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401B1 - 내공식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이 개선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내공식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이 개선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401B1
KR102047401B1 KR1020150182709A KR20150182709A KR102047401B1 KR 102047401 B1 KR102047401 B1 KR 102047401B1 KR 1020150182709 A KR1020150182709 A KR 1020150182709A KR 20150182709 A KR20150182709 A KR 20150182709A KR 102047401 B1 KR102047401 B1 KR 102047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less
corrosion resistance
ferritic stainless
exhaus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260A (ko
Inventor
김형준
최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2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401B1/ko
Priority to MX2018007201A priority patent/MX2018007201A/es
Priority to PCT/KR2016/014951 priority patent/WO2017111436A1/ko
Priority to CN201680072550.1A priority patent/CN108368596A/zh
Publication of KR20170074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8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between cold rolling ste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내공식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이 개선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따르면, 중량%로, C: 0.01% 이하, Si:0.5 내지 1.0%, Mn: 0.5% 이하, P: 0.035% 이하, S: 0.01% 이하, Cr: 11 내지 18 %, N: 0.013%이하, Ti 0.15 내지 0.5%, Sb: 0.03 내지 0.5%를 포함하고,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스테인리스강의 표면부에 Sb이 모재 대비 3배 이상 농화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중 기존 11Cr 스테인리스강인 STS 409에 약 0.05% 이상 Sb 첨가로 원가상승 및 제조성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공식 저항성 및 응축수 내식성이 우수한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공식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이 개선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FERRITIC STAINLESS STEEL FOR AUTOMOTIVE EXHAUST SYSTEM WITH IMPROVED PITTING CORROSION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FOR WATER CONDENS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공식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이 개선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배기계에 요구되는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Sb를 함유하고 Sb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에 농화시켜 공식 저항성 및 응축수 분위기에서의 내식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리스강 중 특히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냉연제품은 열팽창율, 열피로 특성 등의 고온 특성이 우수하고 응력부식균열에 강하다. 이에 따라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자동차 배기계 부품, 가정용 기구, 구조물, 가전 제품, 엘리베이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배기계 부재는 배기가스의 온도에 따라 고온부재(Hot part)와 저온부재(Cold part)로 구분되어 있다. 고온부재의 자동차 부품은 매니폴드(Exhaust manifold), 컨버터(Converter) 및 벨로우즈(Bellows) 등이 있고, 이들 부품의 사용온도는 주로 600 이상으로 고온강도, 고온열피로 및 고온염부식 특성 등이 우수해야 한다. 반면, 저온부재(Cold part)는 사용온도가 400 이내로 주로 자동차 배기가스의 소음을 저감하는 머플러(muffler) 등의 부재가 여기에 해당된다. 자동차 배기계 저온부재(Cold part)는 자동차 연료 중의 유황(S)성분에 의하여 발생되는 응축수 부식특성, 겨울철 제설염 사용에 따른 외면발청 부식특성 등의 이유로 스테인리스(또는 STS) 409, 409L, 439, 436L 또는 Al 도금 스테인리스 409 등의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 중 가장 저렴한 STS 409L 소재는 Cr을 11% 정도에 C, N을 Ti으로 안정화 하여 용접부의 예민화 방지와 가공성이 우수한 강종으로 700℃ 이하의 온도에 주로 사용을 하고 있고 자동차 배기계에서 발생하는 응축수 성분에 대하여서도 다소의 부식저항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강종이다.
