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301B1 - 편심 롤링 베어링 - Google Patents

편심 롤링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301B1
KR102046301B1 KR1020130072112A KR20130072112A KR102046301B1 KR 102046301 B1 KR102046301 B1 KR 102046301B1 KR 1020130072112 A KR1020130072112 A KR 1020130072112A KR 20130072112 A KR20130072112 A KR 20130072112A KR 102046301 B1 KR102046301 B1 KR 102046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shaft
ring
bearing
eccen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647A (ko
Inventor
디트말 크라처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00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50Other type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aligning or positioning
    • F16C23/10Bearings, parts of which are eccentrically adjustab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의 전기 유압식 피스톤 펌프 어셈블리용 편심 롤링 베어링(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축(6)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할 수 있는 샤프트(2), 샤프트(2)에 대해 편심인 베어링 링(3) 및, 베어링 링(3)과 샤프트(2) 사이의 링 갭(4)의 상이한 너비에 따라 다양한 직경을 갖는, 베어링 링(3)과 샤프트(2) 사이의 롤링 바디(5)를 제공한다. 샤프트(2)의 회전 구동 시 베어링 링(3)의 편심은 샤프트(2)의 회전 속도의 반으로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선회하고, 베어링 링(3)의 외부에 접촉하는 펌프 피스톤(11)의 행정을 일으킨다. 스프링 부재(9)는 롤링 바디(5)를 롤링 바디 케이지(7) 내에서 링 갭(4)의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롤링 바디(5)의 스프링 부하는 모든 롤링 바디(5)를 "지지하게" 한다.

Description

편심 롤링 베어링{ECCENTRIC ROLLING BEARING}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특히 유압식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의 피스톤 펌프용 편심 롤링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편심 롤링 베어링은 편심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일체형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전기 모터의 모터 샤프트에 또는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장치의 출력 샤프트에 강성으로 및 편심으로 배치된다. 편심 샤프트에 롤링 베어링이 배치되고, 상기 베어링은 편심 샤프트를 동심으로 둘러싸는 베어링 링과, 편심 샤프트와 베어링 링 사이의 링 갭에서 필수적이진 않지만 일반적으로, 샤프트를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롤링 바디들을 포함한다. 롤링 바디들은 일반적으로 롤러 또는 니들이지만, 다른 롤링 바디, 예컨대 볼일 수도 있다. 베어링 링은 외부 링으로서 파악될 수 있고, 내부 링은 예를 들어 편심 샤프트 상에 압착될 수 있다. 그러나 내부링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롤링 바디는 직접 편심 샤프트 상에서 롤링할 수도 있다. 또한, 베어링 링의 외부에 예를 들어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펌프 피스톤 어셈블리의, 피스톤 펌프의 예컨대 하나 이상의 펌프 피스톤들의 단부들이 접촉한다. 펌프 피스톤은 예컨대 스프링에 의해 외부로부터 베어링 링에 접촉하여 가압된다.
회전 구동시 편심 샤프트는 그 편심으로 인해 원형 궤도에서 운동을 실시하고, 스스로 회전한다. 원형 궤도에서 편심 샤프트의 운동으로 인해 베어링 링도 하나의 또는 동일한 원형 궤도에서 이동되고, 이로 인해 상기 베어링 링 외부에 접촉하는 펌프 피스톤의 소정의 행정 운동이 야기되므로, 피스톤 펌프에 의해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액 또는 일반적으로 유체는 흡인과 배출의 반복에 의해 송출될 수 있다. 베어링 링은 그 롤링 베어링으로 인해 편심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지 않는다.
