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040B1 - 다중화된 센서매스를 갖는 차량감응센서 - Google Patents

다중화된 센서매스를 갖는 차량감응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040B1
KR102043040B1 KR1020187009284A KR20187009284A KR102043040B1 KR 102043040 B1 KR102043040 B1 KR 102043040B1 KR 1020187009284 A KR1020187009284 A KR 1020187009284A KR 20187009284 A KR20187009284 A KR 20187009284A KR 102043040 B1 KR102043040 B1 KR 102043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ass
belt retractor
self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9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8973A (ko
Inventor
로날드 자부쉬
우워 에버스
아니루다 데쉬판드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180048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5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to belt movement and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부(4), 계합점(3)을 포함하는 잠금레버(2), 및 상기 잠금레버(2)에 결합되고 상기 캐리어부(4)의 지지면(5) 상에 직립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캐리어부(4)에 대해 틸팅가능한 센서매스(Sensor mass)(1)를 포함하는 자체잠금식 벨트 리트랙터용 차량감응센서에 있어서, 상기 센서매스(1)는 제1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5) 상에 안착되는 센서부(6) 및 제2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6)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면(5) 상부에 배치되는 매스부(Mass part)(7)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6)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매스부(7)를 형성하는 상기 제2 소재보다 낮은 밀도 및 낮은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잠금식 벨트 리트랙터용 차량감응센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화된 센서매스를 갖는 차량감응센서
본 발명은 캐리어부, 계합점을 포함하는 잠금레버, 및 상기 잠금레버에 결합되고 상기 캐리어부의 지지면 상에 직립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캐리어부에 대해 틸팅가능한 센서매스(Sensor mass)를 포함하는 자체잠금식 벨트 리트랙터용 차량감응센서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센서는 DE 195 39 619 C2에 공지되어있다. 이러한 종류의 센서는 자체잠금식 벨트 리트랙터의 벨트 리트랙터 샤프트용 블로킹 시스템에 사용되며, 트리거되는 경우 안착된 차량감응식 센서매스는 잠금레버를 이동시켜 상기 잠금레버의 계합점이 제어디스크의 기어와 계합되도록 하여, 상기 제어디스크가 상기 벨트 리트랙터 샤프트와의 공동 회전운동 중에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블로킹 시스템을 작동시킨다. 상기 차량감응센서는 자동차의 운행 중에 원치 않는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문헌 DE 195 39 619 C2에서, 상기 센서의 각 기능적 요소들을 연성의 고무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하는 것이 제안되었으나, 이와 같이 형성된 센서매스는 차량이 가속할 때 지지면 상으로 틸팅되기 위하여 비교적 대형의 복잡한 지오메트리를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공지된 센서의 경우, 상기 잠금레버가 낙하시험에서 센서에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상기 지지면에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센서매스가 일방향으로 틸팅되지 못하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
DE 27 36 025 A1, US 2008/0 029 635 A1 및 DE 10 2009 052 495 A1은 각각 차량감응시스템을 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기재된 문제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는 것으로, 특히 낙하시험 후에도 여전히 작동되는 차량감응센서를 한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항에 기재된 특징을 갖는 센서에 의해 달성된다. 센서의 개발에 따른 추가적인 장점들은 종속항 및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개발에 따른 추가적인 장점들의 각 특징들은 기술적으로 의미 있는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은 전술한 특징들을 갖는 차량감응센서에 있어서, 잠금레버가 센서매스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계합점에 대향하는 측에 위치한 캐리어부의 일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상기 센서매스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감응센서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낙하시험에서 상기 잠금레버가 상기 센서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합점을 포함하는 상기 잠금레버의 측은 상기 센서매스를 지나 돌출하며, 둘째로, 그 대향하는 측은 상기 센서매스를 지나 돌출한다. 상기 캐리어부는 부분적으로 상기 계합점에 대향하여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횡단면의 모든 측에서 상기 잠금레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된다. 그러나, 안착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잠금레버는 모든 영역에서 상기 캐리어부와 접촉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잠금레버 및 상기 캐리어부의 중첩영역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센서매스가 틸팅될 때 상기 잠금레버가 외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상기 차량감응센서가 심하게 편향되는 경우에 상기 잠금레버가 상기 센서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치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매스는 제1 소재로 형성되고 지지면 상에 안착되는 센서부 및 제2 소재로 형성되고 특히 끼워맞춤 방식으로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면 상부에 배치되는 매스부(Mass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매스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2 소재보다 낮은 밀도 및 낮은 경도를 갖는다.
