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924B1 - 옥외 탱크용 방수시트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옥외 탱크용 방수시트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924B1
KR102055924B1 KR1020157012178A KR20157012178A KR102055924B1 KR 102055924 B1 KR102055924 B1 KR 102055924B1 KR 1020157012178 A KR1020157012178 A KR 1020157012178A KR 20157012178 A KR20157012178 A KR 20157012178A KR 102055924 B1 KR102055924 B1 KR 102055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o
waterproof
outdoor tank
group
waterproof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0248A (ko
Inventor
타카오 우노
요시유키 시오노
아키히로 엔도
타케시 나카지마
히사하루 야마구치
마사히로 요다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3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ilicone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5/00Roofing materials comprising a fibrous web coated with bitumen or another polymer, e.g. pitch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9Reverse side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2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rge, e.g. for bulk stor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2Weather resis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 C09J2483/006Presence of polysiloxane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67Absolute thicknesses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52Of asbestos
    • Y10T428/31663As siloxane, silicone or si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기재 고무층 위에 점착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방수시트로서, 기재 고무는 JIS-A의 경도가 15∼90이고, 또한 인장강도가 3MPa 이상, 신율이 100∼800%, 크레센트형 인열강도가 3kN/m 이상을 만족하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방수시트는 장기에 걸쳐 물성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장기간에 걸쳐 방수성을 갖는 방수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기재 고무의 물성을 규정함으로써 장기간의 사용에 견딜 수 있는 방수시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 탱크의 방수 시공 방법에 의하면, 간단한 시공법에 의해 확실하게 옥외 탱크의 바닥부측을 방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옥외 탱크용 방수시트 및 그 시공 방법{WATERPROOF SHEET FOR OUTDOOR TANK AND METHOD FOR APPLYING SAME}
본 발명은 옥외 탱크, 특히 주로 제유소 등에 많이 설치되어 있는 대형 탱크의 바닥부측과 토대 부분의 경계 부분으로의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는데 유효하게 사용되는 방수시트 및 방수시트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옥외 탱크, 주로 제유소 등에 많이 설치되어 있는 대형 탱크에는, 그 바닥부측과 토대 부분의 경계 부분으로의 빗물의 침입의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의 대책으로서 대형 탱크의 바닥부측과, 토대 부분인, 예를 들면, 콘크리트와의 경계 부분을 뷰틸계 점착 고무 시트로 덮음으로써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뷰틸계 점착 고무 시트는 내후성, 내열성, 내한성에 문제가 있어, 빗물의 침입을 장기간 방지할 수 없어, 옥외 탱크 바닥부에 녹이 생겨 탱크가 파손되는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선행기술로서는 일본 특개 평8-198384호 공보(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4076673호 공보(특허문헌 2)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장기에 걸쳐 물성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장기간에 걸쳐 방수성을 갖는, 옥외 탱크와 토대 부분의 경계 부분에 배열 설치하고, 시공하는데 적합한 방수시트 및 방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의 방수시트 및 이 방수시트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1]
기재 고무층 위에 점착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방수시트로서, 기재 고무는 JIS-A의 경도가 15∼90이며, 또한 인장강도가 3MPa 이상, 신율이 100∼800%, 크레센트형 인열강도가 3kN/m 이상을 만족하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2]
점착층의 경도가 기재 고무의 경도보다 낮고, 아스커 C 경도로 1∼60인 [1] 기재의 방수시트.
[3]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0.5∼10N/25mm인 [1] 또는 [2] 기재의 방수시트.
[4]
점착층이 점착성을 갖는 실리콘 수지 또는 실리콘 겔에 의해 형성된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수시트.
[5]
기재 고무의 두께가 0.2∼5mm이며, 점착층의 두께가 0.3∼3mm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수시트.
[6]
옥외 탱크와 토대 부분의 경계 부분에 시공되는, 옥외 탱크의 방수 시공용인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수시트.
[7]
토대 위에 설치한 옥외 탱크의 바닥부와 상기 토대의 경계 부분을,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수시트의 점착층을 옥외 탱크로부터 토대에 걸쳐 첩착함으로써 액밀되게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탱크의 방수 시공 방법.
[8]
복수의 방수시트를 나란히 설치하여 상기 경계 부분을 액밀되게 피복함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방수시트를 겹침 부분의 폭을 5mm 이상으로 하여 액밀되게 중첩하여 첩착하도록 한 [7] 기재의 옥외 탱크의 방수 시공 방법.
[9]
토대가, 콘크리트, 모르타르, 아스팔트 콘크리트, 아스팔트 모르타르 또는 아스팔트 샌드로 형성된 [7] 또는 [8] 기재의 옥외 탱크의 방수 시공 방법.
본 발명의 방수시트는 장기에 걸쳐 물성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장기간에 걸쳐 방수성을 갖는 방수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기재 고무의 물성을 규정함으로써 장기간의 사용에 견딜 수 있는 방수시트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 탱크의 방수 시공 방법에 의하면, 간단한 시공법에 의해 확실하게 옥외 탱크의 바닥부측을 방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의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옥외 탱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시공 방법의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A)는 옥외 탱크, 토대 및 그 경계 부분을 방수시트로 덮어 배치한 상태의 일부 생략 평면도, (B)는 겹침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시공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방수시트의 외주 가장자리를 실링재로 접착한 상태의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방수시트는 기재 고무의 편면에 점착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통상 점착층 위에는 커버 필름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고, 사용시에 커버 필름을 박리하고, 점착층을 소용 개소에 점착하는 것이다.
도 1은 이러한 방수시트(40)의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1이 기재 고무, 2가 점착층, 3이 커버 필름이다.
여기에서, 상기 기재 고무를 구성하는 고무 기체로서는 내열성, 내후성, 내한성을 갖는 점에서 실리콘 고무를 사용한다. 실리콘 고무로서는 JIS K 6249에 규정되는 듀로미터 A 경도계에 의한 경도가 15∼90이며, 또한 인장강도가 3MPa 이상, 신율이 100∼800%, 크레센트형 인열강도가 3kN/m 이상인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탄력성 및 고무 강도, 나아가서는 시공시의 작업성이나 시공 후의 내구성에 있어서 필요하다. 이들 고무 특성과 시트의 특성은 복합적이며, 경도나 인장강도, 신율, 인열강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시공시 혹은 시공후에 문제가 발생한다. 즉, 경도가 낮고, 신율이 큰 경우에는, 시트는 변형되기 쉬워져, 시공시의 첩부 작업을 하기 어렵고, 시트를 붙인 후에도 벗어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경도가 높고, 신율이 작은 경우에는, 시공시의 첩부 작업에서 시트에 자재성이 없기 때문에 위치 결정에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저하되고,시공후에 외기 온도로 열팽창과 열수축을 반복하는 탱크에 추종하지 못하여 벗어남이 발생한다고 한 문제가 생긴다.
