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023B1 - 일광 및 고온조건에 안정한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일광 및 고온조건에 안정한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023B1
KR102047023B1 KR1020170181836A KR20170181836A KR102047023B1 KR 102047023 B1 KR102047023 B1 KR 102047023B1 KR 1020170181836 A KR1020170181836 A KR 1020170181836A KR 20170181836 A KR20170181836 A KR 20170181836A KR 102047023 B1 KR102047023 B1 KR 102047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corbic acid
cosmetic composition
xanthophyll
present
se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9835A (ko
Inventor
김주호
이재훈
Original Assignee
김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725596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4702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호 filed Critical 김주호
Priority to KR1020170181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023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크산토필(Xanthophyll) 또는 이를 함유하는 마리골드(Marigold) 추출물을 안정화제로 포함시킴으로써 L-아스코르빈산이 일광 또는 고온조건에서 안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을 고함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광 조건(예컨대 가시광선 또는 LED 조명) 및 고온 조건(예컨대 실온 이상)에서 L-아스코르빈산의 컬러 안정성 및 분해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 및 반투명 유리초자용기에 담겨서 오랜시간 동안 연노랑 또는 주황색의 컬러 유지력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L-아스코르빈산을 고함량 함유하고도 분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세럼 형태로 개발될 수 있다.

Description

일광 및 고온조건에 안정한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L-Ascorbic Acid stable to light and high temperature condition}
본 발명은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크산토필(Xanthophyll) 또는 이를 함유하는 마리골드(Marigold) 추출물을 안정화제로 포함시킴으로써 L-아스코르빈산이 일광 또는 고온조건에서 안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을 고함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L-아스코르빈산은 피부에 유용한 기능 즉, 피부미백효과, 피부 진피층 내에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탄력성을 회복하는 효과, 자외선등에 의해 발생되는 유해산소를 소거하는 효과 등 많은 생물학적 유용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그로 인해 L-아스코르빈산이 함유된 화장품은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아 많은 제품이 판매되고 있지만, L-아스코르빈산은 화장품 중의 수분이나 빛, 산소, 열과 같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쉽게 산화, 분해되어 L-아스코르빈산 자체의 활성이 급격하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황변이나 변취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L-아스코르빈산이 함유된 화장품의 시장확대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일반적인 화장품에 비해 특수한 용기의 사용, 특수한 안정화 기술 등이 적용되고 있으며 사용기한도 짧게 설정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들 안정화 기술로는 공개특허 특 2000-0038845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공개특허 특 2000-0040042 액정젤 미백 화장료, 공개특허 10-2004-0056336 비수유화 미백화장료, 공개특허 10-2014-0006124 유중나노서스펜션좀 화장료, 공개특허 특 2003-0075511 L-아스코르빈산을 캡슐화하여 안정한 에멀젼 제조, 공개특허 특 2002-0023574 유중다가 알코올형 비수계 에멀젼 화장료 등이 있다. 이들 종래의 기술들은 L-아스코르빈산을 안정화 시키는 재형의 기술들로서 일반적인 화장료에 비해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사용성과는 거리가 있는 것으로 시장확대에는 제한성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지금까지 개발된 제품들은 시장 확산에는 다소 문제점이 있었으며 구체적으로는 사용기한이 짧고 쉽게 변색되며 변취가 일어나고 심하면 피부트러블등 부작용을 발생시켜서 소비자의 사랑을 받지 못한 것으로 본다. 이러한 L-아스코르빈산의 불안정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아스코르빈산 유도체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지만, 피부에 흡수되어 L-아스코르빈산으로 전환되어야 되는데 낮은 전환율과 피부흡수 등의 문제 등이 있다. 이들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로는 Sodium Ascorbyl phosphate, Magnesium Ascorbyl phosphate, Ethyl Ascorbyl Ether, Ascorbyl palmitate, Ascorbyl dipalmitate, Ascorbyl Glucoside, Ascorbyl tetraisopalmitate등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L-아스코르빈산 및 그 유도체가 적용되어 널리 판매되는 제품류로는 투명타입의 액상세럼류가 인기가 있으며 그 외 크림상, 젤라틴캡슐을 이용한 오일젤상, L-아스코르빈산 powder와 액상이 분리되어서 섞어 쓰는 분리형 제품 등이 있다. 그리고 이들 제품들의 중요한 마케팅 요소 중에 내용물 색상도 매우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L-아스코르빈산을 연상 시키는 이미지컬러인 연노랑색, 오렌지색, 주황색을 선호하며 이의 실현을 위해 타르계 색소가 사용되는데 타르 색소는 합성색소로 화학구조상 아조계 색소(적색2호, 황색4호, 황색5호, 적색40호, 적색102호 등) 크산트계 색소(적색3호)등을 들 수가 있다. 그러나 이들 색소류는 끊임없이 안전성이 논란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어서 많은 연구자들은 천연색소를 검토하게 되었고 그 중에서도 연노랑색을 잘 나타내는 치자황색소 파우더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치자황색소는 황색의 수용성 분말로 꼭두서니科 치자(Gardenia augusta MERR.)의 건조물을 물 또는 에틸알코올로 추출 또는 가수분해를 거쳐 얻어지는 색소로서 카로티노티드계의 크로신(Crocin) 및 크로세틴(Crocetin)이다. 그리고 좀 더 진한 오렌지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파프리카 색소를 가미할 수 있는데 파프리카(Oleoresin paprika)색소는 파프리카 열매에 있는 카로티노이드계로 주성분은 캡산틴이다. 상기 언급된 컬러를 적용한 대부분의 L-아스코르빈산을 고함유한 세럼류는 갈색계열의 코팅 유리초자용기 혹은 다른 컬러등으로 코팅된 초자용기에 담겨서 내용물의 컬러가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불투명 용기사용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일부 제품류는 투명에 가까운 반투명 유리초자용기에 상기 내용물들을 담아서 유통되고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점이 해결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6-49호(2016.06.24.) 