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955B1 -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 - Google Patents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955B1
KR102042955B1 KR1020190002662A KR20190002662A KR102042955B1 KR 102042955 B1 KR102042955 B1 KR 102042955B1 KR 1020190002662 A KR1020190002662 A KR 1020190002662A KR 20190002662 A KR20190002662 A KR 20190002662A KR 102042955 B1 KR102042955 B1 KR 102042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layer
label
laminated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이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filed Critical 이승현
Priority to KR1020190002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86Forms or constructions provided with adaptations for labelling mach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3Adhesi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55Forms or constructions lamin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로서,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이 설정되며, 적층 구조의 기저(基底)를 형성하는 라벨층; 및 라벨층 상의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 내에 적층되며, 적어도 하면이 부분 용융되어 라벨층의 상면에 고정 부착되는 소프트 연질층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Label having soft layer by semi-melted bonding}
본 발명은 소프트 연질의 적층이 이루어지는 라벨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소프트 연질의 재료가 라벨지 상에서 목적하는 위치 상에 흡착될 수 있도록 부분 용융을 통해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1인가족, 맞벌이 증가, 노령화 등의 사회변화는 식품포장의 수요 증가로 이어져 세계 포장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011년 세계 포장산업 규모는 6700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이후 연간 3%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이 성장률은 시간이 지나갈 때마다 점점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라벨 인쇄시장 또한 성장하고 있는데 디지털 인쇄를 통한 라벨 인쇄 시장의 마진율 증가로 정통인쇄 방식에서 낱장 디지털 라벨 인쇄기를 통해 인쇄를 처리하는 사례가 점점 증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에는 다품종 소량인쇄 및 맞춤형 인쇄에 대한 수요가 증가됨에 따라 효율적으로 라벨을 인쇄하는 기술이 등장하고 있는데, 인쇄 기술에 관한 선행 특허문헌으로는"건축용 점착형 시트 및 그 제조방법(등록번호 제10-1484660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1의 경우, 건축용 점착형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리콘 처리된 이형지; 상기 이형지의 상면에 형상부의 둘레를 따라 라인 인쇄되어 일정 높이를 갖는 테두리; 상기 테두리 내부 이형지 상면에 스크린 인쇄되어 질감을 갖도록 형성된 형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점착형 시트를 제공한다.
발명에 따르면,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면서도 두껍게 쌓아 올릴 수 있고, 큰 사이즈에 대하여도 안정적인 인쇄
층 형성이 가능하며, 독특한 질감을 구현할 수 있어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자동 스크린 롤 전사인쇄방법과 인쇄돼 전사용지의 제품(공개번호 제10-2009-0132272호, 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인쇄하고자 하는 전사용지가 롤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전사용지공급대로부터 무한궤도의 컨베이어에 공급되어 전사용지 예열건조부에서 예열건조되고, 또한 예열건조된 전사용지는 이어서 전사인쇄부에서 스크린인쇄가 행하여지고, 또한 인쇄된 전사용지는 이어서 인쇄건조부에서 건조되고, 이어서 인쇄되어 건조된 전사용지가 접착도포부에서 전사용지의 인쇄된 부위에 접착제가 도포된 후, 도포건조부를 거치며, 건조되어 배출부에서 롤 상태로 권취되어 추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전사용지에의 인쇄와 접착제 도포 및 건조 등이 자동으로 정확하게 행하여져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다양한 색상의 전사인쇄가 행하여질 수도 있도록 한 자동스크린 롤 전사 인쇄방법과 인쇄된 전사용지의 제품에 관한 것으로, 롤 상태의 전사용지가 전사용지공급대로부터 무한궤도의 컨베이어벨트를 주행하도록 하며, 전사용지가 예열건조되는 전사용지 예열건조부와; 전사용지 예열건조부에서 예열된 전사용지의 위에 전사인쇄되는 전사인쇄부와; 상기 전사인쇄부에서 인쇄된 전사용지를 건조하는 인쇄건조부와; 상기 인쇄건조부에서 건조된 전사용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도포부와; 상기 접착도포부를 거친 전사용지를 건조하는 도포건조부;들을 연속하여 순차적으로 거쳐 감기로울에 권취되도록 한 롤 인쇄전사용지의 인쇄방법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발명은 상기 전사용지가 전사용지예열건조부, 전사인쇄부 및 인쇄건조부를 거친 후, 이어서 제2전사인쇄부와 제2인쇄건조부를 거쳐, 상기 제2인쇄건조부에서 건조된 전사용지가 접착도포부와 도포건조부를 순차적으로 거쳐 감기로울에 권취되도록 된 롤 인쇄전사용지의 인쇄방법이며, 또한 상기 자동스크린 롤 전사인쇄방법에 의하여 인쇄된 전사용지제품에 특징이 있다.