또한 인장강도나 인열강도가 낮은 경우에는, 시공시의 시공면의 요철에 의해 발생하는 시트에 걸리는 응력에 전부 대응할 수 없어, 끊김, 찢어짐 등의 손상을 일으키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기재 고무의 고무 물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JIS K 6249는 미경화 및 경화 실리콘 고무의 시험 방법에 규정되어 있고, 각 인용 규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경도는 JIS K 6253에 규정되어 있는 듀로미터 타입 A에 따른다. 본 발명의 방수시트의 기재 고무의 경도는 15∼90이지만, 20∼85이 보다 바람직하고, 25∼80이 더욱 바람직하다.
인장강도와 신율(절단시 신율)은 JIS K 6251에 규정되어 있는 시험 방법에 따른다. 상기 기재 고무의 인장강도는 3MPa 이상이지만, 4MPa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MPa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신율은 100∼800%이지만, 150∼750%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700%가 더욱 바람직하다.
인열강도는 JIS K 6252에 규정되어 있는 시험 방법에 따른다. 본 발명의 목적에는, 시공면의 요철에 의해 발생하는 시트에 걸리는 응력에 의해, 시트면에 끊김, 찢어짐 등의 외관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크레센트형 시험편에 의한 인열강도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레센트형 인열강도는 3kN/m 이상이지만, 5kN/m가 보다 바람직하고, 7kN/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서는 상기 물성을 주는 것이면, 어느 경화형의 것이어도 되지만, 성형이 가열에 의해 단시간에 이루어지는 점에서 부가(하이드로실릴화) 반응 경화형의 실리콘 고무 조성물 또는 유기 과산화물 경화형의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가 반응 경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은 바이닐기로 대표되는 알켄일기를 1분자 중에 2개 이상 갖는 알켄일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세인과, SiH기를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갖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세인(통상, 알켄일기에 대한 SiH기의 몰비가 0.5∼4가 되는 양)과, 백금 또는 백금 화합물로 대표되는 백금족 금속계 부가 반응 촉매(통상, 알켄일기 함유 오가노폴리실록세인에 대하여 백금족 금속으로서 1∼1,000ppm)를 함유하는 것이 사용된다. 또한 유기 과산화물 경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서 알켄일기를 1분자 중에 2개 이상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세인에 경화제로서 유기 과산화물을 경화 유효량(통상, 상기 오가노폴리실록세인 100질량부에 대하여 1∼10질량부) 배합한 것이 사용된다. 유기 과산화물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파라-메틸벤조일퍼옥사이드, 오쏘-메틸벤조일퍼옥사이드로 대표되는 아실계 유기 과산화물이나, 다이큐밀퍼옥사이드, 2,5-다이메틸-2,5-비스(tert-뷰틸퍼옥시)헥센인으로 대표되는 알킬계 유기 과산화물이나, 퍼카보네이트계 유기 과산화물, 퍼옥시케탈계 유기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부가 반응 경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서 신에츠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KE-541-U, KE-1990-50 등이, 유기 과산화물 경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서 신에츠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KE-971-U, KE-675-U 등이 사용된다.
점착층은 점착성을 갖는 실리콘 수지 또는 실리콘 겔로 구성되는데, 특히, 부가 경화형의 조성물로 함으로써 일정한 고무 경도 및 고무 강도를 가지면서, 기재나 각종 부품과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점착성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점착층은 다음 (A)∼(D)의 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경화물이 표면 점착성을 갖는 부가 경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규소 원자와 결합하는 알켄일기를 함유하는 오가노폴리실록세인,
(B) R3SiO1 /2 단위(식 중, R은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 수소기이지만, R은 알켄일기를 포함함)와 SiO2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질 공중합체,
(C) 규소 원자와 결합하는 수소 원자(SiH기)를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 함유하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세인,
(D) 부가 반응 촉매
이 경우, 이 부가 경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또한
(E) R'3SiO1 /2 단위(식 중, R'은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 수소기이지만, R'은 알켄일기를 포함하지 않거나, 포함해도 (B) 성분의 알켄일기 함유량보다 적은 양임)와 SiO2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질 공중합체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부가 경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A) 성분은 1분자 중에 적어도 평균 2개의 알켄일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세인이며, 이 (A) 성분의 오가노폴리실록세인으로서는 하기 평균 조성식 (1)
R1 aSiO(4-a)/2 (1)
로 표시되는 것이 사용된다.
식 중, R1은 서로 동일 또는 이종의 탄소수 1∼10, 바람직하게는 1∼8의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 수소기이며, a는 1.5∼2.8, 바람직하게는 1.8∼2.5, 보다 바람직하게는 1.95∼2.05의 범위의 정수이다. 여기에서, 상기 R1로 표시되는 규소 원자에 결합한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 수소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 뷰틸기, 아이소뷰틸기, tert-뷰틸기, 펜틸기, 네오펜틸기, 헥실기, 사이클로헥실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등의 알킬기, 페닐기, 톨릴기, 자일릴기, 나프틸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페닐에틸기, 페닐프로필기 등의 아르알킬기, 바이닐기, 알릴기, 프로페닐기, 아이소프로페닐기, 뷰텐일기, 헥센일기, 사이클로헥센일기, 옥덴일기 등의 알켄일기나, 이들 기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불소, 브로민, 염소 등의 할로젠 원자, 사이아노기 등으로 치환한 것, 예를 들면, 클로로메틸기, 클로로프로필기, 브로모에틸기, 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기, 사이아노에틸기 등을 들 수 있는데, 전체 R1의 90몰% 이상이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R1 중 적어도 2개는 알켄일기(탄소수 2∼8의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6임)인 것이 필요하다. 또한, 알켄일기의 함유량은 전체 유기기(즉 상기의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 수소기) R1 중, 0.0001∼20몰%, 바람직하게는 0.001∼10몰%, 특히 0.01∼5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알켄일기는 분자쇄 말단의 규소 원자에 결합해 있어도, 분자쇄 도중의 규소 원자에 결합해 있어도, 양자에 결합해 있어도 되지만, 적어도 분자쇄 양쪽 말단의 규소 원자에 결합한 알켄일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도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 없고, 상온에서 액상의 것에서부터 생고무 상태의 것까지 사용할 수 있지만, 통상,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평균 중합도가 50∼20,000, 바람직하게는 100∼1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2,000 정도의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 오가노폴리실록세인의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주쇄가 다이오가노실록세인 단위(R1 2SiO2 /2)의 반복으로 이루어지고, 분자쇄 양쪽 말단이 트라이오가노실록시기(R1 3SiO1 /2) 또는 하아드록시다이오가노실록시기((HO)R1 2SiO1 /2)로 봉쇄된 직쇄상 구조를 갖지만, 부분적으로는 분지상의 구조, 환상 구조 등이어도 된다.
