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921B1 - 소재 터닝이 가능한 사이드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터닝이 가능한 사이드가이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3921B1 KR101643921B1 KR1020140122576A KR20140122576A KR101643921B1 KR 101643921 B1 KR101643921 B1 KR 101643921B1 KR 1020140122576 A KR1020140122576 A KR 1020140122576A KR 20140122576 A KR20140122576 A KR 20140122576A KR 101643921 B1 KR101643921 B1 KR 1016439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moving
- unit
- head
- dri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소재가 사이를 통과하는 한 쌍의 베이스부들;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헤드 이동부;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고, 일부분이 상기 소재와 접촉가능한 베이스 이동부; 및 상기 헤드 이동부 및 상기 베이스 이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 이동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베이스 이동부를 경사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터닝이 가능한 사이드가이드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소재 터닝을 위한 사이드가이드 장치는 소재의 휨 여부에 상관없이 소재를 원활하게 터닝하여 압연 공정에 공급하여, 터닝 롤러 및 소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이드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연 공정에 터닝되어 공급되는 소재를 안내하는 소재 터닝이 가능한 사이드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 공정을 이용하여 수요자가 요구하는 규격의 제품을 제조할 때, 압연소재인 슬래브는 폭 방향 압연이 이루어지고, 폭 방향 압연이 이루어진 이후에 90°터닝된 후에 길이 방향 압연이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압연 공정을 위한 설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작업롤(10)들을 이용하여 소재인 슬래브(S)를 압연 공정을 실시하기 위하여, 슬래브(S)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 롤러(11)들이 설치된다. 특히, 슬래브(S)가 압연되기 이전에 터닝되도록 이송 롤러(11)들 중 일부는 터닝 롤러(12)들로 이루어진다. 터닝 롤러(12)들은 외경이 일측 단부 쪽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롤러, 및 반대쪽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롤러가 순차로 배치된다. 이때, 터닝 롤러(12)들은 상호 간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슬래브(S)의 터닝 작업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작업롤들 사이에 투입되기 이전의 소재는 두께 방향에 따른 온도 편차 또는 불균일이 존재한다. 이로 인해, 소재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는 하측으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소재, 특히 휘어진 선단부 또는 후단부는 외부로 밀려 이탈되어, 터닝 롤러와 이송 롤러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터닝 롤러의 표면은 소재에 의해 긁혀 흠이 발생하고, 터닝이 이루어져야 하는 소재가 원활하게 터닝되지 않는다. 또한, 소재의 터닝이 지연된 상태에서, 소재가 작업롤들 사이에 투입되어 압연되더라도, 압연 제품의 품질 저하가 발생된다.
특허출원 제10-2002-0051988호(발명의 명칭: 가열로 장입 슬라브의 위치 교정 장치) 등을 이용하여 소재를 원활하여 터닝하여 압연 공정에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소재의 휨 여부에 상관없이 소재를 원활하게 터닝하여 압연 공정에 공급할 수 있는 소재 터닝이 가능한 사이드가이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소재가 사이를 통과하는 한 쌍의 베이스부들;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헤드 이동부;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고, 일부분이 터닝 롤러 상의 상기 소재와 접촉가능한 베이스 이동부; 및 상기 헤드 이동부 및 상기 베이스 이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 이동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베이스 이동부를 경사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가이드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 구동 지지부; 상기 구동 지지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헤드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헤드 이동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구동부; 상기 구동 지지부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이동부를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사 구동부; 및 상기 헤드 이동부와 상기 베이스 이동부를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 이동부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가이드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이동부는, 상기 베이스 이동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돌출되어 터닝 롤러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면에 돌기부가 형성된 베이스 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재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 턱부의 상면에 위치될 때, 상기 베이스 