또한, "인쇄용 시트, 가식 시트 및 점착성 가식 시트(공개번호 제10-2015-0038591호, 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플라스틱 기재와, 상기 플라스틱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된 경화형 수지층을 포함하는 평판 인쇄판용의 인쇄용 시트로서, 상기 경화형 수지층이 경화형 수지와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안료가 5∼90㎚의 평균 입경을 갖는, 표면이 소수화 처리된 무기 미립자이며, 상기 경화형 수지층의 막 두께가 0.1∼15㎛인 인쇄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판 인쇄판을 사용하여 인쇄할 때의 내블로킹성, 인쇄 적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인쇄용 시트, 상기 인쇄용 시트에 인쇄를 실시한 가식 시트 및 점착성 가식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롤 형상 웨이퍼 가공용 점착 시트(공개번호 제10-2006-0042239호, 이하 특허문헌4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4의 경우, 보존 안정성, 방사선 경화성 및 웨이퍼로의 낮은 오염성이 우수한 롤 형상 웨이퍼 가공용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 형상 웨이퍼 가공용 점착 시트를 재단하여 이루어지는 웨이퍼 가공용 점착 시트 및 반도체 웨이퍼 부착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웨이퍼 가공용 점착 시트 또는 반도체 웨이퍼 부착 점착 시트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은 기재 필름,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 및 이형 필름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는 적층 필름을 여러 겹 감은 롤 형상 웨이퍼 가공용 점착 시트에서, 상기 기재 필름 및/또는 이형 필름의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과 접촉하는 면의 다른쪽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Ra)가 1μm 이상이고, 또한 상기 방사선 경화형 점착제층 중에 포함되는 라디칼 중합 금지제의 중량이 1000pp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형상 웨이퍼 가공용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공개번호 제10-2014-0058384호, 이하 특허문헌 5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5의 경우,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출원에 따른 롤 프린팅 장치는 인쇄롤 지지체, 인쇄롤, 상기 인쇄롤의 외면에 구비되는 블랭킷, 상기 블랭킷의 표면에 잉크를 코팅하는 코터, 클리쉐, 및 피인쇄체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롤은 인쇄롤 지지체에 고정되어 회전운동을 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클리쉐는 상기 인쇄롤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라벨지 상에 에폭시를 올렸을 때 나타나는 종래의 라벨지 적층 구조이다. 도 2는 라벨지 상에 에폭시를 목적하는 위치에 올리기 위해 가이드벽을 형성하여 에폭시를 적층한 것을 도시한 종래 라벨지 적층 구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라벨지 상에 에폭시(epoxy) 등의 적층을 하면, 목적하는 경계를 벗어나거나, 이러한 현상의 방지를 위하여 미리 에폭시의 퍼짐을 고려하여 그 양을 미리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한 것이 종래의 특허기술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융융된 에폭시를 가두기 위한 가이드벽(테두리)을 구비하였는데, 이러한 공정은 비용이 크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가이드벽 내에 에폭시 자체의 두께도 일정하지 않으며, 이러한 가이드벽 내에 에폭시가 고르게 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에폭시를 가급적 점도가 최대한 낮도록 완전 용융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기존에는 완전 용융된 에폭시 재료를 스포이드로 액체를 떨어트리듯이 가이드벽 내에 에폭시 액체를 인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렇게 완전 용융의 상태로 해야만, 에폭시는 가이드벽 내에서 고른 두께에 가까운 층이 형성되는데, 이는 또 다시 고형화를 위한 1일 내지 2일의 시간을 소요해야만 하는 부수적인 문제를 낳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는 당연히 생산 효율의 저하와 이에 따른 경제성이 낮은 문제, 그리고 이에 따라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를 수반하게 된다.
