한 다른 위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작업 영역(Z2)에는 제2 패널(P2)이 놓이는 패널 안착대(60)를 상하 반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반전 프레임(65)을 움직이기 위한 패널 이송 구동유닛(74)이 설치되며, 패널 이송 구동유닛(74)의 작용으로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이 합착 또는 가접합 될 수 있다.
제3 작업 영역(Z3)에서는 제1 패널(P1)와 제2 패널(P2)이 접합되는 패널 접합 작업이 이루어진다. 제3 작업 영역(Z3)에서 밀폐유닛(82)이 패널 합착유닛(13)를 밀폐한 상태에서 패널 가압유닛(90)이 작동하여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을 상호 압착시킬 수 있다. 제3 작업 영역(Z3)에서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이 접합되어 형성되는 곡면형의 패널 조립체는 제4 작업 영역(Z4)에서 언로딩될 수 있다.
제4 작업 영역(Z4)에는 패널 이송 구동유닛(74)이 설치되며, 제4 작업 영역(Z4)에서 패널 이송 구동유닛(74)이 반전 프레임(65)을 반전시킴으로써 곡면형의 패널 조립체를 언로딩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언로딩 작업은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거나, 언로딩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턴테이블(11)에 설치되는 패널 합착유닛(13)의 설치 개수나, 배치 간격, 회전 경로(C) 중에 마련되는 작업 영역의 개수나, 배치 간격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각 작업 영역에서 수행되는 작업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또는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작업 영역(Z1)에서 로딩 작업과 언로딩 작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1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패널 합착유닛(13)은 턴테이블(11)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4)과, 턴테이블(1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동 프레임(15)과, 가동 프레임(15)의 상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 프레임(16)과, 제1 패널(P1)이 놓일 수 있도록 승강 프레임(16) 위에 배치되는 패널 받침대(18)와, 패널 받침대(18)에 놓이는 제1 패널(P1)의 양측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유닛(22) 및 제2 고정유닛(35)과, 제1 고정유닛(22)과 제2 고정유닛(35)을 연결하는 이동 밸런서(48)와, 가동 프레임(15)을 움직이기 위한 자세 조절유닛(55)과, 제2 패널(P2)이 놓이는 패널 안착대(60)와, 패널 안착대(60)를 움직이기 위한 패널 이송유닛(64)을 포함한다. 이러한 패널 합착유닛(13)은 패널 받침대(18)에 놓이는 제1 패널(P1)과 패널 안착대(60)에 놓이는 제2 패널(P2)을 상호 합착시킬 수 있다.
가동 프레임(15)은 제 1 패널 고정유닛(22)과 제 2 패널 고정유닛(35) 및 프레임 승강장치(17)를 지지하도록 턴테이블(11)에 가동적으로 배치된다. 도시된 것과 같이, 가동 프레임(15)은 자세 조절유닛(55)과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15a)과, 프레임 승강장치(17)와 결합되어 턴테이블(11) 위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15b)과, 고정 프레임(14)에 형성되는 관통구멍(14a)을 통과하여 하부 프레임(15a)과 상부 프레임(15b)을 연결하는 연결 기둥(15c)을 포함하는 구조, 또는 자세 조절유닛(55)과 결합되어 제 1 패널 고정유닛(22)과 제 2 패널 고정유닛(35) 및 프레임 승강장치(17)를 텐테이블(1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다양한 다른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승강 프레임(16)은 가동 프레임(15)과 패널 받침대(18) 사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승강 프레임(16)은 프레임 승강장치(17)로부터 이동력을 제공받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프레임 승강장치(17)는 가동 프레임(15)에 배치되어 승강 프레임(16)을 승강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두 개의 프레임 승강장치(17)가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프레임 승강장치(17)의 설치 개수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패널 받침대(18)는 고정 프레임(14)에 결합되는 받침대 기둥(20)에 지지되어 가동 프레임(15) 위에 배치된다. 받침대 기둥(20)은 고정 프레임(14)에 고정되어 가동 프레임(15)의 관통구멍(15d)과 승강 프레임(16)의 관통구멍(16a)을 통과하여 승강 프레임(16)의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패널 받침대(18)는 제1 패널(P1)이 접하는 곡면형의 패널 받침부(19)를 갖는다.
제1 고정유닛(22)은 패널 받침대(18)에 놓이는 제1 패널(P1)의 일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승강 프레임(16)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1 고정유닛(22)은 승강 프레임(16)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고정대(23)와, 승강 프레임(16)에 배치되어 제1 고정대(23)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고정 가이드(26)와, 제1 고정대(23) 위에 놓이는 제1 패널(P1)의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부재(27)를 포함한다.
제1 고정대(23)는 제1 패널(P1)의 일단부가 놓이는 제1 고정부(24)를 구비한다. 제1 고정부(24)에는 제1 패널(P1)의 일단부를 흡착 고정하기 위한 진공압을 제공하는 복수의 흡착 홀(24a)이 마련된다. 흡착 홀(24a)은 제1 고정대(23)에 연결되는 진공 튜브(25)를 통해 진공압 발생장치(미도시)에서 발생하는 진공압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고정대(23)는 제1 고정 가이드(26)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고정 가이드(26)는 승강 프레임(16)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고정대(23)를 패널 받침대(18)를 향해 전진하거나 패널 받침대(18)로부터 후퇴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제1 고정 가이드(26)는 리니어 가이드 등 제1 고정대(23)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27)는 제1 고정부(24)에 놓이는 제1 패널(P1)의 일단부에 접하여 제1 패널(P1)을 제1 고정부(24)에 압착시킬 수 있도록 제1 고정부(24)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고정부재(27)는 제1 고정 이동장치(28)에 의해 움직인다.
