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012Y1 -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 Google Patents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012Y1
KR200415012Y1 KR2020060004069U KR20060004069U KR200415012Y1 KR 200415012 Y1 KR200415012 Y1 KR 200415012Y1 KR 2020060004069 U KR2020060004069 U KR 2020060004069U KR 20060004069 U KR20060004069 U KR 20060004069U KR 200415012 Y1 KR200415012 Y1 KR 2004150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t
thermal insulation
panel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경
Original Assignee
김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경 filed Critical 김미경
Priority to KR2020060004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0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0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0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8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4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profiled space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부피단열재인 보온단열재만을 사용한 패널은 보온단열기능과 방음성이 상당히 떨어지고 화재에 취약하며, 강도가 약하여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연속 조립되는 패널을 구성함에 있어서, 기존 보온단열재(300), 복사열을 차단하는 열반사단열재(220), 다수의 통공이 구비된 1,2차흡음판(210)(230), 2차흡음판(230)과의 사이에 일정간격의 공간부(242)가 다수 구비되는 방화판(240); 상기 공간부(242)마다 설치되는 무기질 난연불연재(250); 로 방화벽(200)을 형성하고, 그 방화벽(200)을 보온단열재(300)와 함께 내/외측판 사이에 설치한 것으로서, 보온단열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복사열 차단은 물론 대류열 및 전도열까지 4~10배 차단하므로 냉,난방에 필요한 에너지 절감 효과가 뛰어나며, 소음의 고주파수와 중주파수 및 저주파수를 보온단열재, 1,2차흡음판 및 열반사단열재, 무기질 난연불연재가 여러차례에 걸쳐 흡차음하므로 방음 기능이 매우 탁월하고, 어느 한쪽에서 화재 발생시 화염이 반대면 쪽으로 번지려는 것을 상기 구성요소들이 여러 단계에 걸쳐 지연시켜 주므로 방화벽 기능이 탁월하며, 패널의 강성이 증대되는 등 복합기능이 발휘되는 유용한 패널이다.
보온단열재, 열반사단열재, 흡음판, 방화판, 방화벽, 난연불연재

Description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Panel for assembly of a compley function}
도1 은 본 고안이 실시된 패널의 일례를 보인 측단면도
도1a 은 본 고안의 상기 도1 패널의 구조를 일부 확대한 측단면도
도1b 는 본 고안의 상기 도1a 패널에서 무기질 난연불연재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의 측단면도
도1c 과 1d 는 본 고안에서 내부의 방화벽이 달리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2a 내지 2e 는 본 고안의 패널에 설치되는 방화벽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3a 내지 3d 는 본 고안의 패널에 설치되는 방화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패널몸체 110 : 내측판
120 : 외측판 200 : 방화벽
210 : 1차흡음판 220 : 열반사단열재
230 : 2차흡음판 211,231 : 통공
240 : 방화판 241 : 간격유지구
240 : 공간부 243 : 2차흡음면
244 : 방화면 250 : 난연불연재
본 고안은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을 조립할 때 사용하는 조립식 패널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패널의 보온단열성과 강성이 향상되고 방화벽 기능이 뛰어난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체나 천정 조립용으로 사용되는 패널은 건물로부터의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냉난방에 따른 에너지 소비를 절약하기 위해 보온 단열 기능이 뛰어나야만 하고, 연속 조립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 패널은 대부분 철판 재질의 내/외측판 사이에 보온단열재나 무기질의 난연 불연재를 설치하여 보온 단열성과 난연 불연성을 부여하고 있으며, 연속 조립을 위한 구조로 패널의 일측에는 결합돌부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돌부가 끼워지는 결합요부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온단열재로 사용되는 스티로폼이나 우레탄은 두께에 비해 보온 단열성이 떨어지므로 상기 보온단열재들로 보온 단열성을 높히려면 패널의 두께가 필요이상 두꺼워져야 하고, 이러한 경우는 시공성이 떨어져 상품성이 없다고 할 수 있으므로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보온 단열성을 높힐 수 있는 패널의 개발 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출원인은 2001년도에 에어포켓이 구비된 조립식 패널을 개발하여 고안특허제430131호로 등록한 바 있다. 상기 선고안은 철판 재질의 내/외측판 사이에 분리된 2개의 보온단열재를 설치하되 일측 보온단열재의 표면에 다수의 격자형 에어포켓을 구비하여 상기 2개의 보온단열재를 포개면 에어포켓이 공기층을 이루어 보온단열 효과를 증대시키도록 한 것이다.