화장품 색소 종류 기준 및 시험방법에서 치자황색소의 경우 색소용도사용불가로 엄격히 배합한도규정을 적용하고 있어 사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크산토필(Xanthophyll) 또는 이를 함유하는 마리골드(Marigold) 추출물을 안정화제로 포함시키는 경우 L-아스코르빈산이 일광에 이전보다 더 안정적이고 고온(예컨대, 45℃)에서도 변색, 변취가 없으면서 안정성이 확보되는 것을 발견하고 안정화된 L-아스코르빈산을 고함유시킨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일광 및 고온조건에서 안정화된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일광 및 고온조건에서 안정화된 L-아스코르빈산이 지니고 있는 피부 미용효과를 잘 유지하면서 피부미백, 피부주름개선을 주는 기능성 세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L-아스코르빈산이 일광 또는 고온조건에서 안정화되도록 크산토필(Xanthophyll)을 안정화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이란 피부미맥, 피부주름개선 등의 피부미용목적 또는 기타목적을 위해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게 되는 모든 화장료 조성물을 의미한다. 또한, 일광 또는 고온 조건이란 L-아스코르빈산을 변색, 변취, 산화 또는 분해시킬 수 있는 빛에너지를 줄 수 있는 햇볕이나 LED 조명 등을 포함한 모든 빛, 또는 열에너지를 줄 수 있는 높은 온도를 의미한다. 또한, 안정화란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L-아스코르빈산이 일광 및 고온조건에서 변색, 변취, 산화 또는 분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며, 안정화제란 그러한 역할을 하는 약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산토필(Xanthophyll)은 카로티노이드 중에서 히드록시기, 카르보닐기 또는 에폭시드 등의 산소를 함유하는 산화형 카로티노이드를 의미하며, 자연계에서 크산토필은 엽록체에 함유되어 광합성의 보조색소로서 흡수한 빛에너지를 엽록소에 전달해 광합성의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크산토필 중에서도 루테인(Lutein) 또는 제아잔틴(Zeaxanthin)을 안정화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장품 매장의 빛, 매대의 빛 파장인 430~730nm의 LED 파장 영역대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430~580nm인 블루 라이트에 노출시에도 변색이 거의 없이 컬러 유지력이 뛰어나면서 L-아스코르빈산의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최대 흡수파장인 430~580nm 파장을 갖는 카로티노이드류로 그중에서도 크산토필(Xanthophyll)인 루테인(Lutein) 또는 제아잔틴(Zeaxanth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루테인(Lutein)과 제아잔틴(Zeaxanthin)은 λmax 449nm이고 400~500nm의 가시광선 흡수 영역대를 갖으며 이 영역의 빛파장은 블루 라이트 빛의 파장으로 가시광선 중에는 에너지가 가장 큰 영역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산토필(Xanthophyll)은 상업적으로 개발된 원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용매 Safflower Seed oil에 안정화제로 dl-α-Tocophel이 함유된 Xanthophyll 5% 용액 또는 Xanthophyll 20%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물에 대한 용해성을 올린 Surose와 Tapioca Starch로 미세 그래뉼화된 10% Xanthophyll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Flora GLO Lutein 20% (INCI Name; Safflower Seed oil and Xantophyll) 및 Flora GLO Lutein 10% SG-VG ; (INCI Name; Surcrose and Tapioca starch and Xantophyll)을 사용하였다. 상기 Flora GLO 원료는 Lutein 외에 Zeaxanthin도 일부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산토필(Xanthophyll)은 상업적인 원료외에 천연물에서 추출하여 사용하거다 이를 함유하는 천연추출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산토필(Xanthophyll)은 마리골드(Marigold)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크산토필(Xanthophyll)은 다양한 천연물에 존재하고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마리골드(Marigold)에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리골드(Marigold) 추출물은 종래 알려진 열수추출법, 초임계추출법, 증류추출법 등 어떤 추출방법으로도 추출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또는 그 혼합물로 용매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자는 건조 마리골드꽃 : 알코올 : 정제수 비율을 1:1:1의 비율로 하여 7일이상 숙성한 다음 여과하여 마리골드 꽃 추출물을 만들 수 있었고 이를 적용하여 크산토필(Xanthophyll)과 같은 발명 결과를 얻을 수가 있었다. 마리골드(Marigold) 꽃 추출물에서 얻은 크산토필(Xanthophyll)은 주로 Lutein 함량이 90% 이상이고 나머지가 Zeaxanthin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Xanthophyll은 상기 언급된 원료에만 국한하지 않고 적용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일광 조건은 L-아스코르빈산을 불안정하게 하는 빛에너지를 줄 수 있는 모든 빛을 의미하나, 상기 일광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400~800nm의 가시광선 영역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430~730nm의 LED 파장 영역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430~580nm의 블루 라이트 파장 영역에서 L-아스코르빈산이 안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화장료 내용물 컬러의 보존성은 에너지가 큰 자외선의 영향에 의해 보존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어 Chemical Sun screening agent(Chemical UV Absorber)의 첨가로 해결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자외선도 중요 하지만 자외선 다음으로 에너지가 크면서 일광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가시광선도 주목해야 된다고 보았고, 특히 LED 조명을 많이 사용하는 화장품매장 진열조건을 고려했을 때 blue light에 해당하는 430-580nm의 파장 빛을 강하게 흡수하는 카로티노이드계 성분들에 주목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온 조건은 L-아스코르빈산을 불안정하게 하는 열에너지를 줄 수 있는 고온 조건을 의미하나, 상기 고온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실온보다 높은 온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25~45℃의 고온 조건에서 L-아스코르빈산이 안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온보다도 훨씬 고온인 45℃에서도 변색, 변취가 없으면서 L-아스코르빈산이 분해되지 않고 안정성이 확보된다는 것을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L-아스코르빈산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L-아스코르빈산이 1.0 중량% 미만이면 주로 세안 후 피부를 정돈하는 화장수용으로 사용되고 L-아스코르빈산이 15 중량% 이상이면 피부에 약간의 트러블 유발 가능성과 사용중에 L-아스코르빈산이 침전(결정화)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L-아스코르빈사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7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 중량%가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서 물이 많이 포함되며, L-아스코프빈산이 수분, 일광, 고온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한 변색, 산화, 또는 분해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농도로 포함시키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은 크산토필(Xanthophyll)을 안정화제로 사용함으로써 일광 및 고온조건에서 L-아스코르빈산이 안정화시킬 수 있으므로 L-아스코르빈산을 