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260B1 -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260B1
KR101406260B1 KR1020120140526A KR20120140526A KR101406260B1 KR 101406260 B1 KR101406260 B1 KR 101406260B1 KR 1020120140526 A KR1020120140526 A KR 1020120140526A KR 20120140526 A KR20120140526 A KR 20120140526A KR 101406260 B1 KR101406260 B1 KR 101406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safety
skirt guard
ball bearing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704A (ko
Inventor
전인찬
이상식
Original Assignee
전인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인찬 filed Critical 전인찬
Priority to KR1020120140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260B1/ko
Publication of KR20140072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2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responsive to, or preventing, jamming by foreign objects
    • B66B29/04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responsive to, or preventing, jamming by foreign objects for balustrades or handrail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의 발판과 스커트 가드 사이의 틈새 또는 발판의 이동이 끝나는 끝단부에 형성된 틈새에 이용자의 옷자락이나 신발끈 등의 기타 물품이 끼여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를 이용하면서 일어나는 발판과 스커트가드 사이에 이용객의 신체 또는 기타 물품 등이 끼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커트가드의 측면에 다수개의 타원형의 형태를 한 볼베어링을 배치하되 발판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각도를 주도록 설치되므로 기타 물품 등이 발판과 스커트가드 사이에 끼더라도 타원형의 볼베어링에 의해서 깊숙이 들어가지 않고 발판의 진행방향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발판의 상부로 올라오도록 구성되어 현재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를 이용하면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볼베어링에 의해서 끼인 물질이 발판의 상부로 올라오게 되므로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를 비상 정지시키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Escalator safety devices}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의 발판과 스커트 가드 사이의 틈새 또는 발판의 이동이 끝나는 끝단부에 형성된 틈새에 이용자의 옷자락이나 신발끈 등의 기타 물품이 끼여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는 엘리베이터와 함께 대표적인 상하 수송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엘리베이터에 비해 일정한 방향으로 연속적인 수송 능력이 월등하므로 대형 마트, 백화점, 슈퍼마켓, 호텔, 공항 등의 대형 건물에서 저층용 대량 수송 장치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는 지하철과 백화점 또는 대형 마트 등과 같이 사람의 출입이 빈번한 대형 건물에 설치되어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사람을 층과 층 사이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용자가 탑승하는 발판과, 이용객이 탑승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이동 손잡이와, 모든 하중을 받치기 위한 프레임과, 이동 발판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텝체인 스프로킷 및 구동모터의 톱니바퀴에 연결된 구동 체인 그리고 구동 체인이 끊기면 작동되는 안전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 발판의 양측으로 프레임에 연결된 테크 패널이 소정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테크 패널의 상단부에 경사진 각을 갖는 스커트 패널이 이동손잡이를 지지하도록 파티션 플레이트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는 전원이 인가되면서 모터 측 톱니바퀴가 회전하게 되고, 구동 체인으로 톱니바퀴가 회전하면서 이동 발판을 동작시켜서 발판 위에 올라서 있는 이용객들을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는 발판 위에 있는 이용객의 옷자락, 신발끈, 신체 또는 기타 물품 등이 간혹 테크 패널에 맞닿은 상태로 이동하는 가운데 발판 가장자리와 테크 패널 사이에 순간적으로 끼여 말려 들어가게 되는 원인으로 인해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옥외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는 비나 눈이 올 경우에는 테크 패널을 따라 밑으로 흘러내려 체인 스프로킷과 구동체인 및 모터 등에 묻게 됨으로써 부식을 촉진시켜서 수명 단축되며 또한 묻어있는 물이 겨울철에 결빙이 되어 운행 초기에 심한 진동이 발생되면서 발판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예를 들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21896호에는 이용자의 옷, 신발끈, 신체의 일부 또는 기타 물품이 발판과 스커트가드 사이에 끼이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인가받아 발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하여 위험인자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진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47315호에는 에스컬레이터 발판의 양쪽에 차단부재를 장착함으로써 발판과 스커트 사이의 틈새로 발이 끼이거나 이물질이 들어가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스커트의 내측에 안전 캡을 부착하고 이 안전캡으로부터 스위치 수단을 차단부재 내측으로 연장시켜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비상 정지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고,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83175호에는 에스컬레이터의 계단식 발판의 양측에 장착되는 브러시에 의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브러시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 기술들은 감지센서와 발판의 양측에 브러시 또는 차단부재 등을 설치하여 이용객의 옷자락, 신발끈, 신체의 일부 또는 기타 물품이 발판과 스커트가드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방지하는 단 하나의 기능만을 하고 있으며, 감지센서와 브러시 및 차단부재 등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여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안전사고에 대해서는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중지와 같은 대비책 외에는 대비하는 방법이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의 발판과 스커트가드 사이에 이용객의 옷자락, 신발끈, 신체의 일부 또는 기타 물품 등이 끼었더라도 이를 발판의 상부로 밀어 올려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로서,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를 이용하면서 일어나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의 제공에 목적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의 발판과 스커트가드 사이에 이용객의 신체 또는 기타 물품 등이 끼지 않도록 방지하며 또한 끼었더라도 이를 발판의 상부로 밀어 올려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의 안전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의 해결수단으로는 에스컬레이터(1)는 구동부에 의해 순환되는 발판(51)과 상기 발판(51)의 양측에 설치되어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핸드레일(61)을 포함하는 난간(62)이 설치된다. 상기 난간(62)의 하부에는 발판(51)과 동일한 속도로 순환되는 핸드레일(61)의 구동장치를 수용하는 내부패널(63)과 스커트가드(64)가 설치되어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에스컬레이터(1)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이용자의 옷자락, 신발끈, 신체 또는 기타 물품이 발판(51)과 스커트가드(64) 사이에 끼여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를 설치하므로 내부패널(63)의 내측의 스커트가드(64) 사이에 다수개의 안전 볼베어링(10)과 상기의 안전 볼베어링(10)을 지지하는 회전축(20)을 설치하고 상기의 회전축(20)은 발판(51)의 진행방향의 정 반대방향과 5° ~ 25°의 각도를 유지하며 구성된다.
