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957B1 - 체중 감소 효과를 갖는 두부 조성물 - Google Patents

체중 감소 효과를 갖는 두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957B1
KR102048957B1 KR1020180027184A KR20180027184A KR102048957B1 KR 102048957 B1 KR102048957 B1 KR 102048957B1 KR 1020180027184 A KR1020180027184 A KR 1020180027184A KR 20180027184 A KR20180027184 A KR 20180027184A KR 102048957 B1 KR102048957 B1 KR 102048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fu
mixture
weight
natural
soy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6139A (ko
Inventor
고영근
권혁한
이주운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엔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엔바이오 filed Critical (주)케이엔바이오
Priority to KR1020180027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957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중감량과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킬 수 있는 두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조성물은 흰강남콩에 함유되어 있는 파세올라민의 탄수화물 분해 억제 효과와 함께 파세올라민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능을 갖는 천연물 추출 혼합물을 두부의 응고제로 사용하여 체중과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등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두부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현대 생활에 부합하는 건강한 식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중 감소 효과를 갖는 두부 조성물{Tofu composition for reducing effect of body weight}
본 발명은 대두와 흰강남콩을 주원료로 하여 천연물 추출분말을 혼합하여 조성한 복합혼합물을 두부 응고제로 이용한 체중 감소와 혈중 콜레스테롤 및 혈중 젖산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 두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체중 감량효과 및 혈중 총콜레스테롤과 혈중 젖산 농도 감소 효과로 갖는 두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두부는 대두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염화마그네슘, 황산칼슘, 염화칼슘 등 무기화합물이나 글루코노델라락톤 등의 유기화합물을 간수로 사용하여 제조하여 왔다. 이러한 식품첨가제용 간수는 응고 후 두부의 물성이 너무 딱딱하거나, 최종 두부제품에서 간수에서 전이된 화학약품의 맛을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식생활 습관의 선진화로 인해 소규모 생산단체를 중심으로 좋은 원료와 천연 재료를 이용한 두부가 출시되고 있으나, 기존 두부의 관능적 물성 품질을 맞출 수 없고 대량 생산을 위한 품질 관리가 되지 않기에 널리 보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한방 약재 등을 이용한 천연 간수를 제조하여 두부를 제조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관능적 품질 특성이나 정확한 건강상의 목표 없이 약재를 무분별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시장에서 환영받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091591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90405호, 한국등록특허 제10-0798522호, 한국등록특허 제10-0232072호, 한국등록특허 제10-0008002호 및 천연간수와 유산균 발효액 함량에 따른 두부의 저장성과 품질 변화(고려대학교, 2010년 12월), 천연간수가 두부품질에 미치는 영향(부산대학교, 2012년 2월), 및 천연 응고제를 달리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 연구(세종대학교, 2010년 12월) 등 에서는 천연 물질을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두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대두만을 이용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기술이 대부분으로 다른 콩과작물과의 혼합에 대한 시도는 거의 없었다. 특히, 건강에 효능이 있는 기능성 콩을 이용한 두부의 제조 방법은 보고되지 않고 있어 시장에서 요구하는 건강 기능을 갖춘 제품을 공급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천연물이나 한방 약재를 이용한 천연간수가 개발되어 응고제로 이용되고 있으나, 가격이 비싸고, 관능적으로 호응이 낮고, 그 기능성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아 이용에 한계가 있다.
흰강남콩(Phaseolus multiflorus WILLD for. albus BAILEY, Fabaceae)은 카넬리니빈이라고도 하는데, 미네랄과 비타민이 풍부해 미국과 이탈리아에서는 슈퍼푸드 또는 다이어트 식품으로 유명하다. 주요성분 중 파세올라민(Phaseolamin)은 천연유기 단백질로 인체에 흡수되면 침샘에서 분비되는 아밀라아제(α-amylase)의 기능을 막아 전분 등 탄수화물이 포도당 단분자로 분해되는 것을 저해하여 흡수를 줄여주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물질이다. 이를 활용하기 위해 분말 형태로 섭취하거나 우유나 유산균음료와 섞어서 마신다. 그러나, 콩류에 들어있는 렉틴(lectin)에 의한 식중독을 제거해야만 한다. 최근 Lectin free 흰강남콩이 출시되어 판매되고는 있으나 워낙 고가이고 또 렉틴을 제거하지 않은 원료와 혼합하여 유통시킬 수 있어 렉틴의 독성을 중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두부는 콩의 단백질을 응고시켜 이용하는 가공식품으로 제조공정에서 반드시 가열처리를 하여야 하는바, 흰강남콩을 두부의 원료로 사용한다면 다이어트에 효과가 높은 파세올라민을 보다 쉽게 섭취할 수 있으며, 독성이 있는 렉틴도 가열공정에서 독성을 중화시킬 수 있다. 흰강남콩과 같은 기능성이 규명된 콩을 원료로 할 경우 기능성 콩이 갖고 있는 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천연물이나 약재의 선택이 매우 중요한바, 흰강남콩을 원료로 사용하여 체중 감량 효과를 부여한 두부의 개발 필요성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0405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1591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798522호 한국등록특허 제10-0008002호
천연간수와 유산균 발효액 함량에 따른 두부의 저장성과 품질 변화. 한승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년 12월. 천연간수가 두부품질에 미치는 영향. 류기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년 2월. 천연응고제를 달리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 연구. 한옥선.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0년 12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발명자는 대두를 주원료로 하여 흰강남콩의 파세올라민에 의한 아밀라아제 효소 억제효과로 체중 감량 효과와 천연물 추출물의 혈중 총콜레스테롤과 혈중 젖산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면서 두부의 풍미를 증진하여 체중 감량에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두부 조성물 및 상기 두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두부의 주원료인 대두와 흰강남콩을 혼합한 두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두부 조성물은 콩 혼합물, 정제수 및 천연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두부 조성물은 콩 혼합물, 정제수 및 천연물 추출 혼합물은 7.5~12.5 : 80.0~90.0 : 2.5~7.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콩 혼합물, 정제수 및 천연물 추출 혼합물을 10 : 85 : 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콩 혼합물은, 대두와 흰강남콩의 콩 혼합물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콩 혼합물은 대두와 흰강남콩을 3.5 내지 4.5 : 0.5 내지 1.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두와 흰강남콩을 4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콩 혼합물은 두부 조성물 전체 중량 100%를 기준으로 할 때, 1~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의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두부의 물성이 저하되고, 파세올라민의 함량도 기대수준 이하로 떨어지거나 차이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연물 추출 혼합물은 천문동, 맥문동, 산수유, 복분자, 토사자, 구기자, 오미자 및 홍삼을 각각 열수에 추출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만들고, 이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정제수에 녹여 두부 응고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물 추출 혼합물은 천문동, 맥문동, 산수유 추출 혼합물은 A, 복분자, 토사자, 구기자, 오미자, 홍삼 추출 혼합물은 B로 한다.
