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086B1 - 침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침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086B1
KR102049086B1 KR1020180140006A KR20180140006A KR102049086B1 KR 102049086 B1 KR102049086 B1 KR 102049086B1 KR 1020180140006 A KR1020180140006 A KR 1020180140006A KR 20180140006 A KR20180140006 A KR 20180140006A KR 102049086 B1 KR102049086 B1 KR 102049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er
fixing
plate portion
gird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철
방인석
이찬영
한우진
최영길
백인철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80140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구조가 복잡하지 않으면서 침목에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아 줄 수 있어서 장대레일 부설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침목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침목 고정장치는 강재 거더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침목을 상기 거더상에 고정하기 위한 침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목의 상면 위로 배치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제1걸림턱이 형성된 하향 측판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한 쌍의 상덮개, 상기 침목의 저면 아래로 배치되는 하판부와 상기 하판부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각각 연장된 상향 측판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한 쌍의 하덮개,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를 상기 침목을 향해 가압하여 상기 상덮개와 상기 하덮개를 상기 침목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덮개 고정기구,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상덮개의 양측의 상기 제1걸림턱에 각각 걸리는 제2걸림턱이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연결고정부재 및 상기 거더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고정부재를 상기 거더를 향해 당겨주면서 고정하기 위한 연결고정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Description

침목 고정장치{Device for fixing railway sleepers}
본 발명은 침목 고정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도상 교량의 강재 거더 위에 침목을 고정하기 위한 침목 고정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한강철교와 같이 하천 또는 도로 등 지장물을 통과하기 위한 철도 철교 중에는 철교의 강재 거더 위에 자갈이나 콘크리트 궤도(도상) 없이 침목이 바로 올려져 있는 구조가 있는 데, 통상 이를 무도상 교량이라고 칭한다. 이러한 교량은 도상이 없는 특성상 궤도의 강성이 약하므로 레일을 정척레일(25m)을 사용하거나 이보다 짧은 레일을 적용하고, 레일 간에 이음매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많은 이음매수에 따라 열차 운행 시 많은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고 레일의 틀림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잦은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또한, 주행성도 좋지 않아 해당구간은 열차 운행속도에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다.
유도상 교량에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서, 무도상 교량에 대한 유도상화 사업은 투자가 지속되고 있기는 하지만 공용 중인 무도상 교량의 수량에 비하여 투자가 소극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장기적으로 상당수의 무도상 교량을 원형 그대로 사용해야 하는 실정이다.
최근 열차 증속 및 승차감 향상, 소음진동 저감을 위해 일반 구간의 정척레일 구간을 장대레일(200~300m 연속레일)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무도상 교량 구간은 궤도의 특성상 강성이 작아 장대레일 온도신축 등에 의해 발생되는 종방향력, 횡방향력에 대한 저항성능이 현저하게 부족하다.
일반적인 침목-교량 거더 연결장치와 관련하여서는 공개번호 10-2013-0031397호(발명의 명칭: 무도상 교량 티볼트 고정장치, 발명자: 이상곤 외 4) 등에 개시된 것이 있으나 이는 티볼트와 너트로만 침목을 거더에 고정하는 구조이어서 종방향 및 횡방향 저항력이 충분치 않아서 장대레일 부설에는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티볼트와 너트의 침목과 접촉되는 부분의 면적이 작아서 접촉 부위의 침목에 집중하중이 발생하여 침목 고정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
그 외에 침목을 거더에 고정하는 장치로는 등록번호 20-0400949호(고안의 명칭: 교량용 철로 침목 체결부재, 고안자: 문정복) 등에 개시된 것이 있으나, 문정복 발명은 구성요소가 너무 많아서 장대레일 부설에 적용하기는 어렵고 유지보수도 어려울 수밖에 없고, 각 침목마다 침목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양측으로 각각 필요하여 이웃하는 침목들을 서로 연계하여 고정하기가 어렵다.
