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575B1 - 손잡이부재를 구비한 캔용기 - Google Patents

손잡이부재를 구비한 캔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575B1
KR102056575B1 KR1020190127953A KR20190127953A KR102056575B1 KR 102056575 B1 KR102056575 B1 KR 102056575B1 KR 1020190127953 A KR1020190127953 A KR 1020190127953A KR 20190127953 A KR20190127953 A KR 20190127953A KR 102056575 B1 KR102056575 B1 KR 102056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member
container
tab
protective cap
tab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용
Original Assignee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20190127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3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 B65D17/3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adapted for engagement with opening tools, e.g. slotted k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a preformed opening
    • B65D2517/5072Details of hand grip, tear- or lift-tab
    • B65D2517/5083Details of hand grip, tear- or lift-tab with means facilitating initial lifting of tape, e.g. lift or pull-t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손잡이부재를 구비한 캔용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손잡이부재를 구비한 캔용기는 음료가 담기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에는 리벳에 의해 연결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탭부가 구성되고, 상기 뚜껑부에는 상기 탭부의 회동에 따라 눌려져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탭부의 엔드부에 연장되도록 고정설치되어, 사용자가 탭부를 직접 조작하는 일 없이 상기 탭부의 엔드부를 간접적으로 들어올리도록 하는 손잡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잡이부재를 구비한 캔용기{Can container with handle member}
본 발명은 음료가 담겨진 캔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캔용기 뚜껑의 탭을 보다 용이하고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탭에 별도의 손잡이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캔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등을 담아 마실 수 있도록 구비된 용기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예를들어, 병의 형태로 형성되어 그 안에 음료를 담고, 용기의 상부에 뚜껑으로 막아 밀폐시킨 것이 있는데, 이 경우에는 뚜껑이 결합된 구조가 돌려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거나 또는 원터치식으로 사용자가 잡아당겨 뚜껑을 분리하도록 한 것이 있다.
또한, 병의 형태외에 알루미늄재 등으로 이루어진 캔용기가 있는바, 이 캔용기는 가볍고 취급이 용이하여 근래에 많은 음료들을 담아 제조,판매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캔용기는,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본체와, 이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뚜껑부로 이루어지며, 이 뚜껑부에는 회동가능한 탭부와, 이 탭부에 의해 눌려져서 개방되도록 하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다.
개방부의 둘레에는 개방부가 눌려지면서 따질 수 있도록 하는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절개선은 둘레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지 않고 일부분을 제외하고 형성되어 개방부가 눌려졌을 때 개방부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탭부는 리벳에 의해 뚜껑부와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사용자가 탭부 후단의 엔드부를 손가락으로 위로 잡아당기면 탭부가 리벳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탭부 전단의 노즈부가 개방부를 눌러 개방부의 절개선이 따지면서 개방이 이루어져 음료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캔용기는 탭부의 엔드부에 손가락을 삽입하기가 어려웠으며, 특히, 손톱을 탭부의 엔드부에 넣어 탭부를 들어올리는 경우, 손톱이 손상되거나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탭부의 엔드부 바로 밑에 위치하는 뚜껑부 표면에 오목한 오목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쉽게 탭부의 엔드부를 들어올리도록 하거나, 탭부의 엔드부 자체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엔드부에 대한 손가락의 접근이 용이한 캔용기가 개발되기는 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이 뚜껑부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거나 탭부의 엔드부를 절곡한다 하더라도 손가락을 탭부의 밑으로 집어 넣어 들어올리는 방식은 동일하기 때문에 손가락이 두꺼운 사람에게는 탭부를 들어올려 개방부를 개방시키는 조작이 쉽지 않은 것은 마찬가지였다.