천연물 추출 혼합물 A와 천연물 추출 혼합물 B를 각각 3 : 1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상기 천연물 추출 혼합물 A는 천문동, 맥문동, 산수유 추출물이 1 : 1 : 1, 상기 천연물 추출 혼합물 B는 복분자, 토사자, 구기자, 오미자, 홍삼 추출물이 1 : 1 : 1 : 1 : 1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천연물 추출 혼합물의 주원료인 천연물 추출 혼합물 A(천문동, 맥문동, 산수유)의 비율을 줄이고 천연물 추출 혼합물 B(복분자, 토사자, 구기자, 오미자, 홍삼)의 비율을 높이면, 산미가 증가되어 풍미가 떨어지고 두부가 너무 단단해져 관능적 특성이 낮아지며, 반대로 천연물 추출 혼합물 A의 비율을 높이고 천연물 추출 혼합물 B의 비율을 낮추면, 두부의 응고력이 떨어지고 천연물 특유의 향미가 강해 관능적으로 거부감이 높다.
상기 두부 조성물은 연두부, 순두부, 찌개용 두부, 부침용 두부 및 튀김용 두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부 조성물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두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두부 제조방법은 대두, 흰강남콩을 포함하고, 천연물 추출 혼합물을 두부 응고제로 하는 두부 제조방법으로,
(a) 상기 대두와 흰강남콩을 물에 담가 불린 뒤 분쇄기로 분쇄하여 콩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b) 상기 콩 혼합물을 물에 희석하여 두유액을 제조하여 100℃에서 가열시켜 여과한 후 상온에 방치하여 70~85℃까지 냉각시키는 단계; 및
(c) 천문동, 맥문동, 산수유, 복분자, 토사자, 구기자, 오미자, 홍삼을 각각 열수로 추출하여 동결건조시켜서 얻은 천연물 추출 혼합물을 정제수에 희석하여 일정량 첨가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두부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체중 감량에 효능이 있는 두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 외의 첨가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중 감량에 효능이 있는 두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천연물 추출 혼합물의 원료 이외의 첨가물은 천연색소, 항산화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중 감량에 효능이 있는 두부 조성물은 연두부, 순두부, 찌개용 두부, 부침용 두부 및 튀김용 두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중 감량에 효능이 있는 두부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중 감량 효능이 있는 두부 조성물은 흰강남콩의 파세올라민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탄수화물 대사를 억제하고, 항산화성과 지질대사 기능에 효과가 있는 천연물을 이용하여 화학 응고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두부를 제공함으로써, 현대 식생활에 부합하는 건강에 유익한 두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부의 급여량에 따른 실험동물인 Sprague-Dawley의 사육 중 체중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대두와 흰강남콩은 경동시장 곡물상회에서 구입하였고, 천문동, 맥문동, 산수유, 복분자, 토사자, 구기자, 오미자, 홍삼은 약재상가 경안한약원에서 구입한 것이다. 파세올라민은 미국 Sigma Chemical Co.로부터 Phaseolamin 2250TM을 표준물질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본 발명에 따른 대두, 흰강남콩의 혼합 콩 혼합물 제조
대두와 흰강남콩을 수세한 후 각각 정제수에 담가 불린 뒤 하기 표 1의 비율로 혼합한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콩 혼합물을 제조한 후, 제조된 콩 혼합물에 정제수를 전체 중량의 10 중량%로 혼합하여 실시예 1 내지 4의 콩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대두와 흰강남콩의 혼합비 조성
대두 흰강남콩
실시예 1 90 10
실시예 2 80 20
실시예 3 70 30
실시예 4 60 40
<실험예 1> 대두와 흰강남콩 혼합 조성비 평가
본 발명에 따른 대두와 흰강남콩 혼합물의 혼합비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4의 응고력과 파세올라민 함량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은 대두만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두부의 응고력은 80°C로 고정한 waterbath에 15mL의 시험관을 정치한 후 여러 혼합비율로 제조한 콩 혼합물을 각각 10mL씩 시험관에 분주하고 0.3 중량%의 염화마그네슘(MgCl2·2H2O) 용액 0.5 mL씩을 첨가한 후 부드럽게 흔들어준 다음, 10분 후 생성된 침전물을 2,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회수하여 중량을 측정하였다.
