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938B1 -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 Google Patents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938B1
KR102048938B1 KR1020130054422A KR20130054422A KR102048938B1 KR 102048938 B1 KR102048938 B1 KR 102048938B1 KR 1020130054422 A KR1020130054422 A KR 1020130054422A KR 20130054422 A KR20130054422 A KR 20130054422A KR 102048938 B1 KR102048938 B1 KR 102048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od
cover
airbag
inf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4483A (ko
Inventor
문건웅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4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938B1/ko
Priority to CN201420240524.3U priority patent/CN203946059U/zh
Publication of KR20140134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05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for motor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면에 장착되는 후드와 상기 후드에 설치되고, 상면과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체결 홀이 형성된 커버, 인플레이터와 쿠션이 내장되고, 외측에 상기 체결 홀과 결합되게 후크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체결 홀보다 후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을 고정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마운팅 면 및 체결 후크와 홀의 위치를 일렬로 배열함으로, 에어백의 전개 시 인플레이터로 인한 압력으로 상기 체결 홀에서 상기 체결 후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 에어백 전개시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가스 발생시의 전달 된 힘을 후드에 장착된 브라켓에서 분산 시켜, 하우징 파손을 막아주고, 후드면에 하우징을 장착하지만, 이 모듈은 브라켓만 후드에 장착하면 되기 때문에, 별도의 브라켓과 하우징과의 설치 작업이 필요 없어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AN AIRBAG OF A PEDESTRIAN PROTECTION}
본 발명은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시 차량의 구조물로부터 보행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에어백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사고에 있어서의 보행자 보호가 법규화되어, 보행자 보호 성능이 자동차용 후드의 등급의 지표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한편, 자동차는 엔진의 고출력화에 의해, 엔진이 대형화됨과 동시에, 다기능화에 의해 엔진 룸 내의 설치 구조물도 증가하기 때문에, 보행자 보호에 필요한 후드 밑의 공간도 작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스포티한 디자인과 보행자 보호 성능을 양립시키기 위해서는, 작은 공간으로도 효율적으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자동차용 후드의 개발이 중요하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하는 자동차용 후드로서 외측 패널과 내측 패널을 접합했을 때에 양쪽 패널 사이에 공간부를 개재한 단면 구조를 구비하는 후드 구조를 가진 자동차용 후드가 제안되고 있다.
또한, 상기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내측 패널에 깊이가 다른 복수의 딤플(dimple)을 형성한 후드에 관하여도 제안되어 있다
도 1의 종래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후드(1)를 들어올릴시 커버(3)면으로 물이 새어 들어오는 경우가 생기게 되어, 상기 커버(3)에 PE필름을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PE필름을 이용한 커버(3)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PE필름이 찢어지는 경우가 다반사이고, 또, 커버(3)의 형상이 평평하지 않고 볼록해진다.
또, 이러한 커버는 엔진룸 가까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엔진룸의 열을 단열하기 위하여 단열 커버가 따로 필요로하게되어 최근추세인 경량화와 슬림화에 역행하며, 원가절감에도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에 있어서, 인플레이터가 모듈 중간에 위치하여 후드의 편심을 방지하고, 디퓨져 포켓 위치와 토출홀 형상으로 좌/우 전개성 확보가 가능하게 하여, 인플레이터 위치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게 하여, 보행자와의 충돌로 리프트된 후드 사이로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어 에어백이 윈드 실드의 필요 영역을 보호하게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은 차량의 전면에 장착되는 후드와 상기 후드에 설치되고, 상면과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및 체결 홀이 형성된 커버, 인플레이터와 쿠션이 내장되고, 외측에 상기 체결 홀과 결합되게 후크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체결 홀보다 후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을 고정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의 전면에 테어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어라인은 상기 후드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어라인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후크부의 일단이 후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후측으로 삽입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의 후측에 마운팅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이 전개되도록 상기 커버의 전면에 테어심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작동선이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돌출패드 및 후크부와 체결 홀의 위치를 일렬로 배열하여, 에어백의 전개 시 인플레이터로 인한 압력으로 상기 체결 홀에서 상기 후크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에어백 전개시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가스 발생시의 전달 된 힘을 후드에 장착된 브라켓에서 분산 시켜, 하우징의 파손을 막아준다.