(B) 성분의 수지질 공중합체(즉 삼차원 망상 구조의 공중합체)는 R3SiO1 /2 단위 및 SiO2 단위를 주성분으로 한다. 여기에서, R은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 수소기이며, 탄소수 1∼10, 특히 1∼8의 것이 바람직하고, R로 표시되는 1가 탄화 수소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 뷰틸기, 아이소뷰틸기, tert-뷰틸기, 펜틸기, 네오펜틸기, 헥실기, 사이클로헥실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등의 알킬기, 페닐기, 톨릴기, 자일릴기, 나프틸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페닐에틸기, 페닐프로필기 등의 아르알킬기, 바이닐기, 알릴기, 프로페닐기, 아이소프로페닐기, 뷰텐일기, 헥센일기, 사이클로헥센일기, 옥덴일기 등의 알켄일기나, 이들 기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불소, 브로민, 염소 등의 할로젠 원자, 사이아노기 등으로 치환한 것, 예를 들면, 클로로메틸기, 클로로프로필기, 브로모에틸기, 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기, 사이아노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B) 성분의 수지질 공중합체는 상기 R3SiO1 /2 단위 및 SiO2 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R2SiO 단위나 RSiO3 /2 단위(R은 상기한 바와 같음)를 이것들의 합계량으로서, 전체 공중합체 질량에 대하여,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의 범위에서 포함해도 되지만, R3SiO1 /2 단위와 SiO2 단위와의 몰비 [R3SiO1/2/SiO2]는 0.5∼1.5, 특히 0.5∼1.3이 바람직하다. 이 몰비가 0.5보다 작아도, 1.5보다 커도 충분한 고무 경도·강도를 얻을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또한 (B) 성분의 수지질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알켄일기를 갖고, 알켄일기의 함유량이 0.0001mol/g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0001∼0.003mol/g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2∼0.002mol/g의 범위이다. 알켄일기의 함유량이 0.0001mol/g보다 적으면, 충분한 고무 물성을 얻을 수 없게 되어 버리고, 0.003mol/g보다 많으면, 경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점착력이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상기 수지질 공중합체는 상온(25℃)에서 유동성을 갖는 액상(예를 들면, 10mPa·s 이상, 바람직하게는 50mPa·s 이상)의 것이어도, 유동성이 없는 고체상의 것이어도 된다. 이 수지질 공중합체는 통상 적당한 클로로실레인이나 알콕시실레인을 당해 기술에 있어서 주지의 방법으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A), (B) 성분의 배합량은 (A), (B) 성분의 합계를 100질량부로 한 경우, (A) 성분은 20∼100질량부, 특히 30∼90질량부이며, (B) 성분은 0∼80질량부, 특히 10∼70질량부이다. (A) 성분이 지나치게 적으면, 고무 탄성이 없어져 물러져 버리고, 지나치게 많으면, 점착성, 강도가 불충분하게 되어 버린다. (B) 성분이 지나치게 많으면, 점착성도 저하되고, 고무 물성도 현저하게 저하되어 버린다.
본 발명에서는, (B) 성분의 수지질 공중합체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E) 성분의 수지질 공중합체를 더 배합할 수 있다. (E) 성분의 수지질 공중합체(즉 삼차원 망상 구조의 공중합체)는 R'3SiO1 /2 단위 및 SiO2 단위를 주성분으로 한다. 여기에서, R'은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 수소기이며, 탄소수 1∼10, 특히 1∼8의 것이 바람직하고, R'으로 표시되는 1가 탄화 수소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 뷰틸기, 아이소뷰틸기, tert-뷰틸기, 펜틸기, 네오펜틸기, 헥실기, 사이클로헥실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등의 알킬기, 페닐기, 톨릴기, 자일릴기, 나프틸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페닐에틸기, 페닐프로필기 등의 아르알킬기, 바이닐기, 알릴기, 프로페닐기, 아이소프로페닐기, 뷰텐일기, 헥센일기, 사이클로헥센일기, 옥덴일기 등의 알켄일기나, 이들 기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불소, 브로민, 염소 등의 할로젠 원자, 사이아노기 등으로 치환한 것, 예를 들면, 클로로메틸기, 클로로프로필기, 브로모에틸기, 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기, 사이아노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E) 성분의 수지질 공중합체는 상기 R'3SiO1 /2 단위 및 SiO2 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R'2SiO 단위나 R'SiO3 /2 단위(R'은 상기한 바와 같음)를 이것들의 합계량으로서, 전체 공중합체 질량에 대하여,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의 범위에서 포함하면 되지만, R'3SiO1 /2 단위와 SiO2 단위의 몰비 [R'3SiO1/2/SiO2]가 0.5∼1.5, 특히 0.5∼1.3이 바람직하다. 이 몰비가 0.5보다 작아도, 1.5보다 커도 점착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E) 성분의 수지질 공중합체는 알켄일기의 함유량이 0.0001mol/g 미만(즉 0∼0.0001mol/g)인 것, 바람직하게는 0.00005mol/g 이하(즉 0∼0.00005mol/g)인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켄일기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다. 알켄일기를 0.0001mol/g 보다 많이 함유하면, 충분한 점착력이 얻어지지 않게 되어 버린다.
또한, 상기 수지질 공중합체는 상온(예를 들면, 25℃)에서 유동성이 있는 액상이어도 유동성이 없는 고체상의 것이어도 되지만, 경화물의 점착성의 점에서 상온에서 고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수지질 공중합체는 통상 적당한 클로로실레인이나 알콕시실레인을 당해 기술에 있어서 주지의 방법으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E) 성분을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A), (B) 성분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0∼400질량부, 특히 0∼300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성분이 지나치게 많으면, 점착성이 저하되고, 고무 물성도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B) 성분의 수지질 공중합체와 (E) 성분의 수지질 공중합체와의 합계 중에서의 알켄일기의 함유량으로서는 고무 물성 및 점착성 등의 점에서 0.00001∼0.002mol/g, 특히 0.00005∼0.001mol/g인 것이 바람직하다.