또한, 판형교상의 무도상 궤도에서 교량침목과 거더의 상면을 고정하기 위해 티볼트 대용으로 교량침목 고정장치가 개발된 바 있으나, 대부분 운영/관리기관 중심으로 현장 작업성 및 내구성 향상 방향으로 기술개발 진행되어 왔으며, 장척 레일 또는 장대 레일에 대한 종/횡 저항력에 대한 성능, 기능성 및 장기내구성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복잡하지 않으면서 침목을 거더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침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도상교량의 소요 성능을 확보하고 침목-거더를 강성 체결하여 특히, 장대레일 부설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침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목 고정장치는 강재 거더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침목을 상기 거더상에 고정하기 위한 침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목의 상면 위로 배치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제1걸림턱이 형성된 하향 측판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한 쌍의 상덮개; 상기 침목의 저면 아래로 배치되는 하판부와 상기 하판부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각각 연장된 상향 측판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한 쌍의 하덮개;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를 상기 침목을 향해 가압하여 상기 상덮개와 상기 하덮개를 상기 침목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덮개 고정기구; 이웃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상덮개의 양측의 상기 제1걸림턱에 각각 걸리는 제2걸림턱이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연결고정부재; 및 상기 거더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고정부재를 상기 거더를 향해 당겨주면서 고정하기 위한 연결고정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의 서로 맞물리는 면은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경사홈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걸림턱의 한 부분의 표면에 제1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정부재의 상기 제1요철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제1요철에 맞물려 상기 이웃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상기 상덮개가 횡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을 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요철이 형성된 것이 좋다.
상기 덮개 고정기구는 상기 침목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 로드와 상기 고정 로드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 로드를 당겨줌으로써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가 상기 침목을 향해 가압될 수 있게 하는 너트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좋다.
상기 침목과 상기 거더 사이에 배치되며 저면에 고정용 홈이 형성된 침목 패드, 상기 하덮개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단부에 연결부가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링크기구, 상기 연결부를 통해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링크기구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용 홈에 삽입되어 상기 침목 패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목 패드 고정 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덮개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하덮개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링크부재, 상기 제1링크부재의 하단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침목 패드가 옆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방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수평부에 상기 침목 패드 고정 바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형성된 제2링크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덮개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연결부위와 상기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부재의 연결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장공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 또는 상기 제2링크부재가 상기 하덮개에 대해 상기 침목의 길이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고정기구는 상기 거더의 플랜지부 저면에 걸리는 하보강판부와 상기 하보강판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고정부재를 관통하는 당김로드를 가지는 당김부재 및 상기 연결고정부재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당김로드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하보강판부를 상방으로 당겨주는 제1너트를 구비하여 구성된 당김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연결고정기구는 상기 거더의 플랜지부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당김로드의 통과를 허용하는 상보강판부와 상기 상보강판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당김로드가 내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연결고정부재를 통과하는 중공부를 가지는 가압부재 및 상기 연결고정부재 상부에서 상기 중공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연결고정부재 하부로 돌출되는 상기 가압부재의 길이 조정을 위한 제2너트를 구비하여 구성된 가압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너트를 잠금에 따라 상기 당김로드는 상방으로 당겨주고 상기 중공부는 하방으로 밀어주어 상기 하보강판부와 상기 상보강판부가 상기 거더의 플랜지부를 잡아줄 수 있게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부의 내면과 상기 중공부를 통과하는 상기 당김로드 사이에 미끄럼재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연결고정부재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침목 고정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지 않으면서 침목에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아 줄 수 있어서 장대레일 