삭제
따라서, 센서매스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며, 사용시에 상기 캐리어부, 특히 상기 캐리어부의 지지면과 접촉할 수 있는 상기 센서매스의 영역들은 상대적으로 연성의 경량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연성 소재는 다른 물체와 접촉할 때 진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소음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면 상부에 배치되는 고밀도 매스부는 상대적으로 작은 체적에도 불구하고 상기 센서매스가 차량 가속시 상기 지지면 상에 안정적으로 틸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매스는 소음 방출을 방지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작은 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감응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상기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잠금레버의 대각방향으로 상기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잠금레버의 종방향으로 상기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7은 잠금레버의 대각방향으로 상기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잠금레버의 종방향으로 상기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차량감응센서는 캐리어부에 의해 자체잠금식 벨트 리트랙터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부는 특히 평평한 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에 배치될 센서매스(Sensor mass)의 일부분은, 상기 센서를 수평정렬함으로써 상기 센서매스가 상기 지지면 상에 직립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낮은 가속도하에서도 상기 지지면 상에서 소정의 특정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게 설계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매스는 잠금레버에 결합되어, 상기 센서매스를 틸팅함으로써 상기 잠금레버가 편향되고 제어디스크와 계합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소재는 연성 플라스틱이고, 제2 소재는 경성 플라스틱이다. 또는, 상기 제2 소재가 금속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서매스는 2-부품 사출성형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서 센서부 및 매스부(Mass part)가 서로 독립적으로 제조된 후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매스부에 특히 간섭 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된다.
삭제
특히, 틸트축(Tilt axis)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캐리어부의 상기 지지면 및 상기 캐리어부 상의 상기 잠금레버의 상기 계합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기 캐리어부는 이 접촉영역에서도 상기 잠금레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또한, 이 (횡단면) 영역에서, 상기 캐리어부의 상기 중첩영역 및 상기 잠금레버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센서매스를 틸팅할 때 상기 잠금레버가 편향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캐리어부가 상기 센서매스의 양측에서 상기 잠금레버와 중첩될 때,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센서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매스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상기 잠금레버의 일부분은 상기 잠금레버의 틸팅되는 측을 따라, 그리고 상기 잠금레버의 하부측을 따라 상기 센서매스와 접촉하고, 접촉영역에서 구형을 갖는다. 특히,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지지면 상부에서 상기 센서매스와 중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상기 센서매스가 상기 지지면 상에서 틸팅될 때,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센서매스와의 상기 접촉영역에서 상승되므로, 상기 잠금레버는 편향되고 상기 잠금레버의 상기 계합점이 상기 제어디스크와 계합된다. 상기 접촉영역의 구형 디자인으로 인해, 이러한 편향은 제로-공차 방식(Zero-clearance manner)으로 가능하다.
특히, 이와 관련하여, 상기 잠금레버의 연장된 부분은 적어도 상기 센서부의 일부분 및 상기 매스부의 일부분 사이의 부분들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매스부가 상기 센서부에 간섭 끼워맞춤식 연결에 의해 조립되는 공정에서, 특히 상기 잠금레버가 상기 센서에 부착될 때 사용된다.
상기 매스부를 상기 센서부에 간섭 끼워맞춤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특히 상기 매스부 상에 적어도 하나의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노치 내로 상기 센서부 상에 형성된 스프링 아암(Spring arm)의 후크들의 단부들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매스부 및 상기 센서부 사이에 간단한 끼워맞춤식 연결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센서부의 윈도우형 리세스(Window-like recess)를 통해 상기 센서부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잠금레버의 상부측 및 하부측을 따라 상기 센서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서, 먼저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잠금부는 상기 캐리어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매스부는 그 이후에만 부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매스부는 특히 상기 센서부에 끼워맞춤되는 금속 구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오염물이 상기 캐리어부의 상기 지지면에 도달하여 상기 센서매스의 틸팅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해결수단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센서매스의 돌출영역은 상기 지지면의 외측에지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지지면이 상기 센서매스에 의해 방사상으로 커버되어 오염물질로부터 보호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평평한 지지면은 상기 센서매스의 상기 돌출영역에 의해 중첩되는 에지에 의해 방사상으로 경계가 정해진다. 따라서, 반경방향에서, 상기 지지면의 상기 에지는 상기 센서매스의 상기 돌출영역에 의해 커버될 것이다.