국제 특허 명세서 WO 2011/138 073 A1호에는 편심 롤링 베어링이 회전 구동시 원형 궤도에서 이동되지 않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는 샤프트를 가진 편심 롤링 베어링이 공지되어 있다. 샤프트의 회전축과 구조적 축은 일치한다. 공지된 편심 롤링 베어링의 샤프트는 베어링 링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베어링 링은 샤프트에 대해 편심으로 배치되므로, 베어링 링과 샤프트 사이의 링 갭의 갭 너비는 원주방향으로 변경된다. 최대 갭 너비에서부터 베어링 링과 샤프트 사이의 링 갭의 갭 너비는 2개의 원주방향으로 너비 폭이 최소인 대향 배치된 위치까지 작아진다. 베어링 링과 링 샤프트 사이의 링 갭 내에 롤링 바디가 배치되고, 상기 롤링 바디의 직경은 각각의 롤링 바디가 배치된 원주 위치에서 베어링 링과 샤프트 사이의 링 갭의 갭 너비에 상응한다. 샤프트의 회전 구동시 롤링 바디는 샤프트의 원주 상에서 및 베어링 링 내에서 롤링하고, 샤프트 둘레를 선회한다. 롤링 바디와 함께 링 갭의 갭 너비도 선회하고, 즉 최대 갭 너비는 최대 직경의 롤링 바디(들)와 함께 선회하고, 최소 갭 너비는 최소 직경의 롤링 바디(들)와 함께 선회하고, 그 사이의 갭 너비는 해당하는 롤링 바디들과 함께 선회한다. 선회하는 롤링 바디는 회전 구동하는 샤프트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베어링 링을 각각의 베어링 롤러가 회전할 때마다 한 번씩 왕복 운동시킨다. 공지된 편심 롤러의 롤링 바디들은 롤링 바디 케이지의 포켓에서 지지되고, 상기 케이지는 상기 롤링 바디들을 원주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지지한다. 롤링 바디 케이지는 최대 직경의 2개의 롤링 바디 사이에서 개방되고 탄성적으로 예비 응력을 받으므로, 롤링 바디들을 링 갭의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공지된 편심 롤링 베어링은 전기 모터 또는 기어장치의 출력 샤프트의 회전 운동을 차량용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피스톤 펌프 어셈블리 내에서 피스톤 펌프의 펌프 피스톤을 구동하기 위한 행정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하고 저렴한 구조의 편심 롤링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롤링 베어링에 의해 해결된다.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롤링 베어링은 회전 구동할 수 있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상에, 샤프트를 둘러싸는 베어링 링, 및 샤프트와 베어링 링 사이의 링 갭 내에서 샤프트 둘레에 배치된 롤링 바디를 포함하는 롤링 베어링이 배치되고, 이 경우 롤링 바디들은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다. 베어링 링은 샤프트에 대해 편심으로 배치되므로, 샤프트와 베어링 링 사이의 링 갭의 갭 너비는 원주방향으로 변경된다. 링 갭은 최대 갭 너비와 최소 갭 너비를 갖는다. 편심 롤링 베어링의 롤링 바디들은 각각의 롤링 바디들이 배치된 위치에서 샤프트와 베어링 링 사이의 링 갭의 갭 너비에 따라 다양한 직경을 갖는다. 샤프트가 그 회전축에 대해 편심인 것이 고려될 수 있더라도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 가능하더라도, 편심 롤링 베어링의 샤프트는 그 회전축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링 베어링은 롤링 바디 케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롤링 바디 케이지는 롤링 바디들을 원주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지지한다. 롤링 바디 케이지는, 공지된 롤링 베어링의 롤링 바디 케이지처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링 바디 케이지는 외관에 의해서가 아니라, 롤링 바디들을 원주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지지하는 기능에 의해 규정되고, 케이지 또는 롤링 바디 케이지의 형태만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롤링 베어링의 롤링 바디 케이지는 롤링 바디를 원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므로, 원주방향으로 롤링 바디들의 상호 간격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롤링 베어링의 롤링 바디 케이지는 롤링 바디를 개별적으로 샤프트와 베어링 링 사이의 링 갭의 더 좁은 잽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샤프트의 회전 구동 시 롤링 바디들은 샤프트 위에서 및 베어링 링 내에서 롤링하고, 공지된 롤링 베어링처럼 샤프트를 중심으로 선회한다. 큰 직경을 갖는 롤링 바디들은 샤프트에 의해 베어링 링을 가압하고, 작은 직경을 갖는 롤링 바디들이 위치한 대향 배치된 측면에서 베어링 링은 샤프트에 근접한다. 말하자면 가변 갭 너비는 롤링 바디와 함께 회전 구동하는 샤프트를 중심으로 선회하고, 가장 넓은, 가장 좁은 및 다른 모든 갭 너비는 롤링 바디와 함께 샤프트를 중심으로 선회한다. 베어링 링은 원형 궤도에서 샤프트를 중심으로 샤프트에 대해 편심으로 이동한다. 샤프트의 회전 운동은 베어링 링의 외부에 단부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펌프 피스톤의 행정 운동으로 전환된다. 롤링 바디들은 원형 궤도에서 베어링 링이 이동되는 속도가 감소할 정도로 샤프트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선회 속도로 샤프트를 중심으로 선회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롤링 베어링은 속도 감속을 포함하고, 베어링 링의 상대 회전이 불가능한 경우에 베어링 링의 편심의 선회 속도는 샤프트의 회전 속도보다 느리다. 속도 감속은 더 높은 회전 속도로 구동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하고, 이는 동일한 출력에서 더 작고 가벼운 전기 모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롤링 베어링의 다른 장점은 간단하고 저렴한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롤링 베어링의 롤링 바디 케이지는 롤링 바디들을 개별적으로 샤프트와 베어링 링 사이의 링 갭의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동된 롤링 바디들은 이로 인해 모두 항상 샤프트의 회전 중에 샤프트 및 베어링 링에 접촉한다. 개별 롤링 바디들이 샤프트 및 베어링 링에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샤프트의 회전 중에 베어링 링에 대해 샤프트의 정해진 회전 위치에서 롤링 바디들이 샤프트 및 베어링 링에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롤링 베어링의 지지력이 높아지고, 롤링 바디의 다양한 부하와 마모가 감소되고, 편심 롤링 베어링의 수명 및 기능은 개선된다.
