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171B1 -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171B1
KR102055171B1 KR1020190078884A KR20190078884A KR102055171B1 KR 102055171 B1 KR102055171 B1 KR 102055171B1 KR 1020190078884 A KR1020190078884 A KR 1020190078884A KR 20190078884 A KR20190078884 A KR 20190078884A KR 102055171 B1 KR102055171 B1 KR 102055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ember
alignment
support
jig bas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각
Original Assignee
(주)대성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하이텍 filed Critical (주)대성하이텍
Priority to KR1020190078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171B1/ko
Priority to PCT/KR2020/001879 priority patent/WO20210025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3Stationary work or tool supports
    • B23Q1/035Stationary work or tool supports with an array of longitudinally movable rods defining a reconfigurable suppor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캐스팅 가공된 케이스 부재를 설정높이로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방향과 전후방향으로 수평으로 중심정렬하여, 해당 케이스 부재의 결합면과 측면부의 절삭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하나 이상의 정렬공간이 형성된 지그 베이스와; 상기 지그 베이스의 정렬공간 내에 승강구조로 배치되며, 좌우 양측에 빗면 가이드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안착되는 케이스 부재의 좌우 양측을 빗면구조로 지지하여 케이스 부재의 좌우 중심을 정렬하는 승강 정렬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Jig device for machining case member}
본 발명은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캐스팅 가공된 케이스 부재를 설정높이로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방향과 전후방향으로 수평으로 중심정렬하여, 해당 케이스 부재의 결합면과 측면부의 절삭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 등 각종 전자부품을 보호하거나 고정하기 위한 용도 및 금속 테두리 적용으로 내구성을 높이고 외관의 고급화를 목적으로 하우징 역할을 하는 케이스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최근 들어서는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외곽 테두리가 금속으로 제작되는 메탈케이스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상기 케이스는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틀 형상을 갖게 되며, 통상적으로 분리하여 성형된 한 쌍의 케이스 부재를 상하 마주보게 결합하여서 각종의 구성요소들을 수납하는 중공의 케이스를 형성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러한 케이스 부재를 다이캐스팅을 통해 1차적으로 성형한 다음, 결합면과 측면부를 절삭을 통해 가공한 다음, 이들을 결합시켜 케이스를 형성하는 성형방법이 보편화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다이캐스팅 가공된 케이스 부재를 절삭 가공함에 있어, 케이스 부재를 정형화되게 고정하는 지그장치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기존에는 이러한 케이스 부재를 자동으로 정형화되게 고정하는 전용의 수단이 제공되지 아니한 관계로, 지그 베이스의 정렬공간 내에 위치한 케이스 부재를 작업자가 수동의 클램프를 통해 해당 케이스 부재의 각 부위를 고정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 부재를 고정함에 있어 작업자의 고도의 숙련도가 요구되었고, 또 케이스 부재를 고정함에 따른 작업 시간이 증가되어 케이스 부재의 절삭 가공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는 한계성이 지적되고 있다.
