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628Y1 - 건축용 조립식 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조립식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628Y1
KR200395628Y1 KR20-2005-0018766U KR20050018766U KR200395628Y1 KR 200395628 Y1 KR200395628 Y1 KR 200395628Y1 KR 20050018766 U KR20050018766 U KR 20050018766U KR 200395628 Y1 KR200395628 Y1 KR 2003956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ir hole
hole forming
forming membe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7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영식
Original Assignee
조은판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판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은판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87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6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6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6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조립식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내/외측판 사이에 충진물이 채워진 조립 패널은 자체 강도가 약하여 조립성이 떨어지고, 화재 발생시 내부에 채운 충진물의 어느 한 부위에 불이 붙으면 전체 충진물에 순식간에 번져서 방화벽 기능이 떨어지므로 인명피해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내/외측판(100a)(100b) 사이에 충진재이 채워진 패널몸체(10)를 양쪽의 결합요부(110)와 결합요부(110)에 의해 연속 조립되게 건축용 조립식 패널을 구성함에 있어서, 철제 강판 재질로 에어홀(210)이 형성되는 에어홀 성형부재(200)를 상기 내/외측판(100a)(100b) 사이에 1개 또는 2개를 내면에 밀착시키거나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고, 그 에어홀 성형부재(200)와 내/외측판(100a)(200a)과의 사이 공간에는 액상의 발포성 충진재(300)를 넣고 발포시켜 설치한 것으로서, 패널의 강성이 좋고 충진재 자체의 특성에 의해 난연/불연이나 단열/보온성이 뛰어나며, 에어홀 성형부재에 의해 화기 단절이 되어 방화벽 기능이 매우 우수하고, 패널의 강성이 매우 양호하게 유지되어 종래처럼 패널이 울거나 휘는 현상이 없고, 다수의 에어홀(210)에 의해 소음 감쇄와 방음성이 좋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조립식 패널{Prefabricated panel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조립식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철제 강판 재질로 된 내/외측판 사이에 채워넣는 불연/난연/단열/보온성의 충진물 전체에 화재로 인한 화염이 쉽게 번지지 않도록 하므로서 방화벽 기능이 뛰어나면서도 방음성이 좋고 패널과 패널의 결합력이 증대되는 건축용 조립식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조립식 패널은 건물의 내/외 벽체나 칸막이용으로 연속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일측 단부에는 덮개편이 양쪽에 구비된 결합요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요부에 끼워져 서로 맞물리는 결합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요부와 결합돌부는 대부분 철제 강판 재질의 내/외측판 자체를 절곡하여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내/외측판 사이에는 단열/보온이나 불연/난연성을 갖는 충진물을 넣어서 단열/보온성을 부여하거나 불연/난연성을 부여하고 있는데, 그 충진물로 스티로폼이나 우레탄 또는 광섬유의 부재를 넣는 것은 단열/보온력은 있는 반면 화재 발생시 화염이 쉽게 발생하여 번지고 유독가스가 많이 발생되므로 인명피해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외측판 사이에 채워지는 충진물로 불에 강한 글라스울이나 미네랄울 등의 불연/난연부재만을 넣는 것은 화재시 화염 발생을 어느 정도 지연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일단 어느 한쪽에서 발화가 되기만 하면 전체적으로 그 불길이 쉽게 번지기 때문에 방화벽 기능이 떨어지고, 평소에 패널의 휨 현상이 많은 등 패널 자체의 강도가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내/외측판 사이에 채워지는 충진물로 단열/보온부재와 불연/난연부재를 교대로 반복 