차량이 가속할 때 상기 센서매스의 틸팅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센서부의 로드형 돌출부가 상기 지지면에 원추형으로 연장되는 상기 캐리어부의 캐비티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매스의 티핑운동(Tipping motion) 중에, 상기 로드형 돌출부는 상기 캐비티의 주변 표면과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틸팅운동을 제한한다. 특히, 상기 로드형 돌출부는 차량의 가속이 중단된 후 상기 센서매스가 다시 안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전술된 특징들은, 차량감응센서를 포함하는 벨트 리트랙터 샤프트용 블로킹 시스템을 구비한 자체잠금식 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트리거되는 경우 안착된 차량감응식 센서매스는 상기 잠금레버를 이동시켜 상기 잠금레버의 계합점이 제어디스크의 톱니기어와 계합되도록 하여, 상기 제어디스크가 상기 벨트 리트랙터 샤프트와의 공동 회전운동 중에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블로킹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 샤프트용 블로킹 시스템을 구비한 자체잠금식 벨트 리트랙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기술적 환경을 설명하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 내지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감응센서를 도시한다. 상기 차량감응센서는 캐리어부(4)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캐리어부(4)에 의해 자체잠금식 벨트 리트랙터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계합점(3)을 갖는 잠금레버(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레버(2)는 상기 캐리어부(4) 상의 지지대(8)에 안착된다. 상기 센서는 센서부(6) 및 매스부(7)로 구성된 센서매스(1)를 더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매스부(7)는 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6)의 대응하는 리세스에 간섭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된다.
특히 도 3 및 도 4에서 분명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6)를 갖는 상기 센서매스(1)는 상기 캐리어부(4)에 의해 형성된 지지면(5) 상에 직립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캐리어부(4)의 돌출영역(13)은 상기 지지면(5)의 외측에지(14)에 방사상 및 축방향으로 중첩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6)는 돌출부(15)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6)는 상기 돌출부(15)에 의해 상기 지지면에 대해 원추형으로 연장되는 리세스(16)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대(8)에 안착된 상기 잠금레버(2)는 상기 센서부(6)의 윈도우형 리세스(12)를 통과한다. 이 연장된 영역에서, 상기 잠금레버(2)의 상부측 및 하부측을 따라 형성된 접촉영역(9)들은 상기 센서부(6)와 접촉하고, 상기 접촉영역(9)은 구형으로 형성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4)는 먼저 계합점(3)을 대면하는 측에서 상기 잠금레버(2)와 중첩되고, 대향하는 측에서도 중첩되어, 상기 잠금레버(2)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상기 센서부(6)를 형성하는 소재는 상기 매스부(7)를 형성하는 소재보다 연성이 크고, 이에 따라 다른 부품과 접촉할 수 있는 상기 센서매스(1)의 모든 영역은 연성 재료로 형성되므로, 래틀링 소음(Rattling noise)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센서부(6)의 상기 돌출영역(13)이 상기 지지면(5)의 상기 외측에지(14)에 중첩되므로, 상기 센서매스(1)의 틸팅운동에 악영향을 미치는 오염이 추가적으로 방지된다.
