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478B1 - 가스켓용 소재 - Google Patents

가스켓용 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478B1
KR102043478B1 KR1020147019673A KR20147019673A KR102043478B1 KR 102043478 B1 KR102043478 B1 KR 102043478B1 KR 1020147019673 A KR1020147019673 A KR 1020147019673A KR 20147019673 A KR20147019673 A KR 20147019673A KR 102043478 B1 KR102043478 B1 KR 102043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uororubber
polyol
phenol resin
tertiary 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9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947A (ko
Inventor
타쿠미 아리사와
히데하루 아오야기
켄이치로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9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18Flat gas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polydienes homopolymers or poly-halodienes hom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condensation resins of aldehydes, e.g. with phenols, ureas or mel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3/1006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nature of one of its constituents
    • C09K3/1009Fluorinated polymers, e.g. PT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7Ceram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7Ceramic
    • B32B2264/108Carbon, e.g. graphi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4Inert, i.e. inert to chemical degradation, corro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81/00Seals; Sealing equipment; Gas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214/18Monomers containing fluorine
    • C08F214/20Vinyl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214/18Monomers containing fluorine
    • C08F214/20Vinyl fluoride
    • C08F214/205Vinyl fluoride with non-fluorinated co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003/1034Material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specific properties
    • C09K2003/1068Crosslinkabl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2Inorganic compounds
    • C09K2200/0243Silica-rich compounds, e.g. silicates, cement, glass
    • C09K2200/0247Silic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18Flat gaskets
    • F16J2015/0856Flat gaskets with a non-metallic coating or str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4Of fluorinate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544Addition polymer is perhalogen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크로메이트 피막 또는 비-크로메이트 피막, 페놀수지 프라이머층, 폴리올 가교 불소 고무층이 해당 강판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고, 해당 폴리올 가교 불소 고무층은, 불소 고무와, 폴리올계 가교제와, 아민계 가교 촉진제와, 실리카를 함유하는 불소 고무 조성물을, 해당 페놀수지 프라이머층에 도포하고, 이어서, 가열하여 얻어지는 고무층이며, 해당 아민계 가교 촉진제가, 3급 아민, 또는 3급 아민과 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3급 아민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용 소재.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엔진에 장착되는 가스켓의 실제 사용 환경하에서, 이종 금속과 접촉한 상태로 사용해도 물이나 부동액과 접촉하는 부위의 고무 박리가 생기지 않으며, 연소실 주위의 시일 부위에서 고무층의 마모, 층간 박리가 잘 생기지 않는 가스켓용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켓용 소재{MATERIAL FOR GASKET}
본 발명은 가스켓용 소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의 엔진에 장착되는 가스켓, 특히 헤드 가스켓용으로, 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크롬 화합물, 인산,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하고, 크로메이트 피막 상에, 고무층을 적층한 가스켓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특허문헌 1).
그런데, 최근, 환경상의 문제로 인해, 크로메이트 피막 대신에 비-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한 가스켓재도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특허문헌 2).
그리고, 비-크로메이트 피막에는,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한 가스켓용 소재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물이나 부동액에 대해 내액밀착성이 있을 필요가 있다.
그래서, 내액밀착성이 높은 비-크로메이트 피막으로, 예를 들어, 특허문헌 3에는, 비-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한 가스켓용 소재로서, 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실리카와 산성분과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과의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지는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특개평3-227622호(특허청구의 범위) 특허문헌 2: 특개2002-264253호(특허청구의 범위) 특허문헌 3: 특허제4566535호(특허청구의 범위)
그러나, 인용문헌 3의 가스켓용 소재에서는, 실제 사용 환경에서, 특히 알루미늄제 엔진의 헤드 가스켓으로 사용하면, 물이나 부동액의 전해액 안에서 이종 금속이 접촉하기 때문에, 알루미늄제 엔진(애노드측)과 가스켓 강판(캐소드측) 사이에 전지반응이 일어나, 접착력이 저하한다.