적층하여 넣은 패널이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그러한 정도만으로는 패널의 강도나 조립성을 향상시키지 못하였고, 이 역시 화재로 인해 어느 한쪽에서 발화가 되면 순식간에 충진물 전체로 화염이 번지기 때문에 방화벽 기능이 떨어져 대피할 시간적 여유를 얻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해 인명피해가 큰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철제 강판으로 된 내/외측판 내부에 불연/난연이나 단열/보온성을 갖는 충진물을 설치하여 패널을 구성할 때 화재로 인한 충진물의 발화가 쉽게 되지 않아 방화벽 기능이 뛰어난 건축용 조립식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내/외측판 사이에 충진물을 채워 넣어 패널을 구성할 때 전체적으로 강도가 뛰어나 울거나 휨 현상이 없는 건축용 조립식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패널과 패널을 조립할 때 그 양단 조립부위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화기 단절과 소음 감쇄 및 방음성이 좋은 건축용 조립식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기술구성 및 작용을 실시예 별로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해 만들어진 패널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2 는 도 1 의 패널이 양쪽 결합부위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본 고안의 구성 중, 철제 강판 재질의 내/외측판(100a)(100b) 사이에 단열/보온이나 불연/난연성의 충진재를 넣어 패널몸체(10)를 형성하고, 그 패널몸체(10)의 일측 단부는 결합요부(110)로 형성하면서 타측 단부를 상기 결합요부(110)와 맞물리는 결합돌부(120)로 형성하여 패널몸체(10)의 양단에 다른 패널몸체(10)가 연속 조립되게 한 구성은 종래와 같다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철제 강판 재질로 에어홀(210)이 다수 형성되는 에어홀 성형부재(200)를 상기 내/외측판(100a)(100b) 사이의 일 부위에 설치하고, 상기 에어홀 성형부재(200)와 표면판(100a)이나 이면판(200a)과의 사이 공간에는 액상의 발포성 충진재(300)를 넣어 발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포성 충진재(300)는 불연/난연이나 단열/보온의 기능성이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상기 에어홀 성형부재(200)는 도1 및 도2 에서와 같이 완자무늬 형태로 절곡하되 양 단부를 서로 밀착시켜서 에어홀(210)이 지그재그 2겹으로 형성되게 한 것이며, 도2 는 그러한 에어홀 성형부재(200)를 내측판(100a)과 외측판(100b) 사이의 중심부에 설치하고 그 양쪽의 공간에는 액상의 발포성 충진재(300)를 넣고 발포시켜서 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3a 에서와 같이 완자무늬 형태의 에어홀 성형부재(200)를 내측판(100a)과 외측판(100b)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밀착시켜 설치하고 그 나머지 공간에는 액상의 발포성 충진재(300)를 넣고 발포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도3b 에서와 같이 상기 완자무늬 형태의 에어홀 성형부재(200)를 내측판(100a)과 외측판(100b) 모두의 내면에 밀착시켜 설치하고 그 나머지 공간에는 액상의 발포성 충진재(300)를 넣고 발포 성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에어홀 성형부재(200)의 에어홀(210)을 형성하기 위해 완자무늬 형태로 절곡할 때 서로의 양 단부를 밀착시킨 것이므로 공간부에 액화 충진재(300)를 넣고 발포 성형할 때 충진재(300)가 에어홀(210)로 유입되지 않아 에어홀(210)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4a 내지 도4c 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에어홀 성형부재(200)를 다른 형태로 절곡하여 형성한 상태를 보인 일 실시예로서, 도4a 에서와 같이 에어홀 성형부재(200)를 삼각형과 역삼각형이 연속 반복되게 절곡하여 에어홀(210)이 반복되게 한 것이다.
여기서 도4a 와 같이 에어홀 성형부재(200)를 내측판(100a)과 외측판(100b)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게 설치한 다음 그 양쪽의 공간에 액화 충진재(300)를 넣고 발포시켜서 형성하거나 또는 도4b 와 같이 에어홀 성형부재(200)를 내측판(100a)과 외측판(100b)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밀착시켜 설치하면서 나머지 공간에 액화 발포성의 충진재(300)를 넣고 발포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도4c 와 같이 상기 에어홀 성형부재(200)를 내측판(100a)과 외측판(100b) 모두의 내면에 밀착시켜 설치한 다음 그 나머지 공간에 액화 충진재(300)를 넣고 발포 