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482B1 -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482B1
KR101424482B1 KR1020120095384A KR20120095384A KR101424482B1 KR 101424482 B1 KR101424482 B1 KR 101424482B1 KR 1020120095384 A KR1020120095384 A KR 1020120095384A KR 20120095384 A KR20120095384 A KR 20120095384A KR 101424482 B1 KR101424482 B1 KR 101424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guide
guide portion
rai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767A (ko
Inventor
박진기
백인철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5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482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24Hydrostatic bearings 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라브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를 탄성 지지하는 가압지지부와, 가압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가이드부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를 슬라브에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가이드부에 연결되며, 슬라브의 측면에 접하여 슬라브의 위치와 방향을 보정하고, 슬라브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슬라브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SIDE GUIDE DEVICE FOR ROLLING}
본 발명은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연기로 이동되는 슬라브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압연품질을 높일 수 있는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를 따라 이동되는 슬라브는, 좌측이나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열간압연 공정에서 슬라브의 직진성이 저하된다.
슬라브의 직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열간압연 공정에서 사용되는 측면가이드는, 롤러를 따라 이동되는 슬라브의 양측을 가압하여 슬라브의 직진성을 확보한다.
이를 위하여, 슬라브의 양측에 사이드암이 이격 설치되며, 동작신호에 따라 사이드암이 설정된 거리 만큼 이동되어 슬라브의 양측을 가이드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6-0038290호(2006.05.03 공개, 발명의 명칭: 경사롤러형 사이드가이드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슬라브와 장치간 접촉에 따른 손상을 감소시키면서 슬라브의 위치와 방향을 압연기(압연롤러)를 향해 안정되게 정렬시킬 수 있는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는, 슬라브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탄성 지지하는 가압지지부; 상기 가압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이드부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슬라브에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슬라브의 측면에 접하여 상기 슬라브의 위치와 방향을 보정하고, 상기 슬라브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슬라브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바;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돌출바가 내측으로 인입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안내파이프; 및 일측부가 상기 돌출바에 끼워지고, 타측부가 상기 안내파이프에 끼워지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슬라브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레일; 및 상기 슬라브와 접하는 접촉면을 구비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레일은, 상기 레일의 외면부에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홈부; 및 상기 홈부에 안착되며, 상기 이동바와 구름접촉되는 구름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이동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레일과 상기 이동바 중 적어도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며, 장착공이 형성되는 수조절몸체;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조절몸체가 내측으로 인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장착공과 마주하는 장공이 형성되는 암조절몸체; 및 상기 장공과 상기 장착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슬라브와 접하는 가이드부와 이동가이드부가 가압지지부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슬라브와 가이드부의 무리한 접촉,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면서 슬라브를 압연롤러측으로 안정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가이드부의 이동바가 슬라브의 이송 방향을 따라 슬라브와 함께 이동되면서 압연롤러에 보다 근접한 위치까지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어, 압연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의 이동가이드부 사이로 슬라브가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의 이동가이드부가 슬라브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의 이동가이드부가 슬라브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브와 함께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철소의 압연기에 설치되는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의 이동가이드부 사이로 슬라브가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의 이동가이드부가 슬라브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의 이동가이드부가 슬라브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브와 함께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300)는 가이드부(310), 가압지지부(320), 베이스부(330), 구동부(340), 이동가이드부(350), 조절부(36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310)는 슬라브(10)를 이송하는 이송롤러(20)의 양측에 설치된다.
가이드부(310)는 슬라브(10)를 이송하는 이송롤러(20)의 길이방향 양측(도 2상에서 상, 하측, 도 3상에서 좌, 우측)에 설치된다.
가이드부(310) 중 슬라브(10)를 향하는 일측면에는 슬라브(10)의 측면과 접촉되는 이동가이드부(350)가 결합되고, 베이스부(330)를 향하는 타측면에는 가압지지부(320)가 연결된다.
이송롤러(20)는 압연롤러(40)를 향해 복수개가 배치되며, 슬라브(10)를 상단에 안착시킨 상태로 회전 구동되면서 슬라브(10)를 압연롤러(40)측으로 이송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310)는 가이드몸체(311)와 경사가이드(313)를 포함한다.
가이드몸체(311)는 슬라브(10)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슬라브(10)와 마주하는 접촉면이 평탄면을 이루는 직사각형 패널 형상을 가진다.
