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127B1 - 흔들림 방지가 향상된 덕트 벤딩장치 - Google Patents

흔들림 방지가 향상된 덕트 벤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127B1
KR102047127B1 KR1020180038799A KR20180038799A KR102047127B1 KR 102047127 B1 KR102047127 B1 KR 102047127B1 KR 1020180038799 A KR1020180038799 A KR 1020180038799A KR 20180038799 A KR20180038799 A KR 20180038799A KR 102047127 B1 KR102047127 B1 KR 102047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frame
prevention
metal plat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5736A (ko
Inventor
강장규
강민수
강우진
Original Assignee
(주) 구일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구일공조 filed Critical (주) 구일공조
Priority to KR1020180038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12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brakes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on one side of the work
    • B21D5/042With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bend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chain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2Positio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상된 흔들림 방지 가능한 덕트 벤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 제조를 위한 금속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 회전 가능한 벤딩회전프레임을 갖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금속판을 벤딩시키기 위한 벤딩부, 방지암을 갖고, 상기 벤딩부에 의해 벤딩된 금속판의 벤딩부분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방지부, 상기 이송부에 대응하여 상기 흔들림방지부의 방지암을 이송시키기 위한 위치조절부, 및 상기 이송부와 벤딩부, 흔들림방지부, 위치조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판의 벤딩 시, 흔들림을 방지하여 오작동을 방지함은 물론, 흔들림장지부의 작동 시간차를 최소화시켜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흔들림 방지가 향상된 덕트 벤딩장치{Duct bending device with improved anti-shakeing}
본 발명은 덕트 벤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판의 벤딩부위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센싱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흔들림장지부의 작동 시간차를 최소화시켜 오작동을 방지함에 따라,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키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흔들림 방지가 향상된 덕트 벤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는 공기가 이동되기 위한 통로로,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제조되며, 주로 음식점이나 공장에서 발생되는 연기나 미세먼지 등을 포함한 실내공기를 배출시키거나 덜 오염된 외부공기 등이 실내로 유입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덕트는 덕트제조기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사각 덕트의 경우, 덕트제조기의 각 성형부를 거쳐 해당 단부가 성형된 다음, 굽힘부를 거쳐 사각기둥으로 굽혀진다.
이후, 마주 접하는 단부를 상호 결합시켜 완성된다.
종래 덕트 제조기는 등록특허 제10-1233107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으며, 덕트를 사각기둥으로 굽히는 구성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이동되어 일정 위치에 일시 정지된 금속판은 클램프빔의 선단부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와이퍼에 의해 상측으로 벤딩된다.
그리고 일부 벤딩된 금속판은 이동되어 일정 위치에 일시 정지된 다음, 와이퍼에 의해 상측으로 벤딩되며, 이를 계속하여 사각 덕트의 형태로 굽혀진다.
그러나 금속판의 벤딩을 위해 와이퍼가 상측으로 회전된 후, 하측으로 회전될 경우, 벤딩된 부위가 탄발력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며, 이에, 다음 동작을 위한 센서가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함에 따라, 작동이 멈추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벤딩 후, 진동을 방지하여 정확한 센싱을 유도함에 따라,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덕트 제조를 위한 금속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 회전 가능한 벤딩회전프레임을 갖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금속판을 벤딩시키기 위한 벤딩부, 방지암을 갖고, 상기 벤딩부에 의해 벤딩된 금속판의 벤딩부분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방지부, 상기 이송부에 대응하여 상기 흔들림방지부의 방지암을 이송시키기 위한 위치조절부, 및 상기 이송부와 벤딩부, 흔들림방지부, 위치조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금속판의 벤딩 시, 흔들림을 방지하여 오작동을 방지함은 물론, 흔들림장지부의 작동 시간차를 최소화시켜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흔들림 방지가 향상된 덕트 벤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덕트 제조를 위한 금속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 회전 가능한 벤딩회전프레임을 갖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금속판을 벤딩시키기 위한 벤딩부, 방지암을 갖고, 상기 벤딩부에 의해 벤딩된 금속판의 벤딩부분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방지부, 상기 이송부에 대응하여 상기 흔들림방지부의 방지암을 이송시키기 위한 위치조절부, 및 상기 이송부와 벤딩부, 흔들림방지부, 위치조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흔들림방지부는, 방지베이스프레임, 상기 벤딩부에 의해 벤딩된 금속판의 벤딩부분을 누르고 있어 흔들림을 방지하는 방지암, 및 상기 방지암을 회전시키기 위한 방지실린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방지베이스프레임은,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배열되는 방지수평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각 방지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벤딩된 금속판과 함께 이동되는 방지벨트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방지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되, 상기 금속판의 이동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방지암이 상하방향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위치이동프레임, 