제1 고정 이동장치(28)는 제1 고정 진퇴장치(29)와 제1 고정 승강장치(30)를 포함한다. 제1 고정 진퇴장치(29)는 제1 고정부재(27)를 제1 고정부(24) 측으로 전진 또는 제1 고정부(24)로부터 후퇴하도록 제1 고정부재(27)에 이동력을 제공한다. 제1 고정 승강장치(30)는 제1 고정부재(27)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제1 고정부재(27)에 상하 이동력을 제공한다. 제1 고정부재(27)의 일단부가 제1 고정부(24)에 놓인 상태에서 제1 고정 진퇴장치(29)가 제1 고정부재(27)를 제1 고정부(24) 위로 전진시키고, 제1 고정 승강장치(30)가 제1 고정부재(27)를 제1 고정부(24) 측으로 하강시킴으로써, 제1 고정부재(27)가 제1 고정부(24) 위에 놓이는 제1 패널(P1)의 일단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고정 승강장치(30)가 제1 고정대(23)의 일측에 고정되고, 제1 고정 진퇴장치(29)가 제1 고정 승강장치(30)에 결합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제1 고정 진퇴장치(29)나 제1 고정 승강장치(30)의 설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이동장치(28)는 도시된 것과 같은 제1 고정 진퇴장치(29)와 제1 고정 승강장치(30)를 포함하는 구조 이외에, 제1 고정부재(27)에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 밖에, 제1 고정유닛(22)은 제1 고정대 리턴장치(31)와, 제1 연결 로드(32)와, 제1 스템(33)을 포함한다.
제1 고정대 리턴장치(31)는 승강 프레임(16)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고정대(23)를 패널 받침대(18)로부터 후퇴시키는 이동력을 제1 고정대(23)에 제공한다. 제1 고정대 리턴장치(31)는 에어 실린더 등 패널 받침대(18) 측으로 전진한 제1 고정대(23)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제1 고정대(23)에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제1 연결 로드(32)는 제1 고정대(23)의 일측에서 제2 고정대(36) 측으로 연장되고, 제1 스템(33)은 제1 연결 로드(32)의 일측에서 승강 프레임(16) 측으로 연장된다. 제1 스템(33)은 이동 밸런서(48)에 연결된다.
제2 고정유닛(35)은 제1 고정유닛(22)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2 고정유닛(35)은 패널 받침대(18)에 놓이는 제1 패널(P1)의 타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승강 프레임(16)의 다른 일측에 배치된다. 제2 고정유닛(35)은 패널 받침대(18)를 사이에 두고 제1 고정대(23)와 마주하도록 승강 프레임(16)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고정대(36)와, 승강 프레임(16)에 배치되어 제2 고정대(36)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고정 가이드(39)와, 제2 고정대(36) 위에 놓이는 제1 패널(P1)의 타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부재(40)를 포함한다.
제2 고정대(36)는 제1 패널(P1)의 타단부가 놓이는 제2 고정부(37)를 구비한다. 제2 고정부(37)에는 제1 패널(P1)의 타단부를 흡착 고정하기 위한 진공압을 제공하는 복수의 흡착 홀(37a)이 마련된다. 흡착 홀(37a)은 제2 고정대(36)에 연결되는 진공 튜브(38)를 통해 진공압 발생장치(미도시)에서 발생하는 진공압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고정대(36)는 제2 고정 가이드(39)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고정 가이드(39)는 승강 프레임(16)에 배치되어 제2 고정대(36)를 패널 받침대(18)를 향해 전진하거나 패널 받침대(18)로부터 후퇴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제2 고정 가이드(39)는 제1 고정 가이드(26)와 같은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40)는 제2 고정부(37)에 놓이는 제1 패널(P1)의 타단부에 접하여 제1 패널(P1)을 제2 고정부(37)에 압착시킬 수 있도록 제2 고정부(37)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 고정부재(40)는 제2 고정 이동장치(41)에 의해 움직인다. 제2 고정 이동장치(41)는 제2 고정 진퇴장치(42)와 제2 고정 승강장치(43)를 포함한다. 제2 고정 진퇴장치(42)는 제2 고정부재(40)를 제2 고정부(37) 측으로 전진 또는 제2 고정부(37)로부터 후퇴하도록 제2 고정부재(40)에 이동력을 제공한다. 제2 고정 승강장치(43)는 제2 고정부재(4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제2 고정부재(40)에 상하 이동력을 제공한다. 제2 고정부재(40)의 타단부가 제2 고정부(37)에 놓인 상태에서 제2 고정 진퇴장치(42)가 제2 고정부재(40)를 제2 고정부(37) 위로 전진시키고, 제2 고정 승강장치(43)가 제2 고정부재(40)를 제2 고정부(37) 측으로 하강시킴으로써, 제2 고정부재(40)가 제2 고정부(37) 위에 놓이는 제1 패널(P1)의 타단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2 고정 승강장치(43)가 제2 고정대(36)의 일측에 고정되고, 제2 고정 진퇴장치(42)가 제2 고정 승강장치(43)에 결합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제2 고정 진퇴장치(42)나 제2 고정 승강장치(43)의 설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 이동장치(41)는 도시된 것과 같은 제2 고정 진퇴장치(42)와 제2 고정 승강장치(43)를 포함하는 구조 이외에, 제2 고정부재(40)에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 밖에, 제2 고정유닛(35)은 제2 고정대 리턴장치(44)와, 제2 연결 로드(45)와, 제2 스템(46)을 포함한다.