경사가이드(313)는 가이드몸체(311)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베이스부(330)를 향해 경사지게 굽은 형상으로 설치된다.
이송롤러(20)의 양측에 위치되는 경사가이드(313) 사이의 거리는 슬라브(1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송롤러(20)를 따라 압연롤러(40)측으로 이송되는 슬라브(10)가, 가이드부(310)의 경사가이드(313)에 먼저 접하면서 경사가이드(313)의 경사면을 타고 가이드몸체(311)를 향한 내측 방향으로 위치가 보정되어 이송된다.
가이드몸체(311)를 향한 내측 방향으로 위치가 보정된 슬라브(10)는 가이드몸체(311)에 결합된 이동가이드부(350)에 양 측면이 접하며 그 위치와 방향이 보정된다.
가압지지부(320)는 베이스부(330)와 가이드부(310)를 연결하며, 베이스부(330)를 기준으로 하여 가이드부(310)를 탄성 지지한다.
가압지지부(320)의 일측부는 베이스부(330)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가이드부(310)에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지지부(320)는 돌출바(321), 안내파이프(323), 탄성스프링(325)을 포함한다.
돌출바(321)는 베이스부(330)에 연결되며, 가이드부(310)를 향하여 돌출, 연장되게 형성된다.
안내파이프(323)는 가이드부(310)에 연결되며, 베이스부(330)에서 연장된 돌출바(321)가 내측으로 인입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여 베이스부(330)를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다.
안내파이프(323)는 돌출바(321)의 둘레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베이스부(330)와 멀어지는 방향 또는 베이스부(33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돌출바(321)와 안내파이프(323)의 결합에 의해, 베이스부(330)와 멀어지는 방향 또는 베이스부(33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가이드부(31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스프링(325)은 일측부가 돌출바(321)의 둘레에 끼워지고, 타측부가 안내파이프(323)의 둘레에 끼워지는 코일 스프링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탄성스프링(325)이 돌출바(321)와 안내파이프(323)에 끼워진 상태에서, 탄성스프링(325)의 일측부는 베이스부(330)에 접하고, 타측부는 가이드부(310)에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탄성스프링(325)은 베이스부(330)를 기준으로 하여 가이드부(310)를 돌출바(321)와 안내파이프(323)가 연속하여 이루는 직선 경로로 안정되게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부(330)는 가이드부(31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기준면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가압지지부(320)를 사이에 두고 가이드부(310)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베이스부(330)는 가이드부(31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직사각형 패널 형상을 가지나, 가이드부(31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기준면을 제공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부(330)는 구동부(340)와 연결되어 구동부(340)에 연동하여 슬라브(10)에 근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구동부(340)는 베이스부(330)를 슬라브(10)에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1,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부(340)는 모터(341), 구동기어(343), 직선기어(345)를 포함한다.
모터(341)는 가이드부(310), 가압지지부(320), 베이스부(330)를 슬라브(10)에 근접한 방향이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기어(343)는 평기어 형상을 가지고 모터(341)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모터(341)의 구동에 연동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직선기어(345)는 슬라브(10)의 이송방향(도 2에서 우측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일측부가 베이스부(330)와 연결되고, 타측부가 구동기어(343)와 접한다.
구동기어(343)와 접하는 직선기어(345)의 타측부에는 구동기어(343)와 치합(Meshing)되는 기어치가 형성되어, 직선기어(345)는 구동기어(343)에 연동하여 직선 이동된다.
직선기어(345)의 일측부와 연결된 베이스부(330)는 구동기어(343)의 회전 구동에 연동하여 직선기어(345)와 함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10)측으로 이동되거나, 슬라브(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구동부(340)는, 슬라브(10)의 이송 방향을 향해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부(33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한 쌍의 구동부(340)는 동일한 선속도로 회전되면서 베이스부(330)의 길이방향 일측부와 타측부를 동일한 변위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330)는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슬라브(10)의 이송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모터(341)의 구동에 연동하여 전 길이에 걸쳐 동일한 변위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350)는 가이드부(310)에 연결되며, 슬라브(10)의 측면에 가압 접촉되어 슬라브(10)의 위치와 방향을 보정한다.