용융된 구조체의 고형화에 필요한 시간이 길면 길수록, 에폭시 층 내에 불순물이 함침될 경우의 수도 많아지는 연이은 문제점을 낳게되는 등,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수반되었다.
등록번호 제10-1484660호 공개번호 제10-2009-0132272호 공개번호 제10-2015-0038591호 공개번호 제10-2006-0042239호 공개번호 제10-2014-0058384호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라벨지 상에 소프트 연질층을 치밀한 조직과 흡착력으로 한겹 또는 그 이상 올릴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디지털 인쇄 방식에서 라벨지 상에 소프트 연질 층의 적층과 다양한 문양의 패턴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되, 이러한 복층의 구조에서도 이들 복층의 점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는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는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이 임의 설정되며, 적층 구조의 기저(基底)를 형성하는 라벨층; 및 부분 용융되어 복수 개의 미립자로 형성되어, 상기 라벨층 상의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 내에 스퍼터링 되며, 상기 복수 개의 미립자들이 상호 접착되어 상기 라벨층의 상의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 내에 고정 흡착되는 소프트 연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의 상기 라벨층은, 상면에 복수 개의 포어(pore)를 포함하되, 상기 라벨층이 일정 방향으로 신축이 일어나면, 상기 복수 개의 포어 각각은 상기 일정 방향의 신축에 따라 신축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의 경우, 상기 라벨층 상면과 상기 소프트 연질층의 하면 사이에 부분 함침되어,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 상에서 상기 라벨층 상면과 상기 소프트 연질층의 하면을 상호 접합시키는 스터핑 웨지(stuffing wedg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는, 상기 소프트 연질층의 상면에 도포되어 불규칙적인 포일 표면을 형성하는 포일 커버층; 및 부분 용융되어 복수 개의 미립자로 형성되어 상기 포일 커버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연질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의 상기 제2연질층은, 상기 포일 커버층이 형성하는 상기 불규칙적인 포일 표면 상에 부분 함침되며 고정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의 상기 소프트 연질층은, 상기 라벨층의 신축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포어 각각에 상기 일정 방향의 신축이 일어나면, 상기 복수 개의 미립자 중 일부가 상기 복수 개의 포어 각각에 함침되어, 상기 라벨층의 상면에 흡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는, 상기 라벨층의 하면에 적층되어, 점착 성분을 구비하여 상기 라벨층이 외부의 표면과 점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는, 상기 라벨층과 상기 소프트 연질층 사이에 제공되되, 1) 복수 개의 입자 형태로 상기 라벨층 상면에 흡착되어 불규칙적인 3차원 구조를 구비하여 상기 라벨층 상면에 형성되며, 2) 상기 불규칙적인 3차원 구조 상에 상기 소프트 연질층이 적층되도록 하는 프린팅 구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의 상기 프린팅 구조층은, 상기 불규칙적인 3차원 구조 내에 상기 소프트 연질층의 부분 용융된 하면이 부분 함침되어 접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의 상기 소프트 연질층은, 상기 라벨층의 길이가 축소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미립자의 수평적 거리가 축소되어, 상기 복수 개의 미립자 상호간의 수평적 조직이 치밀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라벨지 상에 다양한 인쇄 패턴과 입체적 느낌을 갖도록 하는 소프트 연질의 적층을 목적하는 크기와 두께에 맞추어 적시에 배치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라벨지 상에 적층하는 소프트 연질은 기존에 비하여 적층함과 동시에 인쇄를 하거나, 인쇄를 한 후 동시에 적층한 후, 하루 내지 이틀의 경화 공정 없이, 곧바로 후속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적층의 구조는 일반적인 매끈한 표면 상에 적층되지 않고, 마이크로 혹은 나노 입자 단위의 불규칙한 표면 상에 부분 함침되는 구조인바, 기존의 접착층에 비하여 견고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넷째, 포일의 구조, 비등방성 입자의 함침을 통한 난반사의 기능을 포함시키는 효과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라벨지 상에 에폭시를 올렸을 때 나타나는 종래의 라벨지 적층 구조이다.