상기 방지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는 위치이동레일, 상기 위치이동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위치이동프레임에 구비되는 위치이동가이드, 및 상기 위치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이동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회전프레임의 상측으로 회전 후,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방지암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금속판의 벤딩부분을 누르고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벤딩회전프레임이 하측으로 회전 후, 상기 이송부와 상기 위치이동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방지암과 위치이동프레임, 금속판을 함께 이동시킨 다음, 상기 방지암을 하측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위치이동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위치이동프레임과 방지암을 원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방지수평프레임은, 상기 금속판의 이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제1방지수평프레임과 제2방지수평프레임, 제3방지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방지암은, 상기 제1방지수평프레임과 제2방지수평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제1방지암, 및 상기 제2방지수평프레임과 제3방지수평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제2방지암,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제1방지암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위치조절부, 및 상기 제2방지암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2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회전프레임의 상측으로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위치조절부와 제2위치조절부를 순차적으로 교번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제1위치조절부는, 상기 제1방지수평프레임과 제2방지수평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금속판의 이동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방지암이 상하방향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위치이동프레임, 상기 제1방지수평프레임과 제2방지수평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위치이동레일, 상기 제1위치이동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1위치이동프레임에 구비되는 제1위치이동가이드, 및 상기 제1위치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위치이동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위치조절부는, 상기 제2방지수평프레임과 제3방지수평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금속판의 이동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방지암이 상하방향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위치이동프레임, 상기 제2방지수평프레임과 제3방지수평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2위치이동레일, 상기 제2위치이동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2위치이동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위치이동가이드, 및 상기 제2위치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2위치이동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회전프레임의 상측으로 회전 후,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제1방지암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금속판의 벤딩부분을 누르고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벤딩회전프레임이 하측으로 회전 후, 상기 이송부와 상기 제1위치이동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방지암과 제1위치이동프레임, 금속판을 함께 이동시킨 다음, 상기 제1방지암을 하측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1위치이동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위치이동프레임과 제1방지암을 원위치시키는 동시에, 상기 벤딩회전프레임의 상측으로 회전 후,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제2방지암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금속판의 새로운 벤딩부분을 누르고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벤딩회전프레임이 하측으로 회전 후, 상기 이송부와 상기 제2위치이동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방지암과 제2위치이동프레임, 금속판을 함께 이동시킨 다음, 상기 제2방지암을 하측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위치이동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위치이동프레임과 제2방지암을 원위치시켜, 이를 반복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배열되는 이송수평프레임을 갖는 이송베이스프레임, 상기 각 이송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금속판과 함께 이동되는 이송벨트부, 및 상기 이송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송밸트부에 거치된 금속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벨트부는, 상기 각 이송수평프레임의 각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이송롤러, 및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에 의해 무한궤도 회전되는 이송벨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구동부는, 상기 이송베이스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구동프레임, 상기 이송벨트부에 위치된 금속판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송구동프레임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이송암부, 상기 이송구동프레임을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이송암부를 이동시켜 금속판을 상기 벤딩부로 이송시키는 이송구동수단, 및 상기 이송구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이송구동프레임이 상기 이송베이스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이송가이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암부는, 상기 이송구동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암, 상기 이송암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금속판을 잡기 위한 이송핑거, 상기 이송암을 회전시키기 위한 이송암실린더, 및 상기 이송핑거를 벌리거나 오므리기 위한 