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544B1 - 자석 와이어에 하니스를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 Google Patents

자석 와이어에 하니스를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544B1
KR102048544B1 KR1020130080989A KR20130080989A KR102048544B1 KR 102048544 B1 KR102048544 B1 KR 102048544B1 KR 1020130080989 A KR1020130080989 A KR 1020130080989A KR 20130080989 A KR20130080989 A KR 20130080989A KR 102048544 B1 KR102048544 B1 KR 102048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eceiving passages
harness
terminals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7774A (ko
Inventor
쿠르트 앨런 랜돌프
파울 월터 맥도웰
제프리 리차드 루스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07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 H01R4/245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forming a U-shape with slotted bran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5Devices for sensing temperature, or actuated thereb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자석 와이어(18)를 하니스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2)에 관한 것이다. 어댑터의 제1 하우징(10)은 모터 조립체의 하우징(30)에 고정된다. 제1 하우징은 제1 하우징의 단자 수용 통로(42)에 고정된 제1 단자들(16)을 갖는다. 제1 단자들은 절연 변위 슬롯들(64)과 정합부들(68)을 갖고, 절연 변위 슬롯들은 자석 와이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정합부들은 하니스에 부착된 정합가능 커넥터(14)의 커넥터들과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어댑터의 제2 하우징(12)은, 제1 단자들의 정합부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81)를 갖는 컨택트 수용 통로(80), 및 수용부로부터 연장되는 정합가능 커넥터 수용 통로(83)를 구비한다. 정합가능 커넥터 수용 통로는 정합가능 커넥터의 컨택트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치수를 갖는다.

Description

자석 와이어에 하니스를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AN ADAPTER FOR CONNECTING A HARNESS TO MAGNET WIRES}
본 발명은 자석 와이어에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기 기기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소형 전기 모터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모터들은 통상적으로 진공 청소기, 주방 용품 및 가정이나 기업에서 사용되는 다른 임의의 전력 액세서리 등의 기기 내에 통합된다.
자석 와이어는 통상적으로 출원인의 Mag-Mate 전기 커넥터로부터의 단자와 같은 절연 변위 슬롯(insulation displacement slot)을 갖는 단자에 접속된다. 이 단자들은, 자석 와이어와의 양호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자석 와이어 상의 단단한 외측 니스 코팅을 통해 절단된 2개의 절연 변위 슬롯을 갖는다. Mag-Mate 단자는, 예를 들어, 리프 스프링 컨택트에 의해 플러그 단자에 접속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예를 들어, 절연 변위 슬롯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체형 탭 컨택트에 의해 리셉터클 단자에 접속될 수 있다.
정합 리드와의 상호 접속을 위해, 와이어를 직접 수용하기 위한 포크인(poke-in) 래치, 리셉터클 단자를 위한 탭, 와이어를 둘러싸기 위한 포스트, 와이어 배럴이나 솔더 탭 등의 리드 접속을 위한 다양한 수단을 제공해 왔다. 이러한 유형의 컨택트는 훌륭히 기능을 수행하여 왔으며, 많은 장점들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자석 와이어를 리드 와이어에 접속하기 위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단자에 의하면, 자석 와이어를 기기 및 이러한 기타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하니스(harness) 등에 효율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어려웠다. 따라서, 산업이 더욱 복잡해짐에 따라, 부품들의 조립 프로세스들을 더욱 향상시키며 수리와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는 전기 컨택트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기 기기 등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모터와 부품들을 하니스를 사용하여 직렬 접속하는 것이 장점으로 된다. 그러나, 자석 와이어 단자들의 구성으로 인해, 하니스를 단자에 접속하는 것이 어려웠다.
