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663B1 -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663B1
KR102052663B1 KR1020187028422A KR20187028422A KR102052663B1 KR 102052663 B1 KR102052663 B1 KR 102052663B1 KR 1020187028422 A KR1020187028422 A KR 1020187028422A KR 20187028422 A KR20187028422 A KR 20187028422A KR 102052663 B1 KR102052663 B1 KR 102052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ast block
metal plate
block structure
metal
pre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8751A (ko
Inventor
데츠노리 이케베
Original Assignee
구로사키 하리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로사키 하리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구로사키 하리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11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4Casings; Linings; Walls; Roofs characterised by the form, e.g. shape of the bricks or blocks used
    • F27D1/06Composite bricks or blocks, e.g. panels, modules
    • F27D1/08Bricks or blocks with internal reinforcement or metal b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Ceramic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판과 프리캐스트 블록을 일체화한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에 있어서, 그 제조시 혹은 사용시에 프리캐스트 블록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억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금속제 피복 대상물(11)의 외주를 피복 가능한 금속판(1)과, 금속판(1)과 일체로 되어 있고, 또한 CaO·6Al2O3를 광물 조성으로 한 다공질의 단열성 골재가 배합된 프리캐스트 블록(2)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A)에 있어서, 금속제 피복 대상물(1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블록(2)의 두께와 금속판(1)의 길이의 비(프리캐스트 블록의 두께/금속판의 길이)를 0.2 이상 0.4 이하로 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
본 발명은, 가열로 등의 열 설비에 있어서, 특히 열손실이 현저한 부위, 예를 들어 수냉 스키드 파이프, 노(爐) 내외벽 등의 금속제 피복 대상물을 내화 피복하기 위한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금속제 피복 대상물로서 가열로의 워킹 빔을 구성하는 수냉 스키드 파이프를 예로 설명하면, 종래 일반적으로는 금속제의 수냉 스키드 파이프에 금속제 스터드(금속 스터드)를 용접하여 부정형 내화물을 시공함으로써 수냉 스키드 파이프를 부정형 내화물로 덮고, 이에 의해 내열성 및 단열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내화물 해체→스터드 제거→스키드 클린(clean)→스터드 용접→부정형 내화물의 형틀 걸기, 흘려 넣음→양생→형틀 분리 등의 공정이 많고, 스터드 개수가 많다(일반적으로는 20~30개/m이기 때문에 수천개/로))는 사정으로부터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금속판에 금속 스터드를 설치하여 프리캐스트 블록화한 단열 블록을 사전 성형하고, 용접에 의해 스키드 파이프에 현지 시공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본원 출원인은, 특허문헌 2에서 「금속제 피복 대상물의 외주를 피복 가능한 금속판과, 이 금속판에 연결된 세라믹제 스터드와, 이 스터드에 보유지지된 부정형 내화물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리캐스트 블록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는 상기 금속판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금속판과 프리캐스트 블록을 일체화한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에 의하면, 금속판을 피복 대상물의 외주에 용접하는 것만으로 이 피복 대상물을 내화 피복할 수 있으므로, 금속 스터드를 피복 대상물에 용접하는 경우에 비해 시공성이 매우 향상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이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에 대해 시험을 거듭한 바, 그 제조시 혹은 사용시에 프리캐스트 블록에 균열이 생기는 문제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01-004808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2016-104899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금속판과 프리캐스트 블록을 일체화한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에 있어서, 그 제조시 혹은 사용시에 프리캐스트 블록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이 금속판과 프리캐스트 블록의 일체화 조건에 착안하여 검토를 거듭한 결과, 프리캐스트 블록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려면 프리캐스트 블록의 두께와 금속판의 길이의 비가 중요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금속제 피복 대상물의 외주를 피복 가능한 금속판과, 이 금속판과 일체로 되어 있고, 또한 CaO·6Al2O3를 광물 조성으로 한 다공질의 단열성 골재가 배합된 프리캐스트 블록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피복 대상물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의 두께와 상기 금속판의 길이의 비(프리캐스트 블록의 두께/금속판의 길이)가 0.2 이상 0.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판과 프리캐스트 블록을 일체화한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에 있어서, 그 제조시 혹은 사용시에 프리캐스트 블록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래 기술에 비해 시공성이 매우 향상된다는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의 효과를 실용상 유감없이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에 의해 내화 피복한 수냉 스키드 파이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II-II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의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에는 도 1 및 도 2의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에 의해 내화 피복한 수냉 스키드 파이프를 나타내고, 도 4 및 도 5에는 각각 도 3의 I-I 단면 및 II-II 단면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A) 및 도 2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B)는 모두, 금속판(1)과 프리캐스트 블록(2)을 일체화한 것이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판(1)과 프리캐스트 블록(2)의 일체화에는 금속 스터드(3)를 사용하고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단, 일체화의 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세라믹 스터드를 사용하여 일체화할 수도 있다.