턱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소재의 일부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가이드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헤드 이동부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헤드 이동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이동부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베이스 이동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 이동홈부와 상기 베이스 이동공간부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호 간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턱부는 상기 베이스 이동공간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가이드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이동공간부는 상기 베이스 이동부보다 큰 높이 및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가이드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베이스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재가 상기 베이스들 사이에서 터닝할 때, 상기 베이스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들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가이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터닝이 가능한 사이드가이드 장치는 베이스부들, 헤드부, 헤드 이동부, 베이스 이동부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 구동부는 수평 구동부, 경사 구동부 및 수직 구동부를 포함하여, 헤드 이동부와 베이스 이동부를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및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베이스부들 사이에서 터닝 롤러들에 의해 터닝되는 소재는 베이스 이동부의 베이스 턱부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어 상승한다. 이로 인해, 소재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가 휘더라도, 소재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는 터닝 롤러들 사이에 삽입되지 않고 터닝 롤러들에 의해 안정적으로 터닝되어 작업롤들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재 터닝이 가능한 사이드가이드 장치는 휘어진 소재로 인한 터닝 롤러들의 손상 및 이에 따른 유지 보수를 감소시키며, 손상된 소재로 인한 압연 제품의 품질 저하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압연 공정을 위한 설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터닝이 가능한 사이드가이드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이드가이드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사이드가이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터닝이 가능한 사이드가이드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이드가이드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사이드가이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터닝이 가능한 사이드가이드 장치(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이드가이드 장치(100)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사이드가이드 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터닝이 가능한 사이드가이드 장치(100)는 베이스부(101)들, 헤드부(102), 헤드 이동부(103), 베이스 이동부(104) 및 구동부(105)를 포함하여, 작업롤(10)들에 의한 압연 공정에 공급되도록 소재(S)를 안내하는 데에 이용된다.
베이스부(101)들은 상호 간에 이격되어, 이송 롤러(11)들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S)가 베이스부(101)들 사이를 통과한다. 이때, 소재(S)는 터닝 롤러(12)들에 의해 90° 터닝된다. 한편, 베이스부(101)들의 각각에는 베이스 이동공간부(101a)가 형성되고, 이동베이스 이동공간부(101a)는 베이스부(101)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통해 개방된 상태이다. 또한, 베이스부(101)의 내측면은 소재(S)와 마주한다.
헤드부(102)는 각각의 베이스부(101)의 상면에 설치된다. 헤드부(102)의 외측면에는 헤드 이동홈부(102a)가 형성된다. 여기서, 헤드부(102)의 외측면은 베이스부(101)들 사이를 통과하는 소재(S)와 마주하지 않는다. 또한, 헤드 이동홈부(102a)는 베이스 이동공간부(101a)의 상측에 위치되고, 베이스 이동공간부(101a)와 연결된다.
헤드 이동부(103)는 헤드부(102), 특히 헤드 이동홈부(102a)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베이스 이동부(104)는 베이스부(101), 특히, 베이스 이동공간부(101a)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 및 경사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베이스 이동부(104)에는 베이스 턱부(141)가 형성된다. 베이스 이동부(104)가 베이스 이동공간부(101a)에 삽입될 때, 베이스 턱부(141)는 베이스 이동공간부(101a)를 통해 베이스부(10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베이스 턱부(141)는 터닝 롤러(12)들 사이에 위치되어 베이스부(101)들 사이를 통과하는 소재(S), 특히 하면와 접촉가능하다. 또한 베이스 턱부(141)의 상면에는 돌기부(141a)가 형성된다.
구동부(105)는 헤드 이동부(103) 및 베이스 이동부(104)에 연결되어, 헤드 이동부(103) 및 베이스 이동부(104)를 이동시킨다. 또한, 구동부(105)는 구동 지지부(151), 수평 구동부(153), 경사 구동부(155) 및 수직 구동부(157)를 포함한다.
구동 지지부(151)는 베이스부(101) 및 헤드부(102)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다. 이때, 구동 지지부(151)는 고정된 상태이다.