이동가이드부(350)의 길이방향 단부는 경사가이드(313)와 연속된 경사면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슬라브(10)는 경사가이드(131)와 이동가이드부(350)의 단부가 이루는 경사면을 타고 이동가이드부(350)를 향한 내측 방향으로 위치가 보정되어 이송된다.
또한, 이동가이드부(350)의 이동바(355)는 슬라브(10)와 접한 상태로 슬라브(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슬라브(10)의 이송을 압연롤러(40)에 근접한 위치까지 안내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가이드부(350)는 레일(351), 이동바(355), 걸림부(357)를 포함한다.
레일(351)은 가이드부(310)에 연결되며, 'T '자 단면형상을 가지고 슬라브(10)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레일(351)의 외면부에는, 특히 레일(351)의 상면부에는 반구 형상의 홈부(352)가 형성되고, 홈부(352)에는 구름볼(353)이 안착된다.
구름볼(353)은 레일(351)의 상면부에 접하는 이동바(355)의 상부와 구름접촉되어, 이동바(355)와 레일(351)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이동바(355)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359)를 가이드부(310)와 레일(351)을 관통하여 체결함으로써, 레일(351)을 가이드부(310)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동바(355)는 슬라브(10)와 접하는 접촉면을 구비하여 레일(35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바(355)는 레일(351)의 상면부, 측면부, 저면부에 각각 접하는 상부, 중간부, 하부로 이루어진다.
이동바(355)의 상부는 'T'자 단면형상을 가지는 레일(351)의 '―'자 헤드부의 일단부에 걸리는 '┐'자 형상의 꺾임부를 가지고, 레일(351)의 상면부에 접한다.
이동바(355)의 중간부는 슬라브(10)와 접하는 평탄한 접촉면을 이룬다.
이동바(355)의 하부는 'T'자 단면형상을 가지는 레일(351)의 '―'자 헤드부의 타단부에 걸리는 '┘'자 형상의 꺾임부를 가지고, 레일(351)의 저면부에 접한다.
상기와 같은 레일(351)과 이동바(355)간 결합구조에 의해, 이동바(355)는 레일(351)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레일(351)의 연장방향을 따라, 즉 슬라브(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안정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걸림부(357)는 이동바(355)가 레일(3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레일(351)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레일(351)과 이동바(355) 중 적어도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부(357)는 레일(351)의 길이방향 일단부와 중간부, 이동바(355)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해당되는 3개소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동바(355)에 형성된 걸림부(357)는 레일(351)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부(357)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레일(351)의 상면부에 걸림부(357)를 형성하는 경우, 레일(35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안착된 구름볼(353)의 돌출높이보다는 낮고 구름볼(353)의 돌출높이의 중간보다는 높은 돌출높이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이동바(355)는, 레일(351)에 형성된 걸림부(357)에 닿아 마찰 접촉되는 일 없이 구름볼(353)과 안정되게 구름접촉될 수 있다.
또한, 이동바(355)에 형성되는 걸림부(357)를 레일(351)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돌출높이로 형성함으로써, 이동바(355)와 레일(351) 각각에 형성된 걸림부(357)간 접촉에 의해 이동바(355)의 직선 이동을 안정되게 구속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바(355)가 슬라브(10)의 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롤러(40)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이동바(355)에 형성된 걸림부(357)는 레일(351)의 중간부에 형성된 걸림부(357)에 걸려 정지된다.
이동바(355)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복귀)되는 경우, 이동바(355)에 형성된 걸림부(357)는 레일(351)의 일단부에 형성된 걸림부(357)에 걸려 정지된다.
즉, 이동바(355)는 레일(351)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부(357)간 이격 거리에 해당되는 변위만큼 레일(35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레일(351)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조절부(360)는 가이드부(310)와 베이스부(330) 사이에 설치되며, 베이스부(330)와 가이드부(310)간 거리,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부(330)를 기준으로 한 가이드부(310)의 이동 거리를 조절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부(360)는 수조절몸체(361), 암조절몸체(363), 걸림부재(365)를 포함한다.
수조절몸체(361)는 베이스부(330)를 향해 돌출된 봉 형상을 가지고 가이드부(310)에 연결되며,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장착공(362)이 형성된다.
암조절몸체(363)는 가이드부(310)를 향해 돌출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베이스부(330)에 연결되며, 장착공(362)과 마주하는 장공(364)이 형성된다.
