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344B1 - 화재 확산 방지구조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확산 방지구조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344B1
KR102178344B1 KR1020180145860A KR20180145860A KR102178344B1 KR 102178344 B1 KR102178344 B1 KR 102178344B1 KR 1020180145860 A KR1020180145860 A KR 1020180145860A KR 20180145860 A KR20180145860 A KR 20180145860A KR 102178344 B1 KR102178344 B1 KR 102178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pad
fire protection
protection foam
fire
insulatio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0817A (ko
Inventor
이문주
한재용
손종규
Original Assignee
(주)엔비텍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비텍이앤씨 filed Critical (주)엔비텍이앤씨
Priority to KR1020180145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3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0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04B1/803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with vacuum spaces included in the sla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2Slab shaped vacuum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는 벽체에 부착되는 제 1방화폼패드와, 상기 제 1방화폼패드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 1방화폼패드의 외측 중앙부에 부착되는 진공단열재와, 상기 진공단열재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상기 진공단열재의 외측에 부착되는 제 2방화폼패드와, 상기 제 1방화폼패드와, 상기 진공단열재와, 상기 제 2방화폼패드의 상단 및 하단을 감싸면서 상기 벽체에 결합되는 비난연단열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재 확산 방지구조 및 시공방법{STRUCTURE FOR PREVENTING FIRE DIFFUS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재 확산 방지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단열 시스템에서 단열재를 통한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창호 및 외벽을 통한 열손실이다. 이 중에서 외벽을 통한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단열재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단열재가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외단열 공법과 내단열 공법으로 나뉜다. 이중 외단열 공법은 벽의 외주면에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이다.
외단열 공법은 장점 및 단점을 가지는데, 장점으로는 외장재 바로 안쪽에 효과적인 단열층을 형성하여 햇빛과 추위에 의한 냉각의 영향을 받지 않아 열 손실이 적으며, 바닥이나 벽, 지붕 실내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축열체로서 사용할 수 있어 실내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가 적기 든다. 또한, 건물 구조가 실내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축열체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실내에 극단적인 온도차가 생기기 어렵고, 겨울철 결로의 염려가 적다.
이에 반해,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건축물을 에어컨 등 공조에 의해 적정 온도의 경우 내부 공간 이외의 구조체에 열이 전해지기 때문에 온도 유지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건물의 형상에 따라 시공 시간이 걸리고 인건비가 많이 들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외단열 공법의 하나로 드라이비트 공법이 있다. 드라이비트 공법은 건물 외벽에 스티로폼 등 가연성 소재를 붙이고 그 위에 메쉬 등을 부착한 후, 메쉬에 석고나 시멘트를 덧붙이는 마감 방식이다.
이와 같은 외단열 공법에 단열재로 가연성 소재가 사용된 경우 화재 시 불길이 빠르게 번지고 유독가스를 내뿜어 인명피해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외단열 공법에서 단열재를 통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화재 확산 방지구조에 대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 - 624호에 고시되었다.
그러나 최근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을 개정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이중 화재 확산 방지구조에 관련해서는 제24조(건축물의 마감재료) 6항에서는 "건축물의 외벽을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화재 확산 방지구조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6층 미만이면서 22미터 미만인 건축물은 난연성이 없는 재료를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앞으로 6층 미만인 건축물에서 외단열을 도입할 경우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사용하면서 단열재를 난연성이 없는 재료를 사용한 건물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화재확산방지재료를 매 2개 층마다 설치하게 되면 난연성은 높아지지만 단열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건물 에너지를 저감한다는 측면에서는 불리한 측면이 있었다.