따라서, 하니스를 자석 와이어 단자에 쉽게도 효율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장점으로 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 하니스를 쉽게 접속 해제 및 재접속할 수 있어서, 조립 동안 그리고 현장에서 개별 부품들의 수리나 교체를 쉽게 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는 자석 와이어를 하니스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어댑터의 제1 하우징은 모터 조립체의 하우징에 고정된다. 제1 하우징은 제1 하우징의 단자 수용 통로에 고정된 제1 단자를 갖는다. 제1 단자는 절연 변위 슬롯과 정합부를 갖고, 절연 변위 슬롯은 자석 와이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정합부는 하니스에 부착된 정합가능 커넥터의 컨택트와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어댑터의 제2 하우징은, 제1 단자의 정합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를 갖는 컨택트 수용 통로, 및 수용부로부터 연장되는 정합가능 커넥터 수용 통로를 갖는다. 정합가능 커넥터 수용 통로는 정합가능 커넥터의 컨택트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치수를 갖는다. 어댑터는 자석 와이어와 하니스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는 제1 하우징과 커버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제1 하우징은 제1 하우징의 단자 수용 통로에 고정된 제1 단자를 갖는다. 제1 단자는 절연 변위 슬롯과 정합부를 갖고, 절연 변위 슬롯은 자석 와이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정합부는 정합가능 커넥터의 컨택트와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커버는, 제1 단자의 정합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를 갖는 컨택트 수용 통로를 포함한다. 정합가능 커넥터 수용 통로는 수용부로부터 연장되며, 정합가능 커넥터의 컨택트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치수를 갖는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정합가능 커넥터에 접속된 하니스와 자석 와이어 간에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는 정합가능 커넥터에 접속된 하니스와 자석 와이어 간에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의 제1 하우징은 제1 하우징의 단자 수용 통로에 고정된 제1 단자를 갖는다. 제1 단자는 자석 와이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그리고 정합가능 커넥터의 컨택트와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전기 커넥터의 커버는, 제1 단자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갖는 컨택트 수용 통로, 및 정합가능 커넥터의 컨택트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정합가능 커넥터 수용 통로를 갖는다. 전기 커넥터는 각각의 제1 단자와 맞물리는 바이메탈 보호기(bi-metal protector)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과 함께 다음에 따르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더욱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정면 사시도.
도 2는 예시적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조립된 예시적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완전히 조립된 예시적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
도 5는 예시적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제1 단자의 사시도.
도 6은 예시적인 전기 커넥터 조립체 내에 삽입되는 제2 단자의 사시도.
도 7은 예시적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수용되는 보호기의 사시도.
도 8은 예시적인 전기 커넥터의 회로의 개략도.
다음에 따르는 상세한 설명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완전히 이해하도록 많은 특정 상세를 설명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특정 상세 없이 실시예들을 실시할 수 있고, 실시예들이 예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대체 실시예들로 실시예들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경우에, 널리 알려져 있는 방법, 프로시저, 및 구성요소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았다.
또한, 다양한 동작들을, 실시예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다수의 이산 단계들로서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설명 순서가 이러한 동작들을 제시된 순서대로 수행해야 하거나 또는 심지어 순서에 의존함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일 실시예"라는 표현을 반복 사용하는 것은, 동일한 실시예일 수도 있지만 반드시 동일한 일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의 용어들은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동의어로 하려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해 보면, 어댑터 또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2)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 조립체(2)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 및 커버 하우징 또는 캡 하우징 어댑터(12)를 갖는다. 제2 하우징이라고도 칭하는 커버 하우징(12)은 정합가능 커넥터(14)와 정합하도록 설계된다. 정합가능 커넥터(14)는 커넥터 조립체(2)의 단자들(16)과의 정합 접속을 제공하도록 컨택트들(도시하지 않음)을 내부에 갖는다. 정합가능 커넥터(14)의 컨택트들의 반대측 단부들은, 당해 기술에 알려져 있듯이, 와이어 하니스 또는 기타 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정합가능 커넥터(14)의 일례는 TE Connectivity에서 판매하는 Power Double Lock 커넥터이다.