고함량으로, 예컨대 10중량% 이상 고함량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물을 과량 함유하고 L-아스코르빈산이 10 중량% 이상 함유된 세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그 안정성을 증명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산토필(Xanthophyll)은 L-아스코프빈산의 안정화에 필요한 어떠한 양으로도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0.0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크산토필(Xanthophyll)은 루테인 함량을 기준으로 0.0003 중량% 내지 0.006 중량%을 사용한 모든 실시예 1 내지 6에서 안정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마리골드(Marigold) 추출물은 추출방법에 국한하지 않고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 중에 0.2 내지 3.0 중량%를 사용할 수 있으나, 추출물중에 포함된 Lutein 함량으로 환산했을 때 0.0001 내지 0.02 중량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지용성 성분 및 수용성 성분의 혼합을 위해 가용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3 내지 1.5 중량% 사용될 수가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2 중량 %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L-아르코르빈산의 산화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항산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는 지용성 항산화제 또는 수용성 항산화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지용성 및 수용성 항산화제를 모두 포함할 경우 항산화효과가 더 뛰어나다. 상기 항산화제는 상기 화장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지용성성분의 용해성을 증진시키고 피부에 수렴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 알코올(Ethyl Alcohol)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상기 화장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가 사용될 수 있으며, L-아스코르빈산의 산화 안정성을 위해 지용성항산화제가 사용되는데 그 항산화제의 함량과 종류에 따라 알코올(Ethyl Alcohol) 함량이 조정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보습 목적으로 다가알코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가알코올은 상기 화장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5 중량 %로 사용될 수 있으며 소비자의 연령대와 피부타입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시 고급스런 질감과 사용후 피부에 긴장감을 주기위해 몇 가지 Polymer Thickner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조성물에 천연물 중 황색계열의 컬러가 잘 나타나는 상황버섯추출물, 베타카로틴, Capsanthin/Capsorubin, 호장근 추출물과 유비퀴논, 알파케로틴, 라이코펜, Astaxanthin등을 1종 혹은 그 이상을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광 또는 고온조건에서 L-아스코르빈산의 컬러 안정성 및 분해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광(예컨대 400~800nm의 가시광선)에서 연노랑 및 주황색의 컬러 유지력이 뛰어나면서 고온(예컨대 45℃)에서도 L-아스코르빈산의 분해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일광에 이전보다 더 안정적이고 고온에서도 변색, 변취가 없으면서 L-아스코르빈산의 안정성이 확보된 L-아스코르빈산을 고함유시킨 세럼 화장료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등 종래 알려진 화장료 조성물의 어떤 제형으로도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명 또는 반투명 용기에 수용되는 세럼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L-아스코르빈산을 고함량 함유 하면서 물이 과량 함유된 세럼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L-아스코르빈산이 지니고 있는 피부 미용효과를 잘 유지하면서 피부미백, 피부주름개선을 주는 기능성 세럼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화장료 세럼의 고급스런 연노랑 컬러가 드러나도록 투명 및 반투명 유리초자용기에 담겨서 오랜시간 동안 그 컬러유지력을 유지하면서 L-아스코르빈상의 안정성이 뛰어난 화장료 세럼을 개발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태양 활동으로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는 다양한 파장의 빛으로 도달하게 되는데 290-400nm의 자외선-A,-B영역의 자외선영역이 약 7%, 400~800nm의 가시광선 영역이 약 46%, 800~2500nm의 적외선 영역이 약 47%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료 내용물 컬러의 보존성은 에너지가 큰 자외선의 영향에 의해 보존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어 Chemical Sun screening agent(Chemical UV Absorber)의 첨가로 해결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자외선도 중요 하지만 자외선 다음으로 에너지가 크면서 일광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가시광선도 주목 해야된다고 보며 특히, 화장품매장 진열조건을 고려했을 때 blue light에 해당하는 430-580nm의 파장 빛을 강하게 흡수하는 카로티노이드계 성분들에 주목하게 되었다. 특히 본 발명자가 개발한 화장료 세럼은 물이 과량 함유 및 L-아스코르빈산이 10%이상 함유되었고 화장료세럼의 pH가 3.0 ~ 3.5인 조건인 특수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어려운 과제이기도 하다. 일반적인 화장품류는 유통 중에 다양한 환경조건에 놓이게 되며 화장품 매장에 진열되어 직접 소비자가 다양한 구매조건을 고민해서 제품을 선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장품 매장과 진열장은 다양한 조명에 노출되는데 이전에는 백열전구의 빛을 사용했고 최근에는 LED 조명을 주로 사용한다. 백열전구의 빛은 대부분 적외선 파장의 빛과 가시광선으로 가시광선은 발광에너지 총량의 2~3%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최근에는 LED조명이 확산되고 있는데, 사용되는 LED 조명은 자연광에 가까운 파장대로 자외선은 거의 없으며 430~730nm 파장 영역대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파장 영역대가 다르며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LED 조명 제품의 파장은 430~580nm 블루 라이트 파장 영역에 집중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조명이 화려한 화장품 매장의 진열대에서 상기 화장료세럼의 고급스런 연노랑 컬러가 드러나도록 투명 및 반투명 유리초자용기에 담겨서 오랜시간 동안 그 컬러유지력을 유지하면서 L-아스코르빈상의 안정성이 뛰어난 화장료 세럼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가시광선(400-800nm)을 포함한 일광 및 고온 조건에서 화장료 세럼의 컬러 유지력이 뛰어나면서 L-아스코르빈산이 안정한 화장료 세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매장의 빛, 매대의 빛 파장인 430~730nm LED 파장 영역대에서 화장료 세럼의 컬러 유지력이 뛰어나면서 L-아스코르빈산의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세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430~580nm인 블루 라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최대 흡수파장인 430~580nm 파장을 갖는 카로티노이드류로 그중에서도 Xanthophyll인 Lutein과 Zeaxanthin에 국한한다. 일반적으로 카로티노이드계는 탄화수소 카로티노이드류와 산화형 카로티노이드류가 있으며 대표적인 탄화수소 카로티노이드류로는 Lycopene, α-Carotene, β-Carotene, δ-Carotene 등이 있으며 하기의 구조적 특징을 갖고 있다.