아울러, 뚜껑부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시키거나 탭부의 엔드부에 절곡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캔용기의 제조공정수가 늘어나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캔용기의 코스트가 상승해 버리는 문제가 있고, 통상의 제조장비로는 이러한 구조의 캔용기를 만들기 힘들기 때문에 별도로 제조장비를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207440호 공개특허 10-2013-0009358호 공개실용신안 20-2008-0003018호 공개실용신안 20-1999-0041922호 공개특허 10-2016-009002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캔용기의 탭부를 직접 들어올리는 일 없이, 별도의 손잡이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탭부를 들어올리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부상당하거나 고통을 느끼지 않고 편리하게 캔용기를 개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손잡이부재를 구비한 캔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손잡이부재를 구비한 캔용기는 음료가 담기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에는 리벳에 의해 연결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탭부가 구성되고, 상기 뚜껑부에는 상기 탭부의 회동에 따라 눌려져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탭부의 엔드부에 연장되도록 고정설치되어, 사용자가 탭부를 직접 조작하는 일 없이 상기 탭부의 엔드부를 간접적으로 들어올리도록 하는 손잡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 부재는 노끈, 비닐시트, 또는 접착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부재는 접착테이프로 이루어져, 상기 탭부의 엔드부에 감아준다음, 접착테이프의 양측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부착시킨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이 끼움결합되어 상기 뚜껑부를 덮어 보호하며, 상기 손잡이부재의 후측부가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캡에는 테이프 통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재가 상기 테이프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보호캡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손잡이 부재를 구비한 캔용기는 사용자가 직접 탭부를 조작하는 일 없이 손잡이 부재를 잡아 올려 탭부를 간접적으로 들어올리는 방식이므로, 기존 탭부 밑으로 손가락으로 넣어주는 불편함이나 손톱의 깨짐, 손가락 고통등의 문제 등을 해소 할 뿐 아니라, 탭부를 보다 용이하게 적은 힘으로도 위로 올려줄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매우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용기본체의 상단이 끼움결합되어 뚜껑부를 덮어 보호하는 보호캡이 구비되되, 이 보호캡과 손잡이 부재가 연결되어 보호캡을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손잡이 부재가 탭부의 엔드부를 들어올려 개방동작이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에, 뚜껑부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여 보다 위생적인 음료 섭취가 가능할 뿐 아니라, 더욱 용이하게 탭부를 회동시켜 개방부를 개방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부재를 구비한 캔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부재를 구비한 캔용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손잡이부재를 구비한 캔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부재를 구비한 캔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부재를 구비한 캔용기(1)에 대해 설명한다.
캔용기(1)는 음료가 담기는 용기본체(11)와, 용기본체(11)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결합된 뚜껑부(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뚜껑부(12)에는 회동조작가능한 탭부(14)가 구비되고, 이 탭부(14)에 눌려져 개방되도록 개방부(13)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개방부(13)의 둘레는 절개선(13a)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탭부(14)의 일단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잡아당길 수 있도록 엔드부(14a)가 형성되고, 탭부(14)의 타단에는 탭부(14)의 회동조작에 따라 개방부(13)를 누를 수 있는 노즈부(14c)가 구비되며, 탭부(14)가 회동되도록 엔드부(14a)와 근접한 위치에 탭부(14)와 뚜껑부(12)가 리벳(15)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탭부(14)의 엔드부(14a)에는 사용자가 쉽게 엔드부(14a)를 잡을 수 있도록 구멍(14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탭부(14)가 리벳(15)을 중심으로 회동조작되면 개방부(13)가 탭부(14)의 노즈부(14c)에 의해 눌려져 개방이 이루어져, 용기본체(11) 내부의 음료를 개방부(13)의 개방에 의해 형성된 출구를 통해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탭부(14)의 엔드부(14a) 밑으로 손가락을 집어 넣을 필요가 없이 엔드부(14a)에 사용자가 파지 하기 위한 손잡이 부재(20)가 더 구성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손잡이 부재(20)는 엔드부(14a)에 고정되어 엔드부(14a)로부터 연장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자유자재로 휘어지거나 접히는 등의 형태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손잡이 부재(20)는 노끈이나 비닐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노끈의 경우, 엔드부(14a)의 감아 묶어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비닐시트인 경우, 비닐시트의 말단을 엔드부(14a)에 감아 열융착으로 결합시킨 형태가 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손잡이 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테이프를 구멍(14b)을 통과시켜 엔드부(14a)에 감아준다음 테이프의 양측부(21,22)가 서로 겹쳐지도록 부착시켜 주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 부재(20)를 파지하여 위로 잡아당겨 주면, 엔드부(14a)가 위로 들어 올려지면서, 탭부(14)가 회동하여 탭부(14a)의 엔드부(14c)가 개방부(13)를 눌러 줌으로써 개방부(13)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사용자가 탭부(14)의 엔드부(14a) 밑으로 직접 손가락을 집어 넣어 위로 당길 필요 없이, 엔드부(14a)에서 연장되게 설치된 손잡이 부재(20)를 파지하여 위로 올려 줌으로써 개방부(13)를 개방시키는 구조이므로, 기존과 같이 손가락을 엔드부(14a) 사이에 넣으면서 손가락의 통증, 손톱의 손상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용이하게 개방부(13)를 개방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손잡이부재(20)는 플렉서블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뚜껑부(12)의 표면에 밀착되게 보관하거나, 자유자재로 형태변형이 가능하여 다양한 배치형태로 보관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특히, 손잡이부재(20)가 접착테이프로 이루어지고, 구멍(14b)을 통과시켜 엔드부(14a)에 "U"자 형태로 감은 후 양측부(21,22)를 겹쳐서 형성시키는 구성으로, 쉽게 엔드부(14a)에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결합력이 강해 엔드부(14a)에서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 2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손잡이부재를 구비한 캔용기(2)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용기본체(11)의 상단이 끼움결합되어, 뚜껑부(12)를 덮어 보호하는 보호캡(3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이 보호캡(30)에 손잡이부재(20)가 부착되도록 설치되고, 손잡이부재(20)의 후측부가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구조가 추가된 구성이다.