고내식을 요구하는 부식환경에서는 Cr 17%인 STS 439 및 STS 439강에 Mo을 약 1%정도 함유한 STS 436L강을 사용하고 있으나 부품 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 자동차 생산 보급율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중국, 중남미, 인도 등의 국가의 경우, 가솔린 성분 중에 황(S) 함유량이 기타 선진국에 비하여 상당히 많이 함유되어 있는 실정에 있다. 예를 들어, 한국, 일본의 경우 가솔린 성분 중에 황(S) 함유량을 10ppm 이하로 규정하고 있지만, 중국의 경우 500ppm 이하로 규정하고 있으며 실제는 지역에 따라 그 이상의 황(S)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가솔린 성분 중 황(S) 성분은 자동차 배기가스의 응축수 성분 중의 황산이온(SO4 2-)으로 농축되며, pH가 2 이하의 부식성이 강한 황산(H2SO4) 분위기를 형성하며, 이에 따라 기존의 STS 409L으로는 내식성을 확보할 수 없어, 점차적으로 STS 439, 436L 등과 같이 Cr 성분을 17% 이상 또는 Mo가 함유한 고크롬 계통의 스테인리스 소재의 적용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소재의 경우 자원 가격이 점점 상승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Cr, Mo 등의 고가의 원소를 첨가하지 않거나 또는 미량의 원소 만을 첨가한 내공식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을 가지는 스테인리스 소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문헌 제10-2008-0110662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Sb를 함유시키고 Sb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에 농화시켜 공식 저항성 및 응축수 분위기에서의 내식성 등의 자동차 배기계에 요구되는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따르면, 중량%로, C: 0.01% 이하, Si:0.5 내지 1.0%, Mn: 0.5% 이하, P: 0.035% 이하, S: 0.01% 이하, Cr: 11 내지 18 %, N: 0.013%이하, Ti 0.15 내지 0.5%, Sb: 0.03 내지 0.5%를 포함하고,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스테인리스강의 표면부에 Sb이 모재 대비 3배 이상 농화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b: 0.05 내지 0.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인리스강의 표면부에 Sb이 모재 대비 7배 이상 농화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 배기계 응축수용액에서 임계부식전류밀도가 5.5mA/m2 이하이며, 공식전위가 120mV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중량%로, C: 0.01% 이하, Si:0.5 내지 1.0%, Mn: 0.5% 이하, P: 0.035% 이하, S: 0.01% 이하, Cr: 11 내지 18 %, N: 0.013%이하, Ti 0.15 내지 0.5%, Sb: 0.03 내지 0.5%를 포함하고,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열간 압연, 열연 소둔, 열연 산세, 냉간 압연 및 마무리 소둔하여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통상의 STS 409L 제조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중 기존 11Cr 스테인리스강인 STS 409에 약 0.05% 이상 Sb 첨가로 원가상승 및 제조성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공식 저항성 및 응축수 내식성이 우수한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하여 자동차 배기계용 머플러 관련 소재 등의 배기계 엔드파트용 등으로 사용할 경우, 기존 고유황 연료 지역인 중국 등의 지역에서 제조 원가 상승이 없이 우수한 내식성을 보증하는 자동차 배기계용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Sb를 첨가한 스테인리스강과 첨가하지 않은 스테인리스강의 자동차 배기계 응축수용액에서의 양극 분극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Sb를 첨가한 스테인리스강과 첨가하지 않은 스테인리스강의 자동차 배기계 응축수용액에서의 임계 전류 밀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Sb를 첨가한 스테인리스강과 첨가하지 않은 스테인리스강의 자동차 배기계 응축수용액에서의 공식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Sb를 첨가한 스테인리스강과 첨가하지 않은 스테인리스강의 자동차 배기계 응축수용액에서의 공식 전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리스강을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측정한 사진이다.
도 6은 도 5의 스테인리스강을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맵핑(mapping) 분석한 사진이다.
도 7은 도 5의 스테인리스강의 Sb 표면농화영역을 EDS(Energy-Dispersive Spectroscopy)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8은 도 5의 스테인리스강의 모재영역을 EDS(Energy-Dispersive Spectroscopy)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리스강을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측정한 사진이다.
도 10은 도 9의 스테인리스강을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맵핑(mapping) 분석한 사진이다.