또한, 헤드 가스켓은 고온, 고면압, 가진(加振)이라고 하는 가혹한 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연소실 주위의 시일 부위에서 고무층의 마모나 고무층과 프라이머층의 층간 박리로 인해, 연소가스, 부동액, 오일 등의 누설이 생기는 문제가 일어나기 쉽다. 특히 불소 고무의 폴리올 가교에서, 포스포늄염계 가교 촉진제를 이용한 경우, 고무층과 프라이머층의 층간 접착성이 불충분해져, 연소실 주위의 시일 환경에서, 고무 박리를 일으키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엔진에 장착되는 가스켓의 실제 사용 환경하에서, 이종 금속과 접촉한 상태로 사용해도 물이나 부동액과 접촉하는 부위의 고무 박리가 생기지 않으며, 연소실 주위의 시일 부위에서 고무층의 마모, 층간 박리가 잘 생기지 않는 가스켓용 소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는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즉, 본 발명은, 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크로메이트 피막 또는 비-크로메이트 피막, 페놀수지 프라이머층, 폴리올 가교 불소 고무층이, 해당 강판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고,
해당 폴리올 가교 불소 고무층은, 불소 고무와, 폴리올계 가교제와, 아민계 가교 촉진제와, 실리카를 함유하는 불소 고무 조성물을, 해당 페놀수지 프라이머층에 도포하고, 이어서, 가열하여 얻어지는 고무층이며, 해당 아민계 가교 촉진제가, 3급 아민, 또는 3급 아민과 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3급 아민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용 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엔진에 장착되는 가스켓의 실제 사용 환경하에서, 이종 금속과 접촉한 상태로 사용해도 물이나 부동액과 접촉하는 부위의 고무 박리가 생기지 않으며, 연소실 주위의 시일 부위에서 고무층의 마모, 층간 박리가 잘 생기지 않는 가스켓용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켓용 소재는, 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크로메이트 피막 또는 비-크로메이트 피막, 페놀수지 프라이머층, 폴리올 가교 불소 고무층이 해당 강판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고,
해당 폴리올 가교 불소 고무층은, 불소 고무와, 폴리올계 가교제와, 아민계 가교 촉진제와, 실리카를 함유하는 불소 고무 조성물을, 해당 페놀수지 프라이머층에 도포하고, 가열하여 얻어지는 고무층이며, 그 아민계 가교 촉진제가, 3급 아민, 또는 3급 아민과 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3급 아민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용 소재이다.
본 발명의 가스켓용 소재에 관련된 강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스테인리스(페라이트계/마르텐사이트계/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철,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켓용 소재에 관련된 크로메이트 피막은, 강판 상에 형성되는 피막이며, 크롬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막이다. 크로메이트 피막으로는, 크롬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막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크롬 화합물은, 크롬 원자의 산화물, 수산화, 불화물 등의 크롬 원자를 가지는 화합물이다. 또한, 크로메이트 피막은, 크롬 화합물 이외에, 이하에 나타내는 크롬 이외의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가스켓용 소재에 관련된 비-크로메이트 피막은, 강판 상에 형성되는 피막이며, 크롬 화합물 이외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이다. 비-크로메이트 피막으로는, 크롬 화합물 이외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비-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하는 크롬 화합물 이외의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Si, P, Al, Zr, Ti, Zn, Mg 등을 가지는 화합물이며, 이들 원자의 산화물, 수산화물, 불화물 등의 논크롬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비-크로메이트 피막으로는, 적어도 Si, P, Al 및 Zr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자를 가지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크롬 화합물 이외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비-크로메이트 피막, 바람직하게는 Si, P, Al 및 Zr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자를 가지는 화합물만으로 이루어지는 비-크로메이트 피막을 들 수 있다.
강판 상에 크로메이트 피막 또는 비-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상기 크롬 화합물 또는 크롬 화합물 이외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처리액을, 롤 코터 등의 공지의 도포수단을 이용하여, 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고, 이어서, 150∼250℃ 정도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크로메이트 피막 또는 비-크로메이트 피막의 피막량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용상 50∼500mg/m2 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스켓용 소재에 관련된 페놀수지 프라이머층은, 페놀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이다. 프라이머층에 관련된 페놀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노볼락형 페놀수지, 레졸형 페놀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노볼락형 페놀수지가 바람직하다. 페놀수지는, 1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의 조합이어도 된다.