제2 고정대 리턴장치(44)는 승강 프레임(16)에 배치되어 제2 고정대(36)를 패널 받침대(18)로부터 후퇴시키는 이동력을 제2 고정대(36)에 제공한다. 제2 고정대 리턴장치(44)는 에어 실린더 등 패널 받침대(18) 측으로 전진한 제2 고정대(36)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제2 고정대(36)에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제2 연결 로드(45)는 제2 고정대(36)의 일측에서 제1 고정대(23) 측으로 연장되고, 제2 스템(46)은 제2 연결 로드(45)의 일측에서 승강 프레임(16) 측으로 연장된다. 제2 스템(46)은 이동 밸런서(48)에 연결된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패널 받침대(18)에 제1 패널(P1)이 놓인 상태에서 제1 고정유닛(22)과 제2 고정유닛(35)이 제1 패널(P1)의 양측 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프레임 승강장치(17)가 승강 프레임(16)을 하강시키면 패널 받침대(18)는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제1 고정유닛(22)과 제2 고정유닛(35)이 하강하게 된다. 제1 고정유닛(22)과 제2 고정유닛(35)이 하강하면서 제1 고정부(24)와 제2 고정부(37)가 패널 받침대(18)의 패널 받침부(19)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면, 패널 받침대(18) 위에 놓이는 제1 패널(P1)은 그 중간 부분이 패널 받침부(19)에 의해 떠받쳐진 상태에서 그 양쪽 단부가 패널 받침부(19) 아래쪽으로 당겨진다. 이때, 제1 패널(P1)은 패널 받침부(19)에 밀착되면서 패널 받침부(19)의 모양대로 굽힘 변형된다.
제1 고정유닛(22)과 제2 고정유닛(35)이 제1 패널(P1)의 양측 단부를 아래쪽으로 당겨 제1 패널(P1)을 굽힘 변형시킬 때, 제1 고정대(23)와 제2 고정대(36)는 제1 패널(P1)로부터 패널 받침대(18) 측으로 당겨지는 반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제1 고정대(23)와 제2 고정대(36)는 각각 제1 고정 가이드(26)와 제2 고정 가이드(39)를 따라 패널 받침대(18) 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제1 고정대 리턴장치(31)와 제2 고정대 리턴장치(44)는 제1 고정대(23)와 제2 고정대(36)의 움직임을 구속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 고정대(23)와 제2 고정대(36)가 패널 받침대(18) 측으로 전진하면서 제1 패널(P1)을 굽힘 변형시킬 때, 제1 고정대(23)의 이동 거리와 제2 고정대(36)의 이동 거리에 편차가 생기면 제1 패널(P1)의 좌우 굽힘 변형량이 달라져 제1 패널(P1)이 비대칭적으로 굽힘 변형되거나, 뒤틀릴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대(23)와 제2 고정대(36)는 같은 거리로 움직여 제1 패널(P1)을 굽힘 변형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10)는 이동 밸런서(48)를 통해 제1 고정대(23)와 제2 고정대(36)의 이동 거리를 동일하게 맞출 수 있다. 이동 밸런서(48)는 제1 고정대(23) 및 제2 고정대(36)와 연결되며, 제1 패널(P1)이 패널 받침부(19)에 접하여 굽힘 변형되면서 발생하는 반력이 제1 고정대(23)와 제2 고정대(36)에 인가될 때 제1 고정대(23)와 제2 고정대(36)를 상호 연동하여 동일한 이동 거리로 패널 받침대(18) 측으로 각각 전진하도록 해준다.
도 4,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 밸런서(48)는 승강 프레임(16)에 배치되는 밸런서 베이스(49)와, 밸런서 베이스(4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헤드(50)와, 밸런서 베이스(49)와 회전 헤드(50)를 연결하는 밸런서 회전축(51)과, 회전 헤드(50)의 외면에 회전 헤드(50)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밸런서 로드(52)와, 회전 헤드(50)의 외면에 제1 밸런서 로드(52)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밸런서 로드(5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밸런서 로드(52)의 사이에는 제1 고정유닛(22)의 제1 스템(33)이 삽입되는 제1 밸런서 슬릿(52a)이 마련되고, 한 쌍의 제2 밸런서 로드(53)의 사이에는 제2 고정유닛(35)의 제2 스템(46)이 삽입되는 제2 밸런서 슬릿(53a)이 마련된다. 제1 밸런서 슬릿(52a)과 제2 밸런서 슬릿(53a)은 회전 헤드(50)의 회전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각각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밸런서 슬릿(52a)에 삽입된 제1 스템(33)은 제1 밸런서 로드(52)에 접하여 제1 밸런서 슬릿(52a)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고, 제2 밸런서 슬릿(53a)에 삽입된 제2 스템(46)은 제2 밸런서 로드(53)에 접하여 제2 밸런서 슬릿(53a)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제1 패널(P1)의 반력에 의해 제1 고정대(23)와 제2 고정대(36)가 각각 패널 받침대(18) 측으로 전진할 때, 제1 고정대(23)에 연결된 제1 스템(33)은 제1 밸런서 로드(52)를 제2 고정대(36) 측으로 가압하고, 제2 고정대(36)에 연결된 제2 스템(46)은 제2 밸런서 로드(53)를 제1 고정대(23) 측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회전 헤드(50)는 제1 스템(33) 및 제2 스템(46)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회전 헤드(50)가 회전하면 회전 헤드(50)의 회전력이 제1 스템(33) 및 제2 스템(46)에 동일하게 전달되므로, 제1 스템(33) 및 제2 스템(46)은 모두 회전 헤드(50)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고정대(23) 및 제2 고정대(36)는 회전 헤드(50)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동일한 이동 거리를 움직이게 된다.