이송핑거실린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구동수단은, 상기 이송구동프레임에 관통형성되되,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이송구동공, 외주면에 상기 이송구동공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갖고, 상기 이송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구동봉, 및 상기 이송구동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이송구동모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가이드부는, 상기 이송베이스프레임을 따라 구비되는 이송가이드레일, 및 상기 이송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이송구동프레임에 구비되는 이송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벤딩부는, 길이방향이 상기 금속판의 이동방향과 직교되는 벤딩수평프레임을 갖는 벤딩베이스프레임, 상기 금속판이 위치되도록 상기 벤딩수평프레임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벤딩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는 벤딩고정프레임, 상기 금속판이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벤딩고정프레임의 하단부 후측 단부에 구비되어 벤딩되는 금속판의 상단부를 누르기 위한 벤딩편, 상기 벤딩수평프레임의 후측에 위치되어 상기 금속판을 벤딩시키도록 상기 벤딩베이스프레임에 상하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벤딩회전프레임, 상기 벤딩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한 벤딩실린더, 및 상기 벤딩회전프레임에 의해 벤딩된 금속판의 단부가 벤딩되지 않은 금속판 부분에 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벤딩고정프레임에 구비되는 이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벤딩회전프레임의 상측방향 회전각도는, 둔각으로, 상기 금속판의 벤딩부분을 90°초과하도록 벤딩시켜 최종 벤딩부분과 벤딩되지 않은 부분의 각을 직각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이격부는, 와이어로, 일단부가 상기 벤딩고정프레임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금속판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된 고정체에 연결되어 일정 장력을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판의 각 측단부에는 벤딩부분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벤딩표시홈이 형성되고, 상기 벤딩표시홈을 센싱하도록 상기 벤딩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제1센서, 및 벤딩되는 상기 금속판의 벤딩부분을 센싱하도록 상기 벤딩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송부와 위치조절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벤딩실린더와 흔들림방지부를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덕트벤딩장치의 흔들림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덕트 벤딩방법에 의하면, 금속판의 벤딩 시, 흔들림을 방지하여 오작동을 방지함은 물론, 흔들림장지부의 작동 시간차를 최소화시켜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벤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벤딩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벤딩부와 흔들림방지부, 위치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벤딩부와 흔들림방지부, 위치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흔들림방지부와 위치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흔들림방지부와 위치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벤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벤딩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벤딩부와 흔들림방지부, 위치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벤딩부와 흔들림방지부, 위치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흔들림방지부와 위치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흔들림방지부와 위치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흔들림 방지가 향상된 덕트 벤딩장치(10)는 이송부(100)와 벤딩부(200), 흔들림방지부(300), 위치조절부(500) 및 제어부(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송부(100)에 의해 이송되는 금속판(1)은 일단부와 타단부, 양측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일정 형상으로 성형되며, 양측단부에 벤딩될 부분을 표시하기 위한 벤딩표시홈(2)이 형성된다.
이송부(100)는 덕트 제조를 위한 금속판(1)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벤딩부(200)는 회전 가능한 벤딩회전프레임(240)을 갖고, 이송부(100)에 의해 이동되는 금속판(1)을 벤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흔들림방지부(300)는 방지암(320)을 갖고, 벤딩부(200)에 의해 벤딩된 금속판(1)의 벤딩부분(B)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벤딩부분(B)은 벤딩표시홈(2)을 기준으로 벤딩되어진 금속판(1)의 일부분을 뜻한다.
또한 위치조절부(500)는 이송부(100)에 대응하여 흔들림방지부(300)를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어부(400)는 이송부(100)와 벤딩부(200), 흔들림방지부(300)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흔들림 방지가 향상된 덕트 벤딩장치(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부(100)에 의해 금속판(1)의 벤딩될 부분이 벤딩부(200)에 위치되도록 이동된 후, 벤딩부(200)에 의해 벤딩되는 동시에, 흔들림방지부(300)에 의해 금속판(1)의 벤딩부분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송부(100)와 위치조절부(500)는 동시에 이동되어 금속판(1)의 새로운 벤딩될 부분이 벤딩부(200)에 위치되도록 이동되며, 흔들림방지부(300)는 원위치된 후, 벤딩부(200)에 의해 벤딩되는 동시에, 흔들림방지부(300)에 의해 금속판(1)의 벤딩부분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반복하여 원하는 덕트 형상이 되도록 다각형으로 벤딩됨에 따라, 원하는 덕트를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벤딩부(200)와 흔들림방지부(300)의 제어 시간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제어하되, 금속판(1)이 벤딩될 경우, 벤딩부(200)를 흔들림방지부(300)보다 먼저 제어한다.
이를 위한, 이송부(100)는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베이스프레임(110)과 이송벨트부(120) 및 이송구동부(130)를 포함한다.
이송베이스프레임(110)은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배열되는 이송수평프레임(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송벨트부(120)는 이송베이스프레임(110)의 각 이송수평프레임(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금속판(1)과 함께 이동된다.