바람직하게 모든 롤링 바디들은 샤프트와 베어링 링 사이의 링 갭의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물론, 개별적인 또는 소수의 롤링 바디들이 이동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최대 직경의 롤링 바디가 하나만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롤링 바디는 원주방향으로 이동되어서는 안 된다. 하나의 회전 방향 또는 우선 회전 방향만이 주어진 경우에, 원주의 절반에 위치한 롤링 바디만 즉, 특히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베어링 링 내에서 더 큰 갭 너비의 방향으로 롤링하는 롤링 바디만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롤링 바디가 다양한 정도로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더 작은 롤러 - 또는 원주면 곡률로 인해 더 높은 지지 강도를 갖는 더 큰 직경의 롤링 바디들은 작은 직경의 롤링 바디보다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훨씬 더 이동될 수 있다.
종속 청구항들은 청구항 제 1 항에 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개선예들을 제시한다.
청구항 제 2 항에 따라, 최대 직경이 아닌 롤링 바디는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하지만, 최대 직경의 롤링 바디뿐만 아니라 최대 직경이 아닌 롤링 바디도 샤프트와 베어링 링 사이의 링 갭의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특히 2개의 동일한 크기의 최대 직경의 롤링 바디가 제공된 경우에도 상기 2개의 롤링 바디들은 반대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게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롤링 바디 케이지는 별도의 또는 일체형 스프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청구항 제 4 항). 예를 들어 롤링 바디 케이지 내에 삽입된 별도의 스프링 부재들은 예를 들어 압축 나선 스프링, 판 스프링, 디스크 스프링일 수 있다. 박판 롤링 바디 케이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판 스프링이 스프링 부재로서 가능하다. 플라스틱 롤링 바디 케이지는 탄성과 형상에 의해 마찬가지로 일체형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다. 그것에 대한 열거는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롤링 베어링은 특히 차량의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 피스톤 펌프 어셈블리를 위해 제공되고, 슬립 제어식 및/또는 파워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유압 브레이크 압력을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롤링 베어링은 구동을 위한 즉, 회전 운동을 행정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기 모터 및 피스톤 펌프를 포함한다. 전기 모터는 직접 또는 기어장치를 통해 편심 롤링 베어링의 샤프트를 구동하고, 상기 편심 롤링 베어링의 베어링 링은 샤프트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베어링 링에 피스톤 펌프의 펌프 피스톤의 단부가 접촉하고, 상기 펌프 피스톤은 왕복 운동하는 베어링 링에 의해 브레이크액의 송출을 위한 행정 운동을 일으킨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용도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편심 롤링 베어링 자체를 지향한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롤링 베어링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라인 II-II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과는 달리 변형된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롤링 베어링의 정면도.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롤링 베어링(1)은 샤프트(2)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베어링 링(3)에 의해 둘러싸인다. 베어링 링(3)과 샤프트(2) 사이의 링 갭(4)에 롤링 바디로서 롤러들(5)이 샤프트(2) 둘레에 배치된다. 베어링 링(3)과 롤러(5)는 경우에 따라서 샤프트(2)와 함께 롤링 베어링으로서 파악될 수 있다. 샤프트(2)는 도면에 보이지 않는데, 그 이유는 도면 평면에 배치된 전기 모터의 후방에서 동시에 회전축인 구조적 축(6)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샤프트(2)는 편심을 갖지 않는다. 샤프트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의 모터 샤프트의 단부일 수 있다.