또, 브라켓을 후드에 장착하기 때문에, 별도의 브라켓과 하우징과의 설치 작업이 불필요하여 시간을 줄이고, A/S등에도 효율적이며, 수밀의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의 일실시예에 의해 도시된 측면도,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해 도시된 정면도,
도 3a은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작동 전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b은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작동 후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인플레이터에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의 일실시예에 의해 도시된 측면도와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해 도시된 정면도, 도 3a은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작동 전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3b은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작동 후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인플레이터에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을 설명하면, 의 전면에 장착되는 후드와 상기 후드에 설치되고, 상면과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체결 홀이 형성된 커버, 인플레이터와 쿠션이 내장되고, 외측에 상기 체결 홀과 결합되게 후크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체결 홀보다 후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을 고정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에 상기 하우징이 결합되고, 상기 커버의 일단에 돌출패드가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테어심은 상기 후드와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어심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은 상기 후크부의 일단이 후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후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의 후측에 마운팅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작동선이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한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인 경우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을 설명하면, 차량의 전면에 장착되는 후드(1)와 상기 후드(1)에 설치되고, 상면과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1) 및 체결 체결 홀(12)가 형성된 커버(10), 인플레이터(4)와 쿠션(2)이 내장되고, 외측에 상기 체결 홀(12)과 결합되게 후크부(21)가 형성된 하우징(20) 및 상기 체결 홀(12)보다 후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20)을 고정하는 브라켓(30)을 포함한다.
상기 후드(1)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엔진 룸등을 덮을 수 있도록 리지드(rigid)한 성질로 형성되어 엔진 및 차량의 전방을 보호하며, 상기 후드(1)의 내측에는 다양한 차량부재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후드(1)의 내측에 자동차의 충돌로 인하여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최근 다양한 안전부재가 설치된다.
즉, 상기 후드(1)의 내측, 전방 유리패널과 가깝게 설치되는 상기 커버()는 상면과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1) 및 체결 홀(12a,12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10)의 상면은 상기 후드(1)와 맞닿는 부분을 말하고 상기 하면은 이와 반대되게 위치한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10)는 ??자형으로 생기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0)의 상,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1) 및 체결 홀(12a,12b)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돌출부(11)는 상기 커버(10)의 전면측, 즉, 상기 쿠션(2)이 전개되는 방향과 가까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상기 돌출부(11)는 상기 후드(1)의 내측으로 물이 스며들경우 상기 물이 상기 인플레이터(4)에 들어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커버(10)에 상기 하우징(20)이 결합되고, 상기 커버(10)의 일단에 상기 돌출패드(40a,40b)가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돌출패드(40a,40b)는 리지드한 성질로 성형될 수도 있고, 유연한 성질일 수 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우징과 같은 재질로 성형되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 상기 돌출패드(40a,40b)는 상기 물이 상기 후드(1)내로 침투되어 상기 하우징(20)에 물이 스며들지 않게 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것으로 끝단으로 갈수록 얇아지게 형성된다.
또, 상기 커버(10)의 전면에 즉, 상기 쿠션(2)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테어라인(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테어라인(13)은 상기 후드(1)와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패드(40a,40b)에 의해 유입된 물이 상기 하우징(20)에 스며들지 않게 된다.
또,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인플레이터(4)와 상기 쿠션(2)이 내장되고, 외측에 상기 체결 홀(12)과 결합되게 후크부(21)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21)의 일단이 상기 쿠션(2)의 전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커버(10)의 체결 홀(12a,12b)에 끼워지게 되어 결합된다.
상기 인플레이터(4)는 상기 하우징(20)내부에 장착되어 자동차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해 충돌사고 발생시 상기 인플레이터(4)가 작동하여 상기 쿠션(2)을 전개시키도록 한다.
또, 상기 쿠션(2)은 상기 하우징(20)에 상기 인플레이터(4)의 위치보다 상기 테어심(13)과 가깝게 설치되어 상기 인플레이터(4)의 신호로 인하여 상기 차량의 앞면유리로 전개가 된다.
상기 브라켓(30)은 상기 하우징(20)의 후측에 마운팅부(1a)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마운팅부(1a)는 상기 후드(1)에 형성되어, 상기 마운팅부(1a)에 상기 브라켓(30)이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마운팅부(1a)는 상기 후드(1)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또, 볼트에 의해 상기 후드(10)와 상기 브라켓(30)을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상기 브라켓(30)에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인플레이터(4)의 작동선(미도시)이 삽입되어져 상기 인플레이터(4)와 연결될 수 있다.
또, 상기 브라켓(30)과 상기 후드(1)의 마운팅부(1a)의 타측은 상기 하우징(20) 방향으로, 즉, 상기 쿠션(2)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끝부분이 절곡되어져 형성되어, 상기 인플레이터(4)의 고압에 의해 상기 하우징(20)이 유동이 생길경우 이에 대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플레이터(4)와 쿠션(2)이 내장되는 하우징(20)을 커버(10)와 결합함에 있어, 상기 커버(10)는 후드(1)에 장착되고, 상기 후드(1)에 장착된 상기 커버(10)에 상기 하우징(20)에 형성된 후크부(21)가 상기 커버(10)의 홀(12)에 삽입되어, 상기 후크부(21)의 일측이 상기 커버(10)의 홀(12)에 의해 걸리게 되어, 결합된다.