크로메이트 피막 또는 비-크로메이트 피막 상에 페놀수지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페놀수지를 소정량 칭량하여, 적당한 용제에 용해시킨 처리액을, 롤 코터 등의 공지의 도포수단을 이용하여, 크로메이트 피막 또는 비-크로메이트 피막 상에 도포하고, 이어서, 120℃∼250℃ 정도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가열되는 동안, 크로메이트 피막 또는 비-크로메이트 피막과 페놀수지 프라이머층이 강하게 접착된다. 페놀수지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용상 1∼10㎛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페놀수지 프라이머층 형성용 처리액은, 커플링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되고, 그 경우, 처리액 중의 고형분에서 차지하는 커플링제의 배합량은, 0.5∼20질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스켓용 소재에 관련된 폴리올 가교 불소 고무층은, 불소 고무와, 폴리올계 가교제와, 아민계 가교 촉진제와, 실리카를 함유하는 불소 고무 조성물을, 페놀수지 프라이머층에 도포하고, 이어서, 가열하여 얻어지는 고무층이며, 해당 아민계 가교 촉진제가, 3급 아민, 또는 3급 아민과 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3급 아민의 염인 고무층이다.
불소 고무 조성물에 관련된 불소 고무는, 폴리올 가교제로 폴리올 가교 가능한 불소 고무이다. 이러한 불소 고무로는, 종래 공지의 것이 널리 이용되지만, 예를 들어,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불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불소 고무 조성물에 관련된 폴리올 가교제는, 불소 고무와 반응하여 가교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폴리올 가교제로는, 비스페놀류가 바람직하다. 폴리올 가교제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 2,2-비스(4-히드록시페닐)퍼플루오로프로판[비스페놀 AF], 1,3-디히드록시벤젠, 4,4'-디히드록시디페닐, 4,4'-디히드록시디페닐메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등의 폴리히드록시 방향족 화합물이나, 이들의 알칼리금속염 또는 알칼리토금속염을 들 수 있고, 비스페놀 A, 비스페놀 AF나 이들의 알칼리금속염 또는 알칼리토금속염이 바람직하다.
불소 고무 조성물 중 폴리올 가교제의 함유량은, 불소 고무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지만, 통상, 불소 고무 100질량부에 대해 0.5∼1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2∼8질량부이다.
불소 고무 조성물에 관련된 아민계 가교 촉진제는, 3급 아민 또는 3급 아민의 염이다. 아민계 가교 촉진제에 관련된 3급 아민의 염은, 3급 아민과 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3급 아민의 염이며, 3급 아민에 산의 수소이온이 부가된 3급 암모늄 카티온과, 그 산의 수소이온의 카운터 아니온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염이다. 아민계 가교 촉진제로서 이용되는 3급 아민은, 그 산해리상수(pKa)가 8.5∼14, 바람직하게는 11∼14의 아민이다. 아민계 가교 촉진제로서 이용되는 3급 아민의 염의 원료가 되는 3급 아민은, 그 산해리상수(pKa)가 8.5∼14, 바람직하게는 11∼14의 아민이다. 다만, 3급 아민의 산해리상수(pKa)는, 물을 용매로 했을 때 25℃에서의 값이다.
아민계 가교 촉진제로서 이용되는 3급 아민으로는, 산해리상수가 상기 범위에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센-7[DBU], 1,5-디아자비시클로(4,3,0)노넨-5[DBN],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DABCO],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민계 가교 촉진제로서 이용되는 3급 아민의 염의 원료가 되는 3급 아민으로는, 산해리상수가 상기 범위에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센-7[DBU], 1,5-디아자비시클로(4,3,0)노넨-5[DBN],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DABCO],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아민계 가교 촉진제로서 이용되는 3급 아민의 염으로는, 예를 들어,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센-7[DBU]의 염, 1,5-디아자비시클로(4,3,0)노넨-5[DBN]의 염을 들 수 있다. DBU의 염 또는 DBN의 염의 종류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DBU-페놀염(DBU와 페놀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염), DBU-옥틸산염(DBU와 옥틸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염), DBU-톨루엔설폰산염(DBU와 톨루엔설폰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염), DBU-포름산염(DBU와 포름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염), DBN-옥틸산염(DBN와 옥틸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민계 가교 촉진제로서 이용되는 3급 아민의 염으로는, 그 밖에, 예를 들어, 트리메틸아민염 또는 트리에틸아민염을 들 수 있다. 아민계 가교 촉진제는, 1종 단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의 조합이어도 된다.