(C) 성분은 규소 원자와 결합하는 수소 원자(SiH기)를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갖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세인이며, 분자 중의 SiH기가 상기 (A) 성분, (B) 성분 및 (E) 성분 중의 규소 원자에 결합한 알켄일기와 하이드로실릴화 부가 반응에 의해 가교하고, 조성물을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제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이 (C) 성분의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세인은 하기 평균 조성식 (2)
R2 bHcSiO(4-b-c)/2 (2)
(식 중, R2는 탄소수 1∼10의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 수소기이다. 또한 b는 0.7∼2.1, c는 0.001∼1.0이며, 또한 b+c는 0.8∼3.0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로 표시되고,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통상 2∼200개), 바람직하게는 3∼10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개의 규소 원자 결합 수소 원자를 갖는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여기에서, R2의 1가 탄화 수소기로서는 R1에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지만, 지방족 불포화기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는 바람직하게는 0.8∼2.0, c는 바람직하게는 0.01∼1.0, b+c는 바람직하게는 1.0∼2.5이며,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세인의 분자 구조는 직쇄상, 환상, 분지상, 삼차원 망목 형상의 어느 구조이어도 된다. 이 경우, 1분자 중의 규소 원자의 수(또는 중합도)는 2∼300개, 특히 4∼150개 정도의 실온(25℃)에서 액상의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규소 원자에 결합하는 수소 원자는 분자쇄 말단, 분자쇄의 도중 중 어디에 위치해 있어도 되고, 양쪽에 위치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식 (2)의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세인 대신에, 또는 이것에 더하여 R''2HSiO1 /2 단위와 SiO2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질 공중합체, 또는 R''2HSiO1/2 단위와 R''3SiO1 /2 단위와 SiO2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질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R''은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 수소기로, R'과 동일한 것이 예시되며, 알켄일기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질 공중합체는 R''2HSiO1 /2 단위 또는 R''2HSiO1 /2 단위와 R''3SiO1 /2 단위 및 SiO2 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R''HSiO2 /2 단위, R''2SiO2 /2 단위, HSiO3/2 단위, R''SiO3 /2 단위를 합계로 전체 공중합체 질량에 대하여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의 범위에서 포함해도 되지만, R''2HSiO1 /2 단위, R''3SiO1 /2 단위와 SiO2 단위와의 몰비[(R''2HSiO1 /2+R''3SiO1 /2)/SiO2]가 0.5∼1.5, 특히 0.5∼1.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성분의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세인으로서는 양쪽 말단 트라이메틸실록시기 봉쇄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세인, 양쪽 말단 트라이메틸실록시기 봉쇄 다이메틸실록세인·메틸하이드로젠실록세인 공중합체, 양쪽 말단 다이메틸하이드로젠실록시기 봉쇄 다이메틸폴리실록세인, 양쪽 말단 다이메틸하이드로젠실록시기 봉쇄 다이메틸실록세인·메틸하이드로젠실록세인 공중합체, 양쪽 말단 트라이메틸실록시기 봉쇄 메틸하이드로젠실록세인·다이페닐실록세인 공중합체, 양쪽 말단 트라이메틸실록시기 봉쇄 메틸하이드로젠실록세인·다이페닐실록세인·다이메틸실록세인 공중합체, (CH3)2HSiO1 /2 단위와 SiO4 /2 단위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CH3)2HSiO1 /2 단위와 SiO4/2 단위와 (C6H5)SiO3 /2 단위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 (C) 성분의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세인의 배합량은 (A), (B) 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5∼30질량부, 특히 0.6∼20질량부이다. 배합량이 지나치게 적어도 지나치게 많아도, 충분한 고무 강도가 얻어지지 않게 되어 버린다. 또한 이 (C) 성분의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세인은 (A), (B), (E) 성분 중에 포함되는 규소 원자에 결합한 알켄일기에 대한 (C) 성분 중의 규소 원자에 결합한 수소 원자(SiH기)의 양이 몰비로 0.2∼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1.2, 더욱 바람직하게는 0.3∼0.9가 되는 양으로 배합한다.
(D) 성분의 부가 반응 촉매로서는 백금흑, 염화 제이백금, 염화 백금산, 염화 백금산과 1가 알코올의 반응물, 염화 백금산과 올레핀류의 착물, 염화 백금산과 바이닐실록세인류의 착물, 백금비스아세토아세테이트 등의 백금계 촉매, 팔라듐계 촉매, 로듐계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부가 반응 촉매의 배합량은 촉매량으로 할 수 있고, 통상 백금족 금속으로서 (A), (B), (E) 성분의 합계량에 대하여, 0.5∼1,000ppm, 특히 1∼500ppm 정도이다.
상기 점착층의 경도는 기재 고무의 경도보다 작은 것으로, 아스커 C 경도로 60 이하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의 범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40의 범위이다. 1 미만에서는 고무로서의 강도가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고, 60을 초과하면 점착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JIS Z 0237에 준거하고, 유리(니혼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L 2.0)에 점착하고, 박리속도 300mm/min으로 180°필 시험을 행한 경우의 점착력이 0.5∼10N/25mm, 특히 0.7∼8N/2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0.5N/25mm 미만에서는 점착층을 소용의 피첩착부에 첩착하는 경우, 피첩착부에 대한 점착력이 낮아, 첩부에 문제가 있고, 10N/25mm를 초과하면, 리워크성이나 재부착성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시공하는 경우, 탱크의 재질예로서 강판, 토대의 재질예로서 콘크리트, 아스팔트, 모르타르 등을 들 수 있다. 방수시트를 부설하는 재질이 유리인 사례는 거의 없다고 생각하지만, 점착성의 지표로서 점착력을 측정하는데 측정값이 안정되어 있는 것과, 다른 재질에서의 점착성의 강약과 유리에 대한 점착력의 수치의 대소에 상관이 보여지기 때문에, 여기에서 규정한다.
또한, 상기 기재 고무층 및 점착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에는, 상술한 성분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성분으로서 퓸드 실리카, 침강 실리카, 석영분, 규조토, 탄산 칼슘과 같은 충전제나, 카본 블랙, 도전성 아연화, 금속분 등의 도전제, 산화 철, 산화 세륨과 같은 내열제 등의 충전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질소 함유 화합물이나 아세틸렌 화합물, 인 화합물, 나이트릴 화합물, 카복실레이트, 주석 화합물, 수은 화합물, 유황 화합물 등의 하이드로실릴화 반응 제어제, 다이메틸실리콘 오일 등의 내부 이형제, 접착성 부여제, 틱소트로피성 부여제 등을 배합하는 것은 가교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한, 임의이다.
상기 기재 고무의 두께는 0.2∼5mm, 바람직하게는 0.5∼5mm, 특히 0.5∼3mm이다. 0.2mm 미만에서는, 시트의 탄성을 살리는데 불충분한 경우가 있고, 5mm를 초과하면, 중량이 높아져, 첩부에 영향을 미치게 하고, 또한 비용적으로 불리하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생긴다. 또한 점착층의 두께는 0.3∼3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mm의 범위이다. 0.3mm 미만에서는 점착층이 첩부하는 피첩착부의 표면 요철을 흡수할 수 없게 되고, 3mm를 초과하면 첩부면의 고무 강도가 점착층에 의존해 버려 고무 파괴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방수시트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우선 기재 고무를 형성한다. 이 경우, 기재 고무는 실리콘 고무 조성물 등의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여 단일층으로서 형성해도 되고, 금속이나 각종 수지와의 복합층으로서 형성해도 되며, 예를 들면, 압축 성형이나 주입 성형,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직접 시트를 얻는 방법이나, 인서트 성형에 의해 금속 기판, 수지 기판, 수지 필름 위에 시트를 성형하는 방법, 혹은 디핑, 코팅, 캘린더 성형, 스크린 인쇄 등에 의해, 다른 기재와 일체화한 고무 시트를 얻는 방법 등이 있다. 이 경우, 캘린더 성형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 고무 위에 점착층을 적층하는데, 상기 기재 고무를 형성하는 조성물을 경화하여 기재 고무를 형성한 후에 점착층을 형성하도록 해도 되고, 기재 고무를 형성하는 조성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필름 위에 캘린더 성형하여 분출하고, 미가황의 상태에서 점착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을 적층해도 된다.