이송구동부(130)는 이송베이스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송벨트부(120)에 거치된 금속판(1)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이송부(10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복수의 이송벨트부(120)에 하나의 금속판(1)이 거치되며, 이 금속판(1)은 이송구동부(130)에 의해 벤딩부(200)로 이동된다.
이때, 복수의 이송벨트부(120)는 금속판(1)의 하중에 의해 함께 이동되도록 회전되는 것으로, 이송벨트부(120)의 상단면은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림직하다.
이 이송벨트부(120)를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이송롤러(122)와 이송벨트(124)로 구성된다.
이송롤러(122)는 한 쌍으로, 각 이송수평프레임(112)의 각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이송벨트(124)는 한 쌍의 이송롤러(122)에 의해 무한궤도 회전된다.
이 이송벨트(124)의 하면은 마찰력이 작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일 실시 예로, 수지재로 코팅된다.
또한 이송구동부(130)는 이송구동프레임(132)과 이송암부(134), 이송구동수단(136) 및 이송가이드부(138)로 구성된다.
이송구동프레임(132)은 이송베이스프레임(1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이송암부(134)는 이송벨트부(120)에 위치된 금속판(1)을 이동시키도록 이송구동프레임(132)의 전단부에 구비된다.
이송구동수단(136)은 이송구동프레임(132)을 이동시킴에 따라, 이송암부(134)를 이동시켜 금속판(1)을 벤딩부(200)로 이송시킨다.
또한 이송가이드부(138)는 이송구동수단(136)에 의해 이동되는 이송구동프레임(132)이 이송베이스프레임(110)을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그리고 이송암부(134)는 이송암(1342)과 이송핑거(1344), 이송암실린더(1346) 및 이송핑거실린더(1348)로 구성된다.
이송암(1342)은 이송구동프레임(132)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이송핑거(1344)는 이송암(1342)의 단부에 구비되어 금속판(1)을 잡기 위해 구비된다.
이송암실린더(1346)는 이송암(1342)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이송핑거실린더(1348)는 이송핑거(1344)를 벌리거나 오므리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이송구동수단(136)은 이송구동공(1362)과 이송구동봉(1364) 및 이송구동모터(1366)로 구성된다.
이송구동공(1362)은 이송구동프레임(132)에 관통형성되되,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이송구동봉(1364)은 외주면에 이송구동공(1362)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갖고, 이송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송구동모터(1366)는 이송구동봉(1364)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이송가이드부(138)는 이송가이드레일(1382)과 이송가이드(1384)로 구성된다.
이송가이드레일(1382)은 이송베이스프레임(110)을 따라 구비된다.
또한 이송가이드(1384)는 이송가이드레일(1382)을 따라 이동되도록 이송구동프레임(132)에 구비된다.
그리고 벤딩부(20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벤딩베이스프레임(210)과 벤딩고정프레임(220), 벤딩편(230), 벤딩회전프레임(240), 벤딩실린더(250) 및 이격부(260)로 구성된다.
벤딩베이스프레임(210)은 길이방향이 금속판(1)의 이동방향과 직교되는 벤딩수평프레임(212)이 형성된다.
또한 벤딩고정프레임(220)은 금속판(1)이 위치되도록 벤딩수평프레임(212)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벤딩베이스프레임(210)에 구비된다.
벤딩편(230)은 금속판(1)이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벤딩고정프레임(220)의 하단부 후측 단부에 구비되어 벤딩되는 금속판(1)의 상단부를 누르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벤딩회전프레임(240)은 벤딩수평프레임(212)의 후측에 위치되어 금속판(1)을 벤딩시키도록 벤딩베이스프레임(210)에 상하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벤딩실린더(250)는 벤딩회전프레임(240)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이격부(260)는 벤딩회전프레임(240)에 의해 벤딩된 금속판의 단부가 벤딩되지 않은 금속판 부분에 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벤딩고정프레임(220)에 구비된다.
여기서, 벤딩회전프레임(240)의 상측방향 회전각도는 둔각으로, 금속판(1)의 벤딩부분을 90°초과하도록 벤딩시켜 최종 벤딩부분과 벤딩되지 않은 부분의 각을 직각으로 유지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격부(260)는 와이어로, 일단부가 벤딩고정프레임(22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금속판(1)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된 고정체에 연결되어 일정 장력을 유지한다.
