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925B1 -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925B1
KR102053925B1 KR1020190101463A KR20190101463A KR102053925B1 KR 102053925 B1 KR102053925 B1 KR 102053925B1 KR 1020190101463 A KR1020190101463 A KR 1020190101463A KR 20190101463 A KR20190101463 A KR 20190101463A KR 102053925 B1 KR102053925 B1 KR 102053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installation
cable
tray
foam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일
Original Assignee
권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용일 filed Critical 권용일
Priority to KR1020190101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전력 케이블과 화재통신 케이블을 차단하여 화재의 전파를 억제하면서 통신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케이블과 통신 케이블이 수납되는 케이블 트레이로서, 상기 전력 케이블과 통신 케이블이 수납되는 수용공간이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된 트레이 본체와; 상기 트레이 본체의 수용공간 상부를 덮는 트레이 커버와; 각각의 양단이 상기 트레이 본체의 양측 벽면에 거치되도록 폭방향으로 구비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설치 프레임과;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단이 상기 다수의 설치 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트레이 본체의 수용공간을 전력 케이블이 수납되는 제 1 공간과 통신 케이블이 수납되는 제 2 공간으로 구획하고, 열에 의해 발포되면서 상기 제 1 공간을 향하여 분출되는 발포 수지가 충진된 구획 부재와; 상기 설치 프레임의 하면 중 상기 제 1 공간에 해당되는 영역에 결합되고, 열에 의해 발포되면서 상기 제 1 공간을 향하여 분출되는 발포 수지가 충진된 격리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전력 케이블과 화재통신 케이블을 차단하여 화재의 전파를 억제하면서 통신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과 각종 시설물에는 전원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과 통신연결을 목적으로 하는 통신 케이블이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전력 케이블과 통신 케이블은 하나의 다발 또는 다수의 다발로 구비되어 서로 인접된 상태로 건물이나 시설물에 구비된다.
전력 케이블과 통신 케이블은 다른 구조물과의 구획을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에 수납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트레이는 래더형 케이블 트레이(ladder type cable tray)와 펀칭 케이블 트레이(punched bottom cable tray)가 있다.
한편, 건물 및 각종 시설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그 화재의 원인이 전력 케이블의 단선이나 누전이 되기도 하고, 다른 원인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케이블의 외피를 따라 화재가 전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케이블에 내화도료를 도포하거나 난연성 재질로 케이블의 외피를 형성하여 화재가 전파되는 시간을 지연시키거나, 케이블 트레이를 방염포로 감싸서 화재의 전파를 차단하는 방법 등이 개발되었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에 가스소화시스템을 설치하는 방법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케이블에 내화도료를 도포하거나 케이블 트레이를 방염포로 감싸는 방법은 작업성이 너무 낮은 문제가 있었고, 가스소화시스템을 설치하는 방법은 초기 설치 비용이 많이 들고 설치 후에도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난연성 재질로 케이블의 외피를 형성하는 방법은 케이블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전력 케이블은 통신 케이블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화재의 원인 및 화재의 전파 측면에서 더 위험에 노출된다. 이에 따라 전력 케이블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거나 화재가 전파되는 경우에 불필요하게 통신 케이블까지 손상되고, 통신 케이블을 따라 화재가 전파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13973호 (2009.08.19)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상대적으로 화재의 원인 또는 전파 측면에서 더 위험에 노출되는 전력 케이블을 통신 케이블과 격리시켜서 화재의 전파를 억제하면서 통신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케이블과 통신 케이블이 수납되는 케이블 트레이로서, 상기 전력 케이블과 통신 케이블이 수납되는 수용공간이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된 트레이 본체와; 상기 트레이 본체의 수용공간 상부를 덮는 트레이 커버와; 각각의 양단이 상기 트레이 본체의 양측 벽면에 거치되도록 폭방향으로 구비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설치 프레임과;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단이 상기 다수의 설치 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트레이 본체의 수용공간을 전력 케이블이 수납되는 제 1 공간과 통신 케이블이 수납되는 제 2 공간으로 구획하고, 열에 의해 발포되면서 상기 제 1 공간을 향하여 분출되는 발포 수지가 충진된 구획 부재와; 상기 설치 프레임의 하면 중 상기 제 1 공간에 해당되는 영역에 결합되고, 열에 의해 발포되면서 상기 제 1 공간을 향하여 분출되는 발포 수지가 충진된 격리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 