(특허문헌 0001)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393680호(주식회사 이랜텍)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캐스팅 가공된 케이스 부재를 설정된 높이로 좌우 및 전후로 수평 정렬하여, 해당 케이스 부재의 수평면과 외측면의 절삭가공이 가능함에 있어, 절삭 가공을 요하는 케이스 부재가 단순히 안착되면 상기 케이스 부재는 정형화된 위치와 높이에 간편하게 자동 정렬되도록 하는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는,
하나 이상의 정렬공간이 형성된 지그 베이스와;
상기 지그 베이스의 정렬공간 내에 승강구조로 배치되며, 좌우 양측에 빗면 가이드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안착되는 케이스 부재의 좌우 양측을 빗면구조로 지지하여 케이스 부재의 좌우 중심을 정렬하는 승강 정렬블록과;
상기 승강 정렬블록을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 및
상기 지그 베이스의 정렬공간의 지지점에 각각 직립되게 배치되어, 하부에 노출된 케이스 부재의 상부 표면의 각 지지점을 지지하여, 지그 베이스의 상부에 케이스 부재를 설정높이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핀들을 포함하는 좌우 정렬구조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 정렬블록이 상승된 상태에서 케이스 부재가 안착되고, 승강 정렬블록에 의해 케이스 부재가 좌우로 정렬되면 승강 정렬블록은 하강하여서 케이스 부재는 지지핀들에 의해 설정높이로 지지되는 수직 정렬상태를 형성하고, 케이스 부재가 지지핀들에 의해 지지되면 승강 정렬블록은 상승하여 케이스 부재로부터 이격하며,
상기 지그 베이스의 정렬공간 후방에 형성되어 지지핀에 의해 지지된 케이스 부재의 후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그 베이스의 정렬공간 전방에 형성되어 지지핀에 의해 지지된 케이스 부재의 전측면을 후방으로 밀어 지지블록을 기준으로 케이스 부재가 전후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정렬 압착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후 정렬구조가 구비되어,
좌우 정렬된 케이스 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정렬하여 구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그 베이스의 좌우 양편에 정렬공간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정렬공간에는 지지핀들과 좌우 정렬블록과 승강 실린더와 지지블록, 및 정렬 압착 실린더가 각각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결합면과 측면부의 절삭 가공을 요하는 케이스 부재를, 설정높이로 지지하면서 좌우방향과 전후방향으로 중심을 정렬하여 고정하는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안착된 케이스 부재를 빗면 가이드부를 통해 1차적으로 좌우 정렬하고, 이를 하강시켜 설정높이의 지지핀에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스 부재를 공급하는 과정에 다소 부정확한 위치에 케이스 부재가 안착되더라도 정교한 수직 및 수평 정렬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승강 정렬블록에 안착된 케이스 부재는 스윙형 가압부재를 통해 정형화되게 압착되므로, 좌우 정렬에 따른 안정성과 신뢰성, 및 신속성이 확보될 수 있고, 또 스윙형 가압부재는 가공축에 마련된 툴에 의한 케이스 부재의 절삭 가공시에는 정렬공간 내에서 이탈하므로, 가공축과의 물리적인 충돌이나 간섭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그 베이스에 한 쌍의 정렬공간이 형성되고, 또 이들 각 정렬공간 내에 지지핀과, 좌우 및 전후를 포함하는 수평 정렬구조를 마련하여서, 케이스를 구성하는 한 쌍의 케이스 부재를 동시에 정렬된 상태로 고정하여, 동시에 절삭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특이성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와, 정면 및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를 통한 케이스 부재의 정렬 고정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은 케이스 부재의 좌우 정렬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케이스 부재의 전후 정렬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에 의해 정렬하여 고정된 케이스 부재의 절삭 가공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에 있어,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지지핀과 빗면 정렬블록의 변형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와, 정면 및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를 통한 케이스 부재의 정렬 