불소 고무 조성물 중 아민계 가교 촉진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제조조건에 맞춘 가교속도가 되도록, 적절히 선택된다.
또한, 불소 고무 조성물은, 가교 촉진제로서, 아민계 가교 촉진제 외에도, 제4급 포스포늄염계의 가교 촉진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불소 고무 조성물에 관련된 실리카는, 종래 공지의 합성 실리카를 이용할 수 있다. 합성 실리카로는, 습식법으로 합성된 습식 실리카여도 되고, 건식법으로 합성된 건식 실리카여도 되며, 이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습식 실리카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Nipsil AQ, Nipsil VN3, Nipsil LP, Nipsil ER, Nipsil NA, Nipsil K-500, Nipsil E-200, Nipsil E-743, Nipsil E-74P, Nipsil SS-10, Nipsil SS-30P, Nipsil SS-100(모두 도소실리카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건식 실리카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에로질 50, 아에로질 130, 아에로질 200, 아에로질 300, 아에로질 380, 아에로질 R972, 아에로질 TT600, 아에로질 MOX80, 아에로질 MOX170(모두 니혼아에로질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카 표면에는 산성도가 높은 실란올기가 있기 때문에, 실리카는, 캐소드 반응에 의해 생긴 수산화물 이온을 중화할 수 있으므로, 고무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불소 고무 조성물 중 실리카의 함유량은, 불소 고무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200질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0∼100질량부이다. 불소 고무 조성물 중 실리카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게 되면, 고무 박리를 억제한다고 하는 효과가 높아진다. 불소 고무 조성물 중 실리카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넘으면, 고무의 가교반응이 저해되어, 초기 밀착성이 낮아지기 쉽다.
불소 고무 조성물은, 상기 배합 성분 외에, 가교촉진조제로서, 산화 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칼슘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불소 고무 조성물은, 카본블랙, 탄산칼슘, 클레이, 규회석, 운모, 탈크 등의 충전재를 함유할 수 있다.
불소 고무 조성물은, 불소 고무와, 폴리올계 가교제와, 아민계 가교 촉진제와, 실리카와,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미가교 고무 조성물이다. 불소 고무 조성물은, 예를 들어, 불소 고무, 폴리올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 촉진제, 실리카 및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다른 성분을, 혼련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그리고, 폴리올 가교 불소 고무층은, 불소 고무 조성물을, 페놀수지 프라이머층 상에 도포하고, 이어서, 가열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고무층이다. 폴리올 가교 불소 고무층을, 페놀수지 프라이머층 상에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불소 고무 조성물을 조제하여, 유기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거나, 혹은, 불소 고무 조성물의 각 성분을 각각, 유기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불소 고무 조성물액을 조제하고, 이어서, 나이프 코터, 롤 코터, 스크린 인쇄 등으로, 페놀수지 프라이머층 상에, 불소 고무 조성물액을 도공하는 것에 의해, 불소 고무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어서, 가열하는 것에 의해, 폴리올 가교제에 의한 가교 반응을 하여, 폴리올 가교 불소 고무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유기용제로는, 불소 고무 조성물을 용해 또는 분산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메틸에틸케톤, 메틸프로필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유기용제가 바람직하다. 불소 고무 조성물액 중 불소 고무 조성물의 함유량은, 도공성을 고려하면, 불소 고무 조성물액 전량에 대해 10∼50질량%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페놀수지 프라이머층과 폴리올 가교 불소 고무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불소 고무 조성물액을 조제할 때, 불소 고무 조성물액에 커플링제를 첨가할 수 있다. 커플링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아민계 실란커플링제가 바람직하다. 아민계 실란커플링제로는,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디부티덴)프로필아민,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에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불소 고무 조성물액에 대한 실란커플링제의 첨가량은, 불소 고무 100질량부에 대해 1∼5질량부가 바람직하다. 또한, 불소 고무 조성물액의 도공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가열 가교 후의 폴리올 가교 불소 고무층의 두께가 15∼30㎛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가열 가교 후의 불소 고무 조성물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가 되도록, 불소 고무 조성물액을 도공한다. 또한, 불소 고무 조성물층을 가열하고, 가교 반응을 실시할 때의 가열 조건은, 양호한 가교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가열온도가 150∼200℃이며, 가열시간이 5∼30분간이다.