대두와 흰강남콩의 달리한 혼합비로 제조한 두부에 함유된 파세올라민의 함량은 국제표준분석방법(AOAC)을 준용하여 겔 투과 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성하였고, 표준품인 Phaseolamin 2250TM을 이용하여 얻은 정량곡선에 대입하여 정량하였다. 응고력 측정이 끝난 침전물 0.5g을 시험관에 정확히 칭량하고 추출용매로 0.01 중량%의 머캅토에탄올(mercaptoethanol)을 함유한 0.6M의 포스페이트완충액(sodium phosphate buffer, pH 9.6) 5mL을 첨가한 후 100℃에서 30분간 중탕가열하였다. 방냉 후 12,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회수하여 0.45μM 여과필터로 여과한 후 고성능 겔여과크로마토그래피 분석기기에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겔여과크로마토그래피의 분석 조건은 분석컬럼은 FPLC용 Protein CL-4B gel permeation column이었고, 이동상 속도는 1.0mL/분, 이동상 용매는 추출용매를 사용하였으며, 검출기는 UV/VIS detector에서 280nm에서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품의 검출에 소요된 분리시간은 21분 18초였다. 시료들에 존재하는 파세올라민 함량은 동 시간대에 검출되는 peak의 면적을 표준품의 농도와 환산하여 결정하였고, 실험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대두와 흰강남콩의 혼합비에 따른 콩 혼합물 단백질 침전물의 양(응고력)과 파세올라민 함량
시료명 침전물 무게(g) 파세올라민 함량(μg/g)
비교예 1 1.83±0.13d 0.15±0.03a
실시예 1 1.76±0.21cd 1.24±0.12b
실시예 2 1.71±0.14c 2.06±0.09c
실시예 3 1.45±0.16b 2.21±0.14c
실시예 4 1.17±0.08a 2.26±0.21c
(N = 20)
a-d : 측정 항목별로 얻은 결과 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항목 당 혼합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대두 100%로 제조하였을 때의 침전물은 콩 혼합물 10mL에서 1.83g이었는데, 흰강남콩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침전물의 함량도 감소되어 흰강남콩이 10 중량%일 때 1.76g, 20 중량%일 때 1.71g으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흰강남콩이 30%와 40%일 때는 급격히 감소하여 각각 1.45g과 1.17g을 나타내어 흰강남콩이 함량이 첨가하는 농도에 반비례적으로 콩 혼합물의 침전물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두와 흰강남콩 혼합비를 다르게 했을 때, 콩 혼합물 침전물에 함유된 파세올라민의 함량은 흰강남콩의 혼합비가 증가할수록 함량도 증가하였다. 대두만으로 제조한 콩 혼합물 침전물에서 0.05μg/g이 검출되었고, 10 중량% 혼합하였을 때 1.24μg/g, 20 중량% 혼합 처리구는 2.09μg/g이었다. 그러나, 30 중량%와 40 중량%에서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이 10 중량% 처리구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흰강남콩의 단백질 함량이 대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고 또한 0.3 중량%의 염화마그네슘의 침전 조건에서 흰강남콩 함량이 증가할수록 단백질 응집력이 크게 감소하여 페세올라민이 함량도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실험결과에 따라, 대두 : 흰강남콩의 비율은 단백질 응집력이 크게 감소하지 않으면서도 페세올라민 함량이 높게 나타난 실시예 2의 조성비인 대두 : 흰강남콩의 비율을 4 : 1로 고정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5 내지 9>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추출 혼합물 제조
실시예 5 내지 9를 제조하기 위해 건조 상태로 판매하고 있는 천문동, 맥문동, 산수유, 복분자, 토사자, 구기자, 오미자, 홍삼을 구입하여 각각 수세한 후 음지에서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각각 분말로 준비하였다. 분말 100g에 정제수 1L를 넣고 80℃로 고정한 수조에서 혼합하며 24시간 가열처리하였다. 냉각 후 추출액을 5,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그 상등액을 whatman No. 1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동결 건조시켰다. 동결 건조된 추출물 고형물을 막대사발을 이용하여 분말로 만들어 밀봉된 탈습제와 함께 갈색병에 담아 냉장보관하며 천연물 추출분말로 사용하였다.
상기 천연물 추출분말 중 천문동, 맥문동, 산수유 추출분말들을 1 : 1 : 1의 혼합비로 혼합하여 천연물 추출 혼합물 A그룹으로 하고, 복분자, 토사자, 구기자, 오미자, 홍삼 추출분말들을 동량인 1 : 1 : 1 : 1 : 1의 혼합비로 혼합하여 천연물 추출 혼합물 B그룹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천연물 추출 혼합물을 하기 표 3과 같은 혼합비로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이 총 중량의 50 중량%가 되게 정제수에 용해한 후 응고제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추출 혼합물 조성
천연물 추출 혼합물 A(%) 천연물 추출 혼합물 B(%)
실시예 5 100 0
실시예 6 75 25
실시예 7 50 50
실시예 8 25 75
실시예 9 0 100
<실험예 2> 천연물 추출 혼합물의 혼합 조성비 평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천연물 추출 혼합물의 조성비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5 내지 9 및 비교예 2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비교예 2는 천연물 추출 혼합물 A, B를 첨가하지 않고 0.15 중량%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10mL 첨가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표 3의 조성으로 제조한 콩 혼합물을 100℃에서 가열시켜 여과한 후 80℃의 수조에 미리 고정한 비이커에 90mL 씩 분주한 다음 각각의 혼합비로 미리 준비한 천연물 추출분말 용액을 10mL씩 분주한 다음 부드럽게 흔들어 준 다음 15분간 단백질을 응고시켰다. 응고액의 pH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한 후 침전물의 중량을 칭량하여 응집력을 측정하였고 파세올라민의 함량을 검사하였다.
천연물 혼합추출 분말의 혼합비 조성에 따른 콩 혼합물의 pH, 단백질의 침전물 무게(응고력)과 침전물에 함유된 파세올라민의 함량은 표 4에 나타냈다.