도면에는 제1 스템(33) 및 제2 스템(46)이 볼 스터드 형상을 갖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제1 스템(33) 및 제2 스템(46)은 이동 밸런서(48)의 제1 밸런서 슬릿(52a) 및 제2 밸런서 슬릿(53a)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밸런서(48)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제1 고정대(23)와 제2 고정대(36)를 상호 연동하도록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 밸런서는 랙-피니언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고정유닛(22)의 제1 연결 로드(32)와 제2 고정유닛(35)의 제2 연결 로드(45)에 각각 랙 기어가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한 쌍의 랙 기어 사이에 피니언 기어가 한 쌍의 랙 기어와 각각 기어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랙-피니언 구조의 이동 밸런서는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랙 기어를 각각 동일한 이동 거리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고정대(23)와 제2 고정대(36)의 이동 거리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자세 조절유닛(55)은 고정 프레임(14)에 설치되어 가동 프레임(15)을 움직인다. 자세 조절유닛(55)은 가동 프레임(15)을 움직임으로써 패널 받침대(18)에 놓이는 제1 패널(P1)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 자세 조절유닛(55)은 제1 자세 조절 이동장치(56)와, 제2 자세 조절 이동장치(57)와, 자세 조절 회전장치(58)를 포함한다. 제1 자세 조절 이동장치(56)는 가동 프레임(15)을 턴테이블(11)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이동력을 가동 프레임(15)에 제공하고, 제2 자세 조절 이동장치(57)는 가동 프레임(15)을 턴테이블(11)과 평행하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이동력을 가동 프레임(15)에 제공한다. 자세 조절 회전장치(58)는 가동 프레임(15)을 턴테이블(11)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가동 프레임(15)에 제공한다.
자세 조절유닛(55)은 제어장치(96)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장치(96)는 비전장치(72)로부터 검출 신호를 제공받아 패널 합착유닛(13)에 로딩된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의 자세를 검출하고,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의 자세가 일치되도록 자세 조절유닛(55)을 제어한다. 즉, 비전장치(72)의 검출 신호에 따라 자세 조절유닛(55)의 제1 자세 조절 이동장치(56)와 제2 자세 조절 이동장치(57) 및 자세 조절 회전장치(58)가 작동함으로써, 패널 받침대(18)에 놓인 제1 패널(P1)이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하여 제1 패널(P1)의 자세가 패널 안착대(60)에 놓이는 제2 패널(P2)에 자세에 맞춰 조절될 수 있다.
자세 조절유닛(55)에 의한 제1 패널(P1)의 자세 조절은 제1 패널(P1)이 패널 받침대(18)에 밀착되어 굽힘 변형되기 전에 수행된다. 즉, 제1 고정유닛(22)과 제2 고정유닛(35)이 패널 받침대(18) 위에 놓이는 제1 패널(P1)의 양측 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자세 조절유닛(55)이 작동하여 제1 패널(P1)의 자세를 제2 패널(P2)의 자세에 맞춰 조절한 후, 프레임 승강장치(17)가 작동하여 제1 고정유닛(22)과 제2 고정유닛(35)이 제1 패널(P1)의 양쪽 단부를 패널 받침부(19) 아래쪽으로 당겨 제1 패널(P1)을 굽힘 변형시키게 된다.
자세 조절유닛(55)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고정 프레임(14)에 제1 자세 조절 이동장치(56)가 결합되고, 제1 자세 조절 이동장치(56) 위에 제2 자세 조절 이동장치(57)가 구비되고, 제2 자세 조절 이동장치(57) 위에 자세 조절 회전장치(58)가 가동 프레임(15)과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제1 자세 조절 이동장치(56)와 제2 자세 조절 이동장치(57) 및 자세 조절 회전장치(58)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 밖에, 자세 조절유닛(55)은 제1 고정유닛(22) 및 제2 고정유닛(35)을 함께 움직여 패널 받침대(18) 위에 놓이는 제1 패널(P1)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패널 안착대(60)는 곡면형의 제2 패널(P2)이 놓이는 패널 안착부(61)를 갖는다. 패널 안착부(61)는 제2 패널(P2)의 형상에 대응하는 곡면 형상을 갖는다. 패널 안착부(61)에는 제2 패널(P2)를 흡착 고정하기 위한 진공압을 제공하는 복수의 흡착 홀(61a)이 마련된다. 흡착 홀(61a)은 패널 안착대(60)에 연결되는 진공 튜브(62)를 통해 진공압 발생장치(미도시)에서 발생하는 진공압을 전달받을 수 있다.
패널 안착대(60)는 패널 이송유닛(64)에 의해 움직이며, 패널 안착대(60)에 놓인 제2 패널(P2)은 패널 안착대(60)의 움직임에 따라 패널 받침대(18)에서 굽힘 변형된 제1 패널(P1) 위에 포개질 수 있다.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이 포개지기 전에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는 접착제 또는 접착 필름이 도포 또는 적층될 수 있고, 제2 패널(P2)이 제1 패널(P1) 위로 포개지면 제1 패널(P1)의 일면과 제2 패널(P2)의 일면이 접착제 또는 접착 필름에 의해 상호 접합될 수 있다. 패널 안착대(60)는 패널 안착대 지지기구(63)에 의해 패널 이송유닛(64)의 반전 프레임(65)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패널 이송유닛(64)은 패널 안착대(60)를 상하 반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반전 프레임(65)을 포함한다. 반전 프레임(65)의 일측에는 반전 회전축(66)이 구비되고, 반전 회전축(66)은 턴테이블(11)에 결합된 지지대(6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반전 회전축(66)은 승강 프레임(16)의 승강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반전 프레임(65)은 반전 회전축(66)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반전 회전축(66)과 지지대(67)의 사이에는 회전 클러치(68)가 배치된다. 회전 클러치(68)는 반전 회전축(6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되, 반전 회전축(66)의 회전을 억제시킴으로써 반전 프레임(65)이 후술할 패널 이송 구동유닛(74)에 의해 회전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 클러치(68)는 반전 회전축(66)이 반전 프레임(65)의 자중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패널 이송 구동유닛(74)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반전 회전축(6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반전 프레임(65)이 반전 회전축(66)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패널 안착대(60)가 상하 반전되어 패널 받침대(18)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패널 안착대(60)에 놓이는 제2 패널(P2)이 상하 반전되어 패널 받침대(18)에 놓이는 제1 패널(P1)에 합착될 수 있다.