도 5 내지 도 8에는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감응센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이 논의될 것이다.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매스(1)는 주변 노치(17)를 갖는 버섯형 매스 부(Mushroom-shaped mass part)(7)를 포함하며, 상기 주변 노치(17) 내로 상기 센서부(6) 상에 형성된 상기 스프링 아암(10)들의 상기 후크(11)들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매스(1)와 중첩되는 상기 잠금레버(2)는 상기 잠금레버(2)의 상부측에서 상기 매스부(7)와 접촉하고, 상기 잠금레버(2)의 하부측에서 상기 센서부(6)와 접촉하며, 조립시 간섭 끼워맞춤식 연결에 의해 상기 매스부(7) 및 상기 센서부(6) 사이의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1: 센서매스 2: 잠금레버
3: 계합점 4: 캐리어부
5: 지지면 6: 센서부
7: 매스부 8: 지지대
9: 접촉영역 10: 스프링
11: 후크 12: 리세스
13: 돌출영역 14: 외측에지
15: 돌출부 16: 리세스
17: 노치

Claims (11)

  1. 캐리어부(4), 계합점(3)이 형성된 잠금레버(2), 및 상기 잠금레버(2)에 결합되고 상기 캐리어부(4)의 지지면(5) 상에 직립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캐리어부(4)에 대해 틸팅가능한 센서매스(Sensor mass)(1)를 포함하는 자체잠금식 벨트 리트랙터용 차량감응센서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2)는 상기 센서매스(1)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계합점(3)에 대향하는 측에 위치한 상기 캐리어부(4)의 일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상기 센서매스(1)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기 센서매스(1)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상기 잠금레버(2)의 일부분은 상부측 및 하부측을 따라 상기 센서매스(1)와 접촉하고, 접촉영역(9)에서 구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잠금식 벨트 리트랙터용 차량감응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매스(1)는 제1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5) 상에 안착되는 센서부(6) 및 제2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6)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면(5) 상부에 배치되는 매스부(Mass part)(7)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6)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매스부(7)를 형성하는 상기 제2 소재보다 낮은 밀도 및 낮은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잠금식 벨트 리트랙터용 차량감응센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2)는 상기 캐리어부(4) 상에 안착되어 틸트축(Tilt axis)을 형성하고, 상기 캐리어부(4)는 지지대(8)의 영역에서 상기 잠금레버(2)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잠금식 벨트 리트랙터용 차량감응센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2)의 돌출된 부분은 적어도 상기 센서부(6)의 일부분 및 상기 매스부(7)의 일부분 사이의 부분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잠금식 벨트 리트랙터용 차량감응센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스부(7) 상에 적어도 하나의 노치(17)가 형성되고, 상기 노치(17) 내로 상기 센서부(6)에 형성된 스프링 아암(Spring arm)(10)들의 후크(11)들의 단부들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잠금식 벨트 리트랙터용 차량감응센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2)는 상기 센서부(6)의 윈도우형 리세스(Window-like recess)(12)를 통해 상기 센서부(6)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잠금레버(2)는 상부측 및 하부측을 따라 상기 센서부(6)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잠금식 벨트 리트랙터용 차량감응센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스부(7)는 상기 센서부(6)에 끼워맞춤되는 구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잠금식 벨트 리트랙터용 차량감응센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매스(1)의 돌출영역(13)은 상기 지지면(5)의 외측에지(14)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지지면(5)이 상기 센서매스(1)에 의해 방사상으로 커버되어 오염물질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잠금식 벨트 리트랙터용 차량감응센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6)의 로드형 돌출부(Rod-like protrusion)(15)는 상기 지지면(5)에 대해 원추형으로 연장되는 상기 캐리어부(4)의 리세스(1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잠금식 벨트 리트랙터용 차량감응센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차량감응센서를 포함하는 벨트 리트랙터 샤프트용 블로킹 시스템을 구비한 자체잠금식 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트리거되는 경우 상기 센서매스(1)는 상기 잠금레버(2)를 이동시켜 상기 잠금레버(2)의 계합점(3)이 제어디스크의 톱니기어와 계합되도록 하여, 상기 제어디스크가 상기 벨트 리트랙터 샤프트와의 공동 회전운동 중에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블로킹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 샤프트용 블로킹 시스템을 구비한 자체잠금식 벨트 리트랙터.
