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315B1 -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315B1
KR102045315B1 KR1020170080850A KR20170080850A KR102045315B1 KR 102045315 B1 KR102045315 B1 KR 102045315B1 KR 1020170080850 A KR1020170080850 A KR 1020170080850A KR 20170080850 A KR20170080850 A KR 20170080850A KR 102045315 B1 KR102045315 B1 KR 102045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oving
comb
scaffold
gui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212A (ko
Inventor
이훈
임수정
이향이
박덕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080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31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2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responsive to, or preventing, jamming by foreign objects
    • B66B29/06Comb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는 이동발판과 만나는 매칭단부에 빗살부를 가지는 콤플레이트본체와, 빗살부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발판과 접촉하지 않고 매칭단부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가이드롤러를 가진다. 가이드롤러는 이동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그루부 영역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탑승자의 발이나 옷가지 등이 이동발판과 승강판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며 탑승객이나 물체가 이동발판에서 승강판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와준다. 이때, 빗살부에는 상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 롤러홈과 그에 삽입되는 가이드롤러를 가지는 가이드빗살을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가이드롤러 상의 물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콤플레이트본체는 가이드롤러를 이동발판의 진행방향을 따라 회전구동하게 하는 롤러구동부를 더 가질 수 있으며 롤러구동부는 가이드롤러를 회전구동하게 하는 별도의 동력원을 가지거나, 이동발판과 접촉하여 이동발판의 움직임에 의해 가이드롤러를 회전시키는 접촉구동롤러를 가질 수 있다. 롤러구동부가 접촉구동롤러를 가지는 경우 가이드롤러는 추가동력 없이 이동발판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콤플레이트본체의 상면에 롤러구동부에 의해 이동발판의 진행방향을 따라 회전구동하는 보조롤러를 배치하게 되면 탑승자를 보다 용이하게 이동발판에서 승강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COMB PLATE}
본 발명은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나 무빙워크의 이동발판은 일정 영역을 지속적으로 회전하며 승강판의 하부로 들어갈때 이동발판 위의 사람이나 물체는 승강판으로 이동한다. 이때 승강판의 단부에는 이동발판 위의 사람이나 물체가 승강판과 발판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콤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기존의 콤플레이트는 이동발판의 상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어 있는 그루부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이동발판과 승강판사이의 틈새를 줄이기 위한 빗살만을 취하고 있는 단순한 형태이기 때문에 이동발판과 승강판 사이에 물체가 끼이는 것을 충분히 방지하지 못하고 있었고, 또한, 이동발판과 승강판의 단차로 인해 사람이나 물체가 이동발판에서 승강판으로 이동할때 발생되는 불편함을 충분히 해소해 주지 못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승강판과 이동발판 사이에 물체가 끼이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동발판과 승강판 사이의 이동이 편리한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발판이 하부로 입출하는 승강판의 이동발판측 단부에 설치되는 콤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과 결합되는 승강판연결단부와 상기 이동발판과 만나는 매칭단부에 빗살부를 가지는 콤플레이트본체와, 상기 빗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발판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매칭단부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이동발판과 접촉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롤러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는 축에 접촉하여 상기 이동발판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롤러를 회전구동하는 접촉구동롤러를 포함하는 롤러구동부와, 일부가 상기 콤플레이트본체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롤러구동부에 의해 상기 이동발판의 진행방향을 따라 회전구동되는 보조롤러를 가지며, 상기 이동발판은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그루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그루부 영역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상기 접촉구동롤러는 상기 이동발판의 표면에 접촉되고, 상기 가이드롤러와 상기 보조롤러는 상기 그루부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는 이동발판과 승강판 사이에 물체가 끼이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는 발판과 승강판 사이의 이동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빗살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는 이동발판(200)이 하부로 입출하는 승강판(100)의 이동발판(200)측 단부에 설치되는 콤플레이트에 있어서, 승강판(100)과 결합되는 승강판연결단부(310)와 이동발판(200)과 만나는 매칭단부(330)에 빗살부(320)를 가지는 콤플레이트본체(300)와 빗살부(320)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발판(200)과 접촉하지 않고 매칭단부(33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가이드롤러(321)를 가진다.