점착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기재 고무층을 형성하는 조성물 위에, 디핑, 코팅, 스크린 인쇄 등을 하는 방법으로 적층 시트를 얻는 방법이 있으며, 코팅 성형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이것들의 경화 조건으로서는 80∼250℃에서 10초∼1시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저분자 실록세인을 제거하는 등의 목적으로 120∼250℃에서 1∼100시간 정도의 애프터 큐어를 행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수시트는, 통상,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착층(2) 위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시트 등의 커버 필름(3)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 되어 있어, 사용시에 커버 필름(3)을 박리 제거하고, 점착층(2)을 소용 피첩착부에 첩착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방수시트는 옥외 탱크의 바닥부측과 토대 부분의 경계 부분에서의 빗물 침입 방지의 목적으로 부설, 사용할 수 있다. 그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는 토대(20)에 지지되어 설치된 옥외 탱크(30)이며, 이 옥외 탱크(30) 내에는, 예를 들면, 석유류, 아스팔트, 여러 가스류 등의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다. 이 옥외 탱크(30)는 통상 원기둥형을 이루고 있고, 직경 10∼80m, 높이 10∼50m의 크기로, 상기한 바와 같이 토대(20)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 10은 지면이다. 옥외 탱크(30)의 탱크 바닥부는 애뉼러 플레이트(31)로 구성되고, 토대(20)와 애뉼러 플레이트(31)의 경계 부분이 옥외 탱크와 토대의 경계 부분(32)이다. 이 경계 부분(32)으로의 빗물 침입을 막아, 탱크 바닥부의 녹, 탱크의 파손을 방지하는 방법의 실시형태를 이하에 기재한다.
또한, 토대(20)는 콘크리트, 모르타르, 아스팔트 콘크리트, 아스팔트 모르타르, 아스팔트 샌드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토대와 서로 융화성이 좋은 방수시트(40)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시트로 옥외 탱크, 토대와의 경계 부분을 노출시키지 않고, 그 경계 부분을 완전히 덮음으로써 빗물의 침입을 장기간 방지할 수 있어, 옥외 탱크 바닥부 즉 애뉼러 플레이트에 녹이 발생하지 않아, 탱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방수시트로 경계 부분을 덮는 일례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토대(20)와 애뉼러 플레이트(31)의 경계 부분(32)을 덮도록 방수시트(40)를 시공한다. 또한 도 4와 같이 방수시트(40)는 옥외 탱크의 측면을 덮도록 시공해도 된다.
여기에서, 방수시트는, 통상, 복수매를 사용하고, 이들 복수매를 상기 경계 부분을 따라 나란히 설치하고, 경계 부분 전부를 방수시트로 피복하는데, 이 경우, 옥외 탱크와 토대와의 경계 부분에서 노출되기 쉬운 부분은 이웃하는 방수시트끼리의 부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웃하는 방수시트는 포개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방수시트의 겹침 부분(50)의 폭은 5mm 이상이 바람직하고, 10m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20mm 이상이 보다 더한층 바람직하다. 방수시트의 겹침 부분의 폭이 5mm보다 작은 경우에는 시공중에 벗겨짐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 경계 부분(32)을 완전히 덮을 수 없어 빗물의 침입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방수시트끼리의 겹침 부분이 커지는, 예를 들면, 50mm 이상의 경우에는 경계 부분(32) 모두를 덮기 위한 방수시트의 필요량이 많아져,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에서, 토대 및 애뉼러 플레이트(옥외 탱크)와 첩착되는 방수시트의 점착층의 점착력이 옥외 탱크와 방수시트에서는 0.5∼10N/25mm이며, 토대와 방수시트에서는 0.5∼10N/25mm인 방수시트를 사용하여 시공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력을 갖는 방수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옥외 탱크와 방수시트의 경계, 토대와 방수시트의 경계로부터의 빗물의 침입을 장기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점착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벗겨짐이 발생하기 쉽고, 그 벗겨짐 부분으로부터 빗물의 침입이 발생한다. 상기 점착력보다 큰 경우에는 경계 부분을 완전히 덮기 위하여 필요한 시공중의 부분적인 재부착 작업을 하기 어렵게 되어 시공시간이 걸려 버린다. 또한 상기 점착력이 보다 큰 경우에는 재부착을 할 수 없게 되어 경계 부분을 완전히 덮을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시트(40)의 옥외 탱크(30)측의 끝 가장지리부 및 토대(20)측에 끝 가장자리부를 실링재(60)로 접착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방수 시공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또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겹침 부분(50)을 덮고 실링재(60)로 시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실링재는 공지의 실리콘계, 폴리설파이드계, 폴리유레테인계 등의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지만, 실리콘 실링재를 사용한 시공 방법이 적합하다. 이러한 실링재로서는 신에츠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실란트 마스터 300, 실란트 70, 실란트 701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방수시트를 사용함으로써, 프라이머 없이 시공이 가능하게 되어, 대폭적으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제유소 등에 많이 설치되어 있는 애뉼러 플레이트와 탱크 토대 부분은 법정으로 정해진 빗물 방수 장치가 필요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은 뷰틸 고무를 깐 방수 장치가 일반적이지만, 기후에 의한 한란의 차나, 날씨, 특히 비눈 등 수분이 많아 결로 등이 발생하는 경우, 시공면이 건조할 때까지 시공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의 방수시트를 사용함으로써, 프라이머 없이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면에 수분이 남아 있어도, 걸레 등으로 충분히 닦아내는 것만으로 시공이 가능하게 되어, 날씨 회복후 즉시 시공을 개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획기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제유소 등에 설치되어 있는 석유계의 위험물을 보관하는 대형 탱크는 수년에 한번, 소방의 보전 탱크 검사를 받는다. 그때에 빗물 방지 장치 부분을 벗기고, 접착 부분의 확인을 행하지만, 현행의 뷰틸 고무계 시트나, 실링 재료, 석유계의 방수시트 등은 시공시에 프라이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접착되어 있어, 벗겨서 내부를 확인하기 곤란했다.
본 발명에 의한 방수시트는 점착력으로 방수 기능을 발휘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 단부의 고정용 씨일 부분을 제거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벗기고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다시 점착력으로 방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제시하고,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예에서 부는 질량부, %는 질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
기재 고무층에 밀러블형 다이메틸실리콘 고무 컴파운드 KE-675-U(신에츠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100부에, 부가(하이드로실릴화) 반응계 가황제 C-19A/B(신에츠카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를 각각 0.5/2.5부 첨가하고 2롤밀로 혼련한 다이메틸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캘린더 성형으로, 100㎛의 엠보스 형성 PET 필름 위에 두께 0.7mm의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고, 연속하여, 가열로에서 140℃, 10분간 가열 경화시켜, PET 필름 위에 기재 고무층이 적층된 시트를 얻었다.
점착층에 양쪽 말단이 다이메틸바이닐실록시기로 봉쇄된 평균 중합도가 1,000인 다이메틸폴리실록세인(1) 75부, 실온(25℃)에서 고체인 (CH2=CH)(CH3)2SiO1 /2 단위, (CH3)3SiO1/2 단위 및 SiO2 단위로 이루어지는 수지질 공중합체(2) [((CH2=CH)(CH3)2SiO1/2 단위+(CH3)3SiO1 /2 단위)/SiO2 단위(몰비)=0.85, CH2=CH-기 함유량: 0.0008mol/g] 25부를 포함하는 50% 톨루엔 용액을 교반혼합기에 넣고, 30분 혼합한 후, 톨루엔을 완전히 증류 제거했다. 이 실리콘 고무 베이스 100부에, 가교제로서 (CH3)2HSiO1 /2 단위와 SiO2 단위를 주성분으로 한 SiH기를 갖는 수지질 공중합체(4)(SiH기량 0.0090mol/g)를 0.9부, 반응 제어제로서 에틴일사이클로헥산올 0.05부를 첨가하고, 15분 교반을 계속하여,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얻었다. 이 실리콘 고무 조성물에 백금 촉매(Pt 농도 1%) 0.1부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의 기재 고무층 위에, 콤마 코터를 사용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1.0mm가 되도록 적층 코팅하고, 가열로에서 140℃, 10분간 가열경화시켜 2층의 적층 경화 시트를 얻었다. 또한, 기재 고무의 경도는 듀로미터 타입 A 경도 68이며, 점착층의 경도는 아스커 C 경도 15이었다.