본 발명이 설치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승객들은 각자의 진행방향대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에스컬레이터 발판과 양측 스커트가드 사이에는 타원형으로 된 다수의 안전 볼베어링이 위치하고 안전 볼베어링을 지지하는 회전축은 에스컬레이터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과 5° ~ 25°의 각도를 이루며 설치되므로 승객의 관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안전 볼베어링이 승객의 진행방향과 반대쪽으로 비스듬히 누워 있게 보인다.
상기의 안전 볼베어링을 지지하는 회전축이 에스컬레이터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과 5° ~ 25°의 각도(θ)를 이루며 설치되므로 에스컬레이터 발판과 스커트가드 사이에 이물질이 끼었을 때 발판의 하방으로 말려들어가지 않고 안전 볼베어링에 의해서 이물질이 위로 밀려나게 되고, 또한 진행방향의 반대방향과 안전 볼베어링의 회전축이 5° ~ 25°의 각도(θ)를 이루고 있으므로 에스컬레이터 발판의 상방으로 완전히 밀려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는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를 이용하면서 일어나는 발판과 스커트가드 사이에 이용객의 신체 또는 기타 물품 등이 끼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커트가드의 측면에 다수개의 타원형의 형태를 한 볼베어링을 배치하되 발판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각도를 주도록 설치되므로 기타 물품 등이 발판과 스커트가드 사이에 끼더라도 타원형의 볼베어링에 의해서 깊숙이 들어가지 않고 발판의 진행방향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발판의 상부로 올라오도록 구성되어 현재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를 이용하면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볼베어링에 의해서 끼인 물질이 발판의 상부로 올라오게 되므로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를 비상 정지시키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의 사시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통상적인 에스컬레이터(1)는 구동부에 의해 순환되는 발판(51)과 상기 발판(51)의 양측에 설치되어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핸드레일(61)을 포함하는 난간(62)이 설치된다. 상기 난간(62)의 하부에는 발판(51)과 동일한 속도로 순환되는 핸드레일(61)의 구동장치를 수용하는 내부패널(63)과 스커트가드(64)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에스컬레이터(1)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이용자의 옷자락, 신발끈, 신체 또는 기타 물품이 발판(51)과 스커트가드(64) 사이에 끼여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를 설치한다.
상기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는 이용자의 옷, 신발끈, 신체의 일부 또는 기타 물품이 발판(51)과 스커트가드(64)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볼베어링(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전 볼베어링(10)은 전체 높이가 10~20cm 정도로 구성되고, 전체 높이의 1/2은 발판(51)의 측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나머지 1/2은 스커트가드(64) 내측에 위치하여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각각의 안전 볼베어링(10)의 높이와 지름은 1 ~ 5cm 정도가 바람직하며, 이용자가 에스컬레이터(1)를 이용할 시에 주로 발생하는 발판(51)과 스커트가드(64) 사이에 끼임 사고를 원천적으로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안전 볼베어링(10)을 발판(51)의 양 측면에 설치하여 이용자의 옷, 신발끈, 신체의 일부 또는 기타 물품이 발판(51)과 스커트가드(64)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끼이더라도 안전 볼베어링(10)이 발판(51)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에 대하여 5° ~ 25°의 각도(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끼여있던 이물질이 발판(51)의 하방으로 말려들어가지 않고 발판(51)의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의 측면도로서, 도 2와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통상의 에스컬레이터는 핸드레일(61)을 포함하는 난간(62)이 발판(51)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난간(62)의 하부에 내부패널(63)이 설치되고, 내부패널(63)과 발판(51)이 만나는 면에 스커트가드(64)가 위치한다.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는 상기의 스커트가드(64)의 위치에 안전 볼베어링(10)과 상기의 안전 볼베어링(10)을 지지하는 회전축(20)을 설치하여 안전장치를 구성한다.