이동발판(200)과 승강판(100)은 에스컬레이터나 무빙워크의 부품으로, 승강판(100)은 탑승객이 이동발판(200)으로 이동하기 위해 대기하는 장소로 사용되거나, 이동발판(200)을 통해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 이동발판(200)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이동발판(200)의 목적지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물로서 탑승객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튼튼한 구조물이다. 이동발판(200)은 시작지점에서는 승강판(100)의 하부로 부터 나오게 되며, 도착지점에서는 승강판(100)의 하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이동발판(200)은 여러개의 발판이 고리를 형성하며 서로 연결된 채로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을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의 승강판(100) 하부에서 회전하여 한쪽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발판(200)은 다수의 발판이 맞물려 움직이는데 이러한 맞물림의 정교함을 상승시키거나 이동발판(200) 상면에 올라서는 탑승객이나 물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표면에서 함몰되어 길게 형성된 그루부(210)가 폭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하부로 이동발판(200)이 나오거나 들어가는 승강판(100)의 단부에는 이동발판(200)과의 단차에 의해 탑승객이나 물체가 이동상의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최소화 시키기 위한 콤플레이트본체(300)가 설치된다.
콤플레이트본체(300)는 승강판(100)의 단부와 결합되는 부분에 승강판연결단부(310)를 가지며, 이동발판(200)이 입출하는 영역인 매칭단부(330)에 빗살부(320)를 가진다. 이러한 빗살부(320)는 이동발판(200)에 접촉하지 않고 매칭단부(330)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자유회전 가능한 가이드롤러(321)가 배치된다.
승강판연결단부(310)는 승강판(100)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부위에 볼트결합되어 승강판(100)의 단부와 콤플레이트본체(300)는 견고하게 결합된다.
빗살부(320)는 일반적인 콤플레이트가 가지는 빗살(324)이 배치되거나 가이드롤러(321)가 배치된다. 빗살(324)은 빗살부로부터 이동발판(200)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돌출되어 이동발판(200)의 그루부(210)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형태를 가지며 이러한 빗살(324)은 그루부(210)의 하면과 콤플레이트(10)와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틈새에 물체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롤러(321)는 빗살부(320)의 매칭단부(330)에 설치되어 가이드롤러(321)의 롤러면과, 이동발판(200)의 상면 또는 그루부(210)의 하면과의 간격이 최소가 되도록 한다. 빗살부(320)에는 이러한 빗살(324)과 가이드롤러(321)가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되거나, 가이드롤러(321)만 배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는 이동발판(200)이 승강판(100)의 하부로 이동될 때 빗살부(320)가 가지는 가이드롤러(321)에 의해 이동발판(200)과 승강판(100) 사이의 틈새가 최소화 되며, 탑승객의 옷이나 신발 등이 가이드롤러(321)에 접촉될 때 가이드롤러(321)가 자유회전하며 탑승객의 이동방향으로 보내주기 때문에 끼임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동발판(200)에서 승강판(100)으로의 이동을 도와주게 된다. 따라서, 움직임이 불편한 탑승객도 가이드롤러(321)를 통해 승강판(100) 쪽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어 그로 인한 사고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빗살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빗살부(320)는 상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 롤러홈(323)을 가지는 가이드빗살(322)을 가지며, 가이드롤러(321)는 롤러홈(323)에 배치된다.