또한 흔들림 방지 가능한 덕트 벤딩장치(10)는 제1센서(270)와 제2센서(280)를 포함한다.
제1센서(270)는 벤딩표시홈(2)을 센싱하도록 벤딩수평프레임(212)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2센서(280)는 금속판(1)의 벤딩된 부분을 센싱하도록 벤딩베이스프레임(210)에 구비된다.
제어부(400)는 제1센서(2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송부(100)를 제어하고, 제2센서(280)의 신호를 수신하여 벤딩실린더(250)를 제어한다.
이에, 이송부(100)와 벤딩부(200)를 연계하여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흔들림방지부(300)는 방지베이스프레임(310)과 방지암(320) 및 방지실린더(330)로 구성된다.
방지베이스프레임(310)은 벤딩부(200)의 후측에 위치된다.
또한 방지암(320)은 벤딩부(200)에 의해 벤딩된 금속판(1)의 벤딩부분(B)을 누르고 있어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방지실린더(330)는 방지암(320)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방지암(320)의 단부에는 방지핑거(322)가 돌출 형성되어 금속판(1)의 벤딩부분(B)을 더욱 용이하게 누를 수 있다.
그리고 방지핑거(322)의 단부에는 방지패드(324)가 더 구비되어 금속판(1)의 벤딩부분(B)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지베이스프레임(310)은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배열되는 방지수평프레임(312)이 구비되고, 각 방지수평프레임(3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벤딩된 금속판과 함께 이동되는 방지벨트부(340)를 더 포함한다.
이 방지벨트부(340)는 방지이송롤러(342)와 방지이송벨트(344)로 구성된다.
방지이송롤러(342)는 한 쌍으로, 각 방지수평프레임(312)의 각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방지이송벨트(344)는 한 쌍의 방지이송롤러(342)에 의해 무한궤도 회전된다.
이 방지이송벨트(344)의 하면은 마찰력이 작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일 실시 예로, 수지재로 코팅된다.
또한 이송벨트(122)와 방지이송벨트(344)의 각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장력유지부(126, 346)가 각각 구비됨이 당연하다.
그리고 위치조절부(500)는 위치이동프레임(510)과 위치이동레일(520), 위치이동가이드(530) 및 위치이동구동부(540)로 구성된다.
위치이동프레임(510)은 방지베이스프레임(310)에 구비되되, 금속판(1)의 이동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위치이동프레임(510)은 방지암(320)이 상하방향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방지실린더(330)도 구비되어 함께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치이동레일(520)은 방지베이스프레임(310)에 구비된다.
위치이동가이드(530)는 위치이동레일(520)을 따라 이동되도록 위치이동프레임(510)에 구비된다.
그리고 위치이동구동부(540)는 위치이동프레임(510)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위치이동구동부(540)는 실린더 또는 랙과 기어를 이용한 모터이며, 위치이동프레임(510)을 직선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사용 가능함이 당연하다.
이러한 이송부(100)와 벤딩부(200), 흔들림방지부(300), 위치조절부(5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벤딩회전프레임(240)의 상측으로 회전 후,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방지암(320)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금속판(1)의 벤딩부분을 누르고 있도록 제어한다.
벤딩 후, 벤딩회전프레임(240)이 하측으로 회전 후, 이송부(100)와 위치이동구동부(540)를 제어하여 방지암(320)과 위치이동프레임(510), 금속판(1)을 함께 이동시킨다.
그리고 방지암(320)을 하측으로 회전시키고, 위치이동구동부(540)를 제어하여 위치이동프레임(510)과 방지암(320)을 원위치시킨다.
이를 반복하여 원하는 덕트 형상이 되도록 다각형으로 벤딩됨에 따라, 원하는 덕트를 제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흔들림방지부(300)는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벤딩회전프레임(240)이 상측으로 회전 후,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방지암(320)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금속판(1)의 벤딩부분(B)을 누르고 있도록 제어된다.
또한 벤딩회전프레임(240)이 하측으로 회전 후, 제2센서(280)의 감지신호에 의해 이송부(100)와 위치이동구동부(540)를 동시에 작동시킴에 따라, 벤딩된 금속판(1)이 흔들림 없이 이동된다.