본체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벽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벽면에는 상기 설치 프레임이 거치되도록 서로 대향되는 지점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거치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벽면에는 상기 거치홈이 높이차를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설치 프레임은 다수개의 거치홈 중 선택되는 거치홈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 프레임의 하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설치홈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구획 부재는 상단부에 상기 설치홈으로 인입되어 고정되는 제 1 설치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설치홈 중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을 구획하는 지점의 설치홈으로 인입되면서 고정되고, 상기 격리 부재는 상단부에 상기 설치홈으로 인입되어 고정되는 제 2 설치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설치홈 중 상기 제 1 공간에 형성된 설치홈으로 인입되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획 부재는, 내부에 상기 발포 수지가 충진되면서 상단에는 상기 제 1 설치돌기가 형성되는 구획 외피와; 상기 구획 외피에 상기 발포 수지와 함께 충진되되, 상기 발포 수지가 상기 제 2 공간으로 분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발포 수지가 수용된 지점을 기준으로 제 2 공간방향을 차폐하는 차폐커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 외피에는 상기 제 1 공간을 향하는 측면에 상기 발포 수지가 분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다수의 절개선이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차를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리 부재는, 내부에 상기 발포 수지가 내장되면서 상단에는 상기 제 2 설치돌기가 형성되는 격리 외피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리 외피에는 상기 제 1 공간을 향하는 하면에 상기 발포 수지가 분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다수의 절개선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격리 부재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절개선 중 최외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선은 다른 절개선보다 열에 노출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절개가 먼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트레이에 수납되는 전력 케이블과 통신 케이블을 구획하여 수납할 수 있고, 화재 발생시 전력 케이블이 수납된 공간으로 발포 수지가 분출되면서 전력 케이블을 주변과 차단시킴으로써 화재의 전파를 지연 또는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 전력 케이블과 통신 케이블을 격리시킴으로써 통신 케이블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 발생시 발포 수지가 분출되는 순서가 위치별로 다르게 조정함으로써 발포 수지에 의한 화염 차단막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화재 발생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화재 발생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3a는 도 2의 A를 확대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2의 B를 확대한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a는 도 1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1의 폭 방향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케이블(C1)과 통신 케이블(C2)이 수납되는 케이블 트레이로서, 전력 케이블(C1)과 통신 케이블(C2)을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크게 트레이 본체(100), 트레이 커버(200), 설치 프레임(300), 구획 부재(400) 및 격리 부재(500)를 포함한다.
트레이 본체(100)는 전력 케이블(C1)과 통신 케이블(C2)이 수납되는 수단으로서, 전력 케이블(C1)과 통신 케이블(C2)이 수납되는 수용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때 트레이 본체(100)의 길이는 특정 길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길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트레이 본체(100)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그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트레이 본체(100)의 상호간 연결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트레이 본체(100)는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벽면(1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트레이 본체(100)를 형성하는 바닥면(110) 및 벽면(120)은 래더형 케이블 트레이(ladder type cable tray) 방식과 펀칭 케이블 트레이(punched bottom cable tray) 방식으로 모두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화재 발생시 전력 케이블(C1)이 수납되는 공간과 통신 케이블(C2)이 수납되는 공간을 차단하는데 유리하도록 펀칭 케이블 트레이(punched bottom cable tray)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면에는 다른 구성 요소들의 표현을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펀칭된 상태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트레이 본체(100)는 바닥면(110)과 한 쌍의 벽면(120)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이 수용공간은 전력 케이블(C1)이 수납되는 제 1 공간(S1)과, 통신 케이블(C2)이 수납되는 제 2 공간(S2)으로 구분된다. 