가이드빗살(322)은 빗살부(320)로부터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끝단이 이동발판(200)의 그루부(210)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상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 롤러홈(323)에는 가이드롤러(321)가 삽입된다. 이때, 가이드롤러(321)는 가이드빗살(322)의 상면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되며, 이 노출부위에는 탑승객의 발이나 물체가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빗살(322)은 빗살부(320)에 빗살(324) 또는 가이드롤러(321)와 함께 교차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빗살부는 가이드빗살(322)만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가이드빗살(322)로 인해 이동발판(200)과 승강판(100) 사이의 틈새가 최소화 되고, 또한 가이드빗살(322)의 상면에서 자유회전하며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가이드롤러(321)로 인해 가이드롤러(321) 위에 위치하는 탑승객이나 물체는 이동발판(200)에서 승강판(100)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빗살(322)과 가이드롤러(321)를 무빙워크에 적용하면, 무거운 짐을 이송하는 카트 등의 운반장치를 이동발판(200)에서 승강판(100)으로 이동시킬 때 운반장치의 바퀴가 승강판(100)과 이동발판(200)의 틈새로 인해 이동이 불편했던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운반장치의 바퀴는 가이드롤러(321)에 의해 이동발판(200)에서 승강판(100)으로 쉽게 넘어가게 되거나, 가이드빗살(322)이 가진 그루부(210)쪽으로 하향경사지게 돌출된 끝단의 상면을 타고 올라가 이동발판(200)으로부터 소정간격 들리게 되고 그 후 가이드롤러(321)에 의해 승강판(100)으로 용이하게 넘어가게 된다. 가이드빗살(322)에 의해 운반장치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발생되고 정체에 따른 사고나 불편함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빗살부(320)에 배치되는 빗살(324), 가이드롤러(321), 가이드빗살(322)은 언급한 순서대로 제조비용과 관리비용이 저렴하고, 언급한 순서와 반대로 발생되는 장점이 크다. 따라서,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의 사용환경과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쇼핑센터에 사용되는 카트의 경우 이동발판(200)의 그루부(210)상에 바퀴가 걸려 미끄러지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경우 빗살부(320)에 카트의 바퀴의 폭에 해당하는 간격당 하나의 가이드빗살(322)을 가지게 하고 나머지는 빗살(324)이나 가이드롤러(321)를 가지게 하는 것만으로도 카트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보통, 창고형 쇼핑센터와 같이 대량의 물건을 취급하는 곳에서 이동발판(200)상의 카트를 승강판(100)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인력을 배치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 따른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를 적용한다면, 카트가 정체되어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고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도 3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구동부(30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는 가이드롤러(321)를 이동발판(200)의 진행방향을 따라 회전구동하게 하는 롤러구동부(3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구동부(301)는 콤플레이트본체(300)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외부에 동력원을 이용하여 가이드롤러(321)를 회전구동 한다. 이러한 롤러구동부(301)는 별도의 모터를 가져 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가이드롤러(321)에 전달하게 하거나, 승강판(100) 하부에서 이동발판(200)을 지속적으로 회전시키는 축과 연동되어 가이드롤러(321)를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구동부(301)에 의해 가이드롤러(321)는 이동발판(20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가이드롤러(321)의 표면에 접촉되는 탑승객의 발이나 물체를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끼임현상이 능동적으로 방지되고 이동이 보다 편리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구동부(301)는 이동발판(200)과 접촉에 의해 회전하여 가이드롤러(321)를 회전시키는 접촉구동롤러(302)를 가질 수 있다.
접촉구동롤러(302)는 움직이고 있는 이동발판(200)과 접촉하여 마찰력에 의해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콤플레이트본체(300)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접촉구동롤러(302)는 이동발판(200)이 움직이는 힘에 의해 회전하며, 이 회전력을 직접 가이드롤러(321)에 전달하여 가이드롤러(321)가 회전하게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구동롤러(302)는 이동발판(20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가이드롤러(321)는 이동발판(20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접촉구동롤러(302)를 이동발판(200)이 움직이는 힘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접촉구동롤러(302)와 가이드롤러(321)를 모두 그루부(210)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구동롤러(302)의 롤러면과 가이드롤러(321)의 롤러면을 직접 접촉하게 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가이드롤러(3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접촉구동롤러(302)는 이동발판(200) 표면에 접촉시키고 가이드롤러(321)는 그루부(210)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접촉구동롤러(302)는 가이드롤러(321)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는 축에 접촉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접촉구동롤러(302)의 표면을 고무와 같이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만들거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물질로 코팅하면 이동발판(200)이 움직이는 힘을 회전력으로 효과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특히, 접촉구동롤러(302)가 그루부(210)에 위치하는 경우 접촉구동롤러(302)의 표면을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하고 그루부(210)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그루부(210) 영역에 억지 끼워 맞춤으로 삽입시킬 경우 그루부(210)의 바닥면이나 측면에 의해 큰 마찰력을 가진채 접촉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이동발판(200)이 움직이는 힘을 접촉구동롤러(302)의 회전력으로 효과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롤러구동부(301)는 가이드롤러(321)를 이동발판(20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동발판(200)의 움직임에 의해 회전하는 접촉구동롤러(302)를 가지는 것으로 인해 별도의 추가적인 동력원의 필요 없이 가이드롤러(321)를 지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는 콤플레이트본체(300)의 상면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보조롤러(303)를 가질 수 있으며, 보조롤러(303)는 롤러구동부(301)에 의해 이동발판(200)의 진행방향을 따라 회전구동될 수 있다.