또한, 화재확산방지재료가 설치된 부분은 건물 외벽으로 돌출되어 건물 외벽의 디자인을 제안하는데 있어서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1320호(2017. 01. 04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가지면서도 화재 확산 방지구조가 형성되는 곳의 단열성능을 해치지 않는 화재 확산 방지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화재 확산 방지구조가 형성되더라도 화재 확산 방지구조가 형성된 부분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화재 확산 방지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벽체와 화재 확산 방지구조체 사이의 틈새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 확산 방지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는 벽체에 부착되는 제 1방화폼패드와, 상기 제 1방화폼패드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 1방화폼패드의 외측 중앙부에 부착되는 진공단열재와, 상기 진공단열재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상기 진공단열재의 외측에 부착되는 제 2방화폼패드와, 상기 제 1방화폼패드와, 상기 진공단열재와, 상기 제 2방화폼패드의 상단 및 하단을 감싸면서 상기 벽체에 결합되는 비난연단열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방화폼패드에서 상기 진공단열재가 부착되지 않는 부위에 상기 제 1방화폼패드를 상기 벽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방화폼패드가 상기 벽체에 결합된 후 상기 제 1방화폼패드가 상기 벽체에 부착된 부착면의 상부와 하부에는 방화실런트로 틈을 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방화폼패드와 상기 진공단열재 및 상기 진공단열재 및 상기 제 2방화폼패드는 본드로 결합되며, 상기 제 1방화폼패드의 외측면의 일부 및 상기 진공단열재 및 상기 제 2방화폼패드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방화테이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난연단열재와 상기 제 2방화폼패드의 외측면은 서로 일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는 벽체에 부착되는 제 1방화폼패드와, 상기 제 1방화폼패드와 동일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 1방화폼패드의 외측에 부착되는 진공단열재와, 상기 진공단열재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상기 진공단열재의 외측에 부착되는 제 2방화폼패드를 구비하는 일체형 모듈을 준불연 고접착 테이프로 벽체에 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의 시공방법은 벽체에 제 1방화폼패드를 부착하는 제 1방화폼패드 부착단계와, 상기 제 1방화폼패드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진공단열재를 상기 제 1방화폼패드의 외측 중앙부에 부착하는 진공단열재 부착단계와, 상기 진공단열재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제 2방화폼패드를 상기 진공단열재의 외측에 부착하는 제 2방화폼패드 부착단계와, 상기 제 1방화폼패드와, 상기 진공단열재와, 상기 제 2방화폼패드의 상단 및 하단을 감싸면서 상기 벽체에 비난연단열재를 부착하는 비난연단열재 부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방화폼패드 부착단계 이후에, 상기 제 1방화폼패드가 상기 벽체에 부착된 부착면의 상부와 하부에는 방화실런트로 틈을 메우는 틈 매움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진공단열재 부착단계와 제 2방화폼패드 부착단계 이후에, 상기 제 1방화폼패드의 외측면의 일부 및 상기 진공단열재 및 상기 제 2방화폼패드의 상부와 하부를 방화테이프로 감싸도록 부착하는 방화테이프 부착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 및 시공방법에 의하면,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가지면서도 화재 확산 방지구조가 형성되는 곳의 단열성능을 해치지 않아 건물의 화재 및 단열에 대응하는 성능을 동시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재 확산 방지구조가 형성되더라도 화재 확산 방지구조가 형성된 부분이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건물의 외관을 해치지 않고 화재 확산 방지구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벽체와 화재 확산 방지구조체 사이의 틈새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각 부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화재 확산 방지구조가 형성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 및 시공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각 부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화재 확산 방지구조가 형성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는 벽체(10)에 부착되는 제 1방화폼패드(100)와, 상기 제 1방화폼패드(100)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 1방화폼패드(100)의 외측 중앙부에 부착되는 진공단열재(200)와, 상기 진공단열재(200)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진공단열재(200)의 외측에 부착되는 제 2방화폼패드(300)와, 상기 제 1방화폼패드(100)와, 진공단열재(200)와, 제 2방화폼패드(300)의 상단 및 하단을 감싸면서 벽체(10)에 결합되는 비난연단열재(400)를 구비한다.
벽체(10)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된 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벽체(10)에 난연성이 없는 비난연단열재(400)로만 단열을 하게 되면 화재에 약하기 때문에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벽체(10)에 제 1방화폼패드(100)를 부착시킨다. 제 1방화폼패드(100)를 부착시킬 때 제 1방화폼패드(100)를 고정구(150)를 이용하여 벽체(10)에 부착시킨다. 고정구(115)는 벽체(10)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는 패스너(Fastener)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패서너를 통한 열교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단열 기능을 가지는 패서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고정구(115)는 제 1방화폼패드(100)의 상부 및 하부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진공단열재(200)를 고정구(115)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면 진공단열재(200)의 진공이 파괴되므로 진공단열재(200)를 고정구(115)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제 1방화폼패드(100)가 벽체(10)에 부착된 후 상기 제 1방화폼패드(100)가 벽체(10)에 부착된 부착면의 상부와 하부에는 방화실런트(50)로 틈을 매울 수 있다. 방화실런트(50)는 틈을 메우는 소재이면서 불에 강한 재료이다. 이와 같이 제 1방화폼패드(100)와 벽체(10)의 틈을 방화실런트(50)로 매움으로써 제 1방화폼패드(100)와 벽체(10) 사이로 화염이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구(115)를 이용하여 벽체(10)에 부착된 제 1방화폼패드(100)의 외측에 제 1방화폼패드(100)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며 제 1방화폼패드(100)의 외측 중앙부에 진공단열재(200)가 부착된다. 진공단열재(200)를 제 1방화폼패드(100)에 부착할 때에는 본드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진공단열재(200, VIP: Vacuum Insulation Panel)는 알루미늄 멀티필름 내에 심재를 넣어 진공처리를 한 단열재이다. 이와 같은 진공단열재(200)는 진공 상태에서는 열이 전도되거나 대류를 하지 않으며 알루미늄 멀티 필름에 의해 복사열은 반사가 되므로, 일반 발포스티로폼과 비교하면 대략 10~15배의 단열 성능을 가진다. 또한, 진공단열재(200)는 심재로 글라스울, 퓸더 실리카 등과 같은 무기질 재료를 사용하므로 불연 또는 준불연성능을 가지므로 화재에도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열적 성능이 일반 발포스티로폼에 비해 월등히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두께는 일반 발포스티로폼 단열재에 비해 1/10 정도의 두께에 불과하므로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형성함에 있어 단열성을 확보하면서도 화재 확산 방지구조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진공단열재(200)의 외측에는 진공단열재(200)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제 2방화폼패드(300)가 부착된다. 제 2방화폼패드(300)는 본드와 같은 접착제의 의해 진공단열재(2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방화폼패드(100)에 면적이 작은 진공단열재(200) 및 제 2방화폼패드(300)가 부착되면 단차부(160)가 형성된다.