또, 상기 하우징(10)의 돌출부(40)는 상기 커버(10)의 끝단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에 설치된 센서(미도시)가 차량의 충돌을 인식하게 되면, 상기 센서와 연결된 인플레이터(4)가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플레이터(4)의 작동으로 쿠션(2)의 전개가 개시되면 상기 후드(1)가 상측으로 들리면서 상기 쿠션(2)이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5)으로 전개되어 보행자의 2차 충격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 후드
10: 커버 20: 하우징
30: 브라켓 40: 돌출패드

Claims (7)

  1. 차량의 전면에 장착되는 후드;
    상기 후드에 설치되고, 상면과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및 체결 홀이 형성된 커버;
    인플레이터와 쿠션이 내장되고, 상기 체결 홀과 결합되게 후크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쿠션의 진행방향과 반대로 상기 후드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고정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 상기 하우징이 결합되고, 상기 커버의 일단에 돌출패드가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패드는 끝단으로 갈수록 얇아지게 형성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상기 하우징이 결합되고, 상기 커버의 일단에 돌출패드가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테어라인은 상기 후드와 가깝게 형성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어라인은 복수개가 형성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후크부의 일단이 후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후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의 후측에 마운팅에 의해 설치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작동선이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KR1020130054422A 2013-05-14 2013-05-14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KR102048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422A KR102048938B1 (ko) 2013-05-14 2013-05-14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CN201420240524.3U CN203946059U (zh) 2013-05-14 2014-05-12 步行者保护用安全气囊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422A KR102048938B1 (ko) 2013-05-14 2013-05-14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483A KR20140134483A (ko) 2014-11-24
KR102048938B1 true KR102048938B1 (ko) 2019-11-26

Family

ID=51888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422A KR102048938B1 (ko) 2013-05-14 2013-05-14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8938B1 (ko)
CN (1) CN20394605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02733A1 (de) 2020-02-07 2021-08-12 Hyundai Mobis Co., Ltd. Fahrzeugkollisionsbestimmungssystem und -verfahren
KR20210101019A (ko) 2020-02-07 2021-08-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충돌 판별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1020A (ko) 2020-02-07 2021-08-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충돌 판별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7835A (ko) 2020-12-18 2022-06-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전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7019A (zh) * 2017-09-11 2018-02-1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行人小腿保护装置
CN110884570B (zh) * 2019-12-13 2024-04-19 江苏东科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内部方便存放小型维修工具的碳纤维汽车引擎盖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4988A (ja) * 2004-03-11 2005-09-22 Toyoda Gosei Co Ltd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7001322A (ja) * 2005-06-21 2007-01-11 Honda Moto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の排水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4988A (ja) * 2004-03-11 2005-09-22 Toyoda Gosei Co Ltd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7001322A (ja) * 2005-06-21 2007-01-11 Honda Moto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の排水構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02733A1 (de) 2020-02-07 2021-08-12 Hyundai Mobis Co., Ltd. Fahrzeugkollisionsbestimmungssystem und -verfahren
KR20210101019A (ko) 2020-02-07 2021-08-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충돌 판별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1020A (ko) 2020-02-07 2021-08-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충돌 판별 시스템 및 방법
US11618402B2 (en) 2020-02-07 2023-04-04 Hyundai Mobis Co., Ltd. Vehicle collision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KR20220087835A (ko) 2020-12-18 2022-06-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전개 장치 및 방법
US11813997B2 (en) 2020-12-18 2023-11-14 Hyundai Mobis Co., Ltd. Airbag deployment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946059U (zh) 2014-11-19
KR20140134483A (ko) 201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938B1 (ko)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US6848738B2 (en) Vehicle structure for pedestrian protection
GB2518728A (en) Airbag device for a vehicle bonnet
JP5392315B2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EP2886399B1 (en) Pedestrian air-bag for vehicle
KR20110138766A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보호용 프로텍터
KR101154266B1 (ko)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장치
JP5862065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2015136978A (ja) フード付け車両用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の搭載構造
KR101637675B1 (ko)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
KR20150145118A (ko)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JP4140620B2 (ja) 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CN102862534A (zh) 车辆的保险杠装置
CN207790593U (zh) 一种汽车后保险杠
JP2017144814A (ja) 車両のバンパー構造
KR101062541B1 (ko) 에어백 모듈 조립 구조
CN111332244A (zh) 汽车行人保护方法及汽车前保险杠安全气囊
KR101071736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JP2009143414A (ja) 歩行者保護装置
JP6824215B2 (ja)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7109655A (ja)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KR20140076444A (ko) 보행자에어백
KR102113768B1 (ko)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
KR101327128B1 (ko) 차량의 보행자 보호장치
KR102048584B1 (ko)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차량의 후드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