반전 회전축(66)에는 반전 프레임 커플링부(69)가 연결된다. 반전 프레임 커플링부(69)는 반전 프레임(65)의 회전 중심축과 동일 선 상에 배치되어 지지대(67)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반전 프레임(65)은 패널 이송 구동유닛(74)에 의해 회전한다. 도 1,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패널 이송 구동유닛(74)은 회전 경로(C) 중의 제2 작업 영역(Z2) 및 제4 작업 영역(Z4)에 배치되어 제2 작업 영역(Z2) 및 제4 작업 영역(Z4)에서 각각 패널 합착유닛(13)의 반전 프레임(65)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패널 이송 구동유닛(74)은 반전 프레임(65)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반전 구동장치(75)와, 반전 구동장치(75)를 진퇴시키는 진퇴장치(79)를 포함한다. 반전 구동장치(75)는 패널 이송유닛(64)의 반전 프레임 커플링부(69)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툴(76)과, 회전 툴(76)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구동부(78)를 구비한다. 회전 툴(76)에는 반전 프레임 커플링부(69)와 맞물리는 회전 커플링부(77)가 마련된다. 회전 커플링부(77)는 반전 프레임 커플링부(69)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진퇴장치(79)는 턴테이블(11)의 외측에 배치되는 지지대(80)에 결합되어 반전 구동장치(75)를 제2 작업 영역(Z3) 및 제4 작업 영역(Z4)에 각각 정지한 패널 합착유닛(13) 측으로 전진시키거나 패널 합착유닛(13)으로부터 후퇴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반전 구동장치(75)에 제공할 수 있다.
진퇴장치(79)가 반전 구동장치(75)를 패널 합착유닛(13) 측으로 전진시키면 회전 툴(76)의 회전 커플링부(77)가 패널 합착유닛(13)의 반전 프레임 커플링부(69)와 맞물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 구동부(78)가 작동하여 회전 툴(76)을 회전시키면, 반전 프레임(65)이 대략 180도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패널 이송 구동유닛(74)의 작용으로 반전 프레임(65)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180도씩 회전함으로써, 패널 안착대(60)가 패널 받침대(18) 위로 이송되거나, 패널 안착대(60)가 제2 패널(P2)이 로딩될 수 있는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반전 프레임(65)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패널 이송 구동유닛(74)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패널 이송유닛(64)의 반전 프레임 커플링부(69)가 각기둥 형태로 돌기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패널 이송 구동유닛(74)의 회전 커플링부(77)가 반전 프레임 커플링부(69)가 삽입될 수 있는 홈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반전 프레임 커플링부가 홈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회전 커플링부가 돌기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밖에, 패널 이송 구동유닛(74)은 제2 작업 영역(Z2)이나 제4 작업 영역(Z2)에서 정지한 패널 합착유닛(13)의 반전 프레임(65)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반전 프레임(65)을 회전시킨 후, 반전 프레임(65)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패널 안착대 지지기구(63)는 반전 프레임(65)에 배치되어 패널 안착대(60)를 반전 프레임(65)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패널 안착대 지지기구(63)는 패널 안착대(60)와 결합되고 반전 프레임(65)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반전 프레임(65)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 로드(63a)와, 복수의 지지 로드(63a)를 연결하는 연결대(63b)와, 반전 프레임에 대해 상대 이동한 패널 안착대(60)를 원상 복귀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제공하는 리턴기구(63c)를 포함한다. 복수의 지지 로드(63a)는 반전 프레임(65)에 구비되는 관통구멍(65a)에 삽입되어 반전 프레임(65)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리턴기구(63c)는 도시된 것과 같은 스프링 구조, 또는 실린더 등과 같이 반전 프레임(65)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 패널 안착대(60)를 반전 프레임(65)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 밖에, 패널 안착대 지지기구(63)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패널 안착대(60)를 반전 프레임(65)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1,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밀폐유닛(82)은 회전 경로(C) 중 제3 작업 영역(Z3)에 배치된다. 밀폐유닛(82)은 제3 작업 영역(Z3)에 정지한 패널 합착유닛(13)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턴테이블(11)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밀폐 커버(83)와, 밀폐 커버(83)를 승강시키는 밀폐 커버 승강장치(84)를 포함한다. 밀폐 커버 승강장치(84)는 턴테이블(11)의 외측에 설치되어 밀폐 커버(83)에 상하 이동력을 제공한다. 밀폐 커버 승강장치(84)가 밀폐 커버(83)를 턴테이블(11) 측으로 하강시키면, 밀폐 커버(83)의 단부가 고정 프레임(14)에 접하면서 두 개의 패널(P1)(P2)이 포개져 놓이는 패널 받침대(18) 주변의 공간이 밀폐 커버(83)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밀폐 커버(83)에는 진공압 발생장치(87)와 연결되는 진공 튜브(85)가 결합된다. 밀폐 커버(83)가 턴테이블(11) 측으로 하강하여 패널 받침대(18) 주변의 공간을 밀폐한 상태에서 진공압 발생장치(87)가 작동하여 진공 튜브(85)를 통해 밀폐 커버(83)의 내측 공간에 진공압이 제공됨으로써, 패널 받침대(18) 주변의 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밀폐유닛(82)에 의해 패널 받침대(18) 주변의 공간이 밀폐된 상태에서 패널 가압유닛(90)이 작동하여 상호 포개진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을 압착시킴으로써,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이 접합된 곡면형의 패널 조립체가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밀폐유닛(82)에 의해 만들어지는 진공 분위기에서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의 접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을 더욱 균일하고 견고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패널 가압유닛(90)은 패널 받침대(18) 위에서 포개진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을 압착시킬 수 있도록 밀폐 커버(83)에 설치된다. 패널 가압유닛(90)은 패널 가압부재(91)와, 패널 가압 구동부(92)를 포함한다. 패널 가압 구동부(92)는 밀폐 커버(83)에 결합되어 패널 가압부재(91)에 상하 이동력을 제공한다. 패널 가압부재(91)는 패널 가압 구동부(92)에 의해 움직여 패널 받침대(18) 위에서 제1 패널(P1)과 포개진 제2 패널(P2)을 패널 받침대(18) 측으로 가압한다.