도 11은 도 9의 스테인리스강의 Sb 제1 표면농화영역을 EDS(Energy-Dispersive Spectroscopy)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12은 도 9의 스테인리스강의 Sb 제2 표면농화영역을 EDS(Energy-Dispersive Spectroscopy)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13은 도 9의 스테인리스강의 모재영역을 EDS(Energy-Dispersive Spectroscopy)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C: 0.01% 이하, Si:0.5 내지 1.0%, Mn: 0.5% 이하, P: 0.035% 이하, S: 0.01% 이하, Cr: 11 내지 18 %, N: 0.013%이하, Ti 0.15 내지 0.5%, Sb: 0.03 내지 0.5%를 포함하고,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Ti(C, N) 탄질화물 형성원소로 침입형으로 존재하는 C 및 N는, C, N 함량이 높아지면 Ti(C, N) 탄질화물 형성하지 않고, 고용으로 존재하는 C, N는 소재의 연신율 및 저온충격특성을 저하시키고, 용접 후 600℃ 이하에서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Cr23C6 탄화물이 생성되어 입계부식이 발생되기 때문에 그 함량은 C의 경우는 0.01% 이하, N은 0.01%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C+N 함량이 높아지면, Ti 함량을 높게 첨가할 경우 제강성 개재물 증가로 스캡(scab)과 같은 표면결함이 많이 발생하고, 또한 연주시 노즐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고용 C, N 증가에 의한 연신율 및 충격특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C+N 함량은 0.02%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은 탈산원소로 첨가되는 원소이며 페라이트 상 형성원소로 함량 증가시 페라이트 상의 안정성이 높아진다. Si은 함량의 증가시, 공식전위의 향상 및 내산화특성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공식전위의 향상 및 내산화특성을 목적으로 최소한 0.5% 이상 첨가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의 함량이 1.0%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제강성 Si 개재물의 증가 및 표면결함 등의 문제점 발생으로 최대 1.0% 이상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은 함량이 높아지면 MnS 등의 석출물을 형성하여 내공식성을 저하시킨다. 그러나 Mn의 과도한 저감은 정제 비용의 증가 등을 발생시키므로 0.5%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 S 는 입계편석 및 MnS 석물물 등을 형성하여 열간가공성을 저하시키므로 가능한 적을수록 바람직한다. 그러나, 과도한 저감은 정제 비용의 증가 등을 발생시키므로 P의 경우는 0.035% 이하, S는 0.01%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r은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 원소로 있다. Cr의 함량이 낮으면 응축수 분위기에서 내식성이 저하하고 함량이 너무 높아지면 내식성 등이 향상이 되나 강도가 높고 연신율, 충격성이 저하 및 제조원가 상승으로 인해 그 함량을 10 내지 18%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은 C, N을 고정화하여 입계부식발생을 방지하는 유효한 원소이다. 그러나, Ti/(C+N)비가 낮아지면 용접부 등에 입계부식이 발생하여 내식성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Ti은 최소 0.15% 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Ti의 첨가량이 너무 높아지면, 제강성 개재물이 증가하여 스캡(scab)과 같은 표면결함이 많이 발생하고, 또한 연주시 노즐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 함량을 0.5%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b는 본 발명의 목표로 하는 공식 저항성 및 응축수분위기에서의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 원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공식저항성 및 응축수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하여서는 Sb를 최소한 0.03% 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Sb의 과도한 첨가로 인한 제조공정상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그 상향을 0.5%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Sb의 함량은 0.05 내지 0.5%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상기 조성을 포함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열간 압연, 열연 소둔, 열연 산세, 냉간 압연 및 마무리 소둔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조 공정은 통상의 STS 409L 제조 공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상기 스테인리스강의 표면부에는 Sb이 모재 대비 3배 이상 농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스테인리스강의 표면부에 Sb이 모재 대비 7배 이상 농화되어 있을 수 있다. Sb는 다른 원소들에 비하여 비교적으로 산소 친화력이 강하여 산화스케일이 형성되는 스테인리스강의 표면부에 농화된다.
상기 스테인리스강의 표면부에 Sb이 농화된 영역을 가져, Sb를 포함하지 않거나, 표면부에 농화되지 않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비하여, 임계 전류 밀도가 감소하며, 공식 전위가 향상되며, 이에 따라, 목적하는 내공식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Sb를 첨가한 스테인리스강과 첨가하지 않은 스테인리스강의 자동차 배기계 응축수용액에서의 양극 분극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Sb를 첨가한 스테인리스강과 첨가하지 않은 스테인리스강의 자동차 배기계 응축수용액에서의 임계 전류 밀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자동차 배기계 응축수 용액에서의 양극 분극 특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먼저 Cr을 11%로 함유하고 있는 고순도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에 대하여, 자동차 배기계 응측수를 모사한 용액(황산(H2SO4): 5,000ppm, 염화나트륨(NaCl): 100ppm, pH: 3.0)을 포함하는 용액을 온도 30℃로 