단자들(16)은 Mag-Mate 단자와 같은 절연 변위 단자들이지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절연 변위 단자들(16)은, 자석 와이어(18)의 단단한 외측 니스 코팅(tough outer varnish coating)을 변위시킴으로써 자석 와이어(1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조립체(2)는 리드 와이어(22)를 종단하는 단자들(20)도 포함한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도 1과 도 2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모터 하우징(30)에 고정되도록 설계된다. 모터 하우징의 벽들(32)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돌출부(40)가 마찰, 접착제, 또는 기타 수단에 의해 수용 및 고정되는 개구부 또는 오목부(34)를 갖는다. 모터 하우징은, 모터를 형성하도록 뒤얽힌 자석 와이어들(18)을 포함하는 자석 와이어 권선(도시하지 않음)도 포함한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모터 하우징(30)의 개구부(34)와 협동하여 커넥터 하우징(10)을 모터 하우징(30)에 대하여 제 위치에 유지하는 돌출부(40)를 갖는다. 도시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돌출부(40)는 커넥터 하우징(10)의 양측에 제공되고, 커넥터 하우징(10)의 하면 근처로 또는 하면을 넘어 하향 연장된다. 돌출부(40)는, 돌출부(40)가 개구부(34)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 개구부(34)와의 마찰 맞물림을 생성하기 위한 치수를 갖는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제1 표면 또는 상면(44)으로부터 제2 표면 또는 하면(46)으로 연장되는 단자 수용 통로(42)(도 4)를 갖는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이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상면과 하면을 사용하고 있지만,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다른 배향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단자 수용 통로(42)는 단자(16)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자석 와이어 수용 통로(48)가 단자 수용 통로(42)로부터 연장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석 와이어 수용 통로(48)는, 단자 수용 통로(42)의 길이방향 축에 본질적으로 수직하는 길이방향 축을 갖지만, 다른 배향도 가능하다. 자석 와이어 수용 통로(48) 근처에 리드인(Lead-in) 표면을 제공하여 자석 와이어(18)를 통로(48) 내의 적절한 위치로 유도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리드 와이어 수용 통로(50)는 또한 단자 수용 통로(42)로부터 연장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리드 와이어 수용 통로(50)는, 단자 수용 통로(42)의 길이방향 축에 본질적으로 수직하는 길이방향 축을 갖지만, 다른 배향도 가능하다. 리드 와이어 수용 통로(50)는, 도 3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듯이, 자석 와이어 수용 통로(48) 위에 위치한다.
절연 부재 또는 플랜지(52)는 제1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3과 도 4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절연 플랜지(52)는 자석 와이어 수용 통로(48) 아래에 위치한다. 절연 플랜지(52)는 자석 와이어(18)와 모터 하우징(30) 간에 전기적 절연을 제공한다. 또한, 절연 플랜지(52)는 모터 하우징(30) 상에 장착될 수 있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표면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커넥터 조립체(2)에 증가된 안정성을 제공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자석 와이어 수용 통로(48)의 단부 근처에 위치하는 트림 블록(trim blocks; 54)을 갖는다. 당업계에 알려져 있듯이, 트림 블록(54)은 자석 와이어(18)의 종단과 절단 동안 채용된다. 오목부(56)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양측에 제공된다. 오목부(56)는 하면(46) 근처에 위치하며, 커버 하우징(12)의 래칭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치수를 갖는다.
단자(16)는 표준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단자(16)는 대략 박스 형상부(60)를 갖는다. 박스 형상부(60)의 레그(62)는 이들 사이에 슬롯(64)을 갖는다. 슬롯(64)은 단자(16)의 박스 형상부(60)의 양측에 배치된다. 또한, 단자는, 제1 하우징(10) 내에 단자(16)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바브(barbs; 69)를 갖는다. 단자(16)의 박스 형상부(60)는, 도 4와 도 5에 더욱 완전하게 도시되어 있는 리프 컨택트(66)를 포함하는 리셉터클부를 갖는다. 리프 컨택트(66)는, 단자(20)와 탄성적으로 맞물리도록 설계된 탄성 스프링 컨택트이며, 단자(20)에 대하여 양호한 전기적 컨택트와 양호한 와이핑 액션을 제공한다. 정합부 또는 탭(68)은 박스 형상부(60)로부터 연장된다. 탭(68)은 정합가능 커넥터(14)의 컨택트와 전기적 접속을 이루기 위한 치수를 갖는다. 바브(69)는 박스 형상부(6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단자 수용 통로(42)와 협동한다.