천연물 추출 혼합물 A와 천연물 추출 혼합물 B의 함량비에 따른 콩 혼합물의 pH, 단백질 침전물의 양(응고력)과 파세올라민 함량
시료명 콩 혼합물의 pH 침전물 무게(g) 파세올라민 함량(μg/g)
비교예 2 5.6±0.1d 1.73±0.13bc 2.11±0.10d
실시예 5 5.5±0.2d 1.16±0.18a 1.03±0.23a
실시예 6 5.4±0.1d 1.69±0.14b 2.10±0.16d
실시예 7 4.7±0.1c 1.69±0.16b 1.80±0.12c
실시예 8 4.1±0.2b 1.78±0.14bc 1.69±0.22b
실시예 9 3.5±0.1a 1.84±0.21c 1.62±0.16b
(N = 20)
a-d : 측정 항목별로 얻은 결과 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항목 당 혼합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염화마그네슘으로 침전시킨 콩 혼합물 침전액(대조군)의 pH는 5.6으로 측정되었고, 천연물 추출 혼합물 A만을 첨가한 침전액의 pH는 5.4, 천연물 추출 혼합물 B만을 단독 처리한 침전액은 3.5로 나타났고, 천연물 추출 혼합물 A의 함량이 감소할수록 pH도 같이 감소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천연물 추출 혼합물 A와 B의 함량비가 75 : 25인 처리구에서 대조군과 거의 같은 수준인 pH 5.4를 기록하여 천연물 혼합 추출물의 함량비가 75 중량%까지는 산도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천연물 추출 혼합물 B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은 산도가 높아 관능적 품질이 매우 열악해져 바람직하지 않고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고 사료되었다.
침전물의 무게(응집력)는 천연물 추출 혼합물 B의 함량비가 증가할수록 무게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구의 경우 콩 혼합물액 100mL에서 17.36g이 침전되었는데, 천연물 추출 혼합물 A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침전물의 함량이 크게 감소하여 7.65g으로 측정되었다. 이 결과는 천연물 추출 혼합물 A만으로는 콩 혼합물 단백질을 응집시켜 침전시킬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사료된다. 천연물 추출 혼합물 B의 함량을 증가시켜 25 중량%일 때 16.98g로 다시 증가하였고, 50 중량%에서는 16.97g, 75 중량%와 100 중량%일 때는 각각 17.82g과 18.46g을 나타내어 천연물 추출 혼합물 B의 함량에 비례적으로 콩 혼합물의 침전물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천연물 추출 혼합물 A와 B의 혼합비에 따른 콩 혼합물 침전물에 함유된 파세올라민의 함량은 대조구일 때 2.11μg/g과 천연물 추출 혼합물 A와 B의 혼합비가 75 : 25일 때 2.10 μg/g으로 가장 높았고, 천연물 추출 혼합물 A만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0.53 μg/g으로 가장 낮았으며, 천연물 추출 혼합물 B의 함량이 50 중량% 이상에서는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검출되었다. 파세올라민의 함량이 천연물 추출 혼합물 B의 증가와 함께 감소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파세올라민의 단백질 등전점인 pH 5.9 이하의 낮은 pH에서는 오히려 다른 단백질들과 같이 응집되지 않고 해리되어 여액으로 빠져나가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10 내지 13>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추출 혼합물 제조
상기 실험예 2의 결과를 바탕으로 천연물 추출 혼합물의 비는 파세올라민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던 실시예 6의 조성인 천연물 추출 혼합물 A : 천연물 추출 혼합물 B를 75 : 25로 설정한 후, 천연물 추출 혼합물의 함량을 달리하여 실시예 10 내지 13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내지 13의 조성비는 표 5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추출분말 복합혼합물 첨가량
천연물 추출 혼합물의 함량(중량%)
실시예 10 2.5
실시예 11 5
실시예 12 7.5
실시예 13 10
<실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추출 혼합물의 혼합비 평가
상기 제조된 실시예 10 내지 13 및 비교예 3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은 천연물 추출 혼합물을 첨가하지 않고 0.3 중량%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5mL과 정제수 15mL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정제수에 50 중량%의 농도로 용해하여 준비한 용액을 5mL (2.5 중량%), 10mL (5 중량%), 15mL (7.5 중량%), 20mL (10 중량%) 씩 분주한 후, 80℃로 가열하여 준비한 정제수를 각각 15mL, 10mL, 5mL을 넣고 부드럽게 흔들어 준 다음 15분간 단백질을 응고시켰다. 응고액의 pH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한 후 침전물의 중량을 칭량하여 응집력을 측정하였고 파세올라민의 함량을 검사하였다. 천연물 추출 혼합물의 첨가량에 따른 콩 혼합물의 pH, 단백질의 침전물 함량(응고력)과 침전물에 함유된 파세올라민의 함량은 표 6에 나타냈다.