고정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은 케이스 부재의 좌우 정렬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케이스 부재의 전후 정렬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에 의해 정렬하여 고정된 케이스 부재의 절삭 가공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에 있어,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지지핀과 빗강 정렬블록의 변형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주하는 케이스 부재의 결합면과 밀착되는 결합면(110)과, 측면부(120)를 가공축(S)에 형성된 툴(T)에 각각 노출되게 고정하여, 상기 가공축(S)에 형성된 툴(T)에 의해 케이스 부재(100)의 결합면(110)과 측면부(120)의 각 부위를 형상 가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부재(100)는 다이캐스팅 가공을 통해 성형된 성형품으로 구성되며, 이들 한 쌍의 케이스 부재(100)는 결합면(110)을 상하 밀착되게 조립하여 배터리 등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납하는 함체, 즉 케이스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부재(100)를 안착시켜 정렬공간(10A, 10B)이 형성된 지그 베이스(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그 베이스(10)의 좌우 양편에 정렬공간(10A, 10B)을 각각 형성하고, 이들 각 정렬공간(10A, 10B)에 케이스 부재(100)를 설정된 높이로 지지하면서 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수평 위치 정렬하는 독특한 정렬구조를 부가하여서, 각 정렬공간(10A, 10B) 내 케이스 부재(100)가 정형화되게 정렬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결합면(110)을 상호 밀착시켜 함체, 즉 케이스를 구성하는 한 쌍의 케이스 부재(100)를 동시에 정렬하여 고정한 다음, 각 정렬공간(10A, 10B)의 상부에 배치된 가공축(S)의 툴(T)을 대응하는 케이스 부재(100)에 절입하여 한 쌍의 케이스 부재(100)를 동시 절삭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각 케이스 부재(100)를 지그 베이스(10)의 각 정렬공간(10A, 10B) 내에 설정된 높이로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방향과 전후방향으로 수평 중심을 정렬함으로써, 한 쌍의 가공축(S)에 의해 한 쌍의 케이스 부재(100)의 정형화된 형상 가공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그 베이스(10)의 각 정렬공간(10A, 10B) 내에 각 지지지점에 각각 직립되게 배치되어, 하부에 노출된 케이스 부재(100)의 상부 표면을 국부적으로 지지하여서, 지그 베이스(10)의 상부에 케이스 부재(100)를 설정높이로 지지하여 고정하는 복수의 지지핀(20)들을 배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그 베이스(10)의 각 정렬공간(10A, 10B) 내에 복수의 지지핀(20)들을 분산되게 배치하여, 정렬공간(10A, 10B) 내에 안착되는 케이스 부재(100)는 지지핀(20)들에 의해 케이스 부재(100)의 상부 표면이 각각 지지되어서 설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핀(20)은 도 9와 같이 지그 베이스(10)에 고정된 지지핀 몸체(21)와; 상기 지지핀 몸체(21)의 상단에 체결을 통해 고정되어 케이스 부재(100)의 지지높이를 설정하는 지지헤드(2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헤드(22)의 체결거리에 따라 각 지지핀(20)에 의한 케이스 부재(100)의 지지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헤드(22)에는 안착된 케이스 부재의 상부 표면을 구름 마찰하는 지지구(23)를 각각 배치하여, 후술되는 전후 방향으로 정렬시 케이스 부재(100)는 지지핀(20)과 구름 마찰하여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케이스 부재(100)의 가공 높이에 따라 지지헤드(22)를 승강시켜, 해당 케이스 부재(100)가 설정된 가공높이를 유지하여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지지지점에 지지핀(20)들이 배치된 지그 베이스(10)의 각 정렬공간(10A, 10B)에는, 안착되는 케이스 부재(100)를 좌우방향으로 정렬하는 좌우 정렬구조와, 좌우 정렬구조에 의해 좌우 정렬된 케이스 부재(100)를 전후방향으로 정렬하여 구속하는 전후 정렬구조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 등에 의해 각 정렬공간(10A, 10B) 내에 안착되는 케이스 부재(100)는 좌우 정렬구조와 전후 정렬구조에 의해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을 포함하는 수평 정렬이 이루어지고, 또 지지핀(20)들에 의한 지지에 의해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는 수직정렬이 이룩된다.