즉, 공기층의 열저항은 공기층 내부에서 전도와 대류 복사에 의한 열전달에 의하여 형성되며, 이때 그 공기층은 밀폐되어 있어야만 단열효과가 크게 발휘되고, 밀폐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승된 단열효과가 발휘되지 못하므로 단열효과는 공기층의 기밀력이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의 선고안은 보온단열재의 내/외 표면을 철판으로 단순하게 감싸는 구조이므로 공기층의 기밀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기술이 추가로 개발되기 전에는 상승된 단열효과를 발휘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패널은 모두 보온 단열 기능이 떨어지고 화재시 어느 한쪽에서 발화가 되면 전체적으로 그 불길이 쉽게 번지기 때문에 방화벽 기능이 떨어지며, 특히 패널의 강도가 약하여 쉽게 휘는 경향이 있어서 이러한 패널로 시공된 건물은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 의 목적은 패널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보온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어 에너지 절감을 상당히 이룰 수 있는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흡차음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화재 발생시 방화벽 기능이 우수하여 인명과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고, 패널의 강성이 우수하여 조립건물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기술구성 및 작용을 실시예 별로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은 본 고안에 의해 만들어진 패널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본 고안의 구성중 철제 강판 재질의 내/외측판(110)(120) 사이에 보온단열재(300)를 단수 또는 복수로 설치하여 패널몸체(100)를 구성하고, 상기 패널몸체(100)는 양단의 결합돌부(102) 및 결합요부(101)에 의해 연속 조립되게 한 조립식 패널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패널몸체(100)를 구성하는 내/외측판(110)(120) 사이에 보온단열재(300) 외에 열반사단열재(220)(다층구조반사단열재 또는 알루미늄반사단열재를 포함한다. 이하 "열반사단열재"라 칭함), 1차흡음판(210), 2차흡음판(230), 방화판(240), 무기질 난연불연재(250)로 이루어진 방화벽(200)을 구비하여 흡차음 방음기능, 단열 보강기능, 방화벽 기능, 패널의 강성유지기능 등 복합기능 이 발휘될 수 있는 다양한 패널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1a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복사열을 차단하는 열반사단열재(220)와; 상기 열반사단열재(220)의 표면에 부착되며, 다수의 통공(211)이 형성된 철판 재질의 1차흡음판(210)과; 상기 열반사단열재(220)의 이면에 부착되며, 다수의 통공(231)이 형성된 철판 재질의 2차흡음판(230)과; 다수의 간격유지구(241)에 의해 상기 2차흡음판(230)과의 사이에 일정간격의 구획된 공간부(242) 다수가 구비되는 철판 재질의 방화판(240)과; 상기 2차흡음판(230)과 방화판(240) 사이의 구획된 공간부(242)에 설치되는 무기질 난연불연재(250); 로 방화벽(200)을 형성하고, 상기 방화벽(200)을 내/외측판(110)(120) 사이에 보온단열재(300)와 함께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도1b 는 상기 방화벽(200)의 구성으로, 복사열을 차단하는 열반사단열재(220)와; 상기 1차흡음판(210) 및 2차흡음판(230)과; 다수의 간격유지구(241)에 의해 상기 2차흡음판(230)과의 사이에 구획된 공간부(242) 다수가 구비되는 철판 재질의 방화판(240); 으로만 구성한 것이다.
도1c 은 상기 방화벽(200)을 내측판과 외측판 사이에 보온단열재(300)와 함께 설치할 때 상기 내측판(110)과 외측판(120)의 내면 중 어느 한쪽의 내면에는 보온단열재(300)를 설치하고, 다른 쪽의 내면에는 상기 방화판(240)을 설치한 것이다.
도1d 는 상기 방화벽(200)을 내측판과 외측판 사이에 보온단열재(300)와 함께 설치할 때 상기 방화판(240)을 각각 내/외측판(110)(120)의 내면에 먼저 설치하 고, 그러한 방화판(240)과 방화판(240) 사이에 보온단열재(30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2a 내지 2e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방화벽(200)을 구성하는 2차흡음판(230)과 간격유지구(241)를 1개의 방화판(240)으로 일체형이 되게 형성한 것이다.