즉,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패널 가압유닛(90)은 패널 안착대(60)가 상하 반전되어 패널 받침대(18) 위에서 놓인 상태에서 패널 가압부재(91)로 패널 안착대 지지기구(63)를 눌러 패널 안착대(60)에 가압력을 제공함으로써, 패널 받침대(18) 위에서 포개진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을 압착시킬 수 있다.
패널 가압유닛(90)의 작용으로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이 접합되어 곡면형의 패널 조립체가 형성된 후, 밀폐 커버(83)가 원래 위치로 상승하고, 반전 프레임(65)이 원상 복귀된다.
그리고 제1 고정유닛(22)의 제1 고정부재(27) 및 제2 고정유닛(35)의 제2 고정부재(40)가 제1 패널(P1)로부터 분리된 후, 제4 작업 영역(Z4)에서 곡면형의 패널 조립체가 패널 합착유닛(13)으로부터 언로딩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 프레임(16)은 프레임 승강장치(17)의 작용으로 원래 위치로 상승하고, 제1 고정유닛(22)의 제1 고정대(23) 및 제2 고정유닛(35)의 제2 고정대(36)는 제1 고정대 리턴장치(31) 및 제2 고정대 리턴장치(44)의 작용으로 각각 패널 받침대(1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여 원상 복귀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10)는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이 놓이는 복수의 패널 합착유닛(13)이 턴테이블(11)에 의해 회전 경로(C)를 따라 차례로 이송되면서 패널 로딩, 패널 촬영, 패널 자세 조절, 패널 합착, 패널 언로딩 등의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두 개의 패널(P1)(P2)을 접합하여 곡면형의 패널 조립체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10)는 패널 받침대(18) 위에 놓인 제1 패널(P1)의 양측 단부를 제1 고정유닛(22) 및 제2 고정유닛(35)이 잡고 아래쪽으로 당겨 제1 패널(P1)을 제2 패널(P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굽힘 변형시킨 후, 제2 패널(P2)이 제1 패널(P1) 위에 포개짐으로써,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을 들뜸 발생없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10)는 제1 고정유닛(22)과 제2 고정유닛(35)이 상호 연동하여 패널 받침대(18) 위에 놓인 제1 패널(P1)의 양측 단부를 동일한 압력으로 당기면서 동일한 변형량으로 굽힘 변형시킴으로써, 좌우 대칭적인 고품질의 곡면형 패널 조립체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10)는 패널 안착대(60)에 놓이는 제2 패널(P2)을 제1 패널(P1) 측으로 움직이기 위한 이동력을 제공하는 패널 이송 구동유닛(74)과, 패널 합착유닛(13)의 주위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유닛(82)이 각각 회전 경로(C) 중 소정의 위치에 하나씩 배치됨으로써, 구성 부품의 수를 줄이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접합장치(10)는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이 로딩되고,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이 접합되어 곡면형의 패널 조립체가 만들어지는 패널 합착유닛(13)을 밀폐시키기 위해 종래와 같이 패널 합착유닛(13)이 별도의 하우징 내에 배치되지 않아도 되므로, 패널 합착유닛(13)에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을 로딩하는 작업이나,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이 접합되어 이루어진 곡면형의 패널 조립체를 언로딩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패널 합착유닛(13)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패널 이송 구동유닛(74)이 제2 작업 영역(Z2) 및 제4 작업 영역(Z4)에 각각 배치되고, 밀폐유닛(82)이 제3 작업 영역(Z3)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패널 이송 구동유닛(74)과 밀폐유닛(82)의 설치 위치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패널 안착대(60)가 상하 반전하도록 회전하는 반전 프레임(65)에 의해 상하 반전하여 제2 패널(P2)을 제1 패널(P1) 위에 합착시키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패널 안착대(60)를 움직이는 패널 이송유닛(64)은 패널 안착대(60)를 반전 회전시키는 구조 이외에, 패널 안착대(60)를 패널 받침대(18) 측으로 움직일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자세 조절유닛(55)이 가동 프레임(15)을 움직여 패널 받침대(18)에 놓이는 제1 패널(P1)의 자세를 제2 패널(P2)의 자세에 맞춰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제2 패널(P2)의 자세가 제1 패널(P1)에 맞춰 조절되거나,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의 자세가 모두 조절된 후,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의 접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자세 조절유닛(55)과 받침대 기둥(20)이 텐테이블(11) 상에 별도로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4)에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고정 프레임(14)은 생략되고 자세 조절유닛(55)과 받침대 기둥(20)이 텐테이블(11)에 지지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패널 가압유닛(90)이 밀폐 커버(83)에 설치되어 밀폐유닛(82)의 설치 위치에서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을 압착시키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패널 가압유닛(90)은 밀폐유닛(82)과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패널 가압유닛(90)이 패널 안착대(60)가 상하 반전되어 패널 받침대(18) 위에서 놓인 상태에서 패널 안착대 지지기구(63)를 눌러 패널 안착대(60)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패널 가압유닛은 패널 받침대(18) 위에서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이 포개진 상태에서 제2 패널(P2)을 직접 가압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패널 접합장치 11 : 턴테이블
12 : 턴테이블 회전장치 13 : 패널 합착유닛
15 : 가동 프레임 16 : 승강 프레임
17 : 프레임 승강장치 18 : 패널 받침대
19 : 패널 받침부 20 : 받침대 기둥
22 : 제1 고정유닛 23 : 제1 고정대
24 : 제1 고정부 26 : 제1 고정 가이드
27 : 제1 고정부재 28 : 제1 고정 이동장치
29 : 제1 고정 진퇴장치 30 : 제1 고정 승강장치
31 : 제1 고정대 리턴장치 32 : 제1 연결 로드
33 : 제1 스템 35 : 제2 고정유닛
36 : 제2 고정대 37 : 제2 고정부
39 : 제2 고정 가이드 40 : 제2 고정부재
41 : 제2 고정 이동장치 42 : 제2 고정 진퇴장치
43 : 제2 고정 승강장치 44 : 제2 고정대 리턴장치
45 : 제2 연결 로드 46 : 제2 스템
48 : 이동 밸런서 49 : 밸런서 베이스
50 : 회전 헤드 51 : 밸런서 회전축
52 : 제1 밸런서 로드 53 : 제2 밸런서 로드
55 : 자세 조절유닛 56 : 제1 자세 조절 이동장치
57 : 제2 자세 조절 이동장치 58 : 자세 조절 회전장치
60 : 패널 안착대 61 : 패널 안착부
64 : 패널 이송유닛 65 : 반전 프레임
66 : 반전 회전축 68 : 회전 클러치
69 : 반전 프레임 커플링부 72 : 비전장치
74 : 패널 이송 구동유닛 75 : 반전 구동장치
76 : 회전 툴 77 : 회전 커플링부
78 : 회전 구동부 79 : 진퇴장치
82 : 밀폐유닛 83 : 밀폐 커버
84 : 밀폐 커버 승강장치 87 : 진공압 발생장치
90 : 패널 가압유닛 91 : 패널 가압부재
92 : 패널 가압 구동부 96 : 제어장치

Claims (11)

  1. 굽힘 변형 가능한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각각의 일면이 마주한 상태로 합착하기 위한 복수의 패널 합착유닛;
    상기 복수의 패널 합착유닛이 장착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장착된 상기 복수의 패널 합착유닛을 소정의 회전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턴테이블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턴테이블 회전장치; 및
    상기 복수의 패널 합착유닛과 상기 턴테이블 회전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합착유닛은,
    상기 턴테이블에 연결되는 받침 기둥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턴테이블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패널이 접하는 곡면형의 패널 받침부를 갖는 패널 받침대와,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패널 받침대 사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 프레임과,
    상기 제1 패널의 일단부가 놓이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패널 받침대를 향해 전진하거나 상기 패널 받침대로부터 후퇴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1 고정대와, 상기 승강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대를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 고정대 가이드와, 상기 제1 패널의 일단부에 접하여 상기 제1 패널을 상기 제1 고정부에 압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 고정 이동장치를 갖는 제1 고정유닛과,