이때 제 1 공간(S1)과 제 2 공간(S2)의 구분은 구획 부재(400)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트레이 본체(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벽면(120)에는 설치 프레임(300)이 거치되는 거치홈(121)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거치홈(121)은 트레이 본체(100)의 벽면(120)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특히, 한 쌍의 벽면(120)이 서로 대향 배치됨에 따라 각각의 벽면(120)에 형성되는 거치홈(121)은 같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설치 프레임(300)의 양측이 한 쌍의 벽면(120)에 형성된 한 쌍의 거치홈(121)에 각각 인입되어 그 자세가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전력 케이블(C1) 및 통신 케이블(C2)의 개수 및 굵기에 따라 설치 프레임(300)의 거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벽면(120)에 형성되는 거치홈(121)은 높이차를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어 설치 프레임(300)을 원하는 위치에 해당되는 거치홈(121)에 선택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거치홈(121)은 트레이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됨에 따라 설치 프레임(300)을 거치홈(121)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래서 설치 프레임(300)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화재 발생시 취약한 위치에 설치 프레임(300)을 배치하여 화재로부터 차단되는 영역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트레이 커버(200)는 트레이 본체(100)에 형성된 수용공간의 개구된 상부를 덮는 수단으로서, 트레이 본체(100)를 구성하는 벽면(120)의 상단을 덮으면서 커버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 커버(200)는 펀칭 케이블 트레이(punched bottom cable tray) 방식으로 구현되면서 양단이 벽면(120)의 외표면을 감싸도록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구현될 수 있다.
설치 프레임(300)은 양단이 트레이 본체(100)의 양측 벽면에 거치되도록 폭방향으로 구비되면서 그 하부로 구획 부재(400)와 격리 부재(500)가 결합되는 수단으로서, 트레이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다수개가 배치된다.
설치 프레임(300)의 폭방향으로 양단은 트레이 본체(100)의 벽면에 형성된 거치홈(121)으로 인입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홈(121)의 높이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된다. 그래서 거치홈(121)을 따라 설치 프레임(300)이 트레이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설치 프레임(300)을 트레이 본체(100)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설치 프레임(300)의 하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설치홈(310)이 나란하게 형성된다. 그래서, 선택되는 설치홈(310)에 구획 부재(400) 및 격리 부재(500)를 인입시켜서 고정시킨다.
이때 설치홈(310)의 단면 형상은 구획 부재(400) 및 격리 부재(500)를 고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설치홈(310)은 대략 "Ω"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구획 부재(400) 및 격리 부재(500)가 설치홈(310)에 인입되어 고정되었을 때 자중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획 부재(400)는 설치 프레임(300)의 하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설치홈(310) 중 선택되는 설치홈(310)에 인입되어 고정됨으로써 트레이 본체(100)의 수용공간을 전력 케이블(C1)이 수납되는 제 1 공간(S1)과, 통신 케이블(C2)이 수납되는 제 2 공간(S2)으로 구획한다. 이때 구획 부재(400)가 인입되는 설치홈(310)의 위치에 따라 제 1 공간(S1)과 제 2 공간(S2)의 넓이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케이블(C1)과 통신 케이블(C2)의 개수 및 단면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제 1 공간(S1)과 제 2 공간(S2)의 넓이를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구획 부재(400)는 상단부에 설치홈(310)으로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홈(310)의 내부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 1 설치돌기(411)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설치돌기(411)는 대략 "Ω"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다수개의 설치홈(310) 중 제 1 공간(S1)과 제 2 공간(S2)을 구획하는 지점의 설치홈(310)으로 인입되면서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구획 부재(400)는 내부에 발포 수지(430)가 충진되면서 상단에는 제 1 설치돌기(411)가 형성되는 구획 외피(410)가 구비되고, 구획 외피(410)의 내부에 발포 수지(430)가 충진되면서 발포 수지(430)가 제 2 공간(S2) 방향으로 분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차폐커튼(420)이 내장된다.