보호캡(30)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져 용기본체(11)의 상단이 보호캡(30)에 끼움결합되는 방식으로, 보호캡(30)이 용기본체(1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호캡(30) 상에는 테이프 통과홀(32)이 관통형성되며, 엔드부(14a)에 고정설치된 손잡이부재(20)의 후측부가 테이프 통과홀(32)을 통과하여 보호캡(30)의 상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보호캡(30)을 일측단에 대해 경사지도록 회동시켜, 보호캡(30)을 용기본체(11)에서 분리하는 동작을 취하게 되면, 보호캡(30)에 연결된 탭부(14)의 엔드부(14a)도 같이 들어올려지면서, 탭부(14)가 회동하여 개방부(13)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보호캡(30)을 용기본체(11)에서 분리하는 동작만을 수행하여도, 엔드부(14a)가 올려지면서 자동으로 개방부(13)를 개방시킬 수 있는 용이함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보호캡(30)을 조작하여 개방부(13)를 개방시킨 다음에는 도 5와 같이, 손잡이부재(20)를 보호캡(30)에서 떼어내고, 보호캡(30)을 완전히 용기본체(11)에서 분리해낸 다음, 개방부(13)의 개방에 의해 형성된 출구(h)를 통해 용기본체(11) 내부의 음료를 마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테이프 통과홀(32)은 보호캡(30)이 용기본체(11)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엔드부(14a)의 상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도 3과 같이, 엔드부(14a)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재(20)가 수직하게 테이프통과홀(32)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테이프통과홀(32)을 통과한 후, 직각되게 방향전환되어 보호캡(30)의 상면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4와 같이, 보호캡(30)을 일측에 대해 회동시키면서 용기본체(11)에서 분리되는 동작에 따라, 엔드부(14a)가 들어올리지는 경우, 손잡이부재(20)가 엔드부(14a)를 직상방으로 들어올려주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탭부(14)를 회동시켜 개방부(13)를 용이하게 개방시켜줄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편리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 3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손잡이부재를 구비한 캔용기(3)는 제 2 실시 예에 비해 손잡이부재(20)를 절단할 수 있는 커팅날(34)이 테이프 통과홀(32)의 측단과 이웃하도록 보호캡(30)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도 6과 같이, 보호캡(30)을 일측에 대해 경사지게 회전조작하여 엔드부(14a)를 들어올려 개방부(13)가 개방되도록 한 다음, 보호캡(30)을 도 7과 같이 반대반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손잡이 부재(20)가 커팅날(34)에 가압되면서 도 8과 같이 절단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 2 실시 예와 같이 별도로 손잡이부재(20)를 보호캡(30)에서 떼어내는 동작없이 좀더 편리하고 신속하게 보호캡(30)을 용기본체(11)에서 분리해 내어,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용기본체
12...뚜껑부
13...개방부
14...탭부
14a...엔드부
14c...노즈부
15...리벳
20...손잡이부재
30...보호캡
32...테이프 통과홀
34...커팅날

Claims (5)

  1. 음료가 담기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에는 회동조작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탭부가 구성되고, 상기 뚜껑부에는 상기 탭부의 회동에 따라 눌려져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탭부의 엔드부에 연장되도록 고정설치되어, 사용자가 탭부를 직접 조작하는 일 없이 상기 탭부의 엔드부를 간접적으로 들어올리도록 하는 손잡이부재;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이 끼움결합되어 상기 뚜껑부를 덮어 보호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테이프통과홀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재의 후측부가 상기 테이프통과홀을 통과하여 상면에 부착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보호캡을 일측단에 대해 경사지도록 회동시켜 상기 보호캡을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분리하는 동작을 하면, 상기 손잡이부재를 통해 상기 보호캡과 연결된 상기 탭부의 엔드부가 들어올려져 상기 개방부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테이프통과홀의 측단과 이웃하도록 상기 보호캡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재를 커팅하는 커팅날;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부재는 노끈, 비닐시트, 또는 접착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