베어링 링(3)은 샤프트(2)에 대해 편심으로 배치되고, 베어링 링(3)과 샤프트(2) 사이의 링 갭(4)의 너비는 원주방향으로 변경된다. 도면 우측 상부에 있는 최대 갭 너비에서부터 시작해서 갭 너비는 2개의 원주방향으로 도면 좌측 하부에, 최대 갭 너비에 대향 배치된 최소 갭 너비로 감소한다.
롤링 바디를 형성하는 롤러(5)는 상이한 갭 너비에 따라 다양한 직경을 갖는다. 롤러(5)의 직경은 각각의 롤러(5)가 배치된 위치에서 베어링 링(3)과 샤프트(2) 사이의 링 갭(4)의 너비와 동일한 크기이다.
샤트트(2)의 회전 구동시 롤러(5)는 샤프트(2)의 원주에서 롤링하고, 샤프트(2)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선회 속도로 선회한다. 최대 직경의 롤러(5)와 함께 베어링 링(3)과 샤프트(2) 사이의 링 갭(4)의 최대 갭 너비가 선회한다. 또한, 베어링 링(3)과 샤프트(2) 사이의 링 갭(4)의 최소 갭 너비는 최소 직경을 갖는 롤러(5)와 함께 샤프트(2)를 중심으로 선회한다. 다시 말해서, 샤프트(2)의 회전 구동 시 샤프트(2)에 대한 베어링 링(3)의 편심은 샤프트(2)를 중심으로 선회하고, 이 경우 베어링 링(3)이 함께 회전하지 않으면, 편심의 선회 속도는 샤프트(2)의 회전 속도보다 작다. 도면과 달리, 동일한 크기의 최대 직경을 갖는 2개의 롤러(5) 및/또는 동일한 크기의 최소 직경을 갖는 2개의 롤러(5)가 제공될 수 있다. 베어링 링(3)은 원형 궤도에서 동시에 회전축이기도 한, 샤프트(2)의 구조적 축(6)을 중심으로 이동하고, 이 경우 베어링 링(3)의 원운동의 속도는 샤프트(12)의 회전 속도보다 작다. 즉, 속도 감소가 이루어진다.
링 갭(4)에 관형 롤링 바디 케이지(7)가 배치되고, 상기 롤링 바디 케이지는 롤링 바디들(5)을 서로 간격을 두고 지지한다. 롤링 바디 케이지(7)는 최대 직경을 갖는 롤러(5)와 인접한 롤러(5) 사이의 원주 위치에서 개방되므로, 상기 롤링 바디 케이지는 원주방향으로 탄성을 가질 수 있지만, 이는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 1에서 롤링 바디 케이지(7)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지는 사각형 리세스를 갖고, 상기 리세스는 이 경우 포켓(8)이라고 하고, 상기 포켓에 롤링 바디를 형성하는 롤러들(5)이 수용된다(도 2). 최대 직경을 갖는 롤러(5)를 제외하고, 롤링 바디 케이지(7)의 포켓(8)은 원주방향으로 각각의 롤러들(5)의 직경보다 크고, 따라서 롤러들(5)은 롤링 바디 케이지(7)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편심 롤링 베어링(1)의 롤링 바디를 형성하는 롤러들(5)의 간격은 이로 인해 제한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최대 직경을 갖는 롤러(5)의 포켓(8)만이 롤러(5)의 직경과 같은 크기이므로, 최대 직경을 갖는 롤러(5)는 나머지 모든 롤러들(5)처럼 롤링 바디 케이지의 포켓(8)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그러나 롤링 바디 케이지(7)는 최대 직경을 갖는 롤러(5)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롤링 바디 케이지(7)는 스프링 부재들(9)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들(9)은 롤러(5)를 원주방향으로 링 갭(4)의 좁아지는 갭 너비를 향해 이동시킨다. 도 1 및 도 2에서 스프링 부재들(9)은 압축 나선 스프링이고, 상기 스프링은 롤러(5)의 더 큰 갭 너비를 갖는 측면에 배치된다. 최대 직경을 갖는 롤러(5)는 스프링 부재(9)를 포함하지 않는다. 롤러들(5)은 개별적으로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롤러들(5)이 이동됨으로써, 모든 롤러들은 샤프트(2) 및 베어링 링(3)에 접촉한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롤러들(5)이 샤프트 상에서 및 베어링 링(3) 내에서 롤링함으로써 샤프트(2)의 회전시 가변적인 갭 너비가 선회되고, 따라서 베어링 링(3)은 원형 궤도에서 동시에 샤프트(2)의 회전축이기도 한 샤프트(2)의 축을 중심으로 이동되는 것을 보장한다. 다른 한편으로 샤프트(2)와 베어링 링(3) 사이의 링 갭(4)의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롤러들(5)의 이동은, 모든 롤러들(5)이 샤프트(2) 및 베어링 링(3)에 접촉하고 따라서 "지지"하고 즉, 샤프트(2)와 베어링 링(3) 사이의 방사방향 힘을 전달하는 것을 보장한다. 편심 롤링 베어링(1)의 지지 강도는 증가하고, 롤링 바디(5)의 다양한 마모는 감소하고, 편심 롤링 베어링(1)의 수명은 증가한다. 소음 발생, 특히 롤러(5)에 의한 진동 또는 래틀 소음은 샤프트(2)와 베어링 링(3) 사이의 방사방향 유격에 의해 방지된다.