이때 차폐커튼(420)은 구획 외피(410)의 내부에서 발포 수지(430)가 수용된 지점을 기준으로 제 2 공간(S2) 방향을 차폐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구획 부재(400)는 트레이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써, 구획 부재(400)의 길이는 특정 길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길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구획 부재(400)가 길이 방향으로 서로 근접되도록 배치되어 그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구획 부재(400)의 일측 상단은 다수의 설치 프레임(300) 중 어느 하나의 설치홈(310)에 인입되어 고정되고, 중간 영역의 상단 및 타측 상단은 다른 설치 프레임(300)의 설치홈(310)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구획 부재(400)의 구획 외피(410)는 소정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내부에는 차폐커튼(420) 및 발포 수지(430)가 내장시킬 수 있도록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수지로 구획 부재(400)가 형성됨에 따라 전력 케이블(C1)과 통신 케이블(C2) 사이를 절연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한편, 구획 외피(410)는 소정의 강성을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분자 수지에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와 같은 강화 섬유를 혼입시켜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한편, 구획 외피(410)는 화재 발생시 화염에 노출되는 경우에 내부에 충진된 발포 수지(430)를 원하는 방향으로 분출할 수 있도록 제 1 공간(S1)을 향하는 측면에 절개선(41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구획 외피(410)가 화염에 노출되면 화염에 의해 상대적으로 다른 영역보다 취약한 절개선(412)이 절개되면서 발포 수지(430)가 분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여 발포 수지(430)를 원하는 위치로 분출시킬 수 있다.
이때 구획 외피(410)에 형성되는 절개선(412)은 제 1 공간(S1)을 향하는 측면에 다수의 절개선(412)이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차를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구획 외피(410)에 충진된 발포 수지(430)가 분출될 때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양이 분출되도록 하여 제 1 공간(S1)과 제 2 공간(S2)을 균일한 비율로 분출되어 발포된 발포 수지(430)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획 외피(41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절개선(412)은 상부에 형성되는 절개선(412a)이 하부에 형성되는 절개선(412b)보다 열에 노출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절개가 먼저 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에 형성된 절개선(412a)의 두께는 하부에 형성된 절개선(412b)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여 화염에 노출되었을 때 먼저 절개되면서 해당 절개선(412a)을 통하여 발포 수지(430a)가 먼저 분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절개선(412a, 412b)은 두께를 다르게 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절개선의 간격을 서로 다르게 하여 상부에 형성되는 절개선(412a)이 하부에 형성되는 절개선(412b)보다 열에 노출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절개가 먼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래서, 상부에서 발포 수지(430a)가 먼저 분출되어 팽창됨에 따라 전력 케이블(C1)을 따라 전파되는 화염을 덮는 형상으로 발포 수지(430a)가 분출되어 화염이 제 2 공간(S2)으로 전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발포 수지(430)는 열에 의해 발포되는 성질을 갖는 발포 입자로서, 소정 크기의 비드형태로 형성된다. 그래서 발포 수지(430)는 소정의 온도에 노출되면 발포되면서 그 부피가 약 20 ~ 30배 정도 팽창되는 성질을 갖는 고분자 수지로 형성된다. 이때 고분자 수지는 발포용 수지, 예를 들어 EPP 및 EPA와 같은 발포용 수지를 주재로 하면서 난연제가 첨가제로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차폐커튼(420)은 발포 수지(430)가 발포되는 경우에 제 1 공간(S1)을 향하여 분출될 수 있도록 제 2 공간(S2)을 향하는 방향으로 차단하는 수단으로서, 트레이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길게 형성되는 철판 또는 철띠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격리 부재(500)는 설치 프레임(300)의 하면 중 제 1 공간(S1)에 해당되는 영역에 형성된 설치홈(310)에 결합되고, 열에 의해 발포되면서 제 1 공간(S1)을 향하여 분출되는 발포 수지(520)가 충진된다.
격리 부재(500)도 구획 부재(400)와 마찬가지로 상단부에 설치 프레임(300)에 형성된 설치홈(310)으로 인입되어 고정되는 제 2 설치돌기(511)가 형성된다. 그래서 다수개의 설치홈(310) 중 제 1 공간(S1)에 형성된 설치홈(310)으로 인입되면서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격리 부재(500)는 내부에 발포 수지(520)가 충진되면서 상단에는 제 2 설치돌기(511)가 형성되는 격리 외피(510)가 구비되고, 격리 외피(510)의 내부에 발포 수지(520)가 충진된다.