천연물 추출 혼합물 첨가량에 따른 콩 혼합물의 pH, 단백질 침전물의 양(응고력)과 파세올라민 함량
시료명 콩 혼합물의 pH 침전물 무게(g) 파세올라민 함량(μg/g)
비교예 3 5.6±0.1d 1.72±0.10b 2.11±0.10b
실시예 10 5.5±0.2cd 1.53±0.07a 1.83±0.15a
실시예 11 5.4±0.1c 1.70±0.11b 2.10±0.12b
실시예 12 5.1±0.1b 1.71±0.12b 2.12±0.14b
실시예 13 4.4±0.2a 1.74±0.14b 2.14±0.18b
(N = 20)
a-d : 측정 항목별로 얻은 결과 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항목 당 혼합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염화마그네슘으로 침전시킨 콩 혼합물 침전액(대조군)의 pH는 5.6으로 측정되었고, 천연물 추출 혼합물 2.5% 처리구는 5.5, 5% 처리구는 5.4로 측정되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물 추출 혼합물의 함량이 7.5%와 10%로 증가함에 따라 침전액의 pH도 낮아져, 각각 5.1과 4.4로 측정되어, 높은 농도에서는 산도가 높아지고 관능적 품질이 저하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침전물의 무게(응집력)는 천연물 추출 혼합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게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반면에 염화마그네슘을 사용한 대조구의 경우, 17.25g이 침전되었는데, 천연물 추출 혼합물이 5 중량%에서 17.16g, 7.5 중량%에서 17.21g로 거의 같은 수준으로 단백질이 침전되었다. 반면에 천연물 추출 혼합물을 2.5 중량%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15.32g으로 나타나 콩 혼합물 단백질의 응집력을 얻기 위해서는 5 중량% 이상의 첨가량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천연물 추출 혼합물의 첨가량에 따른 두유액 침전물에 함유된 파세올라민의 함량은 대조구일 때 2.09μg/g과 천연물 추출 혼합물이 5 중량%에서는 2.10μg/g, 7.5 중량%에서는 2.12μg/g, 10 중량%에서는 2.14μg/g으로 검출되어 5 중량% 이상의 첨가량에서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4 내지 17>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제조
본 발명에 따른 두부를 제조하기 위해 대두 160g과 흰강남콩 40g을 칭량한 후 정제수가 담긴 통에 넣어 침지한 다음 냉장고에서 하룻밤 정치하였다. 냉장고에서 통을 꺼낸 후 흐르는 물에 세척한 다음 물기를 털어내고 분쇄기를 이용하여 마쇄하였다. 마쇄 후 광목을 이용하여 여과한 후 콩 혼합물에 1400mL의 정제수를 가한 후 100℃에서 40분간 끓이고 85-90℃로 냉각시켰다. 80℃로 고정한 수조에 미리 담가둔 500mL 비이커에 콩 혼합물 액을 300mL씩 분주한 다음 미리 준비한 응고제액을 천천히 넣어주면서 부드럽게 교반시켜 단백질을 응고시켰다. 각각의 응고물을 소형의 성형틀(13cmx13cmx10cm)에 면포를 깔고 부은 다음 2Kg 성형추로 10분 동안 압착하여 두부를 성형하였다. 응고제액은 천연추출물 혼합물을 실시예 10 내지 13의 조성비에 따라 10g(2.5 중량%), 20g(5 중량%), 30g(7.5 중량%), 40g(10 중량%)을 100mL의 정제수에 용해한 후 첨가하였다.
<실험예 4> 두부의 식품학적 특성 평가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4 내지 17 및 비교예 3을 이용하여 두부의 수율 및 기계적 물성 평가, 관능평가, 두부의 맛 등 식품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대조구는 비교예 3의 조건으로 제조한 두부를 사용하였다.
4-1. 두부의 수율 및 기계적 물성 평가
두부의 수율은 여과 후 얻어진 콩 혼합물액 400mL로부터 제조된 두부의 무게를 측정한 후 콩 혼합물량에 대한 상대비율(%)로 나타내었다.
두부의 텍스쳐는 두부를 일정한 크기(2x2x2cm)로 절단한 다음 Texture analyzer(HD 500 Stable Microsystem, London, England)를 이용하여 견고성(hardness), 응집성(cohesiveness), 탄력성(springiness)과 부서짐성(brittleness)을 측정하였고, 3회 반복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측정 조건은 Test speed 50mm/min, sample length 15mm, sample compressed 30%, Trigger 0.005 kgf로 하였다.
천연물 추출물 혼합비에 따른 두부의 수율 및 기계적 물성 측정 결과
시료명 수율(%) 두부의 기계적 물성
견고성(g/cm 2 ) 응집성(%) 탄력성(g) 부서짐성(g)
비교예 3 20.55±1.13b 338.67±10.53b 0.47±0.04b 3.16±0.14 0.35±0.01b
실시예 14 19.06±1.21a 306.32±11.53a 0.41±0.02a 3.17±0.23 0.32±0.01a
실시예 15 20.51±1.04b 351.37±14.21bc 0.49±0.03b 3.15±0.15 0.39±0.01c
실시예 16 21.62±1.09bc 354.74±10.93c 0.51±0.03b 3.11±0.36 0.39±0.00c
실시예 17 22.54±1.27c 357.54±12.59c 0.50±0.02b 3.09±0.27 0.41±0.02c
(N = 20)
a-c : 측정 항목별로 얻은 결과 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항목 당 혼합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천연물 추출 혼합물의 첨가량에 따른 두부의 수율은 천연물 추출 혼합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화마그네슘을 첨가한 두부는 20.55%로 천연물 추출 혼합물을 5 중량%로 첨가한 두부의 20.51%와 거의 같은 수율을 나타냈고, 2.5 중량%를 첨가한 처리구는 19.06%의 수율을 나타냈다.
두부의 견고성, 응집성, 탄력성, 부서짐성을 측정하여 천연물 추출 혼합물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 견고성에서는 7.5 중량%와 10 중량% 첨가구가 각각 354.74 g/cm2와 357.54 g/cm2으로 가장 높았고, 2.5 중량% 첨가구가 306.32 g/cm2으로 가장 낮았다. 대조구와 5 중량% 처리구는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응집성은 2.5 중량%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시험구에서 통계적인 차이 없이 0.47%(대조구)에서 0.51%(7.5 중량%) 범위에서 비슷한 값을 나타냈고, 부서짐성은 천연물 추출 혼합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더 큰 힘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력성은 모든 시험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2. 두부의 관능 평가
두부의 관능평가는 서울에 거주하는 20, 30대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9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1점(대단히 싫어한다.)에서 9점(대단히 좋아한다.)까지의 점수를 부여하도록 하였다. 평가 항목은 색Color), 향미(Flavor), 맛(Taste), 조직감Texture),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nce)로 하였다. 결과는 표 8과 같다.