본 발명의 가스켓용 소재는, 차량의 엔진에 장착되는 가스켓, 특히 헤드 가스켓으로, 적합하게 이용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기재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시료의 제작>
알칼리 탈지한 스테인리스강판의 양면에, 롤 코터로, Si, P, Al 및 Zr을 함유하고 Cr은 함유하지 않는 비-크로메이트 피막 형성용 처리액을 도포하고, 도막을 180℃에서 건조시켜, 비-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했다. 이어서, 비-크로메이트 피막 상에 노볼락형 페놀수지(스미토모베이크라이트 제조, PR-12987)를 메틸에틸케톤으로 녹인 액(고형분 농도 5%)을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페놀수지 프라이머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페놀수지 프라이머층 상에, 표 1에 나타내는 불소 고무 조성물을 메틸에틸케톤에 혼합하여 조제한 불소 고무 조성물액(고형분 농도 30%)을 롤 코터로 도포하고, 200℃로 10분간 가교 가열하여, 폴리올 가교 불소 고무층을 형성하여, 가스켓용 소재를 얻었다.
<평가방법>
제작한 가스켓용 소재에 대해, 이하에 설명하는 (1) 전지반응시험과 (2) 가열압축진동시험의 2가지 시험에 의해 평가했다.
(전지반응시험)
가스켓용 소재 단부의 고무층을 박리하여 스테인리스강판을 노출시킨 시료와 알루미늄판의 단부를 도선으로 잇고, 5% 황산나트륨 수용액 내에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반침지 상태로, 90℃에서 500시간 유지했다. 시료를 꺼내, 시료 표면에 2mm 간격의 정사각형으로 칼집을 내고, 100개의 정사각형을 형성한 뒤, 테이프 박리 시험을 실시하여, 정사각형의 잔존수를 평가했다.
(가열압축진동시험)
가스켓용 소재와 심 플레이트를 적층한 상태로 플랜지에 장착하고, 230℃에서 가열압축한 상태로 소정 주파수의 진동을 더해, 면압을 8MPa 내지 140MPa의 범위에서 주기적으로 변동시켰다. 시험 후에 플랜지를 개방하고, 심이 눌린 부분에 대해, 가스켓 소재의 고무층 박리의 정도를 아래 기준으로 평가했다.
<<평가 기준>>
5점: 고무층이 유동 변형·박리되지 않았다.
4점: 고무층이 약간 유동 변형되었다.
3점: 고무층이 분명하게 유동 변형되었지만, 강판은 노출되지 않았다.
2점: 고무층의 유동 변형은 적지만, 강판이 노출되었다.
1점: 고무층이 분명하게 유동 변형되었고, 강판이 노출되었다.
<결과>
표 1에 시험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5는, 전지반응시험 및 가열압축진동시험에 있어서, 고무 박리가 보이지 않았다. 한편, 실리카를 배합하지 않은 비교예 1에서는, 전지반응시험에서 고무 박리가 보였고, 또한, 포스포늄염계 가교 촉진제를 사용한 비교예 2에서는 가열압축진동시험에서 고무 박리가 보였다.