수평 구동부(153)는 구동 지지부(15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헤드 이동부(103)에 연결된다. 수평 구동부(153)는 헤드 이동홈부(102a)에 삽입된 헤드 이동부(103)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경사 구동부(155)는 구동 지지부(151)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베이스 이동부(104)에 연결된다. 경사 구동부(155)는 베이스 이동공간부(101a)에 삽입된 베이스 이동부(104)를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경사 방향은 경사 구동부(155)가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을 조합한 경사진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다. 또한, 베이스 이동공간부(101a)는 베이스 이동부(104)가 베이스 이동공간부(101a) 내에서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베이스 이동부(104)보다 큰 폭 및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구동부(157)는 헤드 이동부(103)와 베이스 이동부(104)를 연결한다. 이때, 수직 구동부(157)는 베이스 이동부(104)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평 구동부(153), 경사 구동부(155) 및 수직 구동부(157)의 조합은 정교하게 헤드 이동부(103)와 베이스 이동부(104)를 이동시킨다. 이때, 소재(S)는 베이스부(101)들 사이에서 터닝 롤러(12)들에 의해 터닝되면서 베이스 이동부(104)의 베이스 턱부(141)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승된다. 또한, 소재(S)는 베이스 이동부(104)의 베이스 턱부(141)의 상면에 접촉되기에, 돌기부(141a)와도 접촉되어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소재(S)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의 휘어지더라도, 소재(S)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는 터닝 롤러(12)들 사이에 삽입되지 않고 터닝 롤러(12)들에 의해 터닝되어 안정적으로 작업롤(10)들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가이드 장치(100)에서 베이스부(101)는 베이스 구동부(111)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베이스 구동부(111)는 베이스부(101)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베이스부(101)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베이스 구동부(111)는 소재(S)가 베이스부(101)들 사이에서 터닝될 때 베이스부(101)들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소재(S)는 터닝하는 과정에서도 베이스부(101)들과 접촉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터닝될 수 있다.
또한, 소재(S)의 터닝에 있어 사이드가이드 장치(10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S)가 베이스부(101)들 사이로 유도되면, 구동부(105), 특히 수평 구동부(153)는 헤드 이동부(103)를 소재(S)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때, 베이스 이동부(104)도 소재(S)를 향하여 이동하고, 베이스 턱부(141)는 베이스 이동공간부(101a)를 통해 베이스부(10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소재(S)의 하측에 위치된다.
한편,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S)가 베이스 턱부(141)의 상면에 접촉되면, 구동부(105), 특히 경사 구동부(155) 및 수직 구동부(157)는 베이스 이동부(104)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소재(S)에서 베이스 턱부(141)에 접촉된 부분이 상승한다. 일반적으로, 베이스 턱부(141)에 접촉된 소재(S)의 부분은 소재(S)에서 하측으로 휘어진 부분, 예를 들어, 소재(S)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이다. 이로 인해, 소재(S)의 일부분이 터닝 롤러(12)들 사이에 삽입되지 않고, 소재(S)는 터닝 롤러(12)들에 의해 안정적으로 터닝될 수 있다. 따라서, 터닝 롤러(12)들 사이에 삽입된 소재(S)로 인한, 터닝 롤러(12)들의 손상 및 이에 따른 유지 보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소재(S)의 손상을 방지하여 압연 제품의 품질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 내의 기재는 기재의 불명료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는 괄호 내의 기재를 모두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이드가이드 장치
101: 베이스부
101a: 베이스 이동공간부
111: 베이스 구동부
102: 헤드부
102a: 헤드 이동홈부
103: 헤드 이동부
104: 베이스 이동부
141: 베이스 턱부
141a: 돌기부
105: 구동부
101: 베이스부
101a: 베이스 이동공간부
111: 베이스 구동부
102: 헤드부
102a: 헤드 이동홈부
103: 헤드 이동부
104: 베이스 이동부
141: 베이스 턱부
141a: 돌기부
105: 구동부
Claims (6)
- 소재가 사이를 통과하는 한 쌍의 베이스부들;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헤드 이동부;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고, 일부분이 터닝 롤러들 상의 상기 소재와 접촉가능한 베이스 이동부; 및
상기 헤드 이동부 및 상기 베이스 이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 이동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베이스 이동부를 경사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가이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 구동 지지부;
상기 구동 지지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헤드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헤드 이동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구동부;
상기 구동 지지부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이동부를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사 구동부; 및