유지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Sb를 첨가한 스테인리스강과 첨가하지 않은 스테인리스강의 양극 분극 특성을 비교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11%Cr 스테인리스강에서 Sb의 첨가 유무와 관계없이 부식 전위의 값은 약 -500mV 내지 -600mV 정도로 서로 유사한 부식 전위값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Sb를 첨가한 스테인리스강은 Sb를 첨가하지 않은 스테인리스강보다, 활성화 영역에서 부동태 영역으로 이행하는 전위 값이 낮은 값을 가지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Sb를 첨가한 스테인리스강은 활성화 영역에서의 임계 전류 밀도 값은 Sb를 첨가하지 않는 스테인리스강에 비하여 약 2배 정도 낮은 값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부동태 구간에서의 부식 전류 밀도(부동태유지 전류 밀도)의 경우, Sb를 첨가한 스테인리스강이 첨가하지 않은 스테인리스강보다 다소 작은 부동태유지 전류 밀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좀 더 치밀한 부동태 피막이 형성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전기화학적 양극 분극 특성으로부터 Sb 첨가 스테인리스강의 경우 Cl- 이온 및 SO4 2- 이온이 다량 함유된 pH가 3 정도의 산성 분위기에서 우수한 내식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자동차 배기계 응축수용액에서 임계부식전류밀도가 5.5mA/m2 이하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Sb를 첨가한 스테인리스강과 첨가하지 않은 스테인리스강의 자동차 배기계 응축수용액에서의 공식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Sb를 첨가한 스테인리스강과 첨가하지 않은 스테인리스강의 자동차 배기계 응축수용액에서의 공식 전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공식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먼저 Cr을 11%로 함유하고 있는 고순도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에 대하여, 1% NaCl을 포함하는 용액을 온도 30℃로 유지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Sb를 첨가한 스테인리스강과 첨가하지 않은 스테인리스강의 공식 특성을 비교하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11%Cr 스테인리스강에서 Sb를 첨가한 스테인리스강은 공식 전위 값은 Sb를 첨가하지 않는 스테인리스강에 비하여 약 13 내지 36mV가 증가한 공식 전위 값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공식전위가 120mV 이상일 수 있다.
이상의 전기화학적 양극 분극 특성으로부터 Sb를 첨가한 스테인리스강의 경우 유황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부식 상황에서 보다 우수한 내공식성 및 응축수 내식성을 가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여기서, SO4 2- 이온 및 1% Cl-이온이 함유된 pH가 3정도의 분위기는 가솔린 성분 중 유황 성분이 500ppm 정도로 아주 높은 중국과 같은 지역에서의 자동차 배기계 머플러 소재의 부식 상황을 보다 더 강하게 반영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발명강 1
하기 표 1의 발명강 1의 조성과 같이 조성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50Kg 진공용해설비에서 용해하여 120mm 두께의 잉곳(ingot)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잉곳을 1,150℃의 온도에서 열간 압연하여 3.0mmt의 열연 강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열연 강판을 소둔, 산세 후 냉간 압연하여 1.2mmt의 냉연 강판을 제조하여 마무리 소둔, 산세 공정을 거쳐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품을 제조하였다.
발명강 2
하기 표 1의 발명강 2의 조성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발명강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발명강 3
하기 표 1의 발명강 3의 조성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발명강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비교강 1
하기 표 1의 비교강 1의 조성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발명강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강 2
하기 표 1의 비교강 2의 조성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발명강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구분 C Si Mn P S Cr Ti Sb N Ti/(C+N)
발명강 1 0.005 0.597 0.30 0.021 <0.003 11.14 0.22 0.048 0.0074 17.4
발명강 2 0.005 0.613 0.31 0.023 <0.003 11.21 0.21 0.11 0.0089 15.1
발명강 3 0.006 0.592 0.30 0.019 <0.003 11.24 0.24 0.17 0.0072 18.2
비교강 1 0.005 0.62 0.30 0.023 <0.003 11.24 0.22 0 0.0074 17.7
비교강 2 0.006 0.594 0.30 0.020 <0.003 11.29 0.23 0.02 0.0072 18.8
하기 표 2는 상기 발명강들 및 비교강들에 따라 제조된 스테인리스강의 임계 전류 밀도 및 공식 전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임계 전류 밀도 (mA/m2) 공식 전위 (mV) 농화층 Sb/모재 Sb
발명강 1 4.72 128 7.7
발명강 2 3.96 144 12.1
발명강 3 3.39 151 13.3
비교강 1 7 115 0
비교강 2 6.2 118 2
내식성의 평가는 고유황 연료를 사용하는 중국지역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성분을 분석하여 Cl- 농도: 100ppm, SO4 2- 농도: 5,000pmm의 수용액, 온도 조건: 30℃에서 스테인리스강의 양극 분극 특성을 측정하였다. 시험 후 내식성 평가는 활성화 영역에서의 임계 부식 전류 밀도로 평가하였다. 또한, Cl- 농도: 1% 용액, 온도 조건: 30℃에서 공식 저항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스테인리스강을 EDS(Energy-Dispersive Spectroscopy) 분석을 통하여 모재 및 Sb 농화층의 Sb 함량을 분석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발명강 2에 따른 스테인리스강을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측정한 사진이다. 도 6은 도 5의 스테인리스강을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맵핑(mapping) 분석한 사진이다. 도 7은 도 5의 스테인리스강의 Sb 표면농화영역을 EDS(Energy-Dispersive Spectroscopy)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8은 도 5의 스테인리스강의 모재영역을 EDS(Energy-Dispersive Spectroscopy)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상기 도 7 및 도 8에 따라 분석한 표면농화영역1 및 모재에서의 주요 성분들의 조성을 분석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중량%) 표면농화영역1 모재 농화층 Sb/모재 Sb