암조절몸체(363)에는 수조절몸체(361)가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수조절몸체(361)는 암조절몸체(363)에 끼워진 상태로 암조절몸체(363)를 따라 이동되면서 베이스부(330)와 가이드부(310)간 거리를 조절한다.
장공(364)은 암조절몸체(363)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되,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개가 형성된다.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3개 또는 3쌍의 장공(364)을 형성하면, 걸림부재(365)를 복수개의 장공(364) 중 어디에 설치하는지에 따라 베이스부(330)와 가이드부(310)간 거리가 결정된다.
즉, 걸림부재(365)를 복수개의 장공(364) 중 어디에 설치하는지에 따라, 수조절몸체(361)와 암조절몸체(363)가 이루는 길이, 가이드부(310)를 탄성 지지하는 가압지지부(320)의 탄성력과, 가이드부(310)의 탄성 이동 거리가 결정된다.
걸림부재(365)는 장공(364)과 장착공(36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수조절몸체(361)와 암조절몸체(363)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걸림부재(365)는 볼트 형상을 가지며, 수조절몸체(361)와 암조절몸체(363)를 관통하여 암조절몸체(363) 외부로 돌출된 걸림부재(365)의 단부에 너트부재(367)를 체결함으로써 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3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롤러(20) 양측에 위치된 이동가이드부(350) 사이로 슬라브(10)가 진입하면, 모터(341)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이드부(350)를 슬라브(10)의 양 측면에 가압 접촉시킨다.
모터(341)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구동기어(343)가 회전하고, 구동기어(343)에 치합된 직선기어(345)가 슬라브(10)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직선기어(345)에 연결된 베이스부(330)도 슬라브(10)측으로 함께 이동되며, 가압지지부(320)에 의해 베이스부(330)에 탄성적으로 연결된 가이드부(310)와 이동가이드부(350)는 슬라브(10)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이에 따라, 슬라브(10)와 가이드부(310) 또는 이동가이드부(350)간 충돌에 의한 충격력을 감쇄시킬 수 있어, 슬라브(10)와의 충돌에 의한 가이드부(310), 이동가이드부(350), 구동부(3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이드부(350)를 슬라브(10)의 양 측면에 가압 접촉시켜 슬라브(10)의 위치와 방향을 보정한 후에도, 이동가이드부(350)를 슬라브(10)의 양 측면에 가압 접촉시킨 상태를 설정시간(예를 들어, 30초) 동안 유지한다.
이때, 이동가이드부(350)의 이동바(35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10)의 양 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레일(351)를 따라 슬라브(10) 이송 방향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동바(355)는 압연롤러(40)에 근접한 위치까지 이동되면서, 위치와 방향이 보정된 슬라브(10)의 직진성을 그대로 유지하며 압연롤러(40)(도 1 참조)까지 안정되게 안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브(10)가 가이드부(310) 또는 이동가이드부(350)에 접하여 그 위치와 방향이 보정된 이후, 압연롤러(40)까지 이동되는 과정에서 다시 방향이 틀어지거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롤러(40)에 근접한 위치까지 슬라브(10)를 안내시킨 후에는 모터(341)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가이드부(310)를 슬라브(10)로부터 이격시키고, 이동바(355)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300)는, 슬라브(10)와 접하는 가이드부(310)와 이동가이드부(350)가 가압지지부(320)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슬라브(10)와 가이드부(310)의 무리한 접촉,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면서 슬라브(10)를 압연롤러(40)측으로 안정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가이드부(350)의 이동바(355)가 슬라브(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슬라브(10)와 함께 이동되면서 압연롤러(40)에 보다 근접한 위치까지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어, 압연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제철소의 압연기에 설치되는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송롤러를 따라 이동되는 슬라브를 포함한 이송물질의 정렬에 본 발명에 의한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슬라브 20 : 이송롤러
40 : 압연롤러 300 :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
310 : 가이드부 311 : 가이드몸체
313 : 경사가이드 320 : 가압지지부
321 : 돌출바 323 : 안내파이프
325 : 탄성스프링 330 : 베이스부
340 : 구동부 341 : 모터
343 : 구동기어 345 : 직선기어
350 : 이동가이드부 351 : 레일
352 : 홈부 353 : 구름볼
355 : 이동바 357 : 걸림부
359 : 체결부재 360 : 조절부
361 : 수조절몸체 362 : 장착공
363 : 암조절몸체 364 : 장공
365 : 걸림부재 367 : 너트부재

Claims (7)

  1. 슬라브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탄성 지지하는 가압지지부;
    상기 가압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이드부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슬라브에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슬라브의 측면에 접하여 상기 슬라브의 위치와 방향을 보정하고, 상기 슬라브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슬라브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바;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돌출바가 내측으로 인입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안내파이프; 및
    일측부가 상기 돌출바에 끼워지고, 타측부가 상기 안내파이프에 끼워지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