한편, 사이 제 1방화폼패드(100)와, 진공단열재(200)와, 제 2방화폼패드(300)의 상단 및 하단을 감싸면서 벽체(10)에 결합되는 비난연단열재(400)를 구비한다. 비난연단열재(400)는 단차부(410)를 가지며 제 1방화폼패드(100), 진공단열재(200), 제 2방화폼패드(300)가 형성하는 단차부(160)와 결합된다. 비난연단열재(400)의 일면은 접착제에 의해 벽체(1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비난연단열재(400)의 단차부(410)는 제 1방화폼패드(100)의 상하단부 및 진공단열재(200)와 제 2방화폼패드(300)의 상,하단부를 감싸면서 부착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기 비난연단열재(400)와 제 2방화폼패드(300)의 외측면은 서로 일치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볼 때 제 2방화폼패드(300)의 외측면이 비난연단열재(40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한편 비난연단열재(400) 사이에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를 사용한 제 1방화폼패드(100)와, 진공단열재(200)와, 제 2방화폼패드(300) 삽입되어 화재 확산 방지띠 구조를 형성하므로 비난연단열재(400)의 일측에서 발생한 화재가 다른 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방화폼패드(100), 진공단열재(200), 제 2방화폼패드(300)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서로 일체화할 수도 있으며, 공장에서 모듈 형태로 제작한 후 현장에서 고정구(115)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의 변형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변형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에서 제 1방화폼패드(100)의 외측면의 일부 및 진공단열재(200) 및 제 2방화폼패드(300)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방화테이프(500)를 더 구비한다.
제 1방화폼패드(100), 진공단열재(200), 제 2방화폼패드(300)는 'ㄴ'자 형태를 가지는 단차부(160)를 형성하므로 방화테이프(500)도 'ㄴ'자 형태를 가지며 접착된다. 진공단열재(200)는 불연 또는 준불연성능을 가지지만 고열에 외피가 부풀어 오를 수 있기 때문에 방화테이프(500)를 부착함으로써 진공단열재(20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방화폼패드(300)가 제 1방화폼패드(100)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진공단열재(200)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 1방화폼패드(100)와 제 2방화폼패드(300) 사이에 충진홈(160)이 형성되고 상기 충진홈(160)에는 난연 충진재(600)가 충진된다. 난연 충진재(600)로는 난연 우레탄폼 등의 충진재가 사용될 수 있다. 충진홈(160)에 발포되면서 충진홈(160)을 충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난연 충진재(600)는 고정구(150)도 덮게 되며, 고정구(150)를 통한 열교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난연 충진재(600)가 충진되면서, 제 1방화폼패드(100), 난연 충진재(600), 제 2방화폼패드(300)가 하나의 동일한 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비난연단열재(400)에 단차부를 형성하지 않고 비난연단열재(400)의 단면을 일직선 형태로 가공하여 제 1방화폼패드(100), 난연 충진재(600), 제 2방화폼패드(300)의 상,하단부를 덮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는 제 1방화폼패드(100), 진공단열재(200), 제 2방화폼패드(300)가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방화폼패드(100), 진공단열재(200), 제 2방화폼패드(300)가 동일한 면적을 가진 일체형 모듈 형태로 형성하기 위해 제 1방화폼패드(100), 진공단열재(200), 제 2방화폼패드(300)를 공장에서 접착하여 모듈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방화폼패드(100), 진공단열재(200), 제 2방화폼패드(300)가 서로 부착되어 형성된 모듈을 현장에서 준불연 고접착 테이프(350)를 이용하여 벽체(10)에 부착할 수 있다. 