얻어진 적층 시트에 대하여 기재측 PET를 박리하고, 하기에 나타내는 각 방법에 의해 평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방수성의 평가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은 세로 30cm×길이 100cm의 방수시트를 사용하고, 상기의 방수시트를 옥외 탱크의 토대와의 경계 부분에 도 5와 같이 다수 연속하여 부설했다. 그 때, 실란트는 실란트 매스터 300을 사용하고, 각 방수시트의 외주로부터 2cm까지 탱크 또는 토대와 접착했다.
[실시예 2]
기재 고무층에, 밀러블형 다이메틸실리콘 고무 컴파운드 KE-675-U(신에츠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100부에, 유기 과산화물 가황제 C-23N(신에츠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을 1.0부 첨가하고 2롤밀로 혼련한 다이메틸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캘린더 성형으로, 100㎛의 엠보스 형성 PET 필름 위에 두께 0.7mm의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고, 연속하여, 가열로에서 140℃, 10분간 가열 경화시켜, PET 필름 위에 기재 고무층이 적층된 시트를 얻었다. 점착층의 조정, 적층 방법 등 이후의 수순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했다.
[실시예 3]
다이메틸실록세인 단위((CH3)2SiO2 /2) 99.625몰%, 메틸바이닐실록세인 단위((CH2=CH)(CH3)SiO2 /2) 0.350몰%, 다이메틸바이닐실록시 단위((CH2=CH)(CH3)2SiO1 /2) 0.025몰%로 이루어지고, 평균 중합도가 약 6,000인 오가노폴리실록세인 100부, BET 비표면적 200m2/g의 퓸드 실리카(상품명 아에로질 200, 닛폰아에로질 가부시키가이샤제) 10부, 분산제로서 평균 중합도 4의 하이드록시 말단 다이메틸실록세인 8부를 첨가하고, 니더로 혼련하고, 170℃에서 2시간 가열 처리하여 컴파운드 A를 조제했다.
상기 컴파운드 A 100부에 대하여, 부가 (하이드로실릴화) 반응계 가황제 C-19A/B(신에츠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를 각각 0.5/2.5부 첨가하고 2롤밀로 혼련한 다이메틸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캘린더 성형으로, 100㎛의 엠보스 형성 PET 필름 위에 두께 0.7mm의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고, 연속하여, 가열로에서 140℃, 10분간 가열 경화시켜, PET 필름 위에 기재 고무층이 적층된 시트를 얻었다.
점착층의 조정, 적층 방법 등 이후의 수순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했다.
[실시예 4]
기재 고무층에, 밀러블형 다이메틸실리콘 고무 컴파운드 KE-541-U(신에츠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100부에 부가(하이드로실릴화) 반응계 가황제 C-19A/B(신에츠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를 각각 0.5/2.5부 첨가하고, 2롤밀로 혼련한 다이메틸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캘린더 성형으로, 100㎛의 엠보스 형성 PET 필름 위에 두께 0.7mm의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고, 연속하여, 가열로에서 140℃, 10분간 가열 경화시켜, PET 필름 위에 기재 고무층이 적층된 시트를 얻었다.
점착층의 조정, 적층 방법 등 이후의 수순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했다.
[실시예 5]
액상 실리콘 KE-1990-50A 및 KE-1990-50B(신에츠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각 100부를 믹서로 15분간 혼합했다. 이 액상 실리콘 조성물을 콤마 코터를 사용하여, 100㎛의 엠보스 형성 PET 필름 위에 두께 0.7mm의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고, 연속하여, 가열로에서 140℃, 10분간 가열 경화시켜, PET 필름 위에 기재 고무층이 적층된 시트를 얻었다.
점착층의 조정, 적층 방법 등 이후의 수순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했다.
[비교예 1]
다이메틸실록세인 단위((CH3)2SiO2 /2) 99.922몰%, 메틸바이닐실록세인 단위((CH2=CH)(CH3)SiO2 /2) 0.053몰%, 다이메틸바이닐실록시 단위((CH2=CH)(CH3)2SiO1 /2) 0.025몰%로 이루어지고, 평균 중합도가 약 6,000인 오가노폴리실록세인 100부, BET 비표면적 200m2/g의 퓸드 실리카(상품명 아에로질 200, 닛폰아에로질 가부시키가이샤제) 10부, 분산제로서 평균 중합도 4의 하이드록시 말단 다이메틸실록세인 15부를 첨가하고, 니더로 혼련하고, 170℃에서 2시간 가열 처리하여 컴파운드 B를 조제했다.
상기 컴파운드 B 100부에 대하여, 유기 과산화물 가황제 C-23N(신에츠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을 1.0부 첨가하고 2롤밀로 혼련한 다이메틸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캘린더 성형으로, 100㎛의 엠보스 형성 PET 필름 위에 두께 0.7mm의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고, 연속하여, 가열로에서 140℃, 10분간 가열 경화시켜, PET 필름 위에 기재 고무층이 적층된 시트를 얻었다.
점착층의 조정, 적층 방법 등 이후의 수순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했다.
얻어진 적층 시트에 대하여 기재측 PET를 박리하고, 하기에 나타내는 각 방법에 의해 평가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다이메틸실록세인 단위((CH3)2SiO2 /2) 99.825몰%, 메틸바이닐실록세인 단위((CH2=CH)(CH3)SiO2 /2) 0.150몰%, 다이메틸바이닐실록시 단위((CH2=CH)(CH3)2SiO1 /2) 0.025몰%로 이루어지고, 평균 중합도가 약 6,000인 오가노폴리실록세인 100부, BET 비표면적 200m2/g의 퓸드 실리카(상품명 아에로질 200, 닛폰아에로질 가부시키가이샤제) 60부, 분산제로서 평균 중합도 4의 하이드록시 말단 다이메틸실록세인 15부를 첨가하고, 니더로 혼련하고, 170℃에서 2시간 가열 처리하여 컴파운드 C-M을 조제했다.
상기 컴파운드 C-M 100부에 대하여, 규조토(상품명 셀라이트 SF,) 70부, 분산제로서 평균 중합도 15의 하이드록시 말단 다이메틸실록세인 1부를 2롤밀로 첨가하여 컴파운드 C를 조제했다.
시트 성형의 방법, 점착층의 조정, 적층 방법 등 이후의 수순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행했다.