보조롤러(303)는 콤플레이트본체(300)의 상면으로 일부가 노출되며,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계하거나, 또는 롤러구동부(301)나 접촉구동롤러(302)에 의해 이동발판(200)의 이동방향 즉, 가이드롤러(32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설계할 수 있다. 보조롤러(303)가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구성되는 경우 탑승객의 발이 콤플레이트본체(300)에 위치할 때 탑승객의 발을 이동발판(200)방향에서 승강판(100)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보조롤러(303)는 도 4에서는 하나의 단으로 도시화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여러단으로 형성하여 탑승객의 발을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보조롤러(303)가 여러단일 경우 롤러구동부(301)를 외부에 동력원으로 설계하여 보조롤러(303)가 각각의 단 별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게 할 수 있고, 또는 접촉구동롤러(302)를 다수개 배치하여 이동발판(200)의 움직임에 의해 동일한 속도로 보조롤러(303)들이 회전하게 할 수 있다.
롤러구동부(301)와 보조롤러(303)를 더 가지는 콤플레이트본체(300)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가이드롤러(321)에 의해 틈새의 끼임이 방지되고 가이드롤러(321)와 보조롤러(303)에 의해 탑승자나 물체를 이동발판(200)에서 승강판(100)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진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롤러(321) 또는 보조롤러(303)는 외경방향 표면으로부터 불규칙하게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를 가지거나 표면 거칠기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인해 롤러의 표면에 접촉되는 탑승객의 발이나 물체를 보다 강한 마찰력을 가지고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롤러(321)는 표면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청소솔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청소솔로 인해 가이드롤러(321)의 표면으로 접근하는 물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밀어내어 끼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동발판(200) 및 그루부(210)에 끼어있는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롤러(321)와 보조롤러(303)는 표면의 특정위치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굴곡부를 가지는 요동캠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캠의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롤러(321)와 보조롤러(303)의 경우 탑승객의 발이나 물체가 접촉되었을 때 마찰력이 아닌 캠의 형상에 의해 미는 힘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이동시키는 힘이 보다 증가 된다. 또한, 캠의 형상을 가지는 롤러들을 캠 형상에 의해 돌출된 굴곡부가 외부로 순차적으로 노출되도록 폭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치하면, 롤러 상에 접촉되는 탑승객의 발을 연속적으로 승강판(100)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는 이동발판(200)과 만나는 매칭단부(330)에 빗살부(320)를 가지는 콤플레이트본체(300)와, 빗살부(320)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발판(200)과 접촉하지 않고 매칭단부(33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가이드롤러(321)를 가진다. 가이드롤러(321)는 이동발판(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그루부(210) 영역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탑승자의 발이나 옷가지 등이 이동발판(200)과 승강판(100)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며 탑승객이나 물체가 이동발판(200)에서 승강판(100)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와준다. 이때, 빗살부(320)에는 상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 롤러홈(323)과 그에 삽입되는 가이드롤러(321)를 가지는 가이드빗살을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가이드롤러(321) 상의 물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콤플레이트본체(300)는 가이드롤러(321)를 이동발판(200)의 진행방향을 따라 회전구동하게 하는 롤러구동부(301)를 더 가질 수 있으며 롤러구동부(301)는 가이드롤러(321)를 회전구동하게 하는 별도의 동력원을 가지거나, 이동발판(200)과 접촉하여 이동발판(200)의 움직임에 의해 가이드롤러(321)를 회전시키는 접촉구동롤러(302)를 가질 수 있다. 롤러구동부(301)가 접촉구동롤러(302)를 가지는 경우 가이드롤러(321)는 추가동력 없이 이동발판(200)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콤플레이트본체(300)의 상면에 롤러구동부(301)에 의해 이동발판(200)의 진행방향을 따라 회전구동하는 보조롤러(303)를 배치하게 되면 탑승자를 보다 용이하게 이동발판(200)에서 승강판(10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100 : 승강판 200 : 이동발판