먼저, 상기 좌우 정렬구조는 정렬공간(10A, 10B) 내에 케이스 부재(100)를 안착시켜 좌우 중심을 정렬하는 승강 정렬블록(30)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 정렬블록(30)은 지그 베이스(10)의 정렬공간(10A, 10B)에 형성된 승강 가이드(32)를 통해 승강구조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가이드(32)를 통해 승강구조로 배치된 승강 정렬블록(30)은, 승강 실린더(33)의 신축작용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여서, 최초 상승된 상태에서 케이스 부재(100)가 안착되고, 승강 정렬블록(30)에 의해 케이스 부재(100)가 좌우로 정렬되면 하강하여서, 승강 정렬블록(30)의 외측에 형성된 지지핀(20)들에 의해 케이스 부재(100)가 안정되게 지지되어 설정높이로 지지되는 수직 정렬상태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승강 정렬블록(30)의 양측 내벽에는 빗면 가이드부(31)가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빗면 가이드부(31) 사이에 안착된 케이스 부재(100)는 빗면 가이드부(31)에 의해 빗면구조로 간섭 및 하강하면서 내측으로 이동하여서, 승강 정렬블록(30) 상에 좌우 중심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9와 같이 상기 승강 정렬블록(30)은 양편에 빗면 가이드부(31)를 승강 가이드(32)를 통해 진퇴구조로 설치하고, 빗면 가이드부는 승강 실린더(33)에 의해 내향 탄지되어서, 안착되는 케이스 부재(100)를 탄력적으로 빗면 지지하여 좌우 정렬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빗면 가이드부(31) 내벽에 형성된 빗면 지지면에는 안내롤러(31a)를 마련하여, 안내롤러(31a)에 의해 케이스 부재(100)는 구름 마찰하면서 내측으로 간섭되어 좌우 정렬되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스윙형 가압부재(5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승강 정렬블록(30)에 안착된 케이스 부재(100)가 가압에 의해 보다 신속하고 정형화되게 하강하면서 좌우 중심이 정렬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윙형 가압부재(50)는, 단부에 압착헤드(52)가 마련된 스윙암(51)과; 상기 스윙암(51)의 회동단을 회동구조로 조립하여, 스윙암(51)이 정렬공간(10A, 10B)을 경유하여 선회되도록 하는 회동축(53)과; 상기 회동축(53)을 승강시켜 스윙암(51)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54)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상기 승강 정렬블록(30)에 케이스 부재(100)가 안착되면, 도 5와 같이 스윙형 가압부재(50)의 스윙암(51)은 내측으로 선회하여 정렬공간(10A, 10B) 내에 진입하고, 이 상태에서 승강유닛(54)은 스윙암(51)을 하강시켜서 스윙암(51)에 마련된 압착헤드(52)에 의해 승강 정렬블록(30)에 안착된 케이스 부재(100)는 하강하면서, 빗면 가이드부(31)와의 간섭에 의해 케이스 부재(100)의 좌우 중심이 정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승강 정렬블록(30) 내에 케이스 부재(100)의 좌우 중심이 정렬되면, 승강 실린더(33)에 의해 승강 정렬블록(30)은 하강하여 좌우 중심이 정렬된 케이스 부재(100)를 지지핀(20)들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그 베이스(10)의 상부에는 정방향으로 수평 회전하여 정렬공간(10A, 10B) 내에 단부를 진입한 상태에서 하강하여 승강 정렬블록(30)에 안착된 케이스 부재(100)를 가압하여 승강 정렬블록(30) 내에 좌우 중심을 정렬한 다음, 역방향으로 등각 회전하여 정렬공간(10A, 10B) 내에서 회피하여서, 케이스 부재(100)에 상부와 측방향으로 절입되는 툴(T)과의 간섭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좌우 정렬구조에 의해 정렬공간(10A, 10B) 내에 좌우 정렬하여 지지핀(20)들에 의해 지지된 케이스 부재(100)는, 전후 정렬구조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중심이 정렬된 다음 정형화되게 구속되어서, 가공축(S)에 마련된 툴(T)에 의해 상부면과 측면부의 절삭 가공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고 있는 전후 정렬구조는, 상기 지그 베이스(10)에 형성된 각 정렬공간(10A, 10B) 후방에 형성되어, 지지핀(20)들에 의해 설정높이로 지지된 케이스 부재(100)의 후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블록(40)과; 상기 각 정렬공간(10A, 10B) 전방에 형성되어, 지지핀(20)에 의해 지지된 케이스 부재(100)의 전측면을 후방으로 밀어서, 지지블록(40)을 기준으로 케이스 부재(100)가 전후방향으로 정렬 및 구속되도록 하는 정렬 압착 실린더(4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정렬공간(10A, 10B)의 전방 양편에 정렬 압착 실린더(41)를 각각 배치하여, 정렬공간(10A, 10B) 내에 좌우 중심이 정렬된 상태로 지지핀(20)들에 의해 설정높이로 지지된 케이스 부재(100)는, 도 7과 같이 좌우 양편에 배치된 정렬 압착 실린더(41)의 압착로드(41a)에 의해 가압되어서, 전후방향으로 중심이 정렬된 상태로 압착로드(41a)와 정렬 지지블록(40) 사이에 압착 고정되어 정렬공간(10A, 10B) 내에 구속된다.