즉, 방화판(240)을 반복되는 완자무늬 형태 또는 삼각형과 역삼각이 반복되는 형태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절곡하여 형성하되, 표면은 다수의 통공(231)이 구비된 2차흡음면(243)을 이루도록 하고, 이면은 방화면(244)을 이루도록 하며, 내부는 구획된 다수의 공간부(242)를 이루도록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2차흡음면(243)은 2차흡음판(230) 기능을 하고, 상기 방화면(244)은 방화판(240) 기능을 하며, 이는 간격유지구(241)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표면의 2차흡음면(243)과 이면의 방화면(244)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도3a 내지 3d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방화벽(200)을 이루기 위해 열반사단열재(220)의 이면에 설치되는 2차흡음판(230)을 "ㄹ"자형으로 연속 반복시켜 형성하되 열반사단열재(220)와 접촉되는 표면에 다수의 통공(231)이 구비되게 한 것으로서, 이러한 2차흡음판(230)은 돌출부의 높이에 의해 간격유지구(241)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방화판(240)과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주파수에 따른 소음을 보온단열재(300)와 1,2차흡음판(210)(230) 및 무기질 난연불연재(250)에서 3단계에 걸쳐 흡차음하여 제거시켜 주므로 방음 기능이 탁월한 것이다.
즉, 소음은 고주파수와 중주파수 및 저주파수로 구분되는데, 이중 고주파수는 밀도가 높은 보온단열재(300)에서 흡차음하여 잡고, 보온단열재(300)를 통과한 소음의 저주파수는 다수의 통공(211)이 구비된 1차흡음판(210)에 도달하면 1차흡음판(210)의 통공(211)을 통해 내부의 열반사단열재(220)에 흡차음되어 제거된다.
또한 상기 열반사단열재(220)를 통과한 중주파수는 2차흡음판(230)의 통공(231)을 통해 방화벽(200) 내부로 유입된 후 밀도가 낮은 무기질 난연불연재(250)에 마지막으로 흡차음되어 제거되므로 본 고안은 소음에 따른 3차례의 흡차음 효과에 의해 방음기능이 기존의 패널에 비해 매우 탁월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내/외측판(110)(120) 사이에 설치되는 양쪽 보온단열재(300)에 의한 단열, 열반사단열재(220)에 의한 단열, 무기질 난연불연재(250)에 의한 단열 등 여러단계에 걸쳐서 보온단열 기능이 발휘되고, 복사열과 대류열 및 전도열까지 이상적으로 차단하여 주므로 종래 패널에 비해 보온단열 효과가 매우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구성요소 중에서 상기 보온단열재(300)는 스치로폼이나 우레탄 등과 같은 부피단열재이고, 방화판(240)은 얇은 철제의 강판이며, 상기 열반사단열재(220)는 항공우주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순수 99.9%의 알루미늄막이나 알루미늄박이 일면 또는 양면에 사용되어 복사열 차단기능이 양호한 단열재로서 다층구조반사단열재 또는 알루미늄반사단열재를 포함한다.
상기 열반사단열재(220)는 부피단열재인 스치로폼, 우레탄, 글라스울 등에 비해 두께는 상당히 얇으면서도 열관류저항과 열관류율(열전달 값)은 아래와 같이 더 양호하여 단열성이 좋은 것이다.
즉, 약 4mm의 열반사단열재(220)가 갖는 열관류 저항은 약1.5~1.6이고 열관류율은 0.93~0.95 로서 이는 약 35mm의 스치로폼(열관류 저항은 1.01~1.02 이고 열관류율은 0.97 내외)에 비해서는 약 8~9배의 단열효과가 있고, 약 20mm의 우레탄(열관류 저항은 1.04~1.06 이고 열관류율은 0.953 내외)에 비해서는 약 5배의 단열효과가 있다.
그리고, 약 40mm 의 글라스울(열관류저항은 1.05~1.06 이고, 열관류율은 0.953 내외)에 비해서는 약 10배의 단열효과가 있다.
또한, 열원에서 전달되는 열은 복사열, 전도열, 대류열의 세가지로 분류되는데 이 중 복사열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으며, 스치로폼과 같은 부피단열재는 전도열을 일부 지연시키는 역할만 하지만 상기 열반사단열재(220)는 큰 비중의 복사열을 최고 97% 까지 차단하여 주는데 이는 복사열 차단에 필요한 공기층이 있어야만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열반사단열재(220)의 표면에서는 1차흡음판(210)의 통공(211)을 통해 보온단열재(300)가 공기층 역할을 하고, 열반사단열재(220)의 이면에서는 2차흡음판(230)의 통공(231)을 통해 무기질 난연불연재(250)가 공기층 역할을 하여 준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열반사단열재(220)는 표면과 이면에 구비된 보온단열재(300) 및 무기질 난연불연재(250)와 더불어서 단열 증대에 필요한 복사열 차단은 물론 전도열과 대류열까지 함께 이상적으로 차단하여 주므로 보온 단열효과가 매우 극대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화재 발생으로 인해 패널의 일측에 붙은 화염이 패널의 반대면으로 옮겨붙으려 할 때 상기 패널의 내부에 설치된 방화벽(200)이 불길의 번짐을 여러 단계에 걸쳐 막아주므로 대피할 시간적 여유를 상다히 벌어줄 수 있는 방화패널로서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철제 방화벽(200)이 화염의 번짐을 1차 지연시켜 주고, 무기질 난연불연재(250), 열반사단열재(220) 및 1,2차흡음판(210)(230)이 차례로 화염의 번짐을 지연시켜 준다.