부설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의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홈을 통해 서로 결합되므로, 결합력이 크고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 상호간의 결합정도를 조정함으로써 침목 패드의 압축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의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홈을 통해 서로 결합되므로, 침목 패드의 신축에 의한 침목의 상하 유동을 부드럽게 받아줄 수 있어서 수명이 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차의 통과에 따라 침목에 발생하는 진동을 탄력적으로 받아주어 진동에너지를 감쇠하는 침목 패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침목 패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목 고정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 침목 고정장치의 저면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침목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거더에 침목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평면도,
도 6은 연결고정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연결고정구 설치부위의 확대도,
도 8은 링크기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목 고정장치(100)는 도 6에 나타낸 무도상 철도교(10a)의 강재 거더(10) 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레일(20)을 지지하는 복수의 침목(30)을 강재 거더(10) 상에 견고하게 고정하여주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덮개(110), 하덮개(120), 덮개 고정기구(130), 연결고정부재(140) 및 연결고정기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덮개(110)는 침목(30)의 상부 쪽에 장착되는 것으로, 침목(30)의 상면 위로 배치되는 상판부(111)를 가진다. 상판부(111)의 양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하향 측판부(113)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덮개(110)는 침목(30)의 상부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방으로 연장된 양측의 하향 측판부(113)에는 제1걸림턱(1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걸림턱(115)은 내측으로 갈수록 점점 깊어지는 경사홈(115a)을 가진다. 이는 뒤에서 설명되는 제2걸림턱(145)과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이웃하는 두 침목(30)을 당겨주어 이웃하는 두 침목(3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 제1걸림턱(115)의 경사면(115b)은 뒤에서 설명되는 제2걸림턱(145)의 경사면(145b)과 작용하여 이웃하는 침목(30) 간의 간격들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일정한 힘으로 각 침목(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해주고, 관련 부품들의 치수에 대한 허용오차 범위를 크게 할 수 있게 해준다.
바람직하게, 제1걸림턱(115)의 측면에는 제1요철(11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요철(117)은 뒤에서 설명되는 연결고정부재(150)의 제2요철(147)과 결합되어 이웃하여 배치된 침목(30) 상호 간에 횡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하덮개(120)는 침목(30)의 저부 쪽에 장착되는 것으로, 침목(30)의 저면 아래로 배치되는 하판부(121)와 하판부(121)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각각 연장된 상향 측판부(123)를 가진다.
위와 같은 상덮개(110)와 하덮개(120)는 바람직하게 금속재로 만들어진다.
덮개 고정기구(130)는 상판부(111)와 하판부(121)를 침목(30)을 향해 가압하여 상덮개(110)와 하덮개(120)를 침목(3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덮개 고정기구(130)로는 침목(3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 로드(131)와 고정 로드(131)에 나사결합되어 고정 로드(131)를 당겨줌으로써 상판부(110)와 하판부(120)가 침목(30)을 향해 가압될 수 있게 하는 너트(133)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고정 로드(131)는 침목(30)과 상판부(111) 및 하판부(121)를 모두 관통하여 설치되며, 고정 로드(131)의 머리가 하판부(121) 아래쪽으로 배치되어 하판부(121)를 침목(30)을 향해 위로 가압하고, 상판부(111) 위로 돌출된 로드(131)에 너트(133)가 나사결합되어 상판부(111)를 침목(30)을 향해 아래로 가압한다. 고정 로드(131)와 너트(133)는 상하로 자세를 바꾸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때에 따라, 고정 로드(131)의 일단은 상판부(111)와 하판부(121)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타단은 나머지 하나를 관통하여 바깥으로 돌출되고 여기에 너트(133)가 나사결합되어 덮개 고정기구(130)를 구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덮개(110), 하덮개(120) 및 덮개고정기구(130)는 뒤에서 설명되는 연결고정부재(140)의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되지만, 도 1과 도 2에서는 오른쪽의 상덮개(110), 하덮개(120) 및 덮개고정기구(130)는 왼쪽의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연결고정부재(140)는 바람직하게, 블록형태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그 양 측면은 이웃하여 배치된 하향 측판부(113)에 접촉되게 하여 양측 침목(30)이 서로를 지지하여 침목(30) 상호간에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고정부재(140)에는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고정로드(131)와 뒤에서 설명되는 중공부(158)의 통과를 허용하는 통공(141)과 상면에 형성되고 통공(141)보다 큰 직경의 홈(141)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고정부재(140)의 양 측면에 제2걸림턱(14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제2걸림턱(145)은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덮개(110)의 제1걸림턱(115)에 각각 걸려서 하향 측판부(113)를 아래쪽으로 당겨주어 침목(30)이 거더(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웃하여 배치된 침목(30) 간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걸림턱(115)에 맞물리는 제2걸림턱(145) 역시 제1걸림턱(115)과 맞물리는 면은 바깥쪽 측면이 경사진 경사홈(145a)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걸림턱(145)이 앞에서 설명한 제1걸림턱(115)과 경사면(115b, 145b)을 가지는 경사홈(115a, 145a)을 통해 서로 결합됨에 따라 발휘될 수 있는 기능은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다.