천연물 추출 혼합물 첨가량에 따른 두부의 관능평가 결과
시료명 색택 향미 조직감 기호도
비교예 3 7.01±1.12b 4.93±1.26a 4.73±1.66a 5.67±1.42b 6.28±1.23b
실시예 14 6.97±2.42b 5.32±2.53ab 5.44±1.53b 5.17±1.36ab 5.32±1.76a
실시예 15 6.89±1.65b 6.37±1.21b 6.39±1.45c 5.46±1.24b 6.30±2.11b
실시예 16 6.53±2.09a 6.47±0.93b 6.34±1.50c 5.81±1.61b 6.32±1.97b
실시예 17 6.21±2.27a 6.54±1.59b 6.31±2.17c 4.59±1.64a 6.45±1.08b
(N = 30)
a-d : 측정 항목별로 얻은 결과 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항목 당 혼합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색택은 모든 처리구에서 6(좋다) 이상의 점수를 받았다. 대조구가 7.01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천연물 추출 혼합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선호도가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천연물의 색택이 두부의 색택을 다소 어둡게 하여 선호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미는 대조구가 4.93의 보통 이상의 점수를 받았고 혼합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점수를 받아 10 중량% 첨가구의 경우 6.54의 값을 나타냈다.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풍미가 평가자의 기호도를 높인 것으로 사료된다. 맛 항목도 향미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고, 조직감은 농도 의존적이지는 않게 선호도가 나타났는데, 10 중량%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내어 물성적으로 너무 단단하고 탄력성이 낮은 두부의 선호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천연물 추출 혼합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기호도가 증가하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과적으로 색택, 향미, 맛, 조적감, 기호도의 종합적인 평가 결과는 실시예 1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3. 두부의 맛 평가
맛에 대한 강도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서 짠맛(Salty Taste), 콩비린맛(Beany Taste), 쓴맛(BitternessTaste), 고소한맛(Nutty Taste)에 대한 항목을 추가로 평가하였다. 이때 점수는 9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1점(대단히 약함)에서 9점(대단히 강함)까지 점수를 부여하도록 하였다.
천연물 추출분말 복합혼합물 첨가량에 따른 두부의 맛 평가 결과
시료명 짠맛 비린 맛 쓴맛 고소한 맛
비교예 3 1.81±0.12 4.80±1.72b 3.67±1.07a 5.32±1.51
실시예 14 1.87±0.42 3.09±0.95ab 4.28±1.31a 5.82±1.36
실시예 15 1.79±0.65 2.53±1.00a 5.39±1.02b 6.24±1.24
실시예 16 1.75±0.09 2.14±1.04a 6.17±0.72b 6.32±1.61
실시예 17 1.72±0.27 1.80±1.02a 6.54±1.04b 6.29±1.64
(N = 30)
a-d : 측정 항목별로 얻은 결과 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항목 당 혼합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관능평가 항목 중 맛 항목을 세분하여 짠맛, 비린 맛, 쓴 맛, 고소한 맛에 대해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짠맛과 고소한 맛에서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천연물 추출 혼합물을 첨가한 처리구가 농도 의존적으로 다소 짠맛의 강도를 낮추고, 고소한 맛의 느낌은 상승시키는 것을 나타났다. 비린 맛은 대조구 4.80에 비해 천연물 추출 혼합물의 첨가에 의해 크게 낮춰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10 중량%의 경우 1.80을 나타내 천연물의 풍미가 콩 특유의 비린 맛을 줄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쓴맛은 천연물 추출 혼합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크게 느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8 내지 22> 본 발명의 두부를 포함한 사료 제조
실험예 4의 실험결과, 식품학적 특성의 종합적인 결과는 실시예 11의 조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는바, 실시예 11의 조성으로 실시예 18 내지 22를 제조하였다. 사료는 삼양사 제품의 고형사료를 이용하였고, 상기 사료에 포함된 본 발명의 두부의 함량은 하기 표 10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두부를 포함하는 급여량 조성
일일 사료 총 급여량 중 두부함량 (%)
비교예 4 0
비교예 5 5.0
실시예 18 2.0
실시예 19 4.0
실시예 20 6.0
실시예 21 8.0
실시예 22 10.0
<실험예 5> 두부의 체중 감량 및 생리상태 개선 효과 평가
5-1. 체중감량 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두부의 체중감량 효과와 생리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8 내지 22 및 비교예 4, 5를 실험동물에 30일간 급여하며 체중 감량과 생리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이 100±10g인 Sprague Dawley종의 4주된 웅성 흰쥐를 대한실험동물센터에서 구입하여 4주간 사육실에서 적응시켰다. 적응 기간 중 사육실의 온도와 습도는 각각 22±2℃, 55±5%로 항온 항습을 유지하였다. 식이는 고형사료(삼양사 제품)와 물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4주간 적응시킨 체중이 350g(8주령) 전후의 흰쥐 7마리를 한 군으로 하여 대조군 및 실험군들로 분류하였다. 음성 대조군인 비교예 4는 일반사료만을 급여시켰으며, 양성대조군은 비교예 5로 하여 대두와 염화마그네슘을 사용하여 제조한 일반두부를 사료에 5 중량% 혼합하여 급여한 후, 효과를 비교하였다.