특히, 무기질 난연불연재(250)는 어느 일측에 화염이 발생되면 순간적으로 전체에 번지게 되지만 본 고안은 방화벽(200) 내부의 구획된 공간부(242)에 의해 무기질 난연불연재(250)가 서로 격리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불길이 옮겨붙는 것을 최대한 지연시켜 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어느 일측에서 발생된 화재의 불길이 패널의 반대쪽 면으로 옮겨 붙으려 하는 것을 상기와 같이 방화판(240), 격리 설치된 무기질 난연불연재(250), 열반사단열재(220) 및 1,2차흡음판(210)(230)의 여러 단계에 걸쳐서 지연시켜 주는 것이므로 방화벽(200) 기능을 매우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1차흡음판(210)과 2차흡음판(230)에 의해 그 사이에 구비된 열반사단열재(220)가 운반, 취급, 시공단계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러한 1,2차흡음판(210)(230)과 간격유지구(241) 및 방화판(240)으로 이루어진 방화벽(200)이 내/외측판(110)(120)과 단열재 사이에 설치되어 외측의 보온단열재(300)와 내/외측판(110)(120)을 견고하게 받쳐주는 구조이므로 상기 방화벽(200) 은 방화 기능 외에 패널 자체의 강성을 매우 견고하게 유지시켜 주어 조립되는 건물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1c. 2c. 3c 과 같이 상기 내측판(110)과 외측판(120)의 내면 중 어느 한쪽의 내면에는 보온단열재(300)를 설치하고, 다른 쪽의 내면에는 상기 방화판(240)을 설치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이 역시 상기에서 언급된 반사열을 차단하는 보온단열기능, 소음을 흡차음하는 방음기능, 방화벽 기능, 패널의 강성보강 기능 등이 복합적으로 발휘된다.
그리고 도1d, 2d, 3d 와 같이 패널의 내부에 방화벽(200)을 2중으로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패널의 무게가 많이 나가는 점이 있지만 패널의 강성은 보다 높게 유지되므로 내구성을 높게 유지하고자 할 때의 패널로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내/외측판 사이에 보온단열재, 복사열 차단이 최고 97%까지 되는 열반사단열재, 무기질 난연불연재 외에 철판 재질의 1,2차흡음판과 간격유지구 및 방화판으로 이루어진 방화벽을 설치함에 따라 보온단열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복사열의 차단은 물론 대류열 및 전도열까지 이상적으로 차단하여 주므로 보다 극대화된 보온 단열 효과가 있다.
따라서 스치로폼이나 우레탄, 글라스울을 사용한 동일 두께의 기존 패널에 비해 4~10배의 보온단열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서 냉,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 절 감의 효과가 매우 뛰어난 것이다.
그리고, 밀도가 높은 보온단열재와 1,2차흡음판으로 둘러쌓인 열반사단열재 및 무기질 난연불연재에 의해 소음의 고주파수와 중주파수 및 저주파수를 3차에 걸쳐 흡차음하여 모두 제거시킴에 따라 방음 기능이 매우 탁월한 것이다.
또한 어느 일측에서 발생된 화재의 불길이 패널의 반대쪽 면으로 옮겨 붙으려 하는 것을 상기와 같이 철재의 방화판, 격리 설치된 무기질 난연불연재, 열반사단열재 및 1,2차흡음판이 여러 단계에 걸쳐 화염의 번짐을 지연시켜 주므로 방화벽 기능을 매우 뛰어난 것이며, 상기 철제 방화벽에 의해 패널의 강성이 증대되는 등 여러가지의 복합기능이 발휘되는 조립식 패넬이다.