제1요철(117)과 마주보는 면의 연결고정부재(145)의 대응 면에는 제1요철(117)에 맞물려 이웃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상덮개(110)가 침목(30)의 길이 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을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요철(147)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작용을 하는 제1요철(117)과 제2요철(147)은 마주보고 서로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라면 상덮개(110)와 연결고정부재(140)의 여타의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고정부재(140)는 연결고정기구(150)를 통해 거더(10) 쪽으로 당겨져 제2걸림턱(145)이 제1걸림턱(115)에 걸림으로써 양측의 두 상덮개(110)를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다. 이러한 연결고정부재(140)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와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고정기구(150)는 거더(10)의 플랜지부(12)에 설치되어 연결고정부재(140)를 거더(10) 쪽으로 당겨주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연결고정기구(150)는 거더(10)의 플랜지부(12) 저면에 걸리는 하보강판부(152)와 하보강판부(152)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연결고정부재(140)를 관통하는 당김로드(153)를 가지는 당김부재(151) 및 연결고정부재(140) 상부로 돌출되는 당김로드(153)에 나사결합되어 하보강판부(152)를 상방으로 당겨주는 제1너트(154)를 가지는 당김기구(151a)를 구비한다. 하보강판부(152)의 상면에는 널링가공을 하여 거더(10)에 대한 고정력을 크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당김기구(151a)는 말 그대로 하보강판부(152)를 연결고정부재(140) 쪽으로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말하면, 연결고정부재(140)를 거더(10) 쪽으로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연결고정기구(140)는 가압기구(156a)를 가진다. 가압기구(156a)는 가압부재(156)와 제2너트(159)를 구비한다. 가압부재(156)는 거더(10)의 플랜지부(12) 상면에 배치되고 당김로드(153)의 통과를 허용하는 상보강판부(157)와 상보강판부(157)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당김로드(153)가 내부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중공부(158)를 구비한다. 상보강판부(157)의 저면도 널링가공을 하여 거더(10)에 대한 고정력을 크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중공부(158)의 내면과 중공부(158)를 통과하는 당김로드(153) 사이에 미끄럼재(155)가 삽입된다.
이 실시 예의 중공부(158)는 연결고정부재(140)를 통과하고, 제2너트(159)는 연결고정부재(140) 상부에서 중공부(158)에 나사결합되어 연결고정부재(140) 하부로 돌출되는 가압부재(156)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제1너트(154)를 잠금에 따라 당김로드(153)는 거더(10)의 플랜지부(12)에 걸린 하보강판부(152)을 상방으로 당겨주고 중공부(158)는 하방으로 밀어주어 하보강판부(152)와 상보강판부(157)가 거더(10)의 플랜지부(12)를 잡아줄 수 있게 된다.
때에 따라, 중공부(158)는 연결고정부재(140)를 통과하지 않고 연결고정부재(140)의 저면이나 연결고정부재(140)의 저면 쪽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제1너트(154)가 연결고정부재(140)를 하방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보강판부(157)가 거더(10)의 플랜지부(12)를 하방으로 압박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가압부재(156)의 돌출길이 조정을 위한 너트 등을 연결고정부재(140) 저면부나 홈 내부에 설치해야 하므로, 가압부재(156)의 돌출길이 조정이 다소 번거로워질 수 있다.