[표 1]
Figure 112014066395198-pct00001
<<표 1 중의 성분>>
불소 고무: 듀퐁 제조 바이톤 E45
MT 카본: Cancarb 제조 Thermax N990
습식실리카: 도소·실리카 제조 Nipsil ER
건식실리카: 닛폰아에로질 제조 아에로질 200
수산화칼슘: 오오미카가쿠 제조 칼엠
산화마그네슘: 교와카가쿠 제조 교와마그 #150
폴리올 가교제: 듀퐁 제조 큐라티브 #30
DBU염계 가교 촉진제: 산아프로 제조 U-CAT SA506
DBN염계 가교 촉진제: 산아프로 제조 U-CAT 1102
포스포늄염계 가교 촉진제: 듀퐁 제조 큐라티브 #20
이종 금속과 접촉한 상태로 사용해도 물이나 부동액과 접촉하는 부위의 고무 박리가 생기지 않는 가스켓용 소재를 얻을 수 있으므로 가스켓의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크로메이트 피막 또는 비-크로메이트 피막, 페놀수지 프라이머층, 폴리올 가교 불소 고무층이, 해당 강판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고,
    해당 폴리올 가교 불소 고무층은, 불소 고무와, 폴리올계 가교제와, 아민계 가교 촉진제와, 실리카를 함유하는 불소 고무 조성물을, 해당 페놀수지 프라이머층에 도포하고, 이어서, 가열하여 얻어지는 고무층이며, 해당 아민계 가교 촉진제가, 3급 아민, 또는 3급 아민과 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3급 아민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용 소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크로메이트 피막은, 적어도 Si, P, Al 및 Zr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자를 가지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용 소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급 아민의 산해리상수(pKa)가, 8.5∼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용 소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가교 불소 고무층 내의 실리카 함유량이, 불소 고무 100질량부에 대해 1∼200질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용 소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가교 촉진제가,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센-7염 또는 1,5-디아자비시클로(4,3,0)노넨-5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용 소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고무가,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공중합체 및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불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용 소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계 가교제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퍼플루오로프로판, 1,3-디히드록시벤젠, 4,4'-디히드록시디페닐, 4,4'-디히드록시디페닐메탄 및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히드록시 방향족 화합물 및 이들의 알칼리금속염 및 알칼리토류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용 소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수지 프라이머층이, 페놀 수지와 임의로 커플링제로부터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용 소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수지 프라이머층이, 페놀 수지와 임의로 커플링제만으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용 소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계 가교제의 함유량이, 불소 고무 100질량부에 대하여 0.5~10질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용 소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고무 조성물이, 추가로, 수산화칼슘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용 소재.
  12.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엔진에 장착되었을 때, 이종 금속과 접촉한 상태로 사용해도 물 또는 부동액과 접촉하는 부위의 고무 박리가 생기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용 소재.
KR1020147019673A 2012-01-17 2013-01-16 가스켓용 소재 KR102043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20292 2012-01-17
JP2012020292 2012-01-17
PCT/JP2013/050659 WO2013108779A1 (ja) 2012-01-17 2013-01-16 ガスケット用素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947A KR20150009947A (ko) 2015-01-27
KR102043478B1 true KR102043478B1 (ko) 2019-11-11

Family

ID=4879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9673A KR102043478B1 (ko) 2012-01-17 2013-01-16 가스켓용 소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38325B2 (ko)