두부를 함유한 사료를 급여하기 전에 에틸에테르로 약하게 마취시킨 후 체중을 계량하고, 꼬리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혈장을 분리한 후 혈중 콜레스테롤과 젖산 농도를 측정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실험 7일째, 14일째, 21일째, 28일째 체중을 계량하고 혈중 콜레스테롤과 젖산농도를 측정하였다. 혈중 콜레스테롤은 효소열량시험(enzymatic calorimetric test)에 의해 T. chol. 키트 (Boehringer Mannheim, Germany)를 사용하여 자동 분석기(Hitachi 747)로 측정하였고, 혈중 젖산 농도는 자동화학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두부가 포함된 사료를 실험용 흰쥐에게 급여하는 동안의 체중변화는 표 11과 도 1에 나타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두부를 급여 받은 흰쥐의 체중 변화
시료명 급여일수
0일 10일 20일 30일
비교예 4 353.06±18.16X 368.24±12.44b,X 381.36±15.52c,Y 396.82±13.47c,Y
비교예 5 351.75±17.23X 364.19±16.35b,X 379.23±14.36c,Y 388.69±14.57c,Y
실시예 18 352.18±12.32 351.27±10.65ab 349.06±11.78b 337.24±20.04b
실시예 19 354.42±14.45X 351.42±12.37ab 346.42±11.27b 331.17±16.73b,Y
실시예 20 349.74±17.22X 343.74±12.15a,X 339.74±10.76ab,XY 325.57±12.75ab,Y
실시예 21 354.14±19.47X 338.14±13.62a,X 326.14±12.55a,Y 319.38±14.69a,Y
실시예 22 353.75±17.60X 331.75±10.84a,Y 318.75±16.66a,YZ 311.28±13.24a,Z
(N = 7)
a-c : 같은 급여일수에서 두부의 급여량별로 얻은 결과 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항목 당 급여량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X-Z : 같은 급여량에서 급여일수별로 얻은 결과 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항목 당 급여일수의 변화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두부를 급여 받지 못한 대조군은 사육기간 중 체중이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30일째에는 396.82g을 나타내어 실험 개시일의 353.06g에 비해 43.76g으로 약 12%의 체중이 증가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두부를 급여한 흰쥐에서는 체중 감소 경향을 보였으며, 급여량에 비례하게 체중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두부를 총 중량의 2 중량%가 포함된 실시예 18을 급여한 경우, 352.18g에서 30일 후 337.24g으로 약 4.2%의 감량을 나타냈고, 4 중량%가 포함된 실시예 19를 급여한 실험군은 354.42g에서 30일 후에 331.17g으로 약 6.6%의 감량을 나타냈고, 6 중량%가 포함된 실시예 20을 급여한 실험군은 349.74g에서 30일 후에는 325.57g으로 약 6.9%의 감량효과를 나타냈다. 8 중량%가 포함된 실시예 21을 급여한 실험군은 354.14g에서 30일 후에는 319.38g으로 약 9.8%의 감량을 나타냈으며, 10 중량%가 포함된 실시예 22를 급여한 실험군은 353.75g에서 30일 후에는 311.28g으로 약 12%의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양성대조군인 일반두부 5 중량%로 포함된 비교예 5를 급여 받은 흰쥐는 음성대조군과 거의 비슷한 경향으로 사육 30일째에는 약 10.5%의 체중이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흰강남콩이 함유한 파세올라민의 탄수화물 대사 억제 효과에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두부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그 효과는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5-2.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 확인
본 발명에 따른 두부를 포함하는 사료를 실험용 흰쥐에게 급여하는 동안의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의 변화는 표 12에 나타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두부를 급여 받은 흰쥐의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mg/dL)의 변화
시료명 급여일수
0일 10일 20일 30일
비교예 4 95.80±5.62 96.10±4.36b 98.72±4.16c 103.82±8.18d
비교예 5 94.18±7.14 95.58±5.25b 97.12±3.48c 99.82±4.25cd
실시예 18 95.37±5.25 93.00±5.16ab 92.51±6.22bc 91.08±4.32c
실시예 19 96.13±6.45X 94.15±4.27ab,X 91.65±4.45bc,XY 84.82±5.69bc,Y
실시예 20 93.87±8.88X 89.05±4.08a,X 86.30±5.24b,XY 79.82±3.98b,Y
실시예 21 95.69±6.35X 89.24±5.74a,X 81.19±6.41ab,XY 74.82±4.46ab,Y
실시예 22 95.45±6.26X 90.16±3.28a,XY 78.72±5.10a,Y 68.34±7.55a,Y
(N = 7)
a-d : 같은 급여일수에서 두부의 급여량별로 얻은 결과 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항목 당 급여량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X-Y : 같은 급여량에서 급여일수별로 얻은 결과 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항목 당 급여일수의 변화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혈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음성대조군 비교예 4와 양성대조군 비교예 5는 사육기간 동안 증가하거나 거의 같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 발명에 따른 두부를 급여 받는 모든 실험군에서는 두부 함유량에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사료 급여량의 2 중량%가 포함된 실시예 18을 급여한 실험군은 95.37mg/dL에서 30일 후 91.83mg/dL로, 4 중량%가 포함된 실시예 19를 급여한 실험군은 96.13mg/dL에서 30일 후에 84.82mg/dL로, 6 중량%가 포함된 실시예 20을 급여한 실험군은 93.37mg/dL에서 30일 후에 79.82mg/dL로, 8 중량%가 포함된 실시예 21을 급여한 실험군에서는 95.69mg/dL에서 30일 후에 74.82mg/dL로, 10 중량%가 포함된 실시예 22를 급여한 실험군에서는 95.45mg/dL에서 30일 후에 68.34mg/dL로 약 28.4%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흰강남콩의 파세올라민의 탄수화물 대사억제로 인한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 생성량 제한으로 콜레스테롤 합성이 저하되었고 또한 천연물 추출 혼합물에 함유된 폴리페놀, 카테킨, 비타민 B 등의 성분들과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5-3. 혈중 젖산 농도(U/L) 변화 평가
본 발명에 따른 두부를 실험용 흰쥐에게 급여하는 동안의 혈중 젖산 농도의 변화는 표 13에 나타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두부를 급여 받은 흰쥐의 혈중 젖산 농도(U/L) 변화
시료명 급여일수
0일 10일 20일 30일
비교예 4 1,059.06±378.42X 1,164.06±389.36b,X 1,249.06±301.62c,Y 1,348.21±465.55c,Y
비교예 5 1,048.37±466.32X 1,115.46±266.54b,X 1,204.56±369.36c,Y 1,213.68±398.88c,Y
실시예 18 1,045.23±275.66 1,004.32±417.32ab, 998.15±401.32b 1,002.45±450.24bc
실시예 19 1,081.45±605.27X 1,011.32±477.21ab,X 988.25±275.14b,Y 958.75±357.08b,Y
실시예 20 1,047.25±465.70X 984.82±354.41ab,X 945.03±405.06b,Y 916.44±412.71ab,Y
실시예 21 1,038.95±365.55X 976.32±366.96a,X 902.65±243.06ab,Y 857.29±374.29a,Y
실시예 22 1,054.45±410.18X 924.21±301.24a,X 836.45±273.25a,Y 819.45±216.64a,Y
(N = 7)
a-c : 같은 급여일수에서 두부의 급여량별로 얻은 결과 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항목 당 급여량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X-Y : 같은 급여량에서 급여일수별로 얻은 결과 값의 어깨문자 중 다른 글자는 항목 당 급여일수의 변화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p<0.05)을 나타낸다.