롤러들(5)을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프링 력 또는 일반적인 힘은 실시예에서처럼, 모든 롤러(5)에 대해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상이한 힘도 고려될 수 있고, 예컨대 더 작은 직경의 롤러(5)는 더 작은 힘에 의해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롤러의 원주의 더 큰 곡률로 인해 방사방향 부하 시 표면 압력이 더 높아지고, 더 작은 직경으로 인한 마모도 더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실시예와 달리, 롤러(5)의 일부만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2)의 회전시 더 큰 갭 너비의 방향으로 롤링하는 롤러들(5)은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도 1 및 도 3에서 이것은 좌측 상부의 롤러들(5)이고,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롤링하는 롤러들(5) 즉, 도 1 및 도 3에서 우측 하부의 롤러들(5)은 원주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도시되지 않음). 이는 물론 역전되지 않는 샤프트(2)의 사전 설정된 회전 방향을 전제로 한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포켓(8)에 2개의 스프링 부재들(9)이 롤러(5)의 단부에 가깝게 서로 측면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로 인해 롤러(5)의 경사 위치가 방지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들(5)은 다른 스프링 부재(10), 실시예에서 만곡된 판 스프링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즉, 샤프트(2)와 베어링 링(3) 사이의 링 갭(4)의 더 큰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롤러들(5)은 롤링 바디 케이지(7)의 포켓(8) 내에서 스프링 부재(9, 10) 사이에 소위 "부동식"으로 지지된다. 스프링 부재들(9, 10)의 스프링 력과 스프링 트래블은 스프링 부재들(9, 10)의 결과되는 힘이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즉, 롤러들(5)이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계된다.
베어링 링(3) 외부에 놓인 펌프 피스톤들(11)은 그 단부로 편심 롤링 베어링(1)의 베어링 링(3)에 접촉한다. 도면에서 단부만 도시된 펌프 피스톤들(11)은 샤프트(2)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배치되고, 도시되지 않은 피스톤 스프링에 의해 외부로부터 베어링 링(3)에 대해 가압된다. 펌프 피스톤(11)은 펌프 하우징(13)의 펌프 보어(12)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즉 샤프트(2)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편심 롤링 베어링(1)은 펌프 하우징(13)의 실린더형 편심체 챔버(14) 내에서 2개의 펌프 피스톤들(1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펌프 피스톤들은 실시예에서 서로를 향해 즉, 박스 구조로 배치된다. 샤프트(2)의 회전 구동에 의해 베어링 링(3)은 샤프트(2)의 축(6) 및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형 궤도에서 샤프트(2)의 회전 속도보다 작은 속도로 이동되고, 이 경우 샤프트(2)는 함께 회전되지 않는다. 베어링 링(3)의 원운동은 펌프 피스톤(11)의 행정 운동을 야기한다. 따라서 편심 롤링 베어링(1)은 샤프트(2)의 회전 운동을 펌프 피스톤(11)의 구동을 위한 행정 운동으로 전환한다. 펌프 하우징(13)은 펌프 피스톤(11) 외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유압 부품, 예컨대 차량의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슬립 제어 장치의 자기 밸브가 배치되고 유압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소위 유압 블록의 구성 부분이다. 이러한 유압 블록들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롤링 베어링(1)은 편심 롤링 베어링(1) 외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샤프트(2)의 구동을 위한 전기 모터 및 펌프 피스톤(11)을 구비한 피스톤 펌프를 포함하는 전기 유압식 피스톤 펌프 어셈블리의 구성 부분이다. 전기 모터는 직접 또는 기어장치에 의해 샤프트(2)를 구동할 수 있고, 상기 기어장치는 마찬가지로 피스톤 펌프 어셈블리의 구성 부분이다. 샤프트(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 모터의 모터 샤프트일 수 있다. 피스톤 펌프 어셈블리는 브레이크 압력 상승을 위해 또는 일반적으로 외력 및/또는 슬립 조절식 유압 파워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브레이크액을 송출하는데 이용된다.