금속판(1)은, 금속제 피복 대상물의 외주를 피복 가능한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도 1의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A)의 금속판(1)은 피복 대상물인 원통형의 스키드 포스트(11)(도 4 참조)를 피복 가능한 반원형상을 가지며, 도 2의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B)의 금속판(1)은 피복 대상물인 타원통형의 스키드 빔(12)(도 5 참조)을 피복 가능한 부분 타원형상을 가진다. 한편, 프리캐스트 블록(2)은, CaO·6Al2O3를 광물 조성으로 한 다공질의 단열성 골재가 배합된 부정형 내화물 재료(CA6 경량 캐스터블)로 이루어진다. 이 CA6 경량 캐스터블은 경량이며 열전도율이 낮고 내스케일 용손성(溶損性)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고,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A, B)의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A, B)를 사용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냉 스키드 파이프(10)를 내화 피복한다. 구체적으로, 수냉 스키드 파이프(10)의 스키드 포스트(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2개의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A)를 사용하여 내화 피복한다. 이 때, 금속판(1)을 스키드 포스트(11)에 용접하는데, 이 용접은 금속판(1)의 단부(1a)에 의해 마련된 간극(용접하기 위해 마련된 간극)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고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용접 후, 금속판(1)의 단부(1a)에 의해 마련된 간극에는 패칭재(4)가 충전된다. 한편, 수냉 스키드 파이프(10)의 스키드 빔(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2개의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B)를 사용하여 내화 피복한다. 이 때, 금속판(1)을 스키드 빔(12)에 용접하는데, 이 용접도 금속판(1)의 단부(1a)에 의해 마련된 간극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고 확실히 실시할 수 있고, 용접 후, 금속판(1)의 단부(1a)에 의해 마련된 간극에는 패칭재(4)가 충전된다.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B, B)끼리의 간극 부분은 스키드 빔(12)의 상부가 되고, 이 스키드 빔(12)의 상부는 패칭재(4)로 구성되며, 강재를 지지하기 위한 금속제의 스키드 버튼(13)이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키드 포스트(11)와 스키드 빔(12)의 접합 부분도 패칭재(4)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A와 A)의 사이,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B와 B)의 사이에는, Al2O3 성분을 70질량% 이상 함유하는 섬유(알루미나 섬유)(C)(도 3 중의 C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섬유(C)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은, 이른바 팽창 허용부이며, 최초 사용시의 가열에 의해 CA6 경량 캐스터블 중의 CaO 성분과 섬유 중의 알루미나 성분이 반응하여 CA2(CaO·2Al2O3) 또는 CA6(CaO·6Al2O3)을 생성함으로써 팽창한다. 게다가 상기의 반응에 의해 생성한 CA2 및 CA6은, CA6 경량 캐스터블과 동일한 팽창 수축의 거동을 나타낸다. 이들에 의해, 인접하는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 사이에 설치한 팽창 허용부에 사용시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팽창 허용부 자체는 확보되므로, 열팽창에 의한 응력에 의해 프리캐스트 블록에 균열이나 갈라짐이 생기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A와 A)의 사이,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B와 B)의 사이에도 섬유(C)를 설치해도 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A, B)는, 금속제 피복 대상물(스키드 포스트(11), 스키드 빔(12))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단면, 즉 도 4, 5에서, 프리캐스트 블록(2)의 두께와 금속판(1)의 길이의 비(프리캐스트 블록의 두께/금속판의 길이)가 0.2 이상 0.