    상기 제1 패널의 타단부가 놓이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패널 받침대를 향해 전진하거나 상기 패널 받침대로부터 후퇴할 수 있도록 상기 패널 받침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고정대와 마주하여 상기 승강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2 고정대와, 상기 승강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고정대를 직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고정대 가이드와, 상기 제1 패널의 타단부에 접하여 상기 제1 패널을 상기 제2 고정부에 압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고정부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를 이동시키는 제2 고정 이동장치를 갖는 제2 고정유닛과,
    상기 제1 패널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각각 고정한 상기 제1 고정유닛 및 상기 제2 고정유닛이 하강하여 상기 제1 패널을 상기 패널 받침부에 밀착시키면서 굽힘 변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프레임을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 프레임에 상하 이동력을 제공하는 프레임 승강장치와,
    상기 제2 패널이 안착되는 패널 안착대와,
    상기 패널 안착대에 안착된 상기 제2 패널의 일면이 상기 패널 받침대에 접하여 굽힘 변형된 상기 제1 패널의 일면에 합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패널 안착대를 이송시키는 패널 이송유닛과,
    상기 제1 고정대의 일측에서 상기 제2 고정대 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 로드와,
    상기 제2 고정대의 일측에서 상기 제1 고정대 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 로드와,
    상기 제1 패널이 상기 패널 받침부에 접하여 굽힘 변형되면서 발생하는 반력이 상기 제1 고정대와 상기 제2 고정대에 인가될 때 상기 제1 고정대와 상기 제2 고정대가 상호 연동하여 함께 상기 패널 받침대 측으로 전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 로드 및 상기 제2 연결 로드를 연결하는 이동 밸런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접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일측에는 상기 승강 프레임 측으로 연장되는 제1 스템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일측에는 상기 승강 프레임 측으로 연장되는 제2 스템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 밸런서는,
    상기 승강 프레임에 배치되는 밸런서 베이스와,
    상기 밸런서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헤드와,
    상기 제1 스템이 접하여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스템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여 이격되고, 상기 회전 헤드의 외면에 상기 회전 헤드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밸런서 로드와,
    상기 제2 스템이 접하여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스템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여 이격되고, 상기 회전 헤드의 외면에 상기 제1 밸런서 로드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밸런서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접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합착유닛은,
    상기 제1 고정대를 상기 패널 받침대로부터 후퇴시키는 이동력을 상기 제1 고정대에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1 고정대 리턴장치와,
    상기 제2 고정대를 상기 패널 받침대로부터 후퇴시키는 이동력을 상기 제2 고정대에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2 고정대 리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접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이송유닛은,
    상기 패널 안착대에 놓이는 상기 제2 패널을 상하 반전시켜 상기 패널 받침대에 놓이는 상기 제1 패널의 일면에 합착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 프레임의 승강 방향에 대해 수직인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턴테이블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 안착대를 상하 반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반전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접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이송유닛은, 상기 반전 프레임의 회전 중심축과 동일 선 상에 배치되는 반전 프레임 커플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경로 중에 배치되고, 상기 반전 프레임 커플링부와 맞물리는 회전 커플링부를 갖는 회전 툴 및 상기 회전 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구동부를 갖는 반전 구동장치와, 상기 반전 구동장치를 상기 반전 프레임 측으로 전진시키거나 상기 반전 프레임으로부터 후퇴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상기 반전 구동장치에 제공하는 진퇴장치를 구비하는 패널 이송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접합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받침대 위에서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이 합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패널을 상기 패널 받침대 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패널 받침대 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패널 가압부재와, 상기 패널 가압부재를 승강시키는 패널 가압 구동부를 갖는 패널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접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합착유닛은, 상기 반전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 안착대를 상기 반전 프레임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패널 안착대 지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가압유닛은, 상기 패널 안착대가 상하 반전되어 상기 패널 받침대 위에서 놓인 상태에서 상기 패널 안착대 지지기구를 통해 상기 패널 안착대를 상기 패널 받침대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2 패널을 상기 패널 받침대 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접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안착대 지지기구는,
    상기 패널 안착대와 결합되고 상기 반전 프레임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반전 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로드와,
    상기 반전 프레임에 대해 상대 이동한 패널 안착대를 원상 복귀시키기 위한 이동력을 상기 패널 안착대에 제공하는 리턴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접합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경로 중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경로 중 소정의 위치에 정지한 패널 합착유닛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턴테이블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밀폐 커버와, 상기 밀폐 커버를 승강시키는 밀폐 커버 승강장치를 갖는 밀폐유닛; 및
    상기 밀폐 커버에 의해 밀폐되는 공간에 진공압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밀폐유닛과 연결되는 진공압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접합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 고정유닛과 상기 제 2 패널 고정유닛 및 상기 프레임 승강장치를 지지하도록 상기 턴테이블에 가동적으로 배치되는 가동 프레임; 및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패널 받침대에 놓이는 상기 제1 패널의 자세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 프레임을 움직이는 자세 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세 조절유닛은,
    상기 가동 프레임을 상기 턴테이블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이동력을 상기 가동 프레임에 제공하는 제1 자세 조절 이동장치와,
    상기 가동 프레임을 상기 턴테이블과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이동력을 상기 가동 프레임에 제공하는 제2 자세 조절 이동장치와,
    상기 가동 프레임을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상기 가동 프레임에 제공하는 자세 조절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접합장치.