상기의 안전 볼베어링(10)을 지지하는 회전축(20)은 에스컬레이터(1)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과 5° ~ 25°의 각도(θ)를 이루기 때문에 안전 볼베어링(10)에 이물질이 끼이더라도 안전 볼베어링(10)이 상방으로 이물질을 밀어내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에스컬레이터(1) 전체를 가동 중단하는 일이 없이 발판(51)이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이물질은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기존의 에스컬레이터(1)에 적용할 시에도 내부 패널(63) 내측에 스커트가드(64)만 교체를 하므로 용이하게 적용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에스컬레이터
10. 안전 볼베어링
20. 회전축
51. 발판
61. 핸드레일
62. 난간
63. 내부패널
64. 스커트가드
θ. 각도

Claims (5)

  1. 구동부에 의해 순환되는 발판(51)과 상기 발판(51)의 양측에 설치되어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핸드레일(61)을 포함하는 난간(62)이 설치되며, 상기 난간(62)의 하부에는 발판(51)과 동일한 속도로 순환되는 핸드레일(61)의 구동장치를 수용하는 내부패널(63)과 스커트가드(64)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통상의 에스컬레이터(1)에서,
    상기의 스커트 가드(64) 사이에 위치하며 높이와 지름이 1 ~ 5cm 범위인 안전 볼베어링(10)과; 상기의 안전 볼베어링(20)을 지지하는 회전축(20)으로 구성되며,
    상기의 회전축(20)과 에스컬레이터(1) 이동방향의 정 반대방향 사이의 각도(θ)는 5° ~ 25°의 범위이고, 회전축(20) 당 안전 볼베어링(10)의 개수는 5 ~ 10개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안전 볼베어링(10)의 소재는 탄성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KR1020120140526A 2012-12-05 2012-12-05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KR101406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526A KR101406260B1 (ko) 2012-12-05 2012-12-05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526A KR101406260B1 (ko) 2012-12-05 2012-12-05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704A KR20140072704A (ko) 2014-06-13
KR101406260B1 true KR101406260B1 (ko) 2014-06-17

Family

ID=51126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526A KR101406260B1 (ko) 2012-12-05 2012-12-05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7895A1 (de) 2019-04-12 2020-10-15 Inventio Ag Seitenüberwachungseinrichtung für eine personentransportanl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175Y1 (ko) 1998-12-19 2000-05-15 가람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브러시 장치
KR200315562Y1 (ko) * 2003-03-21 2003-06-02 정창설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장치
KR100789485B1 (ko) 2006-12-04 2008-01-02 남승우 안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JP2011219195A (ja) 2010-04-06 2011-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175Y1 (ko) 1998-12-19 2000-05-15 가람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브러시 장치
KR200315562Y1 (ko) * 2003-03-21 2003-06-02 정창설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장치
KR100789485B1 (ko) 2006-12-04 2008-01-02 남승우 안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JP2011219195A (ja) 2010-04-06 2011-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7895A1 (de) 2019-04-12 2020-10-15 Inventio Ag Seitenüberwachungseinrichtung für eine personentransportanlage
US11661317B2 (en) 2019-04-12 2023-05-30 Inventio Ag Side monitoring device for a passenger transpor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704A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243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laser
EP3889093A1 (en) Escalator handrail washing device
KR101406260B1 (ko)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SI1828506T1 (sl) Dvigovalna ploščad za motorna vozila in materiale in naprava za delovanje
KR20110114807A (ko) 자전거 계단 이송기
KR100789485B1 (ko) 안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JP3144945U (ja) 移動手すりを備えたコンベアの安全装置
CN107628510A (zh) 一种卧式便捷代步爬楼器
EP3533746B1 (en) Passenger conveying device having an antipinch structure
KR101121896B1 (ko)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
JP5567089B2 (ja) 乗客コンベアの乗降板検出装置
JPS6122940Y2 (ko)
CN212198105U (zh) 一种具有防夹防护的商场电梯
CN220787766U (zh) 一种商场扶梯用的安全防护装置
JP5567090B2 (ja) 乗客コンベア
CN219296916U (zh) 一种无井道家用电梯楼层隔档装置
CN210438242U (zh) 一种老年人上楼辅助装置
CN210029706U (zh) 一种电梯驱动防下沉装置
JPH08113443A (ja) 乗客コンベア装置
JP2011225308A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安全装置
KR102039898B1 (ko) 카트충돌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
JPH048187Y2 (ko)
KR20170130080A (ko) 자전거를 지하철 계단 위 아래로 이동시켜주는 레버
CN117416842A (zh) 自动扶梯的人流抑制装置
RU2563076C1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