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비의 수치가 크면(프리캐스트 블록(2)의 두께가 너무 크면), 사용시에 프리캐스트 블록(2)에 균열이 생기기 쉬워지고 내스폴링성이 저하된다. 이는, 프리캐스트 블록(2)의 두께가 커짐에 따라, 프리캐스트 블록(2)의 내주측과 외주측의 온도 구배가 커지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또한, 프리캐스트 블록(2)의 두께가 커짐에 따라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의 중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시공성이 저하된다. 이 점에서도 상기의 비는 0.4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의 비가 작으면(프리캐스트 블록(2)의 두께가 너무 작으면), 강도 부족에 의해 특히 제조시에 프리캐스트 블록(2)에 균열이 생기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서 「프리캐스트 블록의 두께」란, 금속제 피복 대상물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금속판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를 말하고, 「금속판의 길이」란, 금속제 피복 대상물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금속제 피복 대상물의 둘레방향을 따른 금속판의 길이를 말한다.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반원통형의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A)(이하, 「타입 A」라고 함) 및 도 2에 도시된 부분 타원통형의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B)(이하, 「타입 B」라고 함)에 있어서,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블록의 두께와 금속판의 길이를 변화시킨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에 대해 제조시의 균열 유무, 시공성 및 내스폴링성을 평가하였다. 표 1에서는 프리캐스트 블록을 단순히 블록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제조시의 균열 유무에 대해서는, 부정형 내화물 재료(CA6 경량 캐스터블)를 소정의 수분량으로 혼련하여 각 예의 프리캐스트 블록 형상으로 주조한 후에 양생, 형틀 분리, 건조의 공정을 실시하였을 때의 균열 유무에 의해 평가하였다. 표 1에서는 균열 없음을 ○, 균열 있음을 ×로 표기하였다.
시공성에 대해서는,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의 중량에 의해 평가하였다. 표 1에서는 무게가 40kg 미만을 ○, 40kg 이상을 ×로 표기하였다.
내스폴링성에 대해서는,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의 외주면을 1300℃로 가열한 후 강제 공냉하는 가열 냉각의 사이클을 5회 반복하였을 때의 균열 유무에 의해 평가하였다. 표 1에서는 균열 없음을 ○, 균열 있음을 ×로 표기하였다. 이 내스폴링성의 평가는 사용시의 균열 유무를 상정한 것이다.
Figure 112018097180389-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블록의 두께와 금속판의 길이의 비(프리캐스트 블록의 두께/금속판의 길이)가 0.2 이상 0.4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실시예 1 내지 4(타입 A) 및 실시예 5, 6(타입 B)에서는, 모두 제조시에 균열은 생기지 않고 시공성 및 내스폴링성도 양호하였다.
이에 반해, 상기의 비가 0.2를 밑도는 비교예 1, 3(타입 A) 및 비교예 5(타입 B)에서는 제조시에 균열이 생겼다. 또한, 상기의 비가 0.4를 웃도는 비교예 2, 4(타입 A) 및 비교예 6(타입 B)에서는, 내스폴링성이 나쁘고 사용시에 프리캐스트 블록에 균열이 생기기 쉽다고 판단되었다. 제조시에 균열이 생긴 비교예 1, 3, 5에 대해서는 내스폴링성의 평가는 불가능하였다.