한편, 격리 외피(510)도 구획 외피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내부에는 발포 수지(520)가 내장시킬 수 있도록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격리 외피(510)는 소정의 강성을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분자 수지에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와 같은 강화 섬유를 혼입시켜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그리고, 격리 외피(510)에는 제 1 공간(S1)을 향하는 하면에 발포 수지(520)가 분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다수의 절개선(512)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따라 형성된다.
특히, 격리 부재(50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절개선(512) 중 최외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선(512a)은 다른 절개선(512b)보다 열에 노출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절개가 먼저 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최외각에 형성된 절개선(512a)의 두께는 다른 절개선(512b)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여 화염에 노출되었을 때 먼저 절개되면서 해당 절개선(512a)을 통하여 발포 수지(520a)가 먼저 분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때도 마찬가지로 절개선(512a, 512b)의 두께를 다르게 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절개선(512a, 512b)의 간격을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그래서 외각에서 발포 수지(520a)가 먼저 분출됨에 따라 발포 수지(520a)가 팽창하여 분포되는 영역을 한정하는 거푸집 역할을 하고, 그 사이 공간으로 다른 절개선(512b)에서 분출되는 발포 수지(520b)가 팽창되면서 사이 공간에 채워짐에 따라 화염의 전파를 차단하는 댐(dam) 역할을 하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 본체(100)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오픈된 공간으로 발포 수지(520)가 분출되어 팽창되더라도 무의미하게 오픈된 공간으로 발포 수지(520)가 퍼져서 화염의 전파를 차단하는 댐(dan)과 같은 형상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가 화재 발생시 작동되는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하여 케이블 트레이의 주변에 화염에 노출되면, 구획 부재(400)에 형성된 절개선(412)과 격리 부재(500)에 형성된 절개선(512)이 상승된 온도에 의해 절개되면서 그 내부에 충진된 발포 수지(430, 520)가 전력 케이블(C1)이 수납된 제 1 공간(S1)으로 분출되면서 제 1 공간(S1)을 다른 영역과 차단시킨다.
예를 들어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 부재(400)가 화염에 노출되면 내부에 충진된 발포 수지(420)가 발포되면서 부피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구획 부재(400)의 내부 압력이 팽창하는 동시에 화염에 노출되는 구획 부재(400)의 외부 표면 중 상대적으로 취약한 절개선이 절개되면서 그 내부에서 발포되어 팽창되는 발포 수지(430)가 분출된다. 이때 구획 부재(400)에는 절개선(412)이 제 1 공간(S1)을 향하여 형성되었고, 제 2 공간(S2) 방향으로는 차폐커튼(420)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발포 수지(430a, 430b)가 제 1 공간(S1)을 향하여 집중적으로 분출된다.
또한, 구획 부재(400)에 형성된 절개선(412) 중 상대적으로 상부에 형성된 절개선(412a)이 먼저 절개되면서 발포 수지(430a)가 분출됨에 따라 전력 케이블(C1)을 덮는 커버 형태로 발포 수지(430a)가 팽창되면서 전력 케이블(C1)을 통하여 전파되는 화염이 제 1 공간(S1)에서 제 2 공간(S2)으로 전파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 부재(500)가 화염에 노출되면 내부에 충진된 발포 수지(520)가 발포되면서 부피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격리 부재(500)의 내부 압력이 팽창하는 동시에 화염에 노출되는 격리 부재(500)의 외부 표면 중 상대적으로 취약한 절개선(512)이 절개되면서 그 내부에서 발포되어 팽창되는 발포 수지(520)가 분출된다.
이때 격리 부재(500)에 형성된 절개선(512) 중 최외각에 형성된 한 쌍의 절개선(512a)이 먼저, 절개되면서 발포 수지(520a)가 분출됨에 따라 팽창된 발포 수지(520a)들이 거푸집을 형성하고, 이어서 절개되는 절개선(512b)으로 통하여 그 사이 공간으로 분출되는 발포 수지(520b)가 팽창되면서 채워짐에 따라 화염의 전파를 차단하는 댐(dam)이 형성된다.