성형할 수도 있으며, 에어홀(210)을 이루기 위해 절곡되는 일측 꼭지점이 거의 밀착된 상태이므로 충진재(300)를 넣고 발포시킬 때 에어홀(210)로 충진재(300)가 유입되지 않아 에어홀(210)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5a 내지 도5c 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에어홀 성형부재(2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강판 재질로 "ㄹ"형이 반복되게 절곡한 후 상하의 개방부를 테이프나 종이로 된 커버지(220)로 막아서 에어홀(210)이 형성되게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5a 와 같이 에어홀 성형부재(200)를 내측판(100a)과 외측판(100b)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게 설치한 다음 그 양쪽의 공간에 액화 충진재(300)를 넣고 발포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5b 와 같이 개방부가 커버지(220)로 막히는 에어홀 성형부재(200)를 내측판(100a)과 외측판(100b)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밀착시켜 설치하고 그 나머지 공간에 액화 충진재(300)를 넣어 발포 성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3c 와 같이 상기 커버지(220)가 부착되는 에어홀 성형부재(200)를 내측판(100a)과 외측판(100b) 모두의 내면에 밀착시켜 설치한 다음 그 중앙의 공간에 액화 충진재(300)를 넣어 발포 성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내/외측판(100a)(100b) 사이에 상기 에어홀 성형부재(200)를 설치한 후 액화 충진재(300)를 넣어 발포시킬 때 상기 에어홀 성형부재(200)의 개방부가 커버지(220)로 막혀 격리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액화 충진재(300)를 넣어 발포시킬 때 그 발포되는 충진재(300)가 에어홀(210) 속으로 유입되지 않아 에어홀(210) 형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에어홀 성형부재(200)가 내/외측판(100a)(100b)의 중앙에 설치된 타입의 경우에는 양쪽의 충진재(300)를 받쳐주는 상태에서 내/외측판(100a)(100b) 사이의 간격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주므로 내/외측판(100a)(100b)의 간격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홀 성형부재(200)가 내/외측판(100a)(100b)의 어느 일측 내면에만 설치되거나 양쪽 모두의 내면에 설치되는 타입의 경우에도 반대쪽 충진재(300)를 지지함과 아울러 내/외측판(100a)(100b)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 모두를 받쳐주므로 패널 몸체가 종래처럼 울거나 휠 우려가 없다.
또한, 상기 에어홀 성형부재(200)에 의해 다수의 에어홀(210)이 양호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양쪽면에 충진재(300)가 발포 성형된 것이므로 평소에는 방음 단열의 효과를 발휘하고, 화재시에는 내/외측판(100a)(100b)의 어느 한 부위에 화기가 집중되어 그 부위에 있는 충진재(300)에 발화가 되더라도 다른 쪽 충진재(300)는 화기와 단절된 상태를 이루므로 불길이 쉽게 번지지 않는다.
또한, 에어홀 성형부재(200)에 형성된 다수의 에어홀(210)도 서로 격리된 것이므로 어느 일측 에어홀(210)로 화염이나 연기가 침투하더라도 그 화염이나 연기가 다른 에어홀(210)로 신속하게 번지는 것을 차단하여 줌에 따라 사람들이 대피할 시간적 여유를 충분히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방화벽 기능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에어홀 성형부재(200)와 내/외측판(100a)(100b) 사이의 공간에 발포성 충진재(300)를 채울 때 일측 충진재(300)는 화재에 강한 광물질섬유로된 불연/난연 부재로 설치하고, 다른 쪽 충진재(300)는 스티로폼이나 우레탄 등의 단열/보온 부재로 설치하면 불연/난연 기능과 단열/보온 기능을 함께 발휘할 수 있어 바람직하며, 이 외에도 양쪽을 같은 재질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에어홀 성형부재(200)에 형성된 무수한 에어홀(210)에 의해 소음 감쇄와 방음성이 매우 뛰어나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패널과 다른 패널을 결합하였을 때 그 결합부위에서의 강성이 상당히 증대됨에 따라 화재시 화염이나 화기가 그 결합부위의 틈새로 쉽게 유입되지 못하므로 화기단절의 효과도 양호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실내의 칸막이용으로 설치할 수 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패널을 이루는 내/외측판 사이에 에어홀 성형부재를 설치하면서 공간부에 충진재(300)를 발포시켜 설치하는 것이므로 패널의 강성이 좋고 충진재 자체의 특성에 의해 난연/불연이나 단열/보온성이 뛰어나다.