단자(20)는 커넥터 하우징(10) 내에 수용되도록 설계된다. 단자는, 도 4와 도 6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탭 포크인 부(tab poke-in portion; 70)를 갖는다. 탭 포크인 부(70)는, 오목부(74)가 사이에 있는 두 개의 레그(72)를 갖는다. 두 개의 레그(72)와 오목부(74)의 목적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탭 포크인 부(70)는 단자(20)의 와이어 종단 섹션(76)으로부터 90도 방향으로 되어 있지만, 다른 구성도 사용가능하다. 와이어 종단 섹션(76)은 리드 와이어(22)와 협동하여 리드 와이어를 와이어 종단 섹션에 대하여 종단한다. 와이어 종단 섹션(76)에 대하여 리드 와이어(22)를 종단하는 것은 크림핑, 솔더링, 또는 기타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커버 하우징(12)은 제1 표면 또는 상면(82)으로부터 제2 표면 또는 하면(84)으로 연장되는 컨택트 수용 통로(80)를 갖는다. 커버 하우징(12)이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면과 하면을 사용하고 있지만, 커버 하우징(12)의 다른 배향을 사용해도 된다. 컨택트 수용 통로(80)는, 하면(84)을 통해 단자(16)의 탭(68)을 수용하기 위한 치수를 갖는 수용부 또는 슬롯부(81)를 갖는다. 슬롯부(81)는 탭(68)과 협동하며, 이에 대해서는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컨택트 수용 통로(80)는 또한 정합가능 커넥터(14)의 일부 및 그 컨택트를 수용하기 위한 치수를 갖는 정합 커넥터 수용부(83)를 갖는다. 정합 커넥터 수용부(83)의 중심선 간격은 정합가능 커넥터(14)의 컨택트의 중심선 간격과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합 커넥터 수용부(83)는 슬롯부(81)보다 큰 단면적을 갖고, 이에 따라 정합가능 커넥터를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래치 수용 영역(86)은 상면(82) 근처에 제공된다. 래치 수용 영역(86)은 정합가능 커넥터로부터 래치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치수를 갖는다. 커버 하우징(12)은 하면(84) 근처에 제1 커넥터 수용 영역(88)을 갖는다. 수용 영역(88)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치수를 갖는다. 탄성 래치 아암(90)은 커버 하우징(12)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된다. 탄성 래치 아암(90)은, 커버 하우징(12)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조립되는 경우에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오목부(56)와 협동하는 래칭 돌출부(92)를 갖는다. 커버 하우징(12)의 정면 벽의 일부(94)는 하면(84)을 넘어 연장되어 트림 블록(25)에서 트림 자석 와이어의 노출된 단부를 커버하고 절연한다.
도 7과 도 8의 바이메탈 보호기(96)를 제공하여 전기 커넥터 조립체(2)의 선택 단자와 협동할 수 있다. 보호기(96)는 전술한 바와 같은 포크인 단자, 크림프 스타일 단자와 종단된 스트랜드형 리드 와이어, 또는 다른 임의의 유형의 종단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모터 하우징(30)에 부착된 조립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2)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조립되면, 자석 와이어(18)는 통로(48)에 위치하며 단자(16)의 슬롯(64)에서 종단된다. 단자(16)의 레그(62)는 자석 와이어(18)의 단단한 외측 니스 코팅을 통과하여, 이들 간에 양호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바브(69)는 단자 수용 통로(42)의 벽들을 물어 단자 수용 통로(42) 내에 단자(16)를 고정한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돌출부(40)는 모터 하우징(30) 상의 개구부(34) 내에 고정되어 제1 커넥터 하우징(10)을 제 위치에 유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절연 플랜지(52)는 모터 하우징(30)의 표면과 협동하여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커넥터 조립체(2)에 증가된 안정성을 제공한다. 절연 플랜지(52)는 또한 자석 와이어(18)를 모터 하우징(30)으로부터 분리하고 이에 따라 커넥터 조립체(2)를 모터 하우징(30)의 권선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일조한다.