상기 헤드 이동부와 상기 베이스 이동부를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 이동부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가이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이동부는,
상기 베이스 이동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돌출되어 터닝 롤러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면에 돌기부가 형성된 베이스 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재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 턱부의 상면에 위치될 때, 상기 베이스 턱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소재의 일부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가이드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헤드 이동부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헤드 이동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이동부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베이스 이동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 이동홈부와 상기 베이스 이동공간부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호 간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턱부는 상기 베이스 이동공간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가이드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이동공간부는 상기 베이스 이동부보다 큰 높이 및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가이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베이스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재가 상기 베이스부들 사이에서 터닝할 때, 상기 베이스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들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가이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2576A KR101643921B1 (ko) | 2014-09-16 | 2014-09-16 | 소재 터닝이 가능한 사이드가이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2576A KR101643921B1 (ko) | 2014-09-16 | 2014-09-16 | 소재 터닝이 가능한 사이드가이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2459A KR20160032459A (ko) | 2016-03-24 |
KR101643921B1 true KR101643921B1 (ko) | 2016-08-10 |
Family
ID=5565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2576A KR101643921B1 (ko) | 2014-09-16 | 2014-09-16 | 소재 터닝이 가능한 사이드가이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392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64366B (zh) * | 2018-09-28 | 2023-11-10 | 武汉动力电池再生技术有限公司 | 一种电芯下料机构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5068B1 (ko) | 2006-10-20 | 2008-02-20 | 주식회사 포스코 | 압연소재 터닝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203614A (ja) * | 1986-03-01 | 1987-09-08 | Kobe Steel Ltd | 圧延材の方向転換方法 |
JPH0688526A (ja) * | 1992-09-07 | 1994-03-29 | Toyota Motor Corp | 内燃機関の冷却装置 |
-
2014
- 2014-09-16 KR KR1020140122576A patent/KR1016439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5068B1 (ko) | 2006-10-20 | 2008-02-20 | 주식회사 포스코 | 압연소재 터닝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2459A (ko) | 2016-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98313B2 (ja) | 回転式打抜機 | |
US20100162864A1 (en) | Optical film transport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
JP6432796B2 (ja) | ガラス板製造装置及び方法 | |
KR20090122671A (ko) | 철판 절단기용 폭 가변 안내장치 | |
JP5024631B2 (ja) | 仕分け設備 | |
KR101643921B1 (ko) | 소재 터닝이 가능한 사이드가이드 장치 | |
JP2015223818A (ja) | 基板分断方法並びに基板分断装置 | |
JP2008229639A (ja) | 鋼矢板の矯正方法および鋼矢板用矯正装置 | |
TWI660921B (zh) | Scribing method and scribing device | |
KR101444180B1 (ko) | 가변 롤 포밍 시스템용 소재공급장치 | |
KR101821370B1 (ko) | 판 유리 이송 가이드장치 | |
JP2007039172A (ja) | シート蛇行補正方法及びシート蛇行補正装置 | |
JP2017071028A (ja) | 帯鋸盤 | |
KR101689577B1 (ko) | 가변 롤 포밍 시스템용 소재공급장치 | |
KR101705687B1 (ko) | 소재 가이드 장치 | |
KR101609152B1 (ko) | 소재 추출 장치 및 방법 | |
JP2008105786A (ja) | 平ベルトコンベア蛇行修正方法及び装置 | |
KR101950591B1 (ko) | 소재 틸팅장치 | |
JP5020928B2 (ja) | 布類折り畳み機におけるゲージ部材の振れ止め装置 | |
KR101429441B1 (ko) | 원단 이송용 편향보정장치 | |
KR20170011083A (ko) | 소재 가이드 장치 | |
KR101756072B1 (ko) | 롤러를 이용한 비금속 재료의 절단 장치 및 절단 방법 | |
KR100391444B1 (ko) | 블랭크 가이드 롤러의 자동 위치 제어장치 | |
KR101353965B1 (ko) | 후판 전단 장치 | |
KR101428195B1 (ko) | 체인이탈 방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