그리고, 어느 한쪽 충진재에 화재로 인한 발화가 있더라도 에어홀 성형부재에 의해 화기 단절이 되어 그 불이 다른 쪽의 충진재에 쉽게 번지지 않아 대피할 시간적 여유를 만들어주는 방화벽 기능이 매우 우수하며, 철제 강판 재질로 만들어지는 에어홀 성형부재가 충진재와 함께 내/외측판을 견고하게 받쳐주므로 패널의 강성이 매우 양호하게 유지되어 종래처럼 패널이 울거나 휘는 현상이 없고, 다수의 에어홀(210)에 의해 소음 감쇄와 방음성이 좋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해 만들어진 패널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2 는 도 1 의 패널이 양쪽 결합부위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3a 와 도3b 는 본 고안에서 에어홀 성형부재를 달리 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4a 내지 4c 는 본 고안의 에어홀 성형부재를 다른 형태로 형성하여 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5a 내지 5c 는 본 고안의 에어홀 성형부재를 또 다른 형태로 형성하여 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패널몸체 100a,100b: 내/외측판
110 : 결합요부 120 : 결합돌부
200 : 에어홀 성형부재 210 : 에어홀
220 : 커버지 300 : 충진재

Claims (4)

  1. 철제 강판 재질의 내/외측판(100a)(100b) 사이에 단열/보온이나 불연/난연성의 충진재를 넣어 패널몸체(10)를 형성하고, 그 패널몸체(10)의 일측 단부는 결합요부(110)로 형성하면서 타측 단부를 상기 결합요부(110)와 맞물리는 결합돌부(120)로 형성하여 패널몸체(10)의 양단에 다른 패널몸체(10)가 연속 조립되게 한 건축용 조립식 패널에 있어서,
    철제 강판 재질로 에어홀(210)이 형성되는 에어홀 성형부재(200)를 상기 내/외측판(100a)(100b) 사이에 1개 또는 2개를 내면에 밀착시키거나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고, 그 에어홀 성형부재(200)와 내/외측판(100a)(200a)과의 사이 공간에는 액상의 발포성 충진재(300)를 넣고 발포시켜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홀 성형부재(200)는,
    완자무늬 형태로 절곡하되 양 단부를 서로 밀착시켜서 격리된 다수의 에어홀(210)이 지그재그 2겹으로 형성되게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홀 성형부재(200)는,
    삼각형과 역삼각형이 연속 반복되게 절곡하여 같은 형으로 격리된 다수의 에어홀(210)이 반복 형성되게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홀 성형부재(200)는,
    "ㄹ"형이 반복되게 절곡한 후 표면과 이면의 개방부를 테이프나 종이로 된 커버지(220)로 막아서 다수의 격리된 에어홀(210)이 형성되게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20-2005-0018766U 2005-06-29 2005-06-29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2003956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766U KR200395628Y1 (ko) 2005-06-29 2005-06-29 건축용 조립식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766U KR200395628Y1 (ko) 2005-06-29 2005-06-29 건축용 조립식 패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683A Division KR100720975B1 (ko) 2005-06-29 2005-06-29 건축용 조립식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628Y1 true KR200395628Y1 (ko) 2005-09-13

Family

ID=43696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766U KR200395628Y1 (ko) 2005-06-29 2005-06-29 건축용 조립식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6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267B1 (ko) 2006-02-14 2007-01-19 김미경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KR100922175B1 (ko) 2009-04-22 2009-10-19 주식회사 화인텍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CN117449496A (zh) * 2023-12-12 2024-01-26 广东正元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抗地震隔音防火防潮建筑墙体构造及其制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267B1 (ko) 2006-02-14 2007-01-19 김미경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KR100922175B1 (ko) 2009-04-22 2009-10-19 주식회사 화인텍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CN117449496A (zh) * 2023-12-12 2024-01-26 广东正元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抗地震隔音防火防潮建筑墙体构造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2316B2 (en) Fireproof door
KR101056746B1 (ko) 유리 커튼월의 단열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395628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20040063015A (ko) 흡음 판넬
KR100874555B1 (ko) 공동주택용 피난구 구조
KR100720975B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00701614B1 (ko) 내화성의 조립식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90694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00671267B1 (ko)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KR102178344B1 (ko) 화재 확산 방지구조 및 시공방법
KR200391703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01866237B1 (ko) 조립식 벽체 패널 구조체
KR100720999B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200415012Y1 (ko)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JP4427099B2 (ja) 乾式間仕切壁構造
KR102005778B1 (ko) 목재 방화문
KR200389563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00715107B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00715109B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02538796B1 (ko) 결로방지 및 화재확산방지 구조 방화문
KR200387941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JP2007100391A (ja) 遮炎機能を備えた建築用壁体および遮炎機能を備えた建築物、ならびに建築物の防火方法
KR101494657B1 (ko) 불연(不燃)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183493Y1 (ko) 방화기능을 갖는 실내도어
KR200333011Y1 (ko) 샌드위치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