Figure 112017130195135-pat00001
Lycopene
Figure 112017130195135-pat00002
α-Carotene
Figure 112017130195135-pat00003
β-Carotene
Figure 112017130195135-pat00004
δ-Carotene
산화 카로티노이드(Oxygenated Carotenoids)는 Xanthophyll이라 하며 산화된 관능기로는 수산기(Hydroxy group), 메톡시(Methoxy group)등이 있으며 본 발명은 수산기가 붙은 Xanthophyll류인 Lutein과 Zeaxanthin으로 이루어진 Xanthophyl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Marigold flower 로부터 얻은 Xanthophyll로 이 Xanthophyll은 주로 Lutein 함량이 90% 이상이고 나머지가 Zeaxanthin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Zeaxanthin 함량을 높인 원료도 있으며 제한하지 않으며 Marigold 꽃을 고농축하여 만든 Marigold 꽃추출물을 사용한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하기의 산화 카로티노이드인 Xanthophyll의 구조적 특징인 수산기를 갖는 구조적인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Figure 112017130195135-pat00005
Lutein
Figure 112017130195135-pat00006
Zeaxanthin
Ascorbic acid 산화되는 산화과정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7130195135-pat00007
우선 Ascorbic acid는 수용액상에서 수소이온으로 이온화되어 ionized Ascorbate로 되어 산화가 시작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Xantophyll인 Lutein과 Zeaxhanthin은 상기의 Chemical structure와 같이 양 끝에 Hydroxyl Group(HO-)을 갖고 있어서 이온화 된 ionized Ascorbate와 반응하여 정상의 Ascorbic Acid로 환원될 수 있도록 하여 Ascorbic Acid의 산화를 막을 수 있으며 각각 2번씩의 환원기회를 갖고 있어서 Ascorbic acid를 안정화 시킨다.
즉, 다음과 같은 메카니즘으로 Ascorbic Acid를 안정화 시킨다.
반응 1 :
Figure 112017130195135-pat00008
반응 2 :
Figure 112017130195135-pat00009
상기반응이 2회에 걸쳐서 일어나 Ascorbic Acid를 보호하여 준다. 이점에서 탄화수소형 카로티노이드계 성분과 차이나게 Ascorbic Acid를 안정화 시키는 것으로 본다.
또한, 컬러 유지력에 있어서도, Xanthophyll인 Lutein,Zeathanthin의 컬러는 pH의존성이 있으며 pH가 낮은 산성쪽에 상대적으로 안정하며 본 발명의 화장료 세럼의 pH는 3.0 ~ 4.0으로 조정된 산성으로 개발 되었으며 컬러 유지력이 뛰어난 것으로 본다.
상업적으로 개발된 Xanthophyll 원료는 용매 Safflower Seed oil에 안정화제로 dl-α-Tocopher이 함유된 Xanthophyll 5% 용액이 있고 또다른 Xanthophyll 20% 용액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오일 용해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물에 대한 용해성을 올린 Surose와 Tapioca Starch로 미세 그래뉼화된 10% Xanthophyll을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자가 검토하여 적용한 Xanthophyll은 Kemin Industries, Inc(Flora GLO Lutein 5% Topical liquid in Safflower oil,Flora GLO Lutein 20% Topical liquid in Safflower oil, Flora GLO Lutein 10% Topical Water Dispersible)사의 원료로 이들 검토 원료는 오일 용해성을 높여 주기 위해 Safflower seed oil이 적용 되었고 물에 대한 용해성을 올리기 위해 Surose, Tapioca Starch가 적용 되었는데, 이들 오일과 용매에 국한되지 않고 기타 성분들을 포함할 수가 있다. 그리고 건조 Marigold flower를 Ethyl Alcohol과 정제수에 함침 숙성시키고 여과 추출 공정을 거쳐 농축하여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Lutein과 Zeaxanthin은 λmax 449nm이고 400~500nm의 가시광선 흡수 영역대를 갖으며 이 영역의 빛파장은 Blue light빛의 파장으로 가시광선 중에는 에너지가 가장 큰 영역대 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L-아스코르빈산은 전체 화장료 세럼 조성물 100 중량 % 중 0.5내지 23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상기 L-아스코르빈산이 1.0중량 %미만 이면 주로 세안 후 피부를 정돈하는 화장수용으로 사용되고 L-아스코르빈산이 15 중량 % 이상이면 피부에 약간의 트러블 유발 가능성과 사용중에 L-아스코르빈산이 침전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L-아스코르빈사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5내지 17 중량 %, 보다 바람직하게는 8내지 15 중량 % 가 적합했다. 그리고 L-아스코르빈산의 용해도를 고려하여 정제수는 30 내지 70 중량 % 로 조정될 수 있으며 전적으로 L-아스코르빈산의 함량에 따라 달라지고 조정된다.그리고 상기 화장료세럼의 pH는 3.0 ~ 4.0범위로 조정 하여 강산성을 유지 했다.