리드 와이어(22)의 종단에 부착된 단자(20)는 단자(16)의 박스 형상부(60)에 삽입되고, 리프 컨택트(66)에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그 내부에서 유지된다. 포크인 부(70)의 오목부(74)는 자석 와이어(18)가 포크 인 부의 레그들(72) 사이에 수용될 수 있게 하여, 리프 컨택트(66)와의 양호한 컨택트를 제공하는 한편 자석 와이어(18) 주위의 맞춤도 제공한다. 단자(16, 20)를 통해 자석 와이어(18)와 리드 와이어(22)를 상호 접속함으로써, 리드 와이어와 모터 간에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게 된다.
커버 하우징(12)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 위에 위치하며, 래치 아암(90)의 래칭 돌출부(92)를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오목부(56)에 위치시킴으로써 제1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된다. 이 위치에서, 래치 아암(90)은 비응력 위치에 있다. 커버 하우징(12)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래치 돌출부(92)가 오목부(56) 밖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게 하는 상당한 힘이 필요하다. 래치 아암(90)의 동작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커버 하우징(12)의 수용 영역(88)은 수용 통로(48, 50) 및 연관된 와이어(18, 22) 및 단자(16, 20) 위에 위치한다. 이렇게 하면, 수용 영역(88)은 이러한 부재들을 환경 위험요소들로부터 보호하고 차폐를 제공한다. 또한, 커버 하우징(12)의 일부(94)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트림 블록(54) 및 자석 와이어(18)의 연관된 단부 위로 연장되어, 환경 위험요소로부터의 보호와 차폐를 제공한다.
단자(16)의 탭(68)은 커버 하우징(12)의 컨택트 수용 통로(80) 내로 연장된다. 탭(68)은 슬롯(81)을 통해 연장된다. 슬롯(81)은 탭(68)과 유사한 치수를 갖고 있으므로, 슬롯(81)은 탭(68)에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능한다. 단자(16)의 탭(68)이 컨택트 수용 통로(80) 내에 고정되면, 탭(68)은 정합가능 커넥터(14)의 컨택트와 정합하도록 액세스 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 8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5개의 리드 와이어(22)와 자석 와이어(18)는 커넥터 조립체(2)에 종단된다. 그러나, 4개의 컨택트 수용 통로(80)만이 커버 하우징(12)의 상면(82)을 통해 연장된다. 이는 하나의 위치를 공통 접속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시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4개의 제1 위치 P1 내지 P4 모두는 정합가능 커넥터(14)에 대한 접속을 허용하는 통로(80)를 갖는다. 위치 P1은 그라운드 리드 와이어에 접속된다. 위치 P2는 (보조 권선에 접속된) 자석 와이어와 리드 와이어(커패시터 리드) 모두에 접속된다. 위치 P3은 (주 권선에 접속된) 자석 와이어와 리드 와이어(커패시터 리드) 모두에 접속된다. 위치 P5는 (주 권선에 접속된 제1 자석 와이어 및 보조 권선에 접속된 제2 자석 와이어인) 2개의 자석 와이어 및 바이메탈 보호기(CP17AM 열적 보호기 등의 바이메탈 보호기이며,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음)에 접속된다. 이 위치 P5는 스플라이스 기능으로만 사용된다. 위치 4는 바이메탈 보호기(96)에 접속된다.
커넥터 조립체(2)를 사용함으로써, 전기 모터의 자석 와이어 종단을 커넥터를 갖춘 하니스와 상호 접속할 수 있다. 조립체는 모터와 하니스 간에 안전하고도 차폐된 상호 접속을 제공한다. 또한, 조립체는, 하니스의 정합가능 커넥터를 많은 사이클에 걸쳐 쉽게 제거하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모터를 쉽게 수리하고 교체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커넥터 조립체 및 수반되는 많은 장점들을 이해할 것이다. 전술한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였지만, 이들의 재료의 장점들을 희생하지 않고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특허가능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또는 다양한 변경과 수정을 행할 수 있으며 이들의 요소들을 균등물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특허가능 범위를, 고려한 최상의 모드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다른 실시예들이 청구범위의 문자 그대로의 언어와 다르지 않은 구조적 요소들을 갖는다면, 또는 다른 실시예들이 청구범위의 문자 그대로의 언어와는 실질적으로 거의 차이가 없는 균등한 구조적 요소들을 갖는다면, 이러한 다른 실시예들을 청구범위 내에 포함하려는 것이다.