준불연 고접착 테이프(350)는 예를 들어 부틸 테이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방화폼패드(100), 진공단열재(200), 제 2방화폼패드(300)를 모듈 형태로 제작한 후 현장에서 준불연 테이프(350)를 이용하여 부착함으로써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화재 확산 방지구조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화재 확산 방지구조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의 시공방법은 벽체(10)에 제 1방화폼패드(100)를 부착하는 제 1방화폼패드 부착단계(S100)와, 상기 제 1방화폼패드(100)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진공단열재(200)를 상기 제 1방화폼패드(100)의 외측 중앙부에 부착하는 진공단열재 부착단계(S200)와, 상기 진공단열재(200)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제 2방화폼패드(300)를 상기 진공단열재(200)의 외측에 부착하는 제 2방화폼패드 부착단계(S300)와, 상기 제 1방화폼패드(100)와, 상기 진공단열재(200)와, 상기 제 2방화폼패드(300)의 상단 및 하단을 감싸면서 상기 벽체(10)에 비난연단열재(400)를 부착하는 비난연단열재 부착단계(S4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가지면서도 화재 확산 방지구조가 형성되는 곳의 단열성능을 해치지 않아 건물의 화재 및 단열에 대응하는 성능을 동시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재 확산 방지구조가 형성되는 곳에서 단열성능을 가지면서도 화재 확산 방지구조를 형성하는 부위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방화폼패드 부착단계(S100) 이후에, 상기 제 1방화폼패드(100)가 상기 벽체(10)에 부착된 부착면의 상부와 하부에는 방화실런트(50)로 틈을 메우는 틈 매움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방화폼패드(100)와 벽체(10)의 틈을 방화실런트(50)로 매움으로써 제 1방화폼패드(100)와 벽체(10) 사이로 화염이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진공단열재 부착단계(S200)와 제 2방화폼패드 부착단계(S300) 이후에, 상기 제 1방화폼패드(100)의 외측면의 일부 및 상기 진공단열재(200) 및 상기 제 2방화폼패드(300)의 상부와 하부를 방화테이프(500)로 감싸도록 부착하는 방화테이프 부착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진공단열재(20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방화테이프(500)로 감쌈으로써 고열로부터 진공단열재(200)를 보호할 수 있으며, 진공단열재(200)의 외피가 열에 의해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구조 및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벽체 50: 방화실런트
100: 제 1방화폼패드 200: 진공단열재
300: 제 2방화폼패드 400: 비난연단열재
500: 방화테이프 600: 충진재

Claims (9)

  1. 벽체에 부착되는 제 1방화폼패드와,
    상기 제 1방화폼패드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 1방화폼패드의 외측중앙부에 부착되는 진공단열재와,
    상기 진공단열재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상기 진공단열재의 외측에 부착되는 제 2방화폼패드와,
    상기 제 1방화폼패드와, 상기 진공단열재와, 상기 제 2방화폼패드의 상단 및 하단을 감싸면서 상기 벽체에 결합되는 비난연단열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방화폼패드에서 상기 진공단열재가 부착되지 않는 부위에 상기 제1방화폼패드를 상기 벽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 1방화폼패드가 상기 벽체에 결합된 후 상기 제 1방화폼패드가 상기 벽체에 부착된 부착면의 상부와 하부에는 방화실런트로 틈을 메우고,
    상기 제 1방화폼패드와 상기 진공단열재 및 상기 제 2방화폼패드는 본드로 결합되며, 상기 제 1방화폼패드의 외측면의 일부 및 상기 진공단열재 및 상기 제 2방화폼패드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며, 상기 진공단열재의 외피가 고열에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테이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비난연단열재와 상기 제 1방화폼패드 및 상기 제 2방화폼패드의 외측면은 단차부가 형성되어 서로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지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벽체에 제 1방화폼패드를 부착하는 제 1방화폼패드 부착단계와,
    상기 제 1방화폼패드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진공단열재를 상기 제 1방화폼패드의 외측 중앙부에 부착하는 진공단열재 부착단계와,
    상기 진공단열재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제 2방화폼패드를 상기 진공단열재의 외측에 부착하는 제 2방화폼패드 부착단계와,