A, B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
C 섬유(알루미나 섬유)
1 금속판
1a 금속판의 단부
2 프리캐스트 블록
3 금속 스터드
4 패칭재
10 수냉 스키드 파이프
11 스키드 포스트
12 스키드 빔
13 스키드 버튼

Claims (1)

  1. 금속제 피복 대상물의 외주를 피복 가능한 금속판과,
    이 금속판과 일체로 되어 있고, 또한 CaO·6Al2O3를 광물 조성으로 한 다공질의 단열성 골재가 배합된 프리캐스트 블록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의 피복 대상물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블록의 두께와 상기 금속판의 길이의 비(프리캐스트 블록의 두께/금속판의 길이)가 0.2 이상 0.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
KR1020187028422A 2016-08-04 2017-07-26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 KR102052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53866A JP6791677B2 (ja) 2016-08-04 2016-08-04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構造体
JPJP-P-2016-153866 2016-08-04
PCT/JP2017/027002 WO2018025718A1 (ja) 2016-08-04 2017-07-26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構造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751A KR20180118751A (ko) 2018-10-31
KR102052663B1 true KR102052663B1 (ko) 2019-12-05

Family

ID=61073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422A KR102052663B1 (ko) 2016-08-04 2017-07-26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91677B2 (ko)
KR (1) KR102052663B1 (ko)
TW (1) TWI642889B (ko)
WO (1) WO201802571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759B1 (ko) 2002-08-16 2005-06-10 스위 뉴엔 캐롤 합성 내화 절연타일 및 그 제조방법
JP2012127619A (ja) * 2010-12-17 2012-07-05 Nippon Steel Corp 水冷パイプの断熱構造
JP2016104899A (ja) * 2014-12-01 2016-06-09 黒崎播磨株式会社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6376A (ja) * 1983-10-14 1985-05-15 日本碍子株式会社 耐火性炉体
JPH0718653B2 (ja) * 1987-12-02 1995-03-06 東芝モノフラックス株式会社 加熱炉の水冷パイプ用断熱体
JPH064059U (ja) * 1991-04-22 1994-01-1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加熱炉用スキッドパイプ
KR100584724B1 (ko) 1999-11-25 2006-05-30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스키드 파이프용 내화물 블럭 제조방법
ITBA20090019A1 (it) * 2009-05-15 2010-11-15 Refrasud Internat S R L Rivestimento refrattario di tubazioni raffredda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759B1 (ko) 2002-08-16 2005-06-10 스위 뉴엔 캐롤 합성 내화 절연타일 및 그 제조방법
JP2012127619A (ja) * 2010-12-17 2012-07-05 Nippon Steel Corp 水冷パイプの断熱構造
JP2016104899A (ja) * 2014-12-01 2016-06-09 黒崎播磨株式会社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91677B2 (ja) 2020-11-25
KR20180118751A (ko) 2018-10-31
JP2018021726A (ja) 2018-02-08
TW201809569A (zh) 2018-03-16
TWI642889B (zh) 2018-12-01
WO2018025718A1 (ja)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18496A (zh) 耐火衬里构件
KR102052663B1 (ko) 프리캐스트 블록 구조체
SU927103A3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блоч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печной стенки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й печи
WO2018025719A1 (ja) 断熱構造体
CN104529485A (zh) 双层复合耐火材料及双层复合耐火材料沟罩与其制造方法和应用
CN111043606A (zh) 一种危废处理回转窑筑炉方法
JP6438283B2 (ja)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構造体
JP6452633B2 (ja) 焼成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
CN216337752U (zh) 一种大型高炉整体浇筑成型的新型炉衬结构
JPH02277713A (ja) スキッドパイプ
JP6201704B2 (ja) 不定形耐火物プレキャス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875609B2 (ja) 大迫天井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41056B2 (ja) 耐火物ブロック、その製造方法及び溶湯容器
JP3719605B2 (ja) 横鋳込み施工によるランスパイプの被覆不定形耐火物の施工方法
RU2269715C1 (ru) Конструкция теплоизоляци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труб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13249995A (ja) メタルケースライニング
JP4558442B2 (ja) バーナータイル
JP3874388B2 (ja) 真空脱ガス装置用環流管
Zamyatin et al. Heating furnace monolithic refractory lining.
RU51703U1 (ru) Конструкция теплоизоляции труб
JP2005298872A (ja) マス一体型ガス吹込プラグ
JPH0942856A (ja) 築炉方法およびその築炉方法に用いられる高膨張性煉瓦
DD301559A7 (de) Ofensegment für Industrieofen
PL234790B1 (pl) Sposób wytwarzania kształtek glinokrzemianowych na ogniotrwałe wyłożenia urządzeń cieplnych
JPH05305416A (ja) 低圧鋳造用ストー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