도 2는 라벨지 상에 에폭시를 목적하는 위치에 올리기 위해 가이드벽을 형성하여 에폭시를 적층한 것을 도시한 종래 라벨지 적층 구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에 있어서, 라벨층 상에 부분 용융된 연질층이 측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라 라벨층 상에 부분 용융된 소프트 연질이 적층된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A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양 측면의 갭(gap)을 채우기 위하여 상부의 사이드에 하향 분사력이 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4에서 양 측면의 갭(gap)이 채워진 적층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양 측면의 갭(gap)에 스터핑 웨지(stuffing wedge)가 채워진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적층 구조 상에 포일 커버층과 제2 연질층 그리고 파우더가 함침된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적층 구조 사이에 프린팅 구조층과 포일 커버층 그리고 제2연질층이 적층된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프린팅 구조층의 표면 구조를 도시한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화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포일 커버층의 표면 구조를 도시한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화면이다.
도 14는 도 10의 (글라스) 파우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가 롤러 상에서 미세하게 늘어나는 현상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가 롤러 상에서 미세하게 늘어나면,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포어(pore) 역시 늘어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가 롤러 상에서 미세하게 늘어난 상태에서 소프트 연질의 적층 후, 미세하게 늘어난 것이 수축될 때 소프트 연질 적층의 조직이 치밀해지도록 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의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 상에 에지 커버가 스퍼터링 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하여, 에지 커버의 마이크로 단위의 높이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에 있어서, 라벨층 상에 부분 용융된 연질층이 측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라 라벨층 상에 부분 용융된 소프트 연질이 적층된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A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양 측면의 갭(gap)을 채우기 위하여 상부의 사이드를 가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4에서 양 측면의 갭(gap)이 채워진 적층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양 측면의 갭(gap)에 스터핑 웨지(stuffing wedge)가 채워진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적층 구조 상에 포일 커버층과 제2 연질층 그리고 파우더가 함침된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적층 구조 사이에 프린팅 구조층과 포일 커버층 그리고 제2연질층이 적층된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프린팅 구조층의 표면 구조를 도시한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화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포일 커버층의 표면 구조를 도시한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화면이다. 도 14는 도 10의 (글라스) 파우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가 롤러 상에서 미세하게 늘어나는 현상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가 롤러 상에서 미세하게 늘어나면,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포어(pore) 역시 늘어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가 롤러 상에서 미세하게 늘어난 상태에서 소프트 연질의 적층 후, 미세하게 늘어난 것이 수축될 때 소프트 연질 적층의 조직이 치밀해지도록 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의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 상에 에지 커버가 스퍼터링 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하여, 에지 커버의 마이크로 단위의 높이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재점착 라벨지 상에 적층되는 소프트 연질층(300)을 포함하는 구조체에 관한 기능적 특징을 개시하게 된다.
먼저,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의 경우, 라벨층(100)과 소프트 연질층(300)을 포함하게 된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프트 연질층(300)은 사람의 육안으로는 그 상면에 플랫(flat)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육안 관찰로 가능한 정도로, 그 상면에 다양한 층을 적층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다양한 표면의 거칠기나 단차를 형성하여, 소프트 연질층(300) 상에 다양한 문양과 패턴을 나타낼 수도 있다.
소프트 연질층(100)은 라벨층(100)의 상면에 견고한 부착을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이 인접할수록 그 미립자의 조직이 치밀하게 형성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라벨층(100)의 경우, 일반적인 물티슈 포장팩의 상면의 재점착 라벨지나 이나, 기타 스티커 라벨, 혹은 라벨지에 사용되는 PET지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라벨층(100)의 상부에는 그 상면 전체에 소프트 연질층(300)이 도포되는 것이 아니라, 목적에 맞게, 측정한 경계를 가지는 무늬, 패턴, 문양 등일 수 있다.