도 3에서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롤링 베어링(1)은 플라스틱 대신 박판 링형 롤링 바디 케이지(7)를 포함한다. 롤링 바디 케이지(7)를 제외하고, 도 3의 편심 롤링 베어링(1)과 피스톤 펌프 어셈블리는 도 1 및 도 2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도 3의 설명에 도 1 및 도 2의 전술한 설명이 참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롤링 바디 케이지(7)는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사각형 리세스 형태의 포켓(8)을 포함하고, 상기 포켓에 롤러들(5)이 수용되고, 상기 롤러들은 편심 롤링 베어링(1)의 롤링 바디를 형성한다. 포켓(8)은 원주방향으로 각각의 롤러들(5)의 직경보다 길고, 따라서 롤러들(5)은 원주방향으로 제한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롤러들의 간격도 제한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롤링 바디 케이지(7)는 스프링 부재들(15)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들은 롤러들(5)을 샤프트(2)와 베어링 링(3) 사이의 링 갭(4)의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3에서 스프링 부재(15)는 판 스프링이고, 상기 스프링은 더 큰 갭 너비를 갖는 측면에 배치된다. 정면도에서 판 스프링은 도 3에서처럼 U 형상이고, 만곡된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더 큰 갭 너비의 측면에서 각각의 롤러(5)의 원주에 접촉한다. 스프링 부재(15)를 형성하는 판 스프링들은 롤링 바디 케이지(7)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롤러들(5)은 도 3에서 도 1 및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각각 스프링 부하를 받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서도 최대 직경을 갖는 롤러(5)는 회전 가능하지만, 롤링 바디 케이지(7)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고, 스프링 부하를 받지 않는다.
2 샤프트
3 베어링 링
4 링 갭
5 롤러
6 축
7 롤링 바디 케이지

Claims (7)

  1. 회전 운동을 행정 운동으로 전환하는 편심 롤링 베어링으로서, 회전 구동될 수 있는 샤프트(2), 베어링 링(3), 롤링 바디(5)들 및 롤링 바디 케이지(7)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링은 상기 샤프트(2)에 대해 편심으로 상기 샤프트(2)를 둘러쌈으로써, 상기 샤프트(2)와 상기 베어링 링(3) 사이에 링 갭(4)이 형성되고, 상기 링 갭의 갭 너비는 상기 샤프트(2)와 상기 베어링 링(3) 사이의 편심에 따라 변경되고, 상기 롤링 바디들은 상기 샤프트(2)와 상기 베어링 링(3) 사이의 링 갭(4)에서 상기 샤프트(2)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2)와 상기 베어링 링(3) 사이의 상기 링 갭(4)의, 원주방향으로 변하는 갭 너비에 따라 상이한 직경을 갖고, 상기 롤링 바디 케이지는 상기 롤링 바디(5)들을 서로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지지하는 편심 롤링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롤링 바디(5)들은 상기 롤링 바디 케이지(7)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롤링 바디(5)들은 개별적으로 상기 롤링 바디 케이지(7) 내에서 상기 링 갭(4)의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롤링 바디 케이지(7)는 스프링 부재(9)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9)들은 원주방향으로 상기 링 갭(4)의 좁아지는 갭 너비를 향해 상기 롤링 바디(5)들을 이동시키고,
    상기 롤링 바디 케이지(7)는 다른 스프링 부재(10)들을 포함하고, 상기 롤링 바디(5)들은 상기 다른 스프링 부재(10)들에 의해 상기 링 갭(4)의 더 큰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롤링 바디(5)들은 상기 롤링 바디 케이지(7)의 포켓(8)들 내에서 상기 스프링 부재들(9, 10) 사이에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들(9, 10)의 스프링 력과 스프링 트래블은 상기 스프링 부재들(9, 10)의 합성된 힘이 상기 롤링 바디들(5)을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롤링 베어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롤링 베어링(1)의 최대 직경의 롤링 바디(5)가 아닌 롤링 바디(5)는 상기 링 갭(4)의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롤링 베어링.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바디(5)들은 탄성적으로 상기 링 갭(4)의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롤링 베어링.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바디 케이지(7)는 일체형의 스프링 부재(15)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롤링 바디(5)들을 탄성적으로 상기 링 갭(4)의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롤링 베어링.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바디들(5)은 롤러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롤링 베어링.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바디(5)들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적어도 2개의 위치에서 상기 링 갭(4)의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롤링 베어링.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바디(5)들은 상기 롤링 바디 케이지(7) 내에서 탄성적으로 2개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어, 합성된 스프링력은 상기 링 갭(4)의 더 좁은 갭 너비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롤링 베어링.