침목(30)과 거더(10) 사이에는 탄성을 가지는 침목 패드(160)가 개재된다. 이 침목 패드(160)의 저면에는 침목 패드(160)가 이탈되지 못하게 잡아주기 위한 고정용 홈(16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용 홈(162)은 침목(3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2개 또는 3개 정도 형성된다. 고정용 홈(162)에는 침목 패드 고정 바(171)가 삽입되고, 침목 패드 고정 바(171)의 양단은 하덮개(120)의 양측에 힌지핀(172)을 통해 연결된 한 쌍의 링크기구(173)에 연결된다.
링크기구(173)는 바람직하게, 하덮개(120)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링크부재(174), 제1링크부재(174)의 하단에 회동 가능케 연결된 제2링크부재(175)를 가진다. 제2링크부재(175)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부(175a)와 수평부(175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침목 패드(160)가 옆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연장부(175b)를 가지며, 수평부(175a)에는 침목 패드 고정 바(171)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75c)가 바람직하게 2곳 또는 3곳 정도에 형성된다.
또한, 하덮개(120)와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제1링크부재(174)에는 장공(174a)이 형성되어 있어, 링크기구(173)는 하덮개(120)에 대해 어느 정도 유동 가능하다. 때에 따라 장공은 제1링크부재(174)와 제2링크부재(175)의 연결부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링크기구(173)는 하덮개(120)에 대해 한정된 범위 내에서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고, 침목 패드(160)가 링크기구(173)의 이동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상 교량의 강재 거더 위에 침목을 고정하는 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장대 레일을 지지하는 침목을 거더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데 적합하게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0a: 무도상 철도교 10: 거더
12: 플랜지부 20: 레일
30: 침목 100: 침목 고정장치
110: 상덮개 111: 상판부
113: 하향 측판부 115: 제1걸림턱
115a, 145a: 경사홈 115b, 145b: 경사면
117: 제1요철 120: 하덮개
121: 하판부 123: 상향 측판부
130: 덮개 고정기구 140: 연결고정부재
147: 제2요철 150: 연결고정기구
151a: 당김기구 151: 당김부재
152: 하보강판부 153: 당김로드
154: 제1너트 156a: 가압기구
156: 가압부재 157: 상보강판부
158: 중공부 159: 제2너트
160: 침목 패드 162: 홈
171: 침목 패드 고정 바 173: 링크기구

Claims (10)

  1. 강재 거더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침목을 상기 거더상에 고정하기 위한 침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목의 상면 위로 배치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제1걸림턱이 형성된 하향 측판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한 쌍의 상덮개;
    상기 침목의 저면 아래로 배치되는 하판부와 상기 하판부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각각 연장된 상향 측판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한 쌍의 하덮개;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를 상기 침목을 향해 가압하여 상기 상덮개와 상기 하덮개를 상기 침목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덮개 고정기구;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상덮개의 양측의 상기 제1걸림턱에 각각 걸리는 제2걸림턱이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연결고정부재; 및
    상기 거더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고정부재를 상기 거더를 향해 당겨주면서 고정하기 위한 연결고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고정기구는 상기 거더의 플랜지부 저면에 걸리는 하보강판부와 상기 하보강판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고정부재를 관통하는 당김로드를 가지는 당김부재 및 상기 연결고정부재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당김로드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하보강판부를 상방으로 당겨주는 제1너트를 구비하여 구성된 당김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고정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의 서로 맞물리는 면은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경사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고정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1걸림턱의 한 부분의 표면에 제1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정부재의 상기 제1요철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제1요철에 맞물려 상기 한 쌍의 상덮개가 횡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을 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고정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덮개 고정기구는 상기 침목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 로드와 상기 고정 로드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 로드를 당겨줌으로써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가 상기 침목을 향해 가압될 수 있게 하는 너트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고정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침목과 상기 거더 사이에 배치되며 저면에 고정용 홈이 형성된 침목 패드, 상기 하덮개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단부에 연결부가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링크기구, 상기 연결부를 통해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링크기구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용 홈에 삽입되어 상기 침목 패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목 패드 고정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고정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하덮개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하덮개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링크부재, 상기 제1링크부재의 하단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침목 패드가 옆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방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수평부에 상기 침목 패드 고정 바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상기 연결부가 형성된 제2링크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덮개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연결부위와 상기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부재의 연결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장공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 또는 상기 제2링크부재가 상기 하덮개에 대해 상기 침목의 길이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고정장치.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연결고정기구는 상기 거더의 상기 플랜지부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당김로드의 통과를 허용하는 상보강판부와 상기 상보강판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당김로드가 내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연결고정부재를 통과하는 중공부를 가지는 가압부재 및 상기 연결고정부재 상부에서 상기 중공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연결고정부재 하부로 돌출되는 상기 가압부재의 길이 조정을 위한 제2너트를 구비하여 구성된 가압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너트를 잠금에 따라 상기 당김로드는 상방으로 당겨주고 상기 중공부는 하방으로 밀어주어 상기 하보강판부와 상기 상보강판부가 상기 거더의 상기 플랜지부를 잡아줄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고정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중공부의 내면과 상기 중공부를 통과하는 상기 당김로드 사이에 미끄럼재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고정장치.