Fe 85.72716 89.92776 12.1
Cr 12.00198 9.550383
Sb 1.651006 0.136
Si 0.619852 0.385613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명강 2에 따른 스테인리스강의 표면부에 모재영역에 인접하여 Sb가 농화된 영역(표면농화영역1)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표 2에서와 같이, 발명강 2는 비교강들에 비하여 임계 전류 밀도가 감소하며, 공식 전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발명강 3에 따른 스테인리스강을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측정한 사진이다. 도 10은 도 9의 스테인리스강을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맵핑(mapping) 분석한 사진이다. 도 11은 도 9의 스테인리스강의 Sb 제1 표면농화영역을 EDS(Energy-Dispersive Spectroscopy)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12은 도 9의 스테인리스강의 Sb 제2 표면농화영역을 EDS(Energy-Dispersive Spectroscopy)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13은 도 9의 스테인리스강의 모재영역을 EDS(Energy-Dispersive Spectroscopy)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상기 도 12 및 도 13에 따라 분석한 표면농화영역2A, 표면농화영역2B 및 모재에서의 주요 성분들의 조성을 분석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중량%) 표면농화영역2A 표면농화영역2B 모재 농화층 Sb/모재 Sb
Fe 80.53429 85.93238 90.0361 7.5~13.0
Cr 14.05519 11.53356 9.587077
Sb 3.725994 2.155875 0.286801
Si 0.861019 0.378186 0.090026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명강 3에 따른 스테인리스강의 표면부에 모재영역에 인접하여 Sb가 농화된 영역(표면농화영역2A, 표면농화영역2B)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표 2에서와 같이, 발명강 3은 비교강들에 비하여 임계 전류 밀도가 감소하며, 공식 전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중량%로, C: 0.01% 이하, Si:0.5 내지 1.0%, Mn: 0.5% 이하, P: 0.035% 이하, S: 0.01% 이하, Cr: 11 내지 18 %, N: 0.013%이하, Ti 0.15 내지 0.5%, Sb: 0.03 내지 0.5%를 포함하고,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스테인리스강의 표면부에 Sb이 모재 대비 3배 이상 농화되어 있는 내공식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이 개선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2. 제1항에 있어서,
    Sb: 0.05 내지 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공식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이 개선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3. 제1항에 있어서,
    스테인리스강의 표면부에 Sb이 모재 대비 7배 이상 농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공식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이 개선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4.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 배기계 응축수용액에서 임계부식전류밀도가 5.5mA/m2 이하이며, 공식전위가 120mV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공식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이 개선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5. 중량%로, C: 0.01% 이하, Si:0.5 내지 1.0%, Mn: 0.5% 이하, P: 0.035% 이하, S: 0.01% 이하, Cr: 11 내지 18 %, N: 0.013%이하, Ti 0.15 내지 0.5%, Sb: 0.03 내지 0.5%를 포함하고,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열간 압연, 열연 소둔, 열연 산세, 냉간 압연 및 마무리 소둔하여 제조하는 내공식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이 개선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통상의 STS 409L 제조 공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공식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이 개선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KR1020150182709A 2015-12-21 2015-12-21 내공식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이 개선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47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709A KR102047401B1 (ko) 2015-12-21 2015-12-21 내공식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이 개선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MX2018007201A MX2018007201A (es) 2015-12-21 2016-12-20 Acero inoxidable ferritico para sistema de escape automotriz, que tiene resistencia a la corrosion por picadura y resistencia a la corrosion por condensado mejoradas, y metodo para fabricar el mismo.