Claims (15)

  1. 자석 와이어들을 하니스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로서,
    모터 조립체의 하우징(30)에 고정된 제1 하우징(10) - 상기 제1 하우징(10)은 상기 제1 하우징(10)의 단자 수용 통로들(42)에 고정된 제1 단자들(16)을 갖고, 상기 제1 단자들(16)은, 자석 와이어들(18)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절연 변위 슬롯들(64), 및 상기 하니스에 부착된 정합가능 커넥터(14)의 컨택트들과 정합하도록 구성된 정합부들(68)을 가짐 - 과,
    컨택트 수용 통로들(80)을 구비하는 제2 하우징(12)을 포함하고,
    상기 컨택트 수용 통로들은, 상기 제1 단자들(16)의 정합부들(68)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들(81), 및 상기 수용부들로부터 연장되며 정합가능 커넥터(14)의 컨택트들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치수를 갖는 정합가능 커넥터 수용 통로들(83)을 구비하고,
    이에 의해, 상기 어댑터(2)가 자석 와이어들(18)과 하니스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자석 와이어들을 하니스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10)은, 상기 제1 하우징(1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하우징(10)을 상기 모터 조립체에 대하여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상기 자석 와이어(18)가 배치된 상기 모터 조립체의 개구부(34)와 협동하는 돌출부(40)를 갖는, 자석 와이어들을 하니스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10)은 상기 단자 수용 통로들(42)로부터 연장되는 자석 와이어 수용 통로들(48)을 갖고, 각각의 자석 와이어 수용 통로(48)는 각각의 단자 수용 통로(42)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 자석 와이어들을 하니스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4. 제3항에 있어서,
    리드 와이어 수용 통로들(50)은 상기 단자 수용 통로들(42)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리드 와이어 수용 통로들(50)은 상기 단자 수용 통로들(42)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는 길이방향 축을 갖고, 리드 와이어 수용 통로들(50)은 내부에 리드 와이어들(22)을 수용하도록 상기 자석 와이어 수용 통로들(48) 위에 위치하는, 자석 와이어들을 하니스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5. 제4항에 있어서,
    절연 플랜지(52)는 상기 제1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절연 플랜지(52)는 상기 자석 와이어 수용 통로들(48) 아래에 위치하는, 자석 와이어들을 하니스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들(16)은 상기 리드 와이어들(22)에 부착된 제2 단자들(20)과 탄성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탄성 스프링 컨택트들을 갖는, 자석 와이어들을 하니스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12)은 상기 제1 하우징(10)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커넥터 수용 영역(88)을 갖고, 탄성 래치 아암들(90)은 상기 제2 하우징(12)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탄성 래치 아암들(90)은, 상기 제2 하우징(12)이 상기 제1 하우징(10)에 조립되면 상기 제1 하우징(10)의 오목부들과 협동하는 래칭 돌출부들을 갖는, 자석 와이어들을 하니스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8. 제1항에 있어서,
    바이메탈 보호기(96)를 제공하는, 자석 와이어들을 하니스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9.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서,
    제1 단자들(16)을 갖는 제1 하우징(10) - 상기 제1 단자들은 상기 제1 하우징(10)의 단자 수용 통로들(42)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단자들(16)은 절연 변위 슬롯들(64)과 정합부들(68)을 갖고, 상기 절연 변위 슬롯들(64)은 자석 와이어들(18)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합부들(68)은 정합가능 커넥터(14)의 컨택트들과 정합하도록 구성됨 - 과,
    컨택트 수용 통로들(80)을 구비하는 커버(12)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트 수용 통로들은, 상기 제1 단자들(16)의 정합부들(68)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들(81), 및 상기 수용부들(81)로부터 연장되며 정합가능 커넥터(14)의 컨택트들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치수를 갖는 정합가능 커넥터 수용 통로들(83)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정합가능 커넥터(14)에 접속된 하니스와 상기 자석 와이어들(18) 간에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10)은, 상기 제1 하우징(10)으로부터 연장되어 모터 조립체의 개구부(34)와 협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을 상기 모터 조립체에 대하여 제 위치에 유지하는 돌출부들(40)을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10)은 상기 단자 수용 통로들(42)로부터 연장되는 자석 와이어 수용 통로들(48)을 갖고, 각각의 자석 와이어 수용 통로(48)는 각각의 단자 수용 통로(42)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리드 와이어 수용 통로들(50)은 상기 단자 수용 통로들(42)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리드 와이어 수용 통로들(50)은 상기 단자 수용 통로들(42)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는 길이방향 축을 갖고, 리드 와이어 수용 통로들(50)은 내부에 리드 와이어들(22)을 수용하도록 상기 자석 와이어 수용 통로들(48) 위에 위치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절연 