KR1020187009284A 2015-09-24 2016-09-21 다중화된 센서매스를 갖는 차량감응센서 KR102043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16136.2A DE102015116136B9 (de) 2015-09-24 2015-09-24 Fahrzeugsensitiver Sensor mit mehrteiliger Sensormasse
DE102015116136.2 2015-09-24
PCT/EP2016/072354 WO2017050794A1 (de) 2015-09-24 2016-09-21 Fahrzeugsensitiver sensor mit mehrteiliger sensormas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973A KR20180048973A (ko) 2018-05-10
KR102043040B1 true KR102043040B1 (ko) 2019-12-02

Family

ID=57208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9284A KR102043040B1 (ko) 2015-09-24 2016-09-21 다중화된 센서매스를 갖는 차량감응센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93104B2 (ko)
EP (2) EP3353017B1 (ko)
KR (1) KR102043040B1 (ko)
CN (1) CN108025700B (ko)
DE (1) DE102015116136B9 (ko)
WO (1) WO20170507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33099A1 (de) 2018-12-20 2020-06-25 Autoliv Development Ab Zweiteilige Sensormasse für einen fahrzeugsensitiven Sensor
DE102021100322B4 (de) 2021-01-11 2022-12-29 Autoliv Development Ab Fahrzeugsensitiver Sensor für einen selbstsperrenden Gurtaufroller
KR102521551B1 (ko) * 2021-06-15 2023-04-1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009960U1 (de) 1980-04-11 1980-08-07 Kolb Gmbh & Co, 8065 Erdweg Fahrzeugsensitive blockiervorrichtung
JP2013510750A (ja) 2009-11-11 2013-03-2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セルフロック式のベルト巻取り器
JP2014533621A (ja) * 2011-11-18 2014-12-15 タカタ アーゲー 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51368B (ko) 1970-06-10 1972-11-27 Graenges Essem Ab
US3926384A (en) 1973-07-26 1975-12-16 Per Olof Weman Locking mechanism for automobile safety belt retractor
US3901459A (en) 1974-05-28 1975-08-26 Irvin Industries Inc Safety belt retractor locking device
BR7705009A (pt) 1976-08-10 1978-04-04 Ferodo Sa Dispositivo de inercia,especialmente para comandar o aferrolhamento de um enrolador-desenrolador de correia ou analogo
US4135683A (en) 1977-07-21 1979-01-23 Allied Chemical Corporation Safety belt retractor having two reels in a common housing
US4164336A (en) 1978-04-17 1979-08-14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Dual spool positive drive retractor
JPS5855792B2 (ja) 1979-05-08 1983-12-12 株式会社 高田工場 慣性感応装置
US4399955A (en) 1980-02-19 1983-08-23 Gateway Industries, Inc. Dual reel retractor
US4314680A (en) 1980-06-20 1982-02-09 Juichiro Takada Inertia responsive actuating device for safety belt retractors
SE426143B (sv) 1980-12-08 1982-12-13 Stil Ind Ab Troghetsberoende sensor for bandupprullare till bilbelten
US4391420A (en) 1981-03-09 1983-07-05 American Safety Equipment Corporation Emergency locking means for dual spool safety belt retractor
JPS6449457U (ko) * 1987-09-24 1989-03-27
FR2621873B1 (fr) * 1987-10-20 1990-03-09 Peugeot Aciers Et Outillage Detecteur a bille pour enrouleur de sangle de ceinture de securit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4915411A (en) 1988-01-25 1990-04-10 Peter Norton Crash sensor with improved activation for stabbing primer
GB9215855D0 (en) * 1992-07-25 1992-09-09 Bsrd Ltd Improvements to emergency locking passenger safety belt mechanisms
WO1996003295A1 (en) * 1994-07-21 1996-02-08 Alliedsignal Inc. Seat belt retractor and improved sensing mechanism
US5495994A (en) * 1994-09-07 1996-03-0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ertia sensitive seat belt retractor
US5622327A (en) 1995-08-29 1997-04-22 Indiana Mills And Manufacturing, Inc. Emergency locking seat belt retractor
DE19539619C2 (de) * 1995-10-25 2001-08-16 Autoliv Dev Fahrzeugsensitiver Sensor für einen selbstsperrenden Gurtaufroller
US5950952A (en) 1996-02-02 1999-09-14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Acceleration sensor apparatus for a vehicle
US5716102A (en) * 1996-09-26 1998-02-1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Emergency locking mechanism with orientation control