이때, 상기 압착로드(41a)는 도 7과 같이 케이스 부재(100)의 양편에 각각 형성된 조립공에 설정 깊이로 진입하여, 케이스 부재를 전후 및 상하 및 좌우로 구속하여, 절입되는 툴에 의한 가공과정에 케이스 부재가 흔들리거나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상기 지그 베이스(10)의 각 정렬공간(10A, 10B)의 상부에 배치된 각 가공축(S)은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장착된 엔드밀 등의 툴(T)을 정렬공간(10A, 10B)에 설정된 높이로 지지되며 좌우방향과 전후방향으로 중심이 정렬된 케이스 부재(10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면(110)과, 측면부(120)를 절삭 가공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1)는 각 정렬공간(10A, 10B) 내에 케이스 부재(100)가 안착되면, 설정높이로 케이스 부재(100)를 지지하면서 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중심을 정렬하여 고정함으로써, 가공축(S)에 마련된 툴(T)에 의한 해당 케이스 부재(100)의 결합면(110)과 측면부(120)의 정형화된 가공이 가능하다.
1.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10. 지그 베이스 10A, 10B. 정렬공간
20. 지지핀 21. 지지핀 몸체
22. 지지헤드 23. 지지구
30. 승강 정렬블록 31. 빗면 가이드부
31a. 안내롤러
32. 승강 가이드 33. 승강 실린더
40. 지지블록 41. 정렬 압착 실린더
41a. 압착로드
50. 스윙형 가압부재 51. 스윙암
52. 압착헤드 53. 회동축
54. 승강유닛
100. 케이스 부재 110. 결합면
120. 측면부
S. 가공축 T. 툴

Claims (5)

  1. 하나 이상의 정렬공간이 형성된 지그 베이스와;
    상기 지그 베이스의 정렬공간 내에 승강구조로 배치되며, 좌우 양측에 빗면 가이드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안착되는 케이스 부재의 좌우 양측을 빗면구조로 지지하여 케이스 부재의 좌우 중심을 정렬하는 승강 정렬블록과;
    상기 승강 정렬블록을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 및
    상기 지그 베이스의 정렬공간의 지지점에 각각 직립되게 배치되어, 하부에 노출된 케이스 부재의 상부 표면의 각 지지점을 지지하여, 지그 베이스의 상부에 케이스 부재를 설정높이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핀들을 포함하는 좌우 정렬구조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 정렬블록이 상승된 상태에서 케이스 부재가 안착되고, 승강 정렬블록에 의해 케이스 부재가 좌우로 정렬되면 승강 정렬블록은 하강하여서 케이스 부재는 지지핀들에 의해 설정높이로 지지되는 수직 정렬상태를 형성하고, 케이스 부재가 지지핀들에 의해 지지되면 승강 정렬블록은 상승하여 케이스 부재로부터 이격하며,
    상기 지그 베이스의 정렬공간 후방에 형성되어 지지핀에 의해 지지된 케이스 부재의 후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그 베이스의 정렬공간 전방에 형성되어 지지핀에 의해 지지된 케이스 부재의 전측면을 후방으로 밀어 지지블록을 기준으로 케이스 부재가 전후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정렬 압착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후 정렬구조가 구비되어,
    좌우 정렬된 케이스 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정렬하여 구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정렬블록은 지그 베이스에 승강 가이드를 통해 승강구조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베이스의 좌우 양편에 정렬공간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정렬공간에는 지지핀들과 좌우 정렬블록과 승강 실린더와 지지블록, 및 정렬 압착 실린더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KR1020190078884A 2019-07-01 2019-07-01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KR102055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884A KR102055171B1 (ko) 2019-07-01 2019-07-01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PCT/KR2020/001879 WO2021002557A1 (ko) 2019-07-01 2020-02-11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884A KR102055171B1 (ko) 2019-07-01 2019-07-01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171B1 true KR102055171B1 (ko) 2019-12-12