[비교예 3]
다이메틸실록세인 단위((CH3)2SiO2 /2) 99.892몰%, 메틸바이닐 실록세인 단위((CH2=CH)(CH3)SiO2 /2) 0.083몰%, 다이메틸바이닐실록시 단위((CH2=CH)(CH3)2SiO1 /2) 0.025몰%로 이루어지고, 평균 중합도가 약 6,000인 오가노폴리실록세인 100부, BET 비표면적 130m2/g의 퓸드 실리카(상품명 아에로질 130, 닛폰아에로질 가부시키가이샤제) 5부, 분산제로서 평균 중합도 4의 하이드록시 말단 다이메틸실록세인 1부를 첨가하고, 니더로 혼련하고, 170℃에서 2시간 가열 처리하여 컴파운드 D를 조제했다.
시트 성형의 방법, 점착층의 조정, 적층 방법 등 이후의 수순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행했다.
[비교예 4]
다이메틸실록세인 단위((CH3)2SiO2 /2) 99.540몰%, 메틸바이닐실록세인 단위((CH2=CH)(CH3)SiO2 /2) 0.435몰%, 다이메틸바이닐실록시 단위((CH2=CH)(CH3)2SiO1 /2) 0.025몰%로 이루어지고, 평균 중합도가 약 6,000인 오가노폴리실록세인 100부, 카본블랙(상품명 덴카블랙, 덴카 가부시키가이샤제) 50부, 결정성 실리카(상품명 크리스탈라이트 VX-ST, 제) 140부, 분산제로서 하이드록시 말단 메틸바이닐실록세인 1부를 첨가하고, 가압 니더로 혼련하여 컴파운드 E를 조제했다.
시트 성형의 방법, 점착층의 조정, 적층 방법 등 이후의 수순은 컴파운드 E의 가류제에 부가(하이드로실릴화) 반응계 가류제 C-19A/B(신에츠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를 각각 0.5/2.5부를 첨가하는 이외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행했다.
[비교예 5]
다이메틸실록세인 단위((CH3)2SiO2 /2) 99.930몰%, 메틸바이닐실록세인 단위((CH2=CH)(CH3)SiO2 /2) 0.045몰%, 다이메틸바이닐실록시 단위((CH2=CH)(CH3)2SiO1 /2) 0.025몰%로 이루어지고, 평균 중합도가 약 6,000인 오가노폴리실록세인 100부, BET 비표면적 210m2/g의 처리 실리카(상품명 아에로질 R976, 닛폰아에로질 가부시키가이샤제) 20부, 분산제로서 평균 중합도 4의 하이드록시 말단 다이메틸실록세인 1부를 첨가하고, 니더로 혼련하고, 170℃에서 2시간 가열 처리하여 컴파운드 F를 조제했다.
시트 성형의 방법, 점착층의 조정, 적층 방법 등 이후의 수순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행했다.
각 평가 항목
·점착성
얻어진 시트를 폭 25mm, 길이 10cm로 절단하고, JIS Z 0237에 준거하여 니혼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제 유리 FL 2.0을 알코올로 탈지하고, 풍건한 4mm 두께의 유리판에 시트의 점착층측을 붙이고, 실온에서 300mm/min의 속도로 180° 필링으로 유리와 점착층을 박리하고, 그 점착력을 측정했다.
·장기 첩부 안정성
4mm의 두께의 유리 기판 위에, 상기 제작한 점착 시트를 폭 25mm, 길이 10cm로 절단하고, 점착층측을 붙이고, 실온, 50% RH의 습도로 1개월 보존한 후, 실온에서 300mm/min의 속도로 180° 필링으로 유리와 점착층을 박리하고, 그 점착력을 측정했다.
·재박리성
4mm의 두께의 유리 기판 위에, 상기 제작한 점착 시트를 폭 25mm, 길이 10cm로 절단하고, 점착층측을 붙이고, 실온, 50% RH의 습도로 1개월 보존한 후, 실온에서 300mm/min의 속도로 180° 필링으로 유리와 점착층을 박리하고, 유리면에 점착 성분이 이행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했다. 점착 성분이 이행되는 것은 ×, 이행되지 않는 것은 ○으로 했다.
·변형에 대한 탄력성
적층 필름을 180°로 구부렸을 때에, 적층 시트에 대한 데미지의 유무를 확인했다. 변화가 없는 것은 ○, 균열·변형이 있는 것은 ×로 했다.
·방수성
초기: 시공후 1개월 사이에 빗물의 침입이 없는 것은 ○, 빗물의 침입이 있는 것은 ×로 했다.
장기: 시공후 6개월 사이에 빗물의 침입이 없는 것은 ○, 빗물의 침입이 있는 것은 ×로 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기재 고무 KE-675-U KE-675-U A KE-541-U KE-1990-50
가황제 C-19A/B C-23N C-19A/B C-19A/B (부가)
경도: 듀로미터 타입 A 68 75 70 40 50
인장 강도 [MPa] 8.5 8.5 10.1 8.2 7.0
파단시 신율 [%] 270 250 500 650 300
인열 강도 (크레센트)
[kN/m]
10 11 42 22 7
점착력 (유리)
[N/25mm]
3.4 3.1 3.3 3.8 3.6
장기 첩부 안정성 (유리)
[N/25mm]
3.2 3.1 3.3 3.7 3.6
재박리성
변형에 대한 탄력성
초기 방수성
장기 방수성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기재 고무 B C-M D E F
가황제 C-23N C-23N C-23N C-19A/B C-23N
경도: 듀로미터 타입 A 11 91 18 85 25
인장 강도 [MPa] 4.5 6.6 2.5 6.4 9.9
파단시 신율 (%) 770 125 400 70 960
인열 강도 (크레센트)
[kN/m]
10 6 2 7 14
점착력 (유리)
[N/25mm]
3.6 3.3 3.6 3.1 3.6
장기 첩부 안정성 (유리)
[N/25mm]
3.5 3.1 2.6 2.5 3.5
재박리성
변형에 대한 탄력성 × ×
초기 방수성
장기 방수성 × × × × ×
1 기재 고무
2 점착층
3 커버 필름
10 지면
20 토대
30 옥외 탱크
31 애뉼러 플레이트(옥외 탱크의 일부)
32 옥외 탱크와 토대와의 경계 부분
40 방수시트
50 겹침 부분
60 실링재

Claims (9)

  1. 콘크리트, 모르타르, 아스팔트 콘크리트, 아스팔트 모르타르 또는 아스팔트 샌드로 형성된 토대 위에 설치한 옥외 탱크의 바닥부와 상기 토대와의 경계 부분을, 방수시트의 점착층을 옥외 탱크로부터 토대에 걸쳐 첩착함으로써 피복하는 옥외 탱크의 방수 시공 방법으로서, 상기 방수시트가 기재 고무층과 그 위에 형성된 점착층을 구비하고, 상기 기재 고무가 JIS-A의 경도가 25∼80이며, 또한 인장강도가 5MPa 이상, 신율이 200∼700%, 크레센트형 인열강도가 7kN/m 이상의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고, 점착층이
    (A)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규소 원자와 결합하는 알켄일기를 함유하는 오가노폴리실록세인: 30∼90질량부,
    (B) R3SiO1/2 단위(식 중, R은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이지만, R은 알켄일기를 포함함)와 SiO2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고, R3SiO1/2 단위와 SiO2 단위의 몰비 [R3SiO1/2/SiO2]가 0.5∼1.5인 수지질 공중합체: 10∼70질량부,
    (단, (A) 성분과 (B) 성분의 합계는 100질량부임)
    (C) 규소 원자와 결합하는 수소 원자(SiH기)를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 함유하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세인: 0.5∼30질량부,
    (D) 부가 반응 촉매: (A), (B) 성분의 합계량에 대하여 0.5∼1,000ppm
    을 함유하는 부가 경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로 형성되고,
    이 점착층의 경도가 아스커 C 경도로 1∼40이며,
    이 점착층이 상기 경계 부분을 상기 옥외 탱크로부터 토대에 걸쳐 액밀되게 첩착,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탱크의 방수 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0.5∼10N/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탱크의 방수 시공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재 고무의 두께가 0.2∼5mm이며, 점착층의 두께가 0.3∼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탱크의 방수 시공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방수시트를 나란히 설치하여 상기 경계 부분을 액밀되게 피복함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방수시트를 겹침 부분의 폭을 5mm 이상으로 하여 액밀되게 중첩하여 첩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탱크의 방수 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방수시트를 나란히 설치하여 상기 경계 부분을 액밀되게 피복함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방수시트를 겹침 부분의 폭을 5mm 이상으로 하여 액밀되게 중첩하여 첩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탱크의 방수 시공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7012178A 2012-10-15 2013-08-19 옥외 탱크용 방수시트 및 그 시공 방법 KR102055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27968A JP6060610B2 (ja) 2012-10-15 2012-10-15 屋外タンクの防水施工方法