또한 본 발명에는 피부보습 목적으로 다가알코올을 포함되는데 다가알코올은 전체 화장료 세럼 조성물 100 중량 %에서 10내지 35 중량 %로 소비자의 연령대와 피부타입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주 사용자 층이 30~50대를 고려하여 20 내지 35 중량 % 가 바람직 하다. 여기에 사용되는 다가알코올은 피부에 안전하면서 사용성이 비교적 가벼운 1,3부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이 주로 사용되고 추가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PEG 200, PEG 400, PEG 800 등이 추가 사용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세럼에는 알코올(Ethyl Alcohol)이 사용되며 전체 화장료 세럼 조성물 100중량 %에서 5내지 15 중량 %가 사용되며 L-아스코르빈산의 산화 안정성을 위해 지용성항산화제가 사용되는데 그 항산화제의 함량과 종류에 따라 알코올(Ethyl Alcohol) 함량이 조정될 수가 있다. L-아르코르빈산의 산화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항산화제로 풀러린(Fullerenes), 유비퀴논, 토코페롤, 라이코펜, 알파리포익산이 바람직하며 아스타산틴, 토코트리에놀, BHA(Buthylated Hydroxyanisole), BHT(Buthylated Hydroxytoluene)등의 오일친화성 항산화제가 선택되어 사용되었으며 상기 언급된 항산화제로 국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용화제로는 Tween 60(Polysorbate 60), Tween 80(Polysorbate 80), Nikkol HCO 60(PEG-60 Hydrogenated Caster oil), Emalex ODT-25 (Octyl dodeceth-25/Decyltetradeceth-25), Emalex OD-16(Polyoxyethylene Octyl dodecxl Ether)을 주로 사용했으며 그 외 수 많은 계면활성제를 적용하여 계면활성제의 HLB값이(Hydropholic Lipophilic Balance)가 9~15 정도가 되도록 조정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면활성제는 화장품 세럼 전체 중량 %에서 0.3내지 1.5 중량 % 사용될 수가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6내지 1.2 중량 %가 바람직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세럼은 사용시 고급스런 질감과 사용후 피부에 긴장감을 주기위해 몇 가지 Polymer Thickner가 사용되는데 Polyacrylate Cross polymer-6(상품명 : Sepimax Zen), Ammonium Acryloyl dimethyltaurate/VP Copolymer(상품명 : Aristoflex AVC), PEG 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상품명 : Adecanol GT-700)등이 1종 혹은 그 이상, 조합으로 사용되었으며 그 외 Carbomer series, Sclerotium Gum(상품명 : Amigel) Xanthan Gum 등 다양항 Polymer가 1종 이상 함유할 수가 있다.
또한 L-아스코르빈산의 산화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수용성 항산화가 사용되었으며 Pycnogenol(프랑스 해안송껍질 추출물), Propyl gallate, Caffeic Acid, Ferulic Acid,Parα-Coumar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그 외 Baicalin, Luteolin,Silymarin,Verbascoside와 Oleutopein이 주성분인 Olive fruit extract, Propolis, Rutin등 다양한 항산화제가 1종 혹은 그 이상 추가될 수가 있으며 상기 엄급된 항산화제 국한하지 않는다.
또한 L-아스코르빈산의 미백 효과를 더 높여 주기 위해 Arbutin, Glutathione등이 사용되었으며 여기에 추가적으로 Woogon extract powder, Mulberry root powder등이 1종 혹은 그 이상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카로티노이드중에 탄화수소카로티노이드류인 Lycopene, α-Carotene, β-Carotene, δ-Carotene 등의 지용성 카로타노이드 컬러는 노랑에서 주황색이지만 물에 대한 용해성이 산화카로티노이드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에 가용화의 어려움이 있고 상대적으로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높아져야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이들 탄화수소카로타노이드인 β-Carotene을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일광에서 컬러 안정화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산화형 카로티노이드인 Lutein과 Zeathanthin이 주성분인 Xanthophyll이 일광에서의 컬러 안정성과 45℃ 고온 보관 조건하에서 L-아스코르빈산의 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산화형 Xanthophyll은 화장료 세럼 전체중량 %에서 0.0001내지 0.02 중량 %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또한 건조 Marigold Flower 200gr을 Ethanol 200gr과 정제수 200gr에 가하여 7일간 실온에서 보관한 후 여과하여 Marigold 농축 추출물을 만들었다. 상기 추출물을 화장료 세럼 전체 중량 %에서 0.2내지 3.0중량 %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내지 2.0 중량 %,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그리고 Marigold flower 추출방법은 상기 예시한 내용에 국한하지 않고 열수추출법, 초임계추출법, 일반적인 증류추출법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일광 조건과 특히 가시광선(400~800nm)에서 연노랑 및 주황색의 컬러 유지력이 뛰어나면서 고온(45℃)에서도 L-아스코르빈산의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세럼으로 크산토필(Xanthophyll) 또는 마리골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화장료 세럼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크산토필(Xanthophyll)은 Lutein과 Zeaxanthin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천연물에는 Xanthophyll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지만 Marigold 꽃에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자는 Marigold 꽃 건조물을 이용하여 농축된 Marigold 꽃 추출물을 만들 수 있었고 이를 적용하여 Xanthophyll과 같은 발명 결과를 얻을 수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L-아스코르빈산을 고함유한 화장료 세럼을 적용한 화장료 세럼은 투명 및 반투명 유리초자용기에 노랑색 계열의 화장료 세럼 컬러가 드러나면서 L-아스코르빈산이 고함유된 화장료 세럼으로 화려한 조명에서도 L-아스코르빈산이 안정하면서 화장료 세럼 내용물 컬러 유지력이 뛰어난 화장료 세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광 조건(예컨대 가시광선 또는 LED 조명) 및 고온 조건(예컨대 실온 이상)에서 L-아스코르빈산의 컬러 안정성 및 분해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 및 반투명 유리초자용기에 담겨서 오랜시간 동안 연노랑 또는 주황색의 컬러 유지력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L-아스코르빈산을 고함량 함유하고도 분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세럼 형태로 개발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7의 세럼 화장료에 대하여 일광노출에 의한 세럼의 컬러 안정성을 평가한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 1 내지 5의 세럼 화장료에 대하여 일광노출에 의한 세럼의 컬러 안정성을 평가한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7
하기 표 1에 따른 수상파트와 가용화파트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실시예 1 내지 7의 세럼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PEG-240/HDI(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은 Propandiol과 1,3 Butylene Glycol에 가하여 가열용해하여 수상파트를 균일하게 만든다. 가용화 파트(알코올)을 수상 파트에 서서히 믹싱하면서 첨가하여 균일한 세럼을 완성했다. Marigold flower extract는 건조 Marigold Flower 200gr을 Ethanol 200gr과 정제수 200gr에 가하여 7일간 실온에서 보관한 후 여과 추출 공정을 거쳐 농축하여 사용하였다.