플랜지(52)는 상기 제1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절연 플랜지(52)는 상기 자석 와이어 수용 통로들(48) 아래에 위치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들(16)은 상기 리드 와이어들(22)에 부착된 제2 단자들(20)과 탄성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탄성 스프링 컨택트들을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들(20)은, 2개의 레그(72)와 상기 2개의 레그 사이에 위치하는 오목부(74)를 갖는 탭 포크인 부들(tab poke-in portions; 70)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0130080989A 2012-07-10 2013-07-10 자석 와이어에 하니스를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KR102048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45,439 US8753141B2 (en) 2012-07-10 2012-07-10 Adapter for connecting a harness to magnet wires
US13/545,439 2012-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774A KR20140007774A (ko) 2014-01-20
KR102048544B1 true KR102048544B1 (ko) 2019-11-25

Family

ID=49913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989A KR102048544B1 (ko) 2012-07-10 2013-07-10 자석 와이어에 하니스를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53141B2 (ko)
KR (1) KR102048544B1 (ko)
CN (1) CN10357978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0065A1 (en) * 2021-05-10 2022-11-17 Hanon Systems Feed-through and sealing arrangement
EP4123843A1 (en) * 2021-07-23 2023-01-25 TE Connectivity Italia Distribution S.r.l.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with modular structure for fast idc conne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24014B1 (en) * 2013-07-08 2015-10-21 Fagor, S. Coop. Electric drive device
US10263487B2 (en) * 2014-03-31 2019-04-16 Arcelik Anonim Sirketi Household appliance electric motor terminal direct socket connection structure
DE102014220201A1 (de) * 2014-10-06 2016-04-07 Bühler Motor GmbH Elektronisch kommutierter Gleichstrommotor, insbesondere für eine Ölpumpe
US10375043B2 (en) * 2014-10-28 2019-08-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d-to-end encryption in a software defined network
DE102015208209A1 (de) * 2015-05-04 2016-11-10 Bühler Motor GmbH Elektronisch kommutierter Gleichstrommotor
US10498654B2 (en) * 2015-12-28 2019-12-03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path transport design
CN105932818B (zh) * 2016-04-27 2018-04-24 东莞国亮电机有限公司 电机定子绝缘端子盒及漆包线接线绝缘架
JP6780535B2 (ja) * 2017-02-22 2020-11-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ハーネス
KR102478247B1 (ko) * 2017-06-15 2022-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터
DE202018102652U1 (de) * 2018-05-11 2019-08-1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Stator für einen Elektromotor und Elektromotor sowie Schalteinheit
EP3604035B1 (en) * 2018-07-30 2023-06-21 Valeo Iluminacion Electronic connection assembly, automotive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utomotive lighting device
DE102018221762A1 (de) * 2018-12-14 2020-06-18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Maschine mit voneinander getrennten Wärmesenken
DE102019206641A1 (de) * 2019-05-08 2020-11-12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Stator eines Elektromotors
WO2021007850A1 (en) * 2019-07-18 2021-01-21 Te Connectivity India Private Limited Adapter unit for an electrical component and assembly method
US20210099047A1 (en) * 2019-09-30 2021-04-01 Jiangsu Leili Motor Co., Ltd. Motor, water divider and dishwasher with the water divider
US11205862B2 (en) * 2019-10-28 2021-12-21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with expanded wire range capacity
US11264735B1 (en) * 2020-08-28 2022-03-01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Electrical terminal for terminating a wide size range of magnet wires
JP6978711B1 (ja) * 2020-09-09 2021-12-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樹脂モールドステータ、アウターロータ型モータ、送風装置、空気調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7544A (en) 1984-12-17 1985-12-10 Amp Incorporated Terminal for connecting a lead wire to a coil wire