KR1020180160885A 2018-12-13 2018-12-13 패널 접합장치 KR102056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885A KR102056631B1 (ko) 2018-12-13 2018-12-13 패널 접합장치
PCT/KR2019/017615 WO2020122645A1 (ko) 2018-12-13 2019-12-12 패널 접합장치
CN201980080865.4A CN113168056A (zh) 2018-12-13 2019-12-12 面板粘合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885A KR102056631B1 (ko) 2018-12-13 2018-12-13 패널 접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631B1 true KR102056631B1 (ko) 2019-12-17

Family

ID=69056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885A KR102056631B1 (ko) 2018-12-13 2018-12-13 패널 접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56631B1 (ko)
CN (1) CN113168056A (ko)
WO (1) WO202012264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375B1 (ko) * 2011-05-16 2012-09-12 한동희 패널 자세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패널 부착장치
KR101345328B1 (ko) * 2013-08-08 2013-12-30 한동희 패널 부착장치
KR101733351B1 (ko) * 2016-05-16 2017-05-08 한동희 곡면패널 합착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곡면패널 합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5138B2 (ja) * 2003-03-11 2009-03-25 富士通株式会社 基板貼合せ装置及び基板貼合せ方法
KR100947082B1 (ko) * 2009-04-24 2010-03-10 한동희 패널부착장치
KR101146149B1 (ko) * 2009-12-28 2012-05-16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리프트 핀 모듈
KR101208666B1 (ko) * 2012-08-13 2012-12-06 한동희 패널 부착장치
CN104678612B (zh) * 2013-11-29 2018-12-14 芝浦机械电子装置株式会社 基板贴合装置、显示面板制造装置及显示面板制造方法
KR101371370B1 (ko) * 2013-12-13 2014-03-07 한동희 패널 부착유닛과 이를 갖는 패널 부착장치 및 패널 부착방법
KR101398104B1 (ko) * 2014-02-05 2014-05-28 한동희 패널 부착장치
JP6121384B2 (ja) * 2014-11-11 2017-04-26 平田機工株式会社 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1588600B1 (ko) * 2015-07-23 2016-02-01 주식회사 톱텍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375B1 (ko) * 2011-05-16 2012-09-12 한동희 패널 자세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패널 부착장치
KR101345328B1 (ko) * 2013-08-08 2013-12-30 한동희 패널 부착장치
KR101733351B1 (ko) * 2016-05-16 2017-05-08 한동희 곡면패널 합착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곡면패널 합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22645A1 (ko) 2020-06-18
CN113168056A (zh)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351B1 (ko) 곡면패널 합착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곡면패널 합착장치
JP6438591B1 (ja) 貼合装置
KR101371370B1 (ko) 패널 부착유닛과 이를 갖는 패널 부착장치 및 패널 부착방법
KR101448810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및 방법
KR101331875B1 (ko)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진공 합착 장치
CN102472901B (zh) 液晶显示装置的制造装置和液晶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101311855B1 (ko) 기판합착장치 및 기판합착방법
KR101765551B1 (ko) 곡면소재 합착장치
KR20100077165A (ko) 접합 기판 제조 장치 및 접합 기판 제조 방법
JP6034969B2 (ja) パネル取り付け装置
JP6311967B2 (ja) 基板貼り合せ装置及び基板貼り合せ方法
KR20190001940A (ko) 유지 장치, 위치 결정 장치 및 접합 장치
KR101341126B1 (ko) 패널 부착장치
EP3688746B1 (en) Apparatus for bonding a curved display
KR20150113420A (ko) 절곡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및 방법
KR102056631B1 (ko) 패널 접합장치
KR20220050149A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KR101871967B1 (ko) 개선된 곡면 커버 부재의 합착 장치
KR102070184B1 (ko) 지그, 이를 포함하는 유연 패널의 신뢰성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연 패널 벤딩 방법
KR101246800B1 (ko) 접합기판 제조장치 및 접합기판 제조방법
KR102039051B1 (ko) 패널 접합장치
KR101689057B1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 방법
KR20190121556A (ko)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필름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KR102113195B1 (ko) 패널 접합장치
KR101833883B1 (ko)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