210 : 그루부 300 : 콤플레이트본체
301 : 롤러구동부 302 : 접촉구동롤러
303 : 보조롤러 310 : 승강판연결단부
320 : 빗살부 330 : 매칭단부
321 : 가이드롤러 322 : 가이드빗살
323 : 롤러홈 324 : 빗살

Claims (6)

  1. 이동발판이 하부로 입출하는 승강판의 이동발판측 단부에 설치되는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과 결합되는 승강판연결단부와 상기 이동발판과 만나는 매칭단부에 빗살부를 가지는 콤플레이트본체와,
    상기 빗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발판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매칭단부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이동발판과 접촉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롤러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는 축에 접촉하여 상기 이동발판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롤러를 회전구동하는 접촉구동롤러를 포함하는 롤러구동부와,
    일부가 상기 콤플레이트본체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롤러구동부에 의해 상기 이동발판의 진행방향을 따라 회전구동되는 보조롤러를 가지며,
    상기 이동발판은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그루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그루부 영역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상기 접촉구동롤러는 상기 이동발판의 표면에 접촉되고, 상기 가이드롤러와 상기 보조롤러는 상기 그루부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80850A 2017-06-27 2017-06-27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 KR102045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850A KR102045315B1 (ko) 2017-06-27 2017-06-27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850A KR102045315B1 (ko) 2017-06-27 2017-06-27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12A KR20190001212A (ko) 2019-01-04
KR102045315B1 true KR102045315B1 (ko) 2019-11-18

Family

ID=6501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850A KR102045315B1 (ko) 2017-06-27 2017-06-27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3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380Y1 (ko) * 1998-03-19 2000-11-01 신철호 에스컬레이터의 회전형 콤플레이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1985A (ja) * 1990-11-13 1992-07-22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乗客コンベアの乗降口装置
JPH08127487A (ja) * 1994-10-28 1996-05-21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スカレータ用ク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380Y1 (ko) * 1998-03-19 2000-11-01 신철호 에스컬레이터의 회전형 콤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12A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35117A (ko) 주행장치
JP2008505818A (ja) 動く歩道等における車輪上を走行するパレットの移送方法および装置
KR102045315B1 (ko) 끼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콤플레이트
JP4629353B2 (ja) エスカレータまたは動く歩道のための移動手摺り駆動装置
WO2016121031A1 (ja) 免荷歩行リフト
JP5036944B2 (ja) 階段昇降設備
KR101219436B1 (ko) 모빌랙의 주행장치
JP3418924B2 (ja) 階段荷物運搬車
KR100567285B1 (ko) 승객수송장치의 곡선부 핸드레일 가이드장치
JP2631269B2 (ja) 乗客等用コンベア
JP2008179480A (ja) 搬送システム用安全装置
KR101782500B1 (ko)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KR100400134B1 (ko) 쇼핑 카트용 캐스터
JPH08127487A (ja) エスカレータ用クシ
JP5376140B2 (ja) 乗客コンベア
KR200437208Y1 (ko) 계단용 핸드레일
JP2019208834A (ja) 階段昇降運搬装置及び自走キャリーバッグ
CN210592079U (zh) 一种超市购物车防人为滑行机构
JP2022028443A (ja) 乗客コンベア用清掃装置
KR101406260B1 (ko)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JP2005273150A (ja) 二輪車用昇降装置
KR200336772Y1 (ko) 이송기구의 계단 승강장치
JP2008526654A (ja) 動く歩道、動くスロープ、またはエスカレータ
JP4277505B2 (ja) ベルト式動く歩道の乗降口装置
JPH0676560U (ja) 二輪車用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