Claims (6)

  1. 철제 강판 재질의 내/외측판(110)(120) 사이에 보온단열재(300)를 단수 또는 복수로 설치하여 패널몸체(100)를 구성하고, 상기 패널몸체(100)는 양단의 결합돌부(102) 및 결합요부(101)에 의해 연속 조립되게 한 조립식 패널에 있어서,
    복사열을 차단하는 열반사단열재(220)와;
    상기 열반사단열재(220)의 표면에 부착되며, 다수의 통공(211)이 형성된 철판 재질의 1차흡음판(210)과;
    상기 열반사단열재(220)의 이면에 부착되며, 다수의 통공(231)이 형성된 철판 재질의 2차흡음판(230)과;
    다수의 간격유지구(241)에 의해 상기 2차흡음판(230)과의 사이에 일정간격의 구획된 공간부(242) 다수가 구비되는 철판 재질의 방화판(240)과;
    상기 2차흡음판(230)과 방화판(240) 사이의 귀획된 공간부(242)에 설치되는 무기질 난연불연재(250);
    로 방화벽(200)을 형성하고,
    상기 방화벽(200)을 내/외측판(110)(120) 사이에 보온단열재(300)와 함께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단열재(300)와 보온단열재(300) 사이에 설치되는 방화벽(200)은,
    복사열을 차단하는 열반사단열재(220)와;
    상기 열반사단열재(220)의 표면과 이면에 설치되는 1차흡음판(210) 및 2차흡음판(230)과;
    다수의 간격유지구(241)에 의해 상기 2차흡음판(230)과의 사이에 구획된 공간부(242) 다수가 구비되는 철판 재질의 방화판(240);
    으로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판(110)과 외측판(120)의 내면 중 어느 한쪽의 내면에는 보온단열재(300)를 설치하고, 다른 쪽의 내면에는 상기 방화판(24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판(240)을 각각 내/외측판(110)(120)의 내면에 먼저 설치하고,
    그러한 방화판(240)과 방화판(240) 사이에 보온단열재(30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5.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벽(200)을 구성하는 2차흡음판(230)과 간격유지구(241)를 1개의 방화판(240)으로 일체형이 되게 형성하되
    반복되는 완자무늬 형태 또는 삼각형과 역삼각이 반복되는 형태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절곡하여 표면은 다수의 통공(231)이 구비된 2차흡음면(243)을 이루도록 하고, 이면은 방화면(244)을 이루도록 하며, 내부는 구획된 다수의 공간부(242)를 이루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6.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벽(200)을 이루기 위해 열반사단열재(220)의 이면에 설치되는 2차흡음판(230)은,
    "ㄹ"자형으로 연속 반복하여 형성하되 열반사단열재(220)와 접촉되는 표면에 다수의 통공(231)이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KR2020060004069U 2006-02-14 2006-02-14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KR2004150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069U KR200415012Y1 (ko) 2006-02-14 2006-02-14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069U KR200415012Y1 (ko) 2006-02-14 2006-02-14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978A Division KR100671267B1 (ko) 2006-02-14 2006-02-14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012Y1 true KR200415012Y1 (ko) 2006-04-26

Family

ID=41764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069U KR200415012Y1 (ko) 2006-02-14 2006-02-14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01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267B1 (ko) 2006-02-14 2007-01-19 김미경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KR101085941B1 (ko) * 2009-07-06 2011-11-22 이무진 비내력벽용 단열, 불연, 방습 내외장재
CN110005158A (zh) * 2019-05-15 2019-07-12 江苏瑞吉达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防火隔音式环保装饰用复合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267B1 (ko) 2006-02-14 2007-01-19 김미경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KR101085941B1 (ko) * 2009-07-06 2011-11-22 이무진 비내력벽용 단열, 불연, 방습 내외장재
CN110005158A (zh) * 2019-05-15 2019-07-12 江苏瑞吉达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防火隔音式环保装饰用复合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746B1 (ko) 유리 커튼월의 단열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671267B1 (ko)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KR20090066087A (ko)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
KR200415012Y1 (ko)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
KR100750090B1 (ko) 진공포켓을 이용한 복합기능 패널
KR100701614B1 (ko) 내화성의 조립식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5152B1 (ko) 차열방화유리 구조체
KR200390694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JP5965112B2 (ja) 耐火パネル
KR100750091B1 (ko) 진공코아를 이용한 패널
KR200391703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02175742B1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내벽용 단열패널
JP5777056B2 (ja) 防火パネルおよびパネル建材
KR102183931B1 (ko) 복합 성능을 향상시킨 방화문의 패널구조
KR200387941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00683570B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01007757B1 (ko) 슬림형 단열 복합패널
KR100741392B1 (ko) 난연 및 불연성 샌드위치패널
KR100720999B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00601339B1 (ko) 내화성 샌드위치패널
KR100720975B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02538796B1 (ko) 결로방지 및 화재확산방지 구조 방화문
KR101219077B1 (ko) 난연성 건축용 패널
KR20200128779A (ko) 고차음 및 고내화 건축·선박용 패널
CN215483716U (zh) 一种建筑隔音建筑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