물론, 제1센서(270)에 의해 새로운 벤딩표시홈(2)이 감지되며, 이송부(100)와 위치이동구동부(540)의 작동이 정지되고, 방지암(320)을 하측으로 회전시킨 후, 위치이동구동부(540)에 의해 방지암(320)이 원위치된다.
이를, 반복하여 원하는 덕트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지수평프레임(312)은 금속판(1)의 이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제1방지수평프레임(312a)과 제2방지수평프레임(312b), 제3방지수평프레임(312c)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방지암(320')은 제1방지암(322')과 제2방지암(324')으로 구성된다.
제1방지암(322')은 제1방지수평프레임(312a)과 제2방지수평프레임(312b) 사이에 구비된다.
제2방지암(324')은 제2방지수평프레임(312b)과 제3방지수평프레임(312c)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위치조절부(600)는 제1위치조절부(610)와 제2위치조절부(620)로 구성된다.
제1위치조절부(610)는 제1방지암(322')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제2위치조절부(620)는 제2방지암(324')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어부(400)는 벤딩회전프레임(240)의 상측으로 회전에 대응하여 제1위치조절부(610)와 제2위치조절부(620)를 순차적으로 교번 제어한다.
이를 위한, 제1위치조절부(610)는 제1위치이동프레임(612)과 제1위치이동레일(614), 제1위치이동가이드(616) 및 제1위치이동구동부(618)로 구성된다.
제1위치이동프레임(612)은 제1방지수평프레임(312a)과 제2방지수평프레임(312b) 사이에 구비되되, 금속판(1)의 이동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1방지암(322')이 상하방향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제1위치이동레일(614)은 제1방지수평프레임(312a)과 제2방지수평프레임(312b)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제1위치이동가이드(616)는 제1위치이동레일(614)을 따라 이동되도록 제1위치이동프레임(612)에 구비된다.
또한 제1위치이동구동부(618)는 제1위치이동프레임(612)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위치조절부(620)는 제2위치이동프레임(622)과 제2위치이동레일(624), 제2위치이동가이드(626) 및 제2위치이동구동부(628)로 구성된다.
제2위치이동프레임(622)은 제2방지수평프레임(312b)과 제3방지수평프레임(312c) 사이에 구비되되, 금속판(1)의 이동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방지암(324')이 상하방향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제2위치이동레일(624)은 제2방지수평프레임(312b)과 제3방지수평프레임(312c)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제2위치이동가이드(626)는 제2위치이동레일(624)을 따라 이동되도록 제2위치이동프레임(622)에 구비된다.
또한 제2위치이동구동부(628)는 제2위치이동프레임(622)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어부(400)는 벤딩회전프레임(240)의 상측으로 회전 후,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제1방지암(322')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금속판(1)의 벤딩부분(B)을 누르고 있도록 제어한다.
벤딩 후, 벤딩회전프레임(240)이 하측으로 회전 후, 이송부(100)와 제1위치이동구동부(618)를 제어하여 제1방지암(322')과 제1위치이동프레임(612), 금속판(1)을 함께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1방지암(322')을 하측으로 회전시키고, 제1위치이동구동부(618)를 제어하여 제1위치이동프레임(612)과 제1방지암(322')을 원위치시키는 동시에, 벤딩회전프레임(240)의 상측으로 회전 후,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제2방지암(324')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금속판(1)의 새로운 벤딩부분(B')을 누르고 있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벤딩회전프레임(240)이 하측으로 회전 후, 이송부(100)와 제2위치이동구동부(628)를 제어하여 제2방지암(324')과 제2위치이동프레임(622), 금속판(1)을 함께 이동시킨다.