No 원료명 1 2 3 4 5 6 7
수상파트 정제수 to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Allantoin 0.1 0.1 0.1 0.1 0.1 0.1 0.1
Arbutin 2.0 2.0 2.0 2.0 2.0 2.0 2.0
Adenosine 0.04 0.04 0.04 0.04 0.04 0.04 0.04
dl-Panthenol 0.1 0.1 0.1 0.1 0.1 0.1 0.1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0.5 0.5 0.5 0.5 0.5 0.5 0.5
L-아스코르빈산 11.0 11.0 11.0 11.0 11.0 11.0 11.0
Propandiol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3 butylene Glycol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수용성 항산화제 0.3 0.3 0.3 0.3 0.3 0.3 0.3
Ph 중화제 0.3 0.3 0.3 0.3 0.3 0.3 0.3
가용화파트 알코올(에탄올) 10.0 10.0 10.0 10.0 10.0 10.0 10.0
dl-α-Tocophenrol 0.05 0.05 0.05 0.05 0.05 0.05 0.05
Tween 60 0.4 0.4 0.4 0.4 0.4 0.4 0.4
Emalex ODT 25 0.4 0.4 0.4 0.4 0.4 0.4 0.4
Emalex OD 16 0.1 0.1 0.1 0.1 0.1 0.1 0.1
지용성 항산화제 0.15 0.15 0.15 0.15 0.15 0.15 0.15
*Flora GLO Lutein 20%원료
(0.5% solution )
0.3 1.0 2.0 4.0 6.0 - -
**Flora GLO Lutein 10% SG-VCT(0.5% solution) - - - - - 2.0 -
Marigold flower extract - - - - - - 0.8
*Flora GLO Lutein 20% ; ( INCI Name; Safflower Seed oil and Xantophyll)
**Flora GLO Lutein 10% SG-VG ; (INCI Name; Surcrose and Tapioca starch and Xantophyll)
비교예 1 내지 5
하기 표 2에 따른 수상파트와 가용화파트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비교예 1 내지 5의 세럼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균일한 세럼을 완성했다. 비교예에서 사용된 치자황색소는 식품첨가물 공전에 사용되는 "치자황색소 300"으로 판매되는 (주)엠에스씨에서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고 파프리카 색소 오일은 "유용성파프리카 10만"으로 (주)엠에스씨에서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는 색소를 사용했다. β-Carotene은 DSM사의 β-Carotene 30%FS를 Diethoxyethyl Succinate 용매로 용해하여 사용했다. 또한 치자추출물은 치자건물 : 에탄올 : 정제수 비율을 1:5:5의 비율로 7일 숙성하여 여과한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No 원료명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수상파트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Allantoin 0.1 0.1 0.1 0.1 0.1
Arbutin 2.0 2.0 2.0 2.0 2.0
Adenosine 0.04 0.04 0.04 0.04 0.04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0.5 0.5 0.5 0.5 0.5
L-아스코르빈산 11.0 11.0 11.0 11.0 11.0
Propandiol 15.0 15.0 15.0 15.0 15.0
1,3 butylene Glycol 10.0 10.0 10.0 10.0 10.0
수용성 항산화제 0.3 0.3 0.3 0.3 0.3
Ph 중화제 0.3 0.3 0.3 0.3 0.3
가용화파트 알코올(에탄올) 10.0 10.0 10.0 10.0 10.0
dl-α-Tocophenrol 0.05 0.05 0.05 0.05 0.05
Tween 60 0.4 0.4 0.4 0.4 0.4
Emalex ODT 25 0.4 0.4 0.4 0.4 0.4
Emalex OD 16 0.1 0.1 0.1 0.1 0.1
지용성 항산화제 0.15 0.15 0.15 0.15 0.15
*β-Carotene30%FS
(0.5% solution)
- 0.4 0.7 - -
유용성 파프리카 색소 10만(2%) - - - 0.15 -
치자황색소 #7322 0.07 - - - -
치자추출물 - - - - 0.4
*β-Carotene305FS : DSM사의 원료로 *β-Carotene 30%, corn oil, dl-α-Tocopherol로 구성
<실험예 1> 실시예의 일광노출에 의한 세럼의 컬러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7의 sample을 투명관유리(직경 22mm,높이 55mm)에 각각 12gr씩 채우고 공기 혼입과 누액 방지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의 내박킹을 끼우고 캡을 결합했다. 준비된 실험품을 실내의 LED조명 조건보다 좀더 가혹 조건인 일광조건에 실험을 실시 하는 것이 실험결과를 빠르게 도출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일광에 노출될 수 있도록 건물 옥상에 8주 동안 방치하여 평가하였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7의 세럼 화장료에 대하여 일광노출에 의한 세럼의 컬러 안정성을 평가한 사진이다. 표 3은 실험예 1의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항목 실시예 실험예1 결과
1 2 3 4 5 6 7

실험전 성상(컬러) ; 냉온(4℃ 보관) 투명연노랑 투명연노랑
(1보다진함)
오렌지빛 나는 투명노랑 투명오렌지 컬러 좀 더 진한
오렌지 컬러(투명)
2와 유사 2와 유사

8주 실험 종료 후
4℃ 보관 sample과 육안평가 비교
9 9 9 9 9 9 9



Flora GLO Lutein 20% (0.5% solution) 0.3 1.0 2.0 4.0 6.0 - -
Flora GLO Lutein 10% VG-SG(0.5% solution) - - - - 2.0 -
Marigold flower extract - - - - - - 0.8
육안평가 판정기준 :
컬러안정도는 10점 척도
Grade 10 : 냉온 sample과 컬러 비교 했을 때 변화없음
Grade 5 : 냉온 sample과 컬러 비교 했을 때 탈색정도가 50%에 가까움
Grade 1 : 냉온 sample과 컬러 비교 했을 때 탈색정도가 90%에 가까움