KR1020130072112A 2012-06-25 2013-06-24 편심 롤링 베어링 KR102046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10704.5 2012-06-25
DE102012210704.5A DE102012210704A1 (de) 2012-06-25 2012-06-25 Exzenterwälzla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647A KR20140000647A (ko) 2014-01-03
KR102046301B1 true KR102046301B1 (ko) 2019-11-19

Family

ID=4972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112A KR102046301B1 (ko) 2012-06-25 2013-06-24 편심 롤링 베어링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46301B1 (ko)
DE (1) DE102012210704A1 (ko)
FR (1) FR29923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49284B (zh) * 2010-09-14 2015-04-01 日本精工株式会社 单剖分式保持架
DE102013220558A1 (de) * 2013-10-11 2015-04-16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Geschlitzter Lagerkäfig für ein Radialwälzlager
KR20170010920A (ko) 2015-07-20 2017-02-02 셰플러코리아(유)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KR20170023927A (ko) 2017-02-28 2017-03-06 셰플러코리아(유)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CN107228126A (zh) * 2017-06-23 2017-10-03 苏州顺革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调整钢球间隙的滚动轴承
CN110778603B (zh) * 2019-11-24 2020-12-15 海宁科巍轴承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摩擦力消除点蚀现象的滚珠轴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6471A (ja) * 2004-08-04 2006-02-16 Hama International:Kk 移動装置
WO2011138073A1 (de) * 2010-05-05 2011-11-10 Robert Bosch Gmbh Exzenterlag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8699B2 (ja) * 1996-04-15 2006-11-22 昭 前川 ボールとの接触部に可撓部を有する転がり軸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6471A (ja) * 2004-08-04 2006-02-16 Hama International:Kk 移動装置
WO2011138073A1 (de) * 2010-05-05 2011-11-10 Robert Bosch Gmbh Exzenterla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210704A1 (de) 2014-01-02
KR20140000647A (ko) 2014-01-03
FR2992382A1 (fr) 201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301B1 (ko) 편심 롤링 베어링
JP4898123B2 (ja) 電動式直動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電動式ブレーキ装置
CN104736865B (zh) 直线运动引导装置
US8950942B2 (en) Eccentric bearing
JP5596575B2 (ja) 電動式直動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電動式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06233972A (ja) 液圧式多行程型のアキシャルピストン機械
CN106030131B (zh) 设有枢转臂的杆件相对于压力件的支承装置
US9506541B2 (en) Eccentric bearing
US20120036996A1 (en) Piston Pumps for a Hydraulic Vehicle Brake System
EP2938881B1 (en) Variable displacement vane pump and method of regulating the displacement thereof
JP5555372B2 (ja) 偏心軸受
CN101191469B (zh) 燃料供给装置
JP2014206286A (ja) 電動式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RU2525497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опора
KR102514722B1 (ko) 동기화된 프리-휠 롤러
US20130199319A1 (en) Eccentric Bearing
CN102011797B (zh) 微动柔性组合滚动轴承
JP2012032001A (ja) 電動式ブレーキ装置
KR20180109933A (ko) 특히 abs 시스템의 펌프를 위한 편심 어셈블리 및 abs 시스템용 펌프
JP5978491B2 (ja) 油圧式無段変速機
US9249664B2 (en) Bent axis type axial piston motor
CN1872604B (zh) 用于动力转向的控制元件
CN104251260A (zh) 偏心球轴承
JP2014025508A (ja) スラストころ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