  10.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연결고정부재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고정장치.
KR1020180140006A 2018-11-14 2018-11-14 침목 고정장치 KR102049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006A KR102049086B1 (ko) 2018-11-14 2018-11-14 침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006A KR102049086B1 (ko) 2018-11-14 2018-11-14 침목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086B1 true KR102049086B1 (ko) 2019-11-26

Family

ID=6873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006A KR102049086B1 (ko) 2018-11-14 2018-11-14 침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0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2308A (ja) * 2005-04-20 2006-11-30 Sekisui Chem Co Ltd まくら木
KR101590629B1 (ko) * 2015-03-19 2016-02-01 이강솔루션 (주) 철교용 침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교용 침목 고정방법
KR101807079B1 (ko) * 2017-03-16 2018-01-18 (주)화승엑스윌 고무보판 철도 건널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2308A (ja) * 2005-04-20 2006-11-30 Sekisui Chem Co Ltd まくら木
KR101590629B1 (ko) * 2015-03-19 2016-02-01 이강솔루션 (주) 철교용 침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교용 침목 고정방법
KR101807079B1 (ko) * 2017-03-16 2018-01-18 (주)화승엑스윌 고무보판 철도 건널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086B1 (ko) 침목 고정장치
KR102070048B1 (ko) 철도 건널목의 보판
CA1048465A (en) Level crossing structure
KR100658535B1 (ko) 신축이음장치
US4783001A (en) Universal non-spreading railroad track haulage tie assembly
KR200390690Y1 (ko) 콘크리트 도상용 침목의 철골구조
JP5913033B2 (ja) 鉄道線路横断用舗装板及びその舗装構造
JP3559996B2 (ja) 伸縮継目のまくらぎ継材
CN211713712U (zh) 用于桥梁施工的具有限位功能的顶推滑轨装置
US3417921A (en) Railway track
KR200404784Y1 (ko) 분리형 철도 침목
RU2676772C1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переезд
KR102433171B1 (ko) 무도상 철도교량의 침목 고정장치
RU112203U1 (ru) Устройство верхнего строения пути
JP2021059942A (ja) ラダーマクラギ
US3612394A (en) Railroad crossing
RU2267569C1 (ru) Рельсовое анкерное скрепление
KR200404783Y1 (ko) 철도 침목
CN116927003B (zh) 一种钢轨温度伸缩调节器及铺设安装方法
JP2552236B2 (ja) レールの挫屈防止装置
KR102433181B1 (ko) 무도상 철도교량의 침목 받침장치
JPH0393901A (ja) レール座屈防止板
CN220619785U (zh) 一种城际铁路高架桥上轨道轨枕的支撑结构
KR102138365B1 (ko) 종방향 슬립을 허용하는 강철도교용 무도상궤도 구조
JP4137986B2 (ja) ブリッジ構造の踏切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