<실험예 2 > 비교예의 일광노출에 의한 세럼의 컬러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의 <실험예 1>과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5 의 sample에 대하여 일광에 의한 안정성 평가를 실시 하였다. 도 2는 비교예 1 내지 5의 세럼 화장료에 대하여 일광노출에 의한 세럼의 컬러 안정성을 평가한 사진이다. 표 4는 실험예 2의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항목 비교예 실험예 2의 결과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실험전 성상(컬러) ; 냉온
(4℃ 보관)
투명 연노랑 실시예 3과
같은 컬러(투명)
실시예 4와 같은 컬러(투명) 비교예 3과 같은 컬러(투명) 비교예 1과 같은 컬러

8주 실험 종료 후
4℃ 보관 sample과 육안평가 비교
2 3 3 2 3



치자황 색소 #7322 0.07 - - - -
β-Carotene30%FS
(0.5% solution)
- 0.4 0.7 - -
유용성 파프리카
색소 10만(2%)
- - - 0.15 -
치자 추출물 - - - - 0.4
육안평가 판정기준 :
컬러안정도는 10점 척도
Grade 10 : 냉온 sample과 컬러 비교 했을 때 변화없음
Grade 5 : 냉온 sample과 컬러 비교 했을 때 탈색정도가 50%에 가까움
Grade 1 : 냉온 sample과 컬러 비교 했을 때 탈색정도가 90%에 가까움
<실험예 3> 실시예의 8주 일광노출 후 L-아스코르빈산의 안정성 정량평가
상기 실시예 1~7의 sample을 8주 일광 노출후 L-아스코르빈산을 HPLC(SHIMADZU LC-20A)을 이용하여 정량 분석 하였다. 표 5는 실험예 3의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항목 실시예 실험예3 분석결과
1 2 3 4 5 6 7
4℃ 보관샘플
L-아스코르빈산의 정량 분석
100 100 100 100 100 100 100
8주 실험종료 후
L-아스코르빈산의 정량 분석
98.3 98.3 98.6 98.6 98.7 98.5 98.5
실시예 1-7의 실험예 3에서 L-아스코르빈산은 일광에서도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정량분석결과에서 나타났다.
<실험예 4> 비교예의 8주 일광노출 후 L-아스코르빈산의 안정성 정량평가
상기 비교예 1~5의 sample을 8주 일광노출후 L-아스코르빈산을 HPLC(SHIMADZU LC-20A)을 이용하여 정량 분석 하였다. 표 6은 실험예 4의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항목 비교예 실험예4 분석결과
1 2 3 4 5
4℃ 보관샘플
L-아스코르빈산의 정량 분석
100 100 100 100 100
8주 실험종료 후
L-아스코르빈산의 정량 분석
97.2 97.8 98.2 97.1 97.1
실험예 4에서 비교예 1~5의 L-아스코르빈산의 안정성이 실시예 1~7의 실험예 3 L-아스코르빈산의 안정성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 고온(45℃) 노출 후 L-아스코르빈산의 안정성 정량평가
실시예 1~7, 비교예 1~5의 실험품을 투명관 유리(직경22mm, 높이55mm)에 각각 12gr씩 채우고 공기혼입과 누액방지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의 내박킹을 끼우고 캡을 잠군다. 준비된 실험품을 45℃ 항온조에 4주 보관(4℃와 비교)후 HPLC로 L-아스코르빈산을 정량분석 하였다. 표 7은 실험예 5의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실시예 샘플의 실험예 5의
L-아스코르빈산 정량 분석 결과
비교예 샘플의 실험예 5의
L-아스코르빈산 정량 분석 결과
1 2 3 4 5 6 7 1 2 3 4 5
4℃ 보관샘플
L-아스코르빈산의 정량 분석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45℃, 4주 보관 샘플
L-아스코르빈산의 정량 분석
96.5 96.3 96.7 97.2 97.2 96.7 96.7 95.5 95.6 96.2 95.5 95.3
실시예 1~7에 대해서 실험예1의 결과는 Xanthophyll 및 Marigold flower extract 가 일광에 대한 color 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것을 나타내었고 비교예 1~5에 대해서 실험예 2의 결과는 카로티노이드계의 탄화수소카로티노이드인 β-Carotene는 산화형카로티노이드계 Xanthophyll(Lutein, Zeathanthin) 보다 일광에 대한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리고 치자계열과 파프리카색소 등도 일광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실시예 1~7, 비교예 1~5의 실험예 3, 실험예 4에서 L-아스코르빈산의 안정성이 Xanthophyll 및 Marigold flower extract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제품의 세럼은 pH가 3.5정도로 탄화수소계카로티노이드 보다는 Hydroxyl group(-OH)이 있는 극성인 산화형카로티노이드인 Xanthophyll이 L-아스코르빈산의 보존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β-Carotene,Xanthophyll 모두 공명구조의 존재로 세럼 속에 녹아있는 용존산소 등과 결합으로 인해 L-아스코르빈산의 안정성에 기여하여 그 본존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일광 및 45℃ 고온 보관 조건)

Claims (10)

  1.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L-아스코르빈산이 일광 또는 고온조건에서 안정화되도록 산화형 카로티노이드인 크산토필(Xanthophyll)을 안정화제로 포함하고, 상기 크산토필(Xanthophyll)은 탄화수소 카로티노이드에 비해 일광 또는 고온 조건에서 L-아스코르빈산의 컬러 안정성이 더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산토필(Xanthophyll)은 루테인(Lutein) 또는 제아잔틴(Zeaxanth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산토필(Xanthophyll)은 마리골드(Marigold)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광 조건은 400~800nm의 가시광선 영역에서 L-아스코르빈산이 안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조건은 25~45℃의 고온 조건에서 L-아스코르빈산이 안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아스코르빈산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산토필(Xanthophyll)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내지 0.0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가용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 또는 반투명 용기에 수용되는 세럼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스코르빈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81836A 2017-12-28 2017-12-28 일광 및 고온조건에 안정한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47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836A KR102047023B1 (ko) 2017-12-28 2017-12-28 일광 및 고온조건에 안정한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836A KR102047023B1 (ko) 2017-12-28 2017-12-28 일광 및 고온조건에 안정한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835A KR20190079835A (ko) 2019-07-08