  3. 제 2 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부재는 접착테이프로 이루어져, 상기 탭부의 엔드부에 감아준다음, 접착테이프의 양측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부착시킨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
  4. 삭제
  5. 삭제
KR1020190127953A 2019-10-15 2019-10-15 손잡이부재를 구비한 캔용기 KR102056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953A KR102056575B1 (ko) 2019-10-15 2019-10-15 손잡이부재를 구비한 캔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953A KR102056575B1 (ko) 2019-10-15 2019-10-15 손잡이부재를 구비한 캔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575B1 true KR102056575B1 (ko) 2019-12-16

Family

ID=69052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953A KR102056575B1 (ko) 2019-10-15 2019-10-15 손잡이부재를 구비한 캔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5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643B1 (ko) 2020-01-15 2020-08-20 김주용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
AT525796B1 (de) * 2022-10-13 2023-10-15 Ceconi Dr Andreas Öffnungs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0986B2 (ja) * 1997-05-23 2001-03-05 富士電子工業株式会社 高周波焼入コイル
JP2012006657A (ja) * 2010-05-28 2012-01-12 Taichi Hanmyo 飲料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0986B2 (ja) * 1997-05-23 2001-03-05 富士電子工業株式会社 高周波焼入コイル
JP2012006657A (ja) * 2010-05-28 2012-01-12 Taichi Hanmyo 飲料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643B1 (ko) 2020-01-15 2020-08-20 김주용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
AT525796B1 (de) * 2022-10-13 2023-10-15 Ceconi Dr Andreas Öffnungsvorrichtung
AT525796A4 (de) * 2022-10-13 2023-10-15 Ceconi Dr Andreas Öffnungsvorrichtung
WO2024078752A1 (de) 2022-10-13 2024-04-18 Ceconi Andreas Öffnungsvor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575B1 (ko) 손잡이부재를 구비한 캔용기
US7516866B2 (en) Beverage barricade
CA2072880A1 (en) Closure for beverage metal containers
KR102146643B1 (ko)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
KR101056802B1 (ko) 캔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덮개 및 이를 이용한 캔의 개구방법
KR101892808B1 (ko) 캔 뚜껑 안전 캡
JP2000355340A (ja) ウェットシート用容器
JPH02503305A (ja) カン頭開放構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3067910A (en) Self opening tin can lid
JP2001171662A (ja) 開封方法、開封補助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開封機構
US4781303A (en) Container with a non-removable opening tab apparatus
KR20080104761A (ko) 용기마개 및 그를 구비하는 용기
JP4580049B2 (ja) シール用フィルム付ヒンジキャップ
JPH0769358A (ja) 合成樹脂製の瓶蓋
KR20220002264U (ko) 손톱줄을 구비한 다용도 오프너
JPH0738140Y2 (ja) 缶容器の開口構造
KR200174376Y1 (ko) 고리를 구비한 캔
KR102161636B1 (ko) 캔따개
JP3124110U (ja) ラップフィルム又はアルミホイル用鋸刃付き収納箱及び該収納箱入りラップフィルム又はアルミホイル
KR101257312B1 (ko) 물티슈용 포장팩
KR200239869Y1 (ko) 뚜껑따개
JP2000203574A (ja) 裂開容器用開蓋補助具
JPH0562434U (ja) 飲料用壜
JP2003237779A (ja) 再封機能を有するイージーオープン蓋
KR101047593B1 (ko) 오프너 기능을 갖는 음료 및 주류용 캔의 위생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