US4757602A (en) 1987-03-06 1988-07-19 Onan Corporation Method for installing a collector ring assembly
US5782652A (en) 1996-05-23 1998-07-2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a magnet wir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9615A (en) * 1975-02-05 1976-09-07 Amp Incorporated Field assembly for electric motors
GB1522863A (en) * 1975-02-05 1978-08-31 Amp Inc Electrical connectors
US4649304A (en) * 1985-11-13 1987-03-10 Amp Incorporated Interconnection system for electrical motors
GB9202312D0 (en) * 1992-02-04 1992-03-18 Amp Gmbh Improved contact for termination of coil windings
JP3421421B2 (ja) * 1993-06-15 2003-06-30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小型モータ
WO1996027925A1 (en) 1995-03-07 1996-09-12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motor assembly and contact for use therewith
JP4183155B2 (ja) 2000-01-12 2008-11-19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電動機
UA79945C2 (en) * 2001-11-14 2007-08-10 Tyco Electronics Raychem Sa Multicontact carrier socket
DE102005057211B4 (de) 2005-12-01 2008-07-31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s Kontaktelement und Kontaktanordnung
US7556543B2 (en) 2007-10-29 2009-07-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One-piece PC board magnet wire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7544A (en) 1984-12-17 1985-12-10 Amp Incorporated Terminal for connecting a lead wire to a coil wire
US4757602A (en) 1987-03-06 1988-07-19 Onan Corporation Method for installing a collector ring assembly
US5782652A (en) 1996-05-23 1998-07-2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a magnet wi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0065A1 (en) * 2021-05-10 2022-11-17 Hanon Systems Feed-through and sealing arrangement
EP4123843A1 (en) * 2021-07-23 2023-01-25 TE Connectivity Italia Distribution S.r.l.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with modular structure for fast idc connection
US11978991B2 (en) 2021-07-23 2024-05-0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with modular structure for fast IDC conn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79789A (zh) 2014-02-12
CN103579789B (zh) 2017-06-16
US8753141B2 (en) 2014-06-17
KR20140007774A (ko) 2014-01-20
US20140015357A1 (en)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544B1 (ko) 자석 와이어에 하니스를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US8956192B2 (en) Finger protection for 90° header
CN110431716B (zh) 具有免螺丝连接端子的电气布线装置
TW201125235A (en) Electrical plug and jack assembly
US8512069B2 (en) Flat plug electrical connector
KR102133836B1 (ko)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
KR200417442Y1 (ko) 조인트 커넥터
AU2007349106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dust cover
CA2748941C (en) Motor assembly with switch module
JP2004537152A (ja) 密閉圧縮機のモータの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プロセス
CN106100569B (zh) 端子箱及太阳能电池模组
US20060246783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2529146A (ja) 雌型プラグ及びリレーのハウジング用のソケット
JP2017027747A (ja) コネクタ
JP2015125855A (ja) 電気コネクタ
JP5156288B2 (ja) 屋内配線用ユニットケーブル
GB2196489A (en) Electric motor
EP1128482A2 (en) Protective enclosure for multicore electric cable connections
JP5582643B2 (ja) 端子及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
EP3648259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es an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projections provided on hinged cover
US11128065B2 (en) Combination terminal blade with tabs and insulation displacement slots
EP3566239A1 (en) Thermal protector
JPH0528693Y2 (ko)
KR101130092B1 (ko) 커넥터
JP3181217U (ja) 電線分岐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