또한 제2방지암(324')을 하측으로 회전시키고, 제2위치이동구동부(628)를 제어하여 제2위치이동프레임(622)과 제2방지암(324')을 원위치시키며, 상기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에, 원하는 덕트 형상이 되도록 다각형으로 벤딩됨에 따라, 원하는 덕트를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벤딩회전프레임(240)은 각 실시 예의 방지암(320, 322', 324')이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가이드(242)가 방지암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10 : 덕트 벤딩장치 100 : 이송부
110 : 이송베이스프레임 120 : 이송벨트부
130 : 이송구동부 200 : 벤딩부
210 : 벤딩베이스프레임 220 : 벤딩고정프레임
230 : 벤딩편 240 : 벤딩회전프레임
250 : 벤딩실린더 260 : 이격부
270 : 제1센서 280 : 제2센서
300 : 흔들림방지부 310 : 방지베이스프레임
320, 320' : 방지암 330 : 방지실린더
400 : 제어부 500, 600 : 위치조절부
510 : 위치이동프레임 520 : 위치이동레일
530 : 위치이동가이드 540 : 위치이동구동부

Claims (10)

  1. 덕트 제조를 위한 금속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
    회전 가능한 벤딩회전프레임을 갖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금속판을 벤딩시키기 위한 벤딩부;
    방지암을 갖고, 상기 벤딩부에 의해 벤딩된 금속판의 벤딩부분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방지부;
    상기 이송부에 대응하여 상기 흔들림방지부를 이송시키기 위한 위치조절부; 및
    상기 이송부와 벤딩부, 흔들림방지부, 위치조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흔들림방지부는,
    방지베이스프레임;
    상기 벤딩부에 의해 벤딩된 금속판의 벤딩부분을 누르고 있어 흔들림을 방지하는 방지암; 및
    상기 방지암을 회전시키기 위한 방지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방지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되, 상기 금속판의 이동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방지암이 상하방향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위치이동프레임;
    상기 방지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는 위치이동레일;
    상기 위치이동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위치이동프레임에 구비되는 위치이동가이드; 및
    상기 위치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이동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회전프레임의 상측으로 회전 후,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방지암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금속판의 벤딩부분을 누르고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벤딩회전프레임이 하측으로 회전 후, 상기 이송부와 상기 위치이동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방지암과 위치이동프레임, 금속판을 함께 이동시킨 다음, 상기 방지암을 하측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위치이동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위치이동프레임과 방지암을 원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 가능한 덕트 벤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베이스프레임은,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배열되는 방지수평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각 방지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벤딩된 금속판과 함께 이동되는 방지벨트부;를 더 포함하는 흔들림 방지가 향상된 덕트 벤딩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수평프레임은,
    상기 금속판의 이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제1방지수평프레임과 제2방지수평프레임, 제3방지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방지암은,
    상기 제1방지수평프레임과 제2방지수평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제1방지암; 및
    상기 제2방지수평프레임과 제3방지수평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제2방지암;을 포함하는 흔들림 방지가 향상된 덕트 벤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제1방지암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위치조절부; 및
    상기 제2방지암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2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회전프레임의 상측으로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위치조절부와 제2위치조절부를 순차적으로 교번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가 향상된 덕트 벤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조절부는,
    상기 제1방지수평프레임과 제2방지수평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금속판의 이동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방지암이 상하방향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위치이동프레임;
    상기 제1방지수평프레임과 제2방지수평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위치이동레일;
    상기 제1위치이동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1위치이동프레임에 구비되는 제1위치이동가이드; 및
    상기 제1위치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위치이동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위치조절부는,
    상기 제2방지수평프레임과 제3방지수평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금속판의 이동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방지암이 상하방향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위치이동프레임;
    상기 제2방지수평프레임과 제3방지수평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2위치이동레일;
    상기 제2위치이동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2위치이동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위치이동가이드; 및
    상기 제2위치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2위치이동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회전프레임의 상측으로 회전 후,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제1방지암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금속판의 벤딩부분을 누르고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벤딩회전프레임이 하측으로 회전 후, 상기 이송부와 상기 제1위치이동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방지암과 제1위치이동프레임, 금속판을 함께 이동시킨 다음, 상기 제1방지암을 하측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1위치이동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위치이동프레임과 제1방지암을 원위치시키는 동시에, 상기 벤딩회전프레임의 상측으로 회전 후,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제2방지암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금속판의 새로운 벤딩부분을 누르고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벤딩회전프레임이 하측으로 회전 후, 상기 이송부와 상기 제2위치이동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방지암과 제2위치이동프레임, 금속판을 함께 이동시킨 다음, 상기 제2방지암을 하측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위치이동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위치이동프레임과 제2방지암을 원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가 향상된 덕트 벤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배열되는 이송수평프레임을 갖는 이송베이스프레임;
    상기 각 이송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금속판과 함께 이동되는 이송벨트부; 및
    상기 이송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송벨트부에 거치된 금속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구동부;를 포함하는 흔들림 방지가 향상된 덕트 벤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길이방향이 상기 금속판의 이동방향과 직교되는 벤딩수평프레임을 갖는 벤딩베이스프레임;
    상기 금속판이 위치되도록 상기 벤딩수평프레임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벤딩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는 벤딩고정프레임;
    상기 금속판이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벤딩고정프레임의 하단부 후측 단부에 구비되어 벤딩되는 금속판의 상단부를 누르기 위한 벤딩편;
    상기 벤딩수평프레임의 후측에 위치되어 상기 금속판을 벤딩시키도록 상기 벤딩베이스프레임에 상하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벤딩회전프레임;
    상기 벤딩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한 벤딩실린더; 및
    상기 벤딩회전프레임에 의해 벤딩된 금속판의 단부가 벤딩되지 않은 금속판 부분에 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벤딩고정프레임에 구비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흔들림 방지가 향상된 덕트 벤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의 각 측단부에는 벤딩부분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벤딩표시홈이 형성되고,
    상기 벤딩표시홈을 센싱하도록 상기 벤딩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제1센서; 및
    벤딩되는 상기 금속판의 벤딩부분을 센싱하도록 상기 벤딩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송부와 위치조절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벤딩실린더와 흔들림방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가 향상된 덕트 벤딩장치.