GB2344791B (en) 1998-12-17 2001-02-07 Breed Automotive Tech Adjustment mechanism for a safety belt retractor locking sensor adjustable height locking sensor and safety belt retractor
US6164581A (en) 1999-01-29 2000-12-26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Low noise self-compensating vehicle sensor and retractor
US6386472B1 (en) 2000-03-31 2002-05-14 Delphi Technologies, Inc. Acceleration sensor assembly for a restraint retractor
DE10227788A1 (de) * 2002-06-21 2004-01-08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Sensor für einen Gurtaufroller
DE102004016501B4 (de) 2003-07-24 2019-07-04 Volkswagen Ag Sensoreinrichtung für einen Auslösemechanismus
US7013736B2 (en) 2004-05-05 2006-03-21 Knox Matthew J Sensor for belt retractor
US7300013B2 (en) * 2005-02-16 2007-11-27 Key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with overmolded inertia sensor mass
US20060243846A1 (en) 2005-04-29 2006-11-02 Autoliv Asp, Inc. Vehicle sensitive seat belt retractor control with suppressed Z-axis sensitivity
US20080002963A1 (en) 2006-06-28 2008-01-03 Media Te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images of objects
CN101595013B (zh) * 2006-12-02 2012-01-11 奥托立夫开发公司 具有断开安全带织带感应及车辆感应控制系统作用的安全带卷收器
US20080217458A1 (en) * 2007-03-05 2008-09-11 Autoliv Asp, Inc. Hybrid vehicle sensitive seat belt retractor inertial locking system
US7628349B2 (en) 2007-03-06 2009-12-08 Autoliv Asp, Inc. Inertia actuator for seat belt retractor
US8308099B2 (en) * 2007-07-18 2012-11-13 Autoliv Development Ab Seat belt retractor
TWM409985U (en) * 2010-10-27 2011-08-21 Guo-Hao Li Snap device for safety belt
DE102010063903A1 (de) * 2010-12-22 2012-06-28 Takata-Petri Ag Sensor
JP5748712B2 (ja) * 2012-07-27 2015-07-1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009960U1 (de) 1980-04-11 1980-08-07 Kolb Gmbh & Co, 8065 Erdweg Fahrzeugsensitive blockiervorrichtung
JP2013510750A (ja) 2009-11-11 2013-03-2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セルフロック式のベルト巻取り器
JP2014533621A (ja) * 2011-11-18 2014-12-15 タカタ アーゲー 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25700B (zh) 2020-11-27
US10793104B2 (en) 2020-10-06
CN108025700A (zh) 2018-05-11
EP3459797B1 (de) 2019-11-06
KR20180048973A (ko) 2018-05-10
EP3353017A1 (de) 2018-08-01
DE102015116136B4 (de) 2017-07-13
EP3353017B1 (de) 2019-11-06
EP3459797A1 (de) 2019-03-27
DE102015116136A1 (de) 2017-03-30
DE102015116136B9 (de) 2017-11-16
WO2017050794A1 (de) 2017-03-30
US20180272989A1 (en)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040B1 (ko) 다중화된 센서매스를 갖는 차량감응센서
US9573493B2 (en) Seat reclining device
CN106394325B (zh) 交通工具座椅
US8720847B2 (en) External articulation mechanism with a noise-dampening support element
JP2006218884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US9409547B2 (en) Sensor
KR101700716B1 (ko) 자동차용 충격방지 좌석벨트 버클
KR102007556B1 (ko) 유지 장치 및 상기 유형의 유지 장치에 배치되는 핀
CN102910091B (zh) 车辆座椅
JP4766431B2 (ja)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機器取付構造
KR101465496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US20110163568A1 (en) Sun Visor
CN104853963A (zh) 低噪声、碎屑耐受的伸缩装置惯性传感器
JP4958657B2 (ja) 自動車用のシフトレバー装置
KR101340434B1 (ko) 차일드 앵커 커버 어셈블리
CN111356615A (zh) 用于启动安全带卷收器的车辆敏感锁定机构的传感器
KR102440003B1 (ko)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JP2024506123A (ja) セルフロック式ベルトリトラクタのための車両感知センサ
JP2653766B2 (ja) ベルト引込器ロック機構の車両応答トリガリング用慣性センサ
US20170190323A1 (en) Brake boosting device
FR3061682A1 (fr) Support pour boitier electron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US10464522B2 (en) Retractor with mud shield and vibration reduction
JP2018501146A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ガラスのワイピング機構用の排水カバー、自動車のフロントガラスのワイパー機構のシャフトの本体、及び、カバー及び本体を含む自動車のフロントガラスのワイパー機構
KR101326832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틸트 장치
JP6506043B2 (ja) 車両用ルームミ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