EP (1) EP2806192B1 (ko)
JP (1) JP6059664B2 (ko)
KR (1) KR102043478B1 (ko)
CN (1) CN104053933B (ko)
WO (1) WO20131087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9276B2 (ja) * 2017-11-24 2021-06-18 Nok株式会社 ガスケット素材
JP6820369B2 (ja) * 2019-02-27 2021-01-27 ニチアス株式会社 ガスケット用素材
CN114746520B (zh) * 2019-12-06 2023-06-06 Nok株式会社 涂布液和使用该涂布液的氟橡胶金属层叠板
JP2023113432A (ja) * 2022-02-03 2023-08-16 株式会社バルカー 環状積層体、シール材および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6064A (ja) * 2004-01-13 2005-08-25 Nok Corp 加硫接着剤組成物
JP2006070132A (ja) 2004-09-01 2006-03-16 Daikin Ind Ltd フッ素ゴム塗料用組成物
JP2006218629A (ja) * 2005-02-08 2006-08-24 Nok Corp フッ素ゴム−金属積層ガスケット素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207B2 (ja) * 1976-12-16 1985-02-02 旭硝子株式会社 含フツ素エラストマーの製造方法
JPS62104863A (ja) * 1985-10-31 1987-05-15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フツ素ゴム組成物
JPH03227622A (ja) 1990-02-02 1991-10-08 Nippon Stainless Steel Co Ltd ゴムコーティングステンレス鋼板
JP4168480B2 (ja) * 1998-02-27 2008-10-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ッ素ゴム水性塗料組成物および被覆物品
DE60134851D1 (de) 2000-05-24 2008-08-28 Kaneka Corp Härtbare zusammensetzungen und kompatibilitätsmittel
CN1252147C (zh) * 2000-05-24 2006-04-19 钟渊化学工业株式会社 可固化的组合物
JP2002264253A (ja) 2001-03-12 2002-09-18 Nisshin Steel Co Ltd ガスケット用表面処理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ガスケット
JP2004010808A (ja) * 2002-06-10 2004-01-15 Shin Etsu Chem Co Ltd フッ素ゴム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35789A (ja) * 2002-07-05 2004-02-05 Nippon Leakless Corp ガスケット素材
CN100453857C (zh) 2002-07-05 2009-01-21 日本利克雷斯工业株式会社 垫片材料
US7354047B2 (en) 2002-09-13 2008-04-08 Nichias Corporation Gasket material
JP4566535B2 (ja) 2002-09-13 2010-10-20 ニチアス株式会社 ガスケット用素材
JP2010275560A (ja) * 2010-08-10 2010-12-09 Nichias Corp パーフルオロ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6064A (ja) * 2004-01-13 2005-08-25 Nok Corp 加硫接着剤組成物
JP2006070132A (ja) 2004-09-01 2006-03-16 Daikin Ind Ltd フッ素ゴム塗料用組成物
JP2006218629A (ja) * 2005-02-08 2006-08-24 Nok Corp フッ素ゴム−金属積層ガスケット素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6192A4 (en) 2015-09-02
CN104053933B (zh) 2016-10-26
US20140363679A1 (en) 2014-12-11
JPWO2013108779A1 (ja) 2015-05-11
EP2806192B1 (en) 2018-08-08
WO2013108779A1 (ja) 2013-07-25
US9638325B2 (en) 2017-05-02
KR20150009947A (ko) 2015-01-27
CN104053933A (zh) 2014-09-17
JP6059664B2 (ja) 2017-01-11
EP2806192A1 (en) 201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1029B1 (en) Fluororubber/metal layered gasket material
JP6934312B2 (ja) ゴム金属積層体およびガスケット
KR102043478B1 (ko) 가스켓용 소재
KR101884695B1 (ko) 고무-금속 적층 개스킷 소재
JP4483610B2 (ja) フッ素ゴム−金属積層ガスケット素材
JP6103072B2 (ja) ニトリルゴム−金属積層ガスケット素材
JP4483611B2 (ja) ニトリルゴム−金属積層ガスケット素材
KR101641590B1 (ko) 불소 고무-금속 적층판
JP2006218630A5 (ko)
JP2005299823A (ja) ゴム−金属積層ガスケット素材
JP2007038533A (ja) ゴム金属積層体
CN113543969B (zh) 垫片用原材料
JP4407424B2 (ja) フッ素ゴム−金属積層ガスケット素材
JP2005249031A (ja) ゴム−金属積層ガスケット素材
JP4617737B2 (ja) ニトリルゴム−金属積層ガスケット素材
JP2008075808A (ja) 船舶用(水素化)ニトリルゴム−金属積層ガスケット素材
JP2006206616A (ja) プライマー組成物
JP2009084453A (ja) ガスケット用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4122700A1 (en) Rubber-metal laminate and gasket
KR20190114660A (ko) 비스페놀계 접착제 사용시 금속과의 접착력이 향상된 불소고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