    상기 제 1방화폼패드와, 상기 진공단열재와, 상기 제 2방화폼패드의 상단 및 하단을 감싸면서 상기 벽체에 비난연단열재를 부착하는 비난연단열재 부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방화폼패드 부착단계 이후에, 상기 제 1방화폼패드가 상기 벽체에 부착된 부착면의 상부와 하부에는 방화실런트로 틈을 메우는 틈 매움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진공단열재 부착단계와 제 2방화폼패드 부착단계 이후에, 상기 제 1방화폼패드의 외측면의 일부 및 상기 진공단열재 및 상기 제 2방화 폼패드의 상부와 하부를 상기 진공단열재의 외피가 고열에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화테이프로 감싸도록 부착하는 방화테이프 부착단계를 더 구비하는 화재 확산 방지구조의 시공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80145860A 2018-11-23 2018-11-23 화재 확산 방지구조 및 시공방법 KR102178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860A KR102178344B1 (ko) 2018-11-23 2018-11-23 화재 확산 방지구조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860A KR102178344B1 (ko) 2018-11-23 2018-11-23 화재 확산 방지구조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817A KR20200060817A (ko) 2020-06-02
KR102178344B1 true KR102178344B1 (ko) 2020-11-11

Family

ID=7109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860A KR102178344B1 (ko) 2018-11-23 2018-11-23 화재 확산 방지구조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3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069B1 (ko) * 2021-10-20 2022-03-24 (주)성보 외벽화재 확산방지 시스템
KR102378071B1 (ko) * 2021-10-20 2022-03-24 (주)성보 외벽화재 확산방지 시스템의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0252A (ja) * 2005-10-31 2007-05-17 Sekisui Chem Co Ltd 耐火外断熱構造及びその工法
JP2011153406A (ja) * 2010-01-26 2011-08-11 Takenaka Komuten Co Ltd 下地用断熱桟木及び桟木用断熱材と桟木の断熱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060B1 (ko) * 2010-04-12 2012-07-12 (주)세이프코리아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35884B1 (ko) * 2014-05-15 2017-05-16 (주)엘지하우시스 커튼월 내화충전구조용 단열재를 포함하는 층간 방화 구조물
KR20170001320A (ko) 2015-06-26 2017-01-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립식 복합패널 건축물의 화재확산 방지 및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0252A (ja) * 2005-10-31 2007-05-17 Sekisui Chem Co Ltd 耐火外断熱構造及びその工法
JP2011153406A (ja) * 2010-01-26 2011-08-11 Takenaka Komuten Co Ltd 下地用断熱桟木及び桟木用断熱材と桟木の断熱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069B1 (ko) * 2021-10-20 2022-03-24 (주)성보 외벽화재 확산방지 시스템
KR102378071B1 (ko) * 2021-10-20 2022-03-24 (주)성보 외벽화재 확산방지 시스템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817A (ko)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701B1 (ko) 건축패널의 화재 확산 방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0474131Y1 (ko) 화재확산 방지용 조립식 패널
KR102178344B1 (ko) 화재 확산 방지구조 및 시공방법
KR101995447B1 (ko) 알루미늄 박판층과 유리섬유 망층을 이용하여 무기질 평탄층이 고도의 일체성을 가지는 건축용 조립식 복합 외장구조체
KR20200060814A (ko) 외단열 보강 시스템 및 시공방법
KR102003327B1 (ko) 습식 불연 외장 단열 마감 공법
JP6916241B2 (ja) 管継手構造
KR102116913B1 (ko) 진공단열재를 갖는 방화도어
JP2007120252A (ja) 耐火外断熱構造及びその工法
KR200480772Y1 (ko) 방화문 및 방화벽용 단열패널
JP2006249769A (ja) 住宅の断熱・防湿・熱反射構造
JP7304751B2 (ja) 断熱パネルで構成された壁の耐火被覆構造
KR20120133538A (ko) 건축물의 관통부용 금속파이프에 내화충전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KR100437375B1 (ko) 통기구조를 가지는 고층건축물 커튼월의 차단벽용 단열·내화 유니트패널
KR100601339B1 (ko) 내화성 샌드위치패널
KR20180129385A (ko) 하이브리드 단열재
JP4426889B2 (ja) 建物の壁体、及び建物
KR20190031969A (ko) 건축용 샌드위치패널
JP7283712B2 (ja) 耐火部材
CN211816897U (zh) 超低能耗clt建筑的悬挑结构
JPH0227036A (ja) 防火目地構造
US20220403956A1 (en) Chained fireproof sealing system
JP2018155037A (ja) 建物
TWM618224U (zh) 複合牆結構
GB2149867A (en) Insulated pipe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