혈중 젖산 농도는 음성대조군과 양성대조군은 사육기간 동안 증가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두부를 급여 받는 모든 실험군에서는 두부 함유량에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사료 급여량의 2 중량%가 포함된 실시예 18을 급여한 실험군은 1,045.23U/L에서 21일 후 998.15U/L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4 중량%가 포함된 실시예 19를 급여한 실험군은 1,081.45U/L에서 30일 후에 958.75 U/L로, 6 중량%가 포함된 실시예 20을 급여한 실험군은 1,047.25U/L에서 30일 후에 916.44U/L로, 8 중량%가 포함된 실시예 21을 급여한 실험군에서는 1,038.95U/L에서 30일 후에 857.29U/L로, 10 중량%가 포함된 실시예 22를 급여한 실험군에서는 1,054.45U/L에서 30일 후에는 819.45U/L로 약 22.3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8)

  1. 콩 혼합물, 정제수 및 천연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두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콩 혼합물은, 대두와 흰강남콩의 콩이 4 : 1의 중량비로 포함되고,
    상기 천연물 추출 혼합물은 전체 조성물의 5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되, 천문동, 맥문동, 산수유 추출물이 1 : 1 : 1로 포함되는 혼합 추출물 A 및 복분자, 토사자, 구기자, 오미자, 홍삼 추출물이 1 : 1 : 1 : 1 : 1의 비율로 포함되는 혼합 추출물 B가 3 : 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콩 혼합물, 정제수 및 천연물 추출 혼합물은 7.5~12.5 : 80.0~90.0 : 2.5~7.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 혼합물, 정제수 및 천연물 추출 혼합물을 10 : 85 : 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 조성물은 연두부, 순두부, 찌개용 두부, 부침용 두부 및 튀김용 두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으로 제조되는 것인 두부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두부 조성물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 식품.
KR1020180027184A 2018-03-08 2018-03-08 체중 감소 효과를 갖는 두부 조성물 KR102048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184A KR102048957B1 (ko) 2018-03-08 2018-03-08 체중 감소 효과를 갖는 두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184A KR102048957B1 (ko) 2018-03-08 2018-03-08 체중 감소 효과를 갖는 두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139A KR20190106139A (ko) 2019-09-18
KR102048957B1 true KR102048957B1 (ko) 2020-01-22

Family

ID=68071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184A KR102048957B1 (ko) 2018-03-08 2018-03-08 체중 감소 효과를 갖는 두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9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5367A1 (en) * 2005-09-20 2007-03-29 Rich, Thomas, L. Northern white kidney bean extract and red kidney bean extract in combination with green tea extract in the treatment of obesit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423A (ko) * 1996-03-06 1997-10-13 서순덕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두부의 제조방법
KR100798522B1 (ko) 2007-01-31 2008-01-28 김중승 손바닥 선인장 함유 천연 두부 응고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15916B1 (ko) 2007-08-09 2009-09-07 김종민 천연물질 산수유를 이용한 무간수 한방두부 및 그 제조방법
KR101190405B1 (ko) 2011-12-01 2012-10-12 김종민 천연간수 및 한약재를 이용한 한방두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5367A1 (en) * 2005-09-20 2007-03-29 Rich, Thomas, L. Northern white kidney bean extract and red kidney bean extract in combination with green tea extract in the treatment of obes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139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764B1 (ko) 열대과일을 이용한 두부의 제조방법
JP2020535835A (ja) 改良された栄養価を有するエンドウマメタンパク質組成物
JPH03228667A (ja) 抗酸化ミネラル飲料及びその製造法
KR102048957B1 (ko) 체중 감소 효과를 갖는 두부 조성물
KR100810582B1 (ko) 기능성 재료를 함유하는 쌀두부 제조방법
KR20120088061A (ko) 두부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720801B (zh) 富含菊糖的牛蒡茶
CN101209099A (zh) 一种天然养生山药粉
KR101648881B1 (ko) 밤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4431209A (zh) 一种不含咖啡因的咖啡替代品及其制备方法
JP2947787B1 (ja) 松葉を含有した豆腐の製造方法
KR20180037437A (ko) 녹차 두부 제조방법
CN113142495A (zh) 一种功能型复配冲调粉的制备方法
CN107494863B (zh) 多功能固体饮料的制备方法及其用途
KR102417086B1 (ko) 콩유장액을 이용한 다이어트용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18546B1 (ko) 두부의 제조방법
KR101837245B1 (ko) 작두콩 두부의 제조방법
KR102202992B1 (ko) 단백질 천연응고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식용가능한 콩유장액
CN108391739A (zh) 一种燕窝白咖啡
KR102614020B1 (ko) 얼룩두부의 제조방법
KR100525519B1 (ko) 은행이 가미된 기능성 두부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28835A (ko) 기능성 모시잎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9261B1 (ko) 다색 두부 제조방법
KR102168434B1 (ko) 천연발효식초와 해양심층수를 응고제로 이용하여 제조된 두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81459A (ko) 탄닌성분 및 식이섬유가 강화된 수수두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