PCT/KR2016/014951 WO2017111436A1 (ko) 2015-12-21 2016-12-20 내공식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이 개선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1680072550.1A CN108368596A (zh) 2015-12-21 2016-12-20 具有改善的耐点蚀性和耐冷凝物腐蚀性的用于汽车排气系统的铁素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709A KR102047401B1 (ko) 2015-12-21 2015-12-21 내공식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이 개선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260A KR20170074260A (ko) 2017-06-30
KR102047401B1 true KR102047401B1 (ko) 2019-11-25

Family

ID=59089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709A KR102047401B1 (ko) 2015-12-21 2015-12-21 내공식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이 개선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047401B1 (ko)
CN (1) CN108368596A (ko)
MX (1) MX2018007201A (ko)
WO (1) WO20171114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516A (ko) * 2017-11-28 2019-06-05 주식회사 포스코 내황산부식성이 우수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4980B1 (ko) * 2020-11-19 2022-07-25 주식회사 포스코 강도, 가공성 및 내식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0003A (ja) 2007-02-06 2008-08-21 Nippon Steel & Sumikin Stainless Steel Corp 耐すきま腐食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KR101485641B1 (ko) 2012-12-24 2015-01-22 주식회사 포스코 내응축수 부식특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6345A (ja) * 2003-11-14 2005-06-09 Nippon Steel & Sumikin Stainless Steel Corp 耐酸化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KR101179408B1 (ko) * 2006-05-09 2012-09-04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내간극 부식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JP5297713B2 (ja) * 2008-07-28 2013-09-25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加熱後耐食性に優れた自動車排気系部材用省合金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5320034B2 (ja) * 2008-11-14 2013-10-23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加熱後耐食性に優れた自動車排気系部材用省Mo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KR101174998B1 (ko) * 2010-07-28 2012-08-17 현대제철 주식회사 박판의 도금층 박리현상을 최소화하는 박판 마찰계수 측정장치
KR101463311B1 (ko) * 2012-12-20 2014-11-18 주식회사 포스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US10138796B2 (en) * 2012-12-24 2018-11-27 Posco Ferritic stainless steel for automotive exhaust system, which have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gainst condensate, moldability, and high-temperature oxidation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MX2016003099A (es) * 2013-09-13 2016-09-08 Nippon Steel & Sumikin Stainles Steel Corp Miembro automotriz economico y tubo de alimentacion de aceite, que exhiben una excelente resistencia a la corrosion por sal.
CN104878322B (zh) * 2015-05-14 2017-01-04 中天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低碳耐候钢的生产工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0003A (ja) 2007-02-06 2008-08-21 Nippon Steel & Sumikin Stainless Steel Corp 耐すきま腐食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KR101485641B1 (ko) 2012-12-24 2015-01-22 주식회사 포스코 내응축수 부식특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68596A (zh) 2018-08-03
KR20170074260A (ko) 2017-06-30
WO2017111436A1 (ko) 2017-06-29
MX2018007201A (es) 201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8988B1 (en) Ferrite-based stainless steel for use in components of automobile exhaust system
JP5534119B1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EP2787097A1 (en) Ferritic stainless steel
EP3556880A1 (en) Ferrite stainless hot-rolled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1485643B1 (ko) 고온 내산화 및 내응축수 부식특성이 우수한 자동차 배기계용 알루미늄 도금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JP6112273B1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熱延鋼板および熱延焼鈍板、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485641B1 (ko) 내응축수 부식특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047401B1 (ko) 내공식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이 개선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87282B1 (ko) 응축수 부식 저항성을 갖는 내식강 및 그 제조 방법
JP5018257B2 (ja) 研磨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56951B2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KR101463311B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1844577B1 (ko) 내열성 및 내응축수 부식성이 개선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03225B1 (ko) 응축수 부식저항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도금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5119B1 (ko) 확관 가공성이 향상된 저Cr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2276233B1 (ko) 저농도 황산/염산 복합 응축 분위기에서 내식성을 갖는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87283B1 (ko) 응축수 부식 저항성을 갖는 내식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8809B1 (ko) 내산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7324844B2 (ja) 低濃度硫酸/塩酸複合凝縮雰囲気で耐食性を有する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89193B1 (ko) 내식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1516A (ko) 내황산부식성이 우수한 자동차 배기계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69178A (ko) 내입계부식성이 우수한 크롬 함유강
KR20130074219A (ko) 응축수 부식 특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60279B1 (ko) Cr-Mn계 스테인리스강
KR20100069179A (ko) 내입계부식성이 우수한 크롬 함유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