그래서, 전력 케이블(C1)이 수납된 제 1 공간(S1)은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만큼 격리 부재(500)에서 팽창되어 분출된 발포 수지(520)에 의해 난연성을 갖는 댐(dam)이 형성되고, 트레이 본체(100)의 수용공간은 폭 방향을 따라 구획 부재(400)에서 팽창되어 분출된 발포 수지(430)에 의해 제 1 공간(S1)과 제 2 공간(S1) 사이에 난연성을 갖는 격벽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공간(S1)은 화염이 발생된 구간을 다른 영역과 차단시킴으로써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 및 지연시킬 수 있고, 더불어 화명이 발생된 구간과 인접하는 영역에 수납된 통신 케이블(C2)로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 및 지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C1: 전력 케이블 C2: 통신 케이블
S1: 제 1 공간 S2: 제 2 공간
100: 트레이 본체 110: 바닥면
120: 벽면 121: 거치홈
200: 트레이 커버 300: 설치 프레임
310: 설치홈 400: 구획 부재
410: 구획 외피 411: 제 1 설치돌기
412, 412a, 412b: 절개선 420: 차폐 커튼
430, 430a, 430b: 발포 수지 500: 격리 부재
510: 격리 외피 511: 제 2 설치돌기
512, 512a, 512b: 절개선 520, 520a, 520b: 발포 수지

Claims (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케이블과 통신 케이블이 수납되는 케이블 트레이로서,
    상기 전력 케이블과 통신 케이블이 수납되는 수용공간이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된 트레이 본체와;
    상기 트레이 본체의 수용공간 상부를 덮는 트레이 커버와;
    각각의 양단이 상기 트레이 본체의 양측 벽면에 거치되도록 폭방향으로 구비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설치 프레임과;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단이 상기 다수의 설치 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트레이 본체의 수용공간을 전력 케이블이 수납되는 제 1 공간과 통신 케이블이 수납되는 제 2 공간으로 구획하고, 열에 의해 발포되면서 상기 제 1 공간을 향하여 분출되는 발포 수지가 충진된 구획 부재와;
    상기 설치 프레임의 하면 중 상기 제 1 공간에 해당되는 영역에 결합되고, 열에 의해 발포되면서 상기 제 1 공간을 향하여 분출되는 발포 수지가 충진된 격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본체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벽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벽면에는 상기 설치 프레임이 거치되도록 서로 대향되는 지점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거치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벽면에는 상기 거치홈이 높이차를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설치 프레임은 다수개의 거치홈 중 선택되는 거치홈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 프레임의 하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설치홈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구획 부재는 상단부에 상기 설치홈으로 인입되어 고정되는 제 1 설치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설치홈 중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을 구획하는 지점의 설치홈으로 인입되면서 고정되고,
    상기 격리 부재는 상단부에 상기 설치홈으로 인입되어 고정되는 제 2 설치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설치홈 중 상기 제 1 공간에 형성된 설치홈으로 인입되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부재는,
    내부에 상기 발포 수지가 충진되면서 상단에는 상기 제 1 설치돌기가 형성되는 구획 외피와;
    상기 구획 외피에 상기 발포 수지와 함께 충진되되, 상기 발포 수지가 상기 제 2 공간으로 분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발포 수지가 수용된 지점을 기준으로 제 2 공간방향을 차폐하는 차폐커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 외피에는 상기 제 1 공간을 향하는 측면에 상기 발포 수지가 분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다수의 절개선이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차를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격리 부재는,
    내부에 상기 발포 수지가 내장되면서 상단에는 상기 제 2 설치돌기가 형성되는 격리 외피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리 외피에는 상기 제 1 공간을 향하는 하면에 상기 발포 수지가 분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다수의 절개선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격리 부재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절개선 중 최외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선은 다른 절개선보다 열에 노출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절개가 먼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20190101463A 2019-08-20 2019-08-20 케이블 트레이 KR102053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463A KR102053925B1 (ko) 2019-08-20 2019-08-20 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463A KR102053925B1 (ko) 2019-08-20 2019-08-20 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925B1 true KR102053925B1 (ko) 2019-12-09