Family

ID=69004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884A KR102055171B1 (ko) 2019-07-01 2019-07-01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1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557A1 (ko) * 2019-07-01 2021-01-07 (주)대성하이텍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KR20220126993A (ko) * 2021-03-10 2022-09-19 (주)대성하이텍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KR102459232B1 (ko) * 2022-07-04 2022-10-26 조대식 전장부품 조립용 서포트 장치
KR102590760B1 (ko) * 2023-01-25 2023-10-17 박영석 공작기계용 다기능 지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431B1 (ko) * 2010-10-12 2011-04-20 주식회사 이녹셀코리아 마그네틱 척
JP2012144014A (ja) * 2011-01-14 2012-08-02 Sumco Corp ワーク切断装置
KR101393680B1 (ko) 2012-03-30 2014-05-13 주식회사 이랜텍 휴대폰 케이스 표면가공장치 및 방법
KR101601221B1 (ko) * 2015-01-23 2016-03-31 (주)삼광윈테크 휴대폰케이스 가공용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431B1 (ko) * 2010-10-12 2011-04-20 주식회사 이녹셀코리아 마그네틱 척
JP2012144014A (ja) * 2011-01-14 2012-08-02 Sumco Corp ワーク切断装置
KR101393680B1 (ko) 2012-03-30 2014-05-13 주식회사 이랜텍 휴대폰 케이스 표면가공장치 및 방법
KR101601221B1 (ko) * 2015-01-23 2016-03-31 (주)삼광윈테크 휴대폰케이스 가공용 지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557A1 (ko) * 2019-07-01 2021-01-07 (주)대성하이텍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KR20220126993A (ko) * 2021-03-10 2022-09-19 (주)대성하이텍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KR102487415B1 (ko) * 2021-03-10 2023-01-11 (주)대성하이텍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KR102459232B1 (ko) * 2022-07-04 2022-10-26 조대식 전장부품 조립용 서포트 장치
KR102590760B1 (ko) * 2023-01-25 2023-10-17 박영석 공작기계용 다기능 지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171B1 (ko)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KR102055168B1 (ko) 개량된 정렬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KR101121650B1 (ko)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킨 프레스 금형
KR101550619B1 (ko) 프레스 장치
JPH0819824A (ja) 打抜き装置
KR102299812B1 (ko) 공용 정렬구조를 갖는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JP2014223651A (ja) 多段プレス装置
ITTO970469A1 (it) Attrezzaggio a cassetta per macchine di forgiatura
JPH07164198A (ja) ダイイングマシン
KR102487415B1 (ko) 케이스 부재 가공용 지그장치
JP3415315B2 (ja) プレス装置
CN216610146U (zh) 多数量模具装载装置
JPS6217136Y2 (ko)
JP6624946B2 (ja) チュービング装置
CN212398888U (zh) 一种高稳定性的模具零件加工用治具
CN100581675C (zh) 模压成型装置和模压成型方法
JP2639230B2 (ja) シリンダーブロックの位置決め方法
JP3901745B2 (ja) プレス装置
JPH0256169B2 (ko)
JP2007038278A (ja) X軸移動ステージ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レス装置
JP2520949B2 (ja) 複合型トリミング装置
JP2003136196A (ja) 枠付砂鋳型の枠合わせ方法
JP2639229B2 (ja) シリンダーブロックの位置決め方法
KR100488235B1 (ko) 하향식 반도체 금형장치
JPH072135Y2 (ja) トリミング用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