  2. 삭제
  3. 슬라브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탄성 지지하는 가압지지부;
    상기 가압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이드부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슬라브에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슬라브의 측면에 접하여 상기 슬라브의 위치와 방향을 보정하고, 상기 슬라브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슬라브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슬라브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레일; 및
    상기 슬라브와 접하는 접촉면을 구비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엽용 측면가이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레일의 외면부에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홈부; 및
    상기 홈부에 안착되며, 상기 이동바와 구름접촉되는 구름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이동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레일과 상기 이동바 중 적어도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며, 장착공이 형성되는 수조절몸체;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조절몸체가 내측으로 인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장착공과 마주하는 장공이 형성되는 암조절몸체; 및
    상기 장공과 상기 장착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
KR1020120095384A 2012-08-30 2012-08-30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 KR101424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384A KR101424482B1 (ko) 2012-08-30 2012-08-30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384A KR101424482B1 (ko) 2012-08-30 2012-08-30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767A KR20140029767A (ko) 2014-03-11
KR101424482B1 true KR101424482B1 (ko) 2014-07-31

Family

ID=5064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384A KR101424482B1 (ko) 2012-08-30 2012-08-30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8918B (zh) * 2020-09-25 2021-08-03 太原理工大学 一种面向板带轧制过程的高效稳定施加电流推床及其方法
US20220097111A1 (en) * 2020-09-25 2022-03-31 Taiyuan University Of Technology Plate and strip rolling process oriented efficient and stable current applying manipulator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613A (ko) * 2002-06-07 2003-12-18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의 진행에 따라서 회전하는 사이드 가이드 장치
KR20080107596A (ko) * 2007-06-07 2008-12-11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의 압연 소재 가이드장치
KR20110022321A (ko) * 2009-08-27 2011-03-07 현대제철 주식회사 폭압연기의 사이드 가이드 제어장치
KR20120046824A (ko) * 2010-10-27 2012-05-11 현대제철 주식회사 사이드 가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613A (ko) * 2002-06-07 2003-12-18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의 진행에 따라서 회전하는 사이드 가이드 장치
KR20080107596A (ko) * 2007-06-07 2008-12-11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의 압연 소재 가이드장치
KR20110022321A (ko) * 2009-08-27 2011-03-07 현대제철 주식회사 폭압연기의 사이드 가이드 제어장치
KR20120046824A (ko) * 2010-10-27 2012-05-11 현대제철 주식회사 사이드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767A (ko) 201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07657B (zh) 片状材料切断单元和打印装置
US8602204B2 (en) Conveying device
KR101310837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장력 조절장치
KR101629229B1 (ko) 평철 자동절단장치
KR101424482B1 (ko)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
CN104773575A (zh) 一种布料输送机
WO2013125512A1 (ja) 圧縮機のバンドル案内装置及び圧縮機のバンドル案内方法
KR101424445B1 (ko)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
KR101275720B1 (ko) 프린터 장치 및 롤러 어셈블리
US20160289023A1 (en) Conveyance Unit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KR101399878B1 (ko)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
JP3205555U (ja) ベルト張力緊張装置
JP2016098056A5 (ko)
KR101399875B1 (ko)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
US9702405B2 (en) Moving apparatus
US11285685B2 (en) Apparatus for feeding bag
KR20150134450A (ko) 스트립 안내 장치
KR101424471B1 (ko) 트리퍼카용 주행장치
KR10197805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자동 보수장치
JP5619523B2 (ja) コード入りゴム状材料の切断装置
US20170008702A1 (en) Pusher system for a strapping machine
KR101429441B1 (ko) 원단 이송용 편향보정장치
CN204508345U (zh) 一种布料输送机
KR101643921B1 (ko) 소재 터닝이 가능한 사이드가이드 장치
JP7243343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