JPJP-P-2012-227968 2012-10-15
PCT/JP2013/072084 WO2014061344A1 (ja) 2012-10-15 2013-08-19 屋外タンク用防水シート及びその施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248A KR20150070248A (ko) 2015-06-24
KR102055924B1 true KR102055924B1 (ko) 2019-12-13

Family

ID=5048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2178A KR102055924B1 (ko) 2012-10-15 2013-08-19 옥외 탱크용 방수시트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797129B2 (ko)
EP (1) EP2907934B1 (ko)
JP (1) JP6060610B2 (ko)
KR (1) KR102055924B1 (ko)
CN (1) CN104736782A (ko)
MY (1) MY170113A (ko)
SG (1) SG11201502924QA (ko)
TW (1) TWI565638B (ko)
WO (1) WO2014061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3711B2 (ja) * 2014-10-03 2018-08-15 富士フィルター工業株式会社 濾過装置
US11059998B2 (en) 2015-09-28 2021-07-13 Shin-Etsu Chemical Co., Ltd. Waterproof sheet and waterproofing method including using same
EP3450159B1 (en) * 2016-04-26 2021-11-24 Dow Toray Co., Ltd. Flexible laminate and flexible display provided with same
JP6914665B2 (ja) * 2017-02-08 2021-08-04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表面被覆部材用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表面被覆部材及びコンクリート表面被覆方法
JP6756304B2 (ja) * 2017-06-12 2020-09-1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防水シート及び防水施工方法
US11102926B2 (en) * 2018-01-26 2021-08-31 Benjamin G. Casper Grain bin skirt
JP2019147869A (ja) * 2018-02-26 2019-09-05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表面被覆部材用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表面被覆部材及びコンクリート表面被覆方法
JP6990604B2 (ja) * 2018-02-28 2022-01-12 東電設計株式会社 タンクの保持構造
CN108559414B (zh) * 2018-04-12 2021-03-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易拉胶、易拉胶组件、电池组件、外壳组件及电子设备
CN116855190B (zh) * 2023-08-03 2024-01-30 荆门科顺新材料有限公司 一种超疏水自粘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391B2 (ja) * 1979-10-23 1983-03-25 大阪瓦斯株式会社 大型タンクの腐食防止装置
JPS5811689A (ja) * 1981-07-07 1983-01-22 日立造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鋼製タンク底板下面の防食方法
JPS60120985A (ja) 1983-12-02 1985-06-28 Wako Pure Chem Ind Ltd 新規な修飾酵素
JPH0476673A (ja) 1990-07-13 1992-03-11 Dainippon Printing Co Ltd 画像処理システム
JP2643693B2 (ja) * 1991-10-07 1997-08-2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基材に固定されたシリコーンゴム部品
JP3580887B2 (ja) * 1995-01-18 2004-10-27 株式会社共和 屋外貯蔵タンクの雨水浸入防止用被覆材
JP3645627B2 (ja) 1995-09-27 2005-05-11 ロンシール工業株式会社 増し張り用防水シート及び防水シートの施工方法
JP2000273419A (ja) * 1999-03-25 2000-10-03 Sekisui Chem Co Ltd 防水シート
JP2000320085A (ja) * 1999-05-17 2000-11-21 Chori Co Ltd ルーフィング用防水テープ及び防水方法
JP4462892B2 (ja) 2003-10-22 2010-05-12 日東電工株式会社 防水気密用粘着テープ
US7955703B2 (en) * 2004-07-12 2011-06-07 Lintec Corporation Silicone rubber 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JP5019725B2 (ja) * 2004-07-12 2012-09-0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リコーンゴム粘着シート
EP2042687B1 (en) 2006-06-07 2018-02-21 Kuraray Co., Ltd. Method for producing a waterproof sheet for tunnel and its use
JP5071630B2 (ja) * 2007-03-22 2012-11-14 宇部興産株式会社 複合防水工法
US20110171480A1 (en) 2008-09-16 2011-07-14 Asahi Rubber Inc. Three-dimensional silicone-rubber bonded object
JP5426873B2 (ja) * 2008-12-16 2014-02-26 三菱樹脂株式会社 両面粘着性シリコーンゴム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605248B2 (ja) * 2011-01-07 2014-10-1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性蓄光複合シート
JP5765268B2 (ja) * 2011-03-31 2015-08-1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防水シート及び防水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07934A1 (en) 2015-08-19
CN104736782A (zh) 2015-06-24
US9797129B2 (en) 2017-10-24
JP6060610B2 (ja) 2017-01-18
TWI565638B (zh) 2017-01-11
WO2014061344A1 (ja) 2014-04-24
JP2014080754A (ja) 2014-05-08
KR20150070248A (ko) 2015-06-24
EP2907934A4 (en) 2016-06-15
TW201429835A (zh) 2014-08-01
MY170113A (en) 2019-07-05
EP2907934B1 (en) 2019-04-10
SG11201502924QA (en) 2015-05-28
US20150267399A1 (en)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924B1 (ko) 옥외 탱크용 방수시트 및 그 시공 방법
JP5983718B2 (ja) 防水施工方法
KR102488799B1 (ko) 방수 시트 및 방수 시공 방법
US9758935B2 (en) Waterproof sheet for use in bridge pier repair and waterproof work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3703088A (zh) 化学相似衬底的暂时粘合
JP2017203252A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の補修方法及び施工方法
KR102137720B1 (ko) 옥외 탱크의 방수 시공 방법
JP2019019526A (ja) 防水施工方法
JP6756304B2 (ja) 防水シート及び防水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