KR102047023B1 true KR102047023B1 (ko) 2019-11-20

Family

ID=67255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836A KR102047023B1 (ko) 2017-12-28 2017-12-28 일광 및 고온조건에 안정한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0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938A (ko) 2021-07-27 2023-02-03 김주호 일광 및 고온조건에서 컬러변색이 없는 l-아스코르빈산을 고함유 하는 청색 혹은 녹색의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607B1 (ko) 2019-09-27 2020-01-13 주식회사 지웨이코스메틱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수
KR102140652B1 (ko) * 2019-12-06 2020-08-03 (주)이시스코스메틱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4293A (en) * 1990-06-26 1992-01-28 Kalamazoo Holdings, Inc. Activated ascorbic acid antioxidant compositions and carotenoids, fats, and foods stabilized therewith
KR20160112721A (ko) * 2015-03-20 2016-09-28 김주호 화장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SE LUIS NAVARRETE-BOLANOS 등, J. Agric. Food Chem., Vol. 52, No. 11, 2004, pp. 3394-3398.
Talita Pizza Anunciato 등, Journal of Cosmetic Dermatology, Vol. 11, 2012, pp. 51-54.
강재승 등, Immune network: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mmunobiologists, Vol. 4, No. 4, 2004, pp. 250-25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938A (ko) 2021-07-27 2023-02-03 김주호 일광 및 고온조건에서 컬러변색이 없는 l-아스코르빈산을 고함유 하는 청색 혹은 녹색의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835A (ko)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023B1 (ko) 일광 및 고온조건에 안정한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1188995B (zh) 包含类胡萝卜素的遮光组合物
DE19802134A1 (de) Verwendung von Carotinoid-Aggregaten als Färbemittel
CZ20012514A3 (cs) Přípravek obsahující sloučeniny na bázi flavyliových solí, nesubstituovaných v pozici 3, určený na umělé zbarvení pokoľky a jeho pouľití
Wilska-Jeszka Food colorants
Pratheesh et al. Isolation, stabil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xanthophyll from marigold flower-Tagetes erecta-L
JP6029637B2 (ja) ルチン誘導体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KR101238742B1 (ko) 안토시아닌을 함유한 자외선 차단효능을 갖는 화장품 조성물
JPS63145367A (ja) カロチノイド系色素組成物
KR102047024B1 (ko) L-아스코르빈산을 고함유하는 이층상 멀티 비타민 세럼 화장료 조성물
AU772825B2 (en) Sunscreen agent for oral administration
JP4190709B2 (ja) 色素の退色防止剤
JP2002249771A (ja) 酸化防止剤
CN103415498A (zh) 苯亚甲基取代的2,4-戊二酮化合物和其作为稳定剂的应用
JP6151058B2 (ja) カロテノイド含有組成物、並びにカロテノイドの劣化抑制剤及び劣化抑制方法
JPH02135070A (ja) カロチノイド色素の安定化法
JPS62126953A (ja) カロチノイド系色素用退色防止剤
JP2006348013A (ja) 退色防止組成物及び退色防止方法
EP4271355A1 (en) Fragrance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ferulic acid derivative, a dyestuff and a fragrancing material, and process for treating keratin materials and/or clothing using the composition
JP6426902B2 (ja) カロテノイド含有組成物、並びにカロテノイドの劣化抑制剤及びカロテノイドの劣化抑制方法
Teixeira et al. Photoprotective effect of mycosporine‐like aminoacids extracts on natamycin, saffron carotenoids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in acidified beverages exposed to different light sources
JP6533639B2 (ja) 皮膚外用剤及び紫外線によるカロテノイド含有油性成分の分解抑制方法
KR20230016938A (ko) 일광 및 고온조건에서 컬러변색이 없는 l-아스코르빈산을 고함유 하는 청색 혹은 녹색의 화장료 조성물
JP6235222B2 (ja) カロテノイド含有組成物、カロテノイド劣化抑制剤、及び、カロテノイドの劣化抑制方法
JP2019131550A (ja) カロテノイドの安定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