Family

ID=6883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463A KR102053925B1 (ko) 2019-08-20 2019-08-20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9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1564A (zh) * 2019-12-19 2020-03-24 临沂大学 一种汽车发动机舱高温区域线束的隔热固定装置
KR102169550B1 (ko) * 2020-04-22 2020-10-23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공동주택건물 외부설치형 정보통신 케이블 트레이
CN112271668A (zh) * 2020-11-16 2021-01-26 山东博能电器设备有限公司 一种电缆桥架弯道连接装置
KR102464602B1 (ko) 2022-01-24 2022-11-10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물 외부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765Y1 (ko) * 2006-03-22 2006-06-01 주식회사 아시아전관 케이블 고정 부재를 구비한 차폐 케이블 트레이
KR100706694B1 (ko) * 2006-12-28 2007-04-13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 확산방지장치
KR100738470B1 (ko) * 2007-03-21 2007-07-11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0913973B1 (ko) 2008-04-16 2009-08-25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방염 케이블 트레이
KR20140004470U (ko) * 2013-01-18 2014-07-28 주식회사 건일 케이블트레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765Y1 (ko) * 2006-03-22 2006-06-01 주식회사 아시아전관 케이블 고정 부재를 구비한 차폐 케이블 트레이
KR100706694B1 (ko) * 2006-12-28 2007-04-13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 확산방지장치
KR100738470B1 (ko) * 2007-03-21 2007-07-11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0913973B1 (ko) 2008-04-16 2009-08-25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방염 케이블 트레이
KR20140004470U (ko) * 2013-01-18 2014-07-28 주식회사 건일 케이블트레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1564A (zh) * 2019-12-19 2020-03-24 临沂大学 一种汽车发动机舱高温区域线束的隔热固定装置
CN110901564B (zh) * 2019-12-19 2023-06-23 临沂大学 一种汽车发动机舱高温区域线束的隔热固定装置
KR102169550B1 (ko) * 2020-04-22 2020-10-23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공동주택건물 외부설치형 정보통신 케이블 트레이
CN112271668A (zh) * 2020-11-16 2021-01-26 山东博能电器设备有限公司 一种电缆桥架弯道连接装置
KR102464602B1 (ko) 2022-01-24 2022-11-10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물 외부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925B1 (ko) 케이블 트레이
EP3828988B1 (en) Ess module having structure enabling prevention of external exposure of flam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100944848B1 (ko) 내화성 폼, 이를 이용한 구조부재, 방화를 위한 개구부의 밀봉시스템 및 벽면에 개구부를 밀봉하는 방법
CN109196743B (zh) 线缆桥架的火灾保护用突起型耐火结构体
KR100913973B1 (ko) 방염 케이블 트레이
US11655919B2 (en) Fire protection sleeve
KR20080049915A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위한 열발포소화성 방화 격벽
JP5301851B2 (ja) スリーブ形成シート及び貫通部構造の形成方法
KR102257905B1 (ko) 외단열 층간 화재 확산 방지용 방화 배리어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US20090308622A1 (en) Fire Protection System for One or More Supply Lines
KR101822006B1 (ko) 이중 진공 단열 블록
AU2018226076B2 (en) Fire protection element
US6128872A (en) Cable protection system
KR200421610Y1 (ko) 케이블 보호관
KR101825392B1 (ko) 화염 포켓 구조를 적용한 차열 차염 부재
CN213169139U (zh) 电池运输箱
KR200395628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20200053536A (ko) 연장 프레임
JP2005067733A (ja) 複合型組み立て式箱体
JP5996335B2 (ja) 耐火処理材及び貫通部の耐火構造
KR20080004154A (ko) 난연 및 불연성 샌드위치패널
JP5985933B2 (ja) 耐火処理材
KR100720975B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02021358B1 (ko) 소화기능을 구비하는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18532B1 (ko) 선택적 내향 실링을 이용한 벽체 관통구 케이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