KR1020180038799A 2018-04-03 2018-04-03 흔들림 방지가 향상된 덕트 벤딩장치 KR102047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799A KR102047127B1 (ko) 2018-04-03 2018-04-03 흔들림 방지가 향상된 덕트 벤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799A KR102047127B1 (ko) 2018-04-03 2018-04-03 흔들림 방지가 향상된 덕트 벤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736A KR20190115736A (ko) 2019-10-14
KR102047127B1 true KR102047127B1 (ko) 2019-11-21

Family

ID=6817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799A KR102047127B1 (ko) 2018-04-03 2018-04-03 흔들림 방지가 향상된 덕트 벤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1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095B1 (ko) * 2020-06-26 2020-12-16 권기준 금속판 절곡장치
KR102226343B1 (ko) * 2020-09-01 2021-03-09 박명규 자재 이송 및 절곡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6261B2 (ja) * 1988-06-07 1998-01-28 株式会社アマダ 板材加工機における板材搬入搬出装置
KR200402219Y1 (ko) * 2005-09-14 2005-11-29 주식회사 엘엔 절곡 전면 보조 장치
KR101233107B1 (ko) * 2007-10-02 2013-02-14 메스텍 머시너리 인코포레이티드 덕트 제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6261B2 (ja) * 1988-06-07 1998-01-28 株式会社アマダ 板材加工機における板材搬入搬出装置
KR200402219Y1 (ko) * 2005-09-14 2005-11-29 주식회사 엘엔 절곡 전면 보조 장치
KR101233107B1 (ko) * 2007-10-02 2013-02-14 메스텍 머시너리 인코포레이티드 덕트 제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736A (ko)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592B1 (ko) 흔들림 방지 가능한 덕트 벤딩장치
US8602204B2 (en) Conveying device
KR102047127B1 (ko) 흔들림 방지가 향상된 덕트 벤딩장치
KR101310837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장력 조절장치
KR101407626B1 (ko) 용접장치
JP3307777B2 (ja) ハンダ付け方法および装置
KR101959293B1 (ko) 듀얼 컨베어 시스템
KR101467042B1 (ko) 용접용 지그
US9415548B2 (en) Feeding apparatus for forming 3D object
JPH11228027A (ja) 糸解舒張力安定具、及びこの張力安定具を用いたクリール用糸解舒張力安定装置
KR101259888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1583475B1 (ko) 탄성수단을 이용한 기판 이송 안내 장치
KR102473480B1 (ko) 컨베이어용 이송방향 교차변환장치
JP2019064118A (ja) 基板加工装置
KR102221832B1 (ko) 협소 공간용 컨베이어 벨트 장치
CN206691988U (zh) 一种输送线及物料位置调整定位装置
KR101424482B1 (ko)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
KR101429441B1 (ko) 원단 이송용 편향보정장치
JP2015143181A (ja) ガラス板の位置決め装置
TW201943166A (zh) 線引導裝置
CN107626814A (zh) 自动打标机械手
KR101572362B1 (ko) 원료 이송 컨베이어
JP2523913Y2 (ja) 物品搬送装置のガイド装置
KR101070900B1 (ko) 인쇄회로기판 멈춤장치
CN209887442U (zh) 模板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