따라서,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층(100) 상에는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W)이 설정되어,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는 가상의 경계 라인 내에만 소프트 연질층(30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W)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임의 재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하나의 라벨층(100) 상에 다양한 모양의 가상의 경계 라인을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소프트 연질층(300)의 경우, 상온에서는 일정한 쿠션감을 가지는 재질이며, 일정 온도 예컨대, 섭씨 60~70도가 되면 그 쿠션감은 더욱더 증대되며, 온도가 더욱 증가하면 일정 부분의 용융이 이루어지는 열 가소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프트 연질층(300)의 경우, 부분 용융이 이루어져 라벨층(100)의 상면에 적층되어, 라벨층(100)의 상면에 고정 부착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에폭시의 일정한 두께 형성을 위하여, 완전 용융시켜 일정한 틀 안에 부어넣은 후, 하루나 이틀의 경화 과정을 거쳤으나, 본 발명의 소프트 연질층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W)의 모양에 맞는 평면을 가지면서, 적으로 그 하면이 부분 용융되어 라벨층의 상면 중, 상술한 바와 같은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W) 상에 접합되도록 한다.
소프트 연질층(300)의 경우, 복수 개의 미립자 형태로 이루어져 라벨층(100) 상의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 내에 스퍼터링 되어 흩뿌려지게 되는데, 이러한 미립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분(반) 용융되어 상호 융착됨과 동시에, 라벨층(100)의 상면에 흡착되게 된다.
소프트 연질층(300)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수 많은 복수 개의 부분 용융된 미립자들이 하나의 층을 이루게 되고, 형성된 층의 그 하면은 라벨층(100)의 상면의 미세한 포어(pore) 들에 함침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소프트 연질층(300)의 하면은 라벨층(100)의 상면과 만남과 동시에 냉각되면서 함침 및 접합되는 기작을 가지게 된다.
소프트 연질층(300)은 빛 투과성이 좋은 투명한 재질의 것을 사용하여도 되며, 용도와 목적에 따라 불투명한 성분을 포함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할 것이다.
소프트 연질층(300)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면의 경계에서는 라벨층(100)의 상면과 일정부분 떨어져 존재하는 갭(gap)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분은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소프트 연질층(300)과 라벨층(100)이 탈거되는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를 통해 소프트 연질층(300)을 라벨층(100) 상에 스퍼터링하여 형성시키는 경우, 그 테두리를 따라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테두리를 따라 스퍼터링 되는 소정의 추가적 하향 분사력(도 6 참조)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프트 연질층(300)이 냉각되면서 응집력이 발생되는 과정에서 라벨층(100)에 점착되기 전에는 그 중앙부가 볼록하여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반면, 그 테두리 부분은 두께가 상대적으로 낮은 현상을 가지는데, 여기서의 소정의 하향 분사력은 소프트 연질층(300)의 테두리까지 완전 밀착(도 7 참조)되도록 하향 압력을 가하는 힘의 정도를 의미한다.
소정의 하향 분사력은 소프트 연질층(300)의 재질의 속성과 그 평면적 크기, 용융의 정도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는바,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가 소프트 연질층(300)을 가압 부착할 때, 소프트 연질층(300)의 하면의 테두리를 포함하는 전체의 면이 라벨층(100)의 상면에 완전 밀착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의미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는 스터핑 웨지(stuffing wedge, 3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 연질층(300)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면의 경계에서는 라벨층(100)의 상면과 일정부분 떨어져 존재하는 갭(gap)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부분은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소프트 연질층(300)과 라벨층(100)이 탈거되는 현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그 갭(gap)을 메우는 레진(Resin)과 같은 수지로 이루어진 접합 보강 테두리를 더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핑 웨지(302)는 라벨층(100) 상면과 소프트 연질층(300)의 하면 사이에 부분 함침되어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W) 상에서 라벨층(100)의 상면과 소프트 연질층(300)의 하면을 상호 접합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일 커버층(400) 및 제2연질층(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일 커버층(400)의 경우, 소프트 연질층(300)의 상면에 스퍼터링(sputtering)되어 불규칙적으로 포일(foil) 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Ag) 혹은 알루미늄(Al) 성분이 포함된 입자의 파우더 형태는 액상의 물질과 함께 분사되는 형태로 소프트 연질층(300)의 상면에 육안으로는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되, 그 표면을 SEM 관찰하면 도 13에 도시된 예와 같이 울퉁불퉁한 거칠기의 표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제2연질층(310)의 경우, 소프트 연질층(300)과 동일한 것이되, 상술한 포일 커버층(400) 상에 부착되어, 적어도 그 하면이 부분 용융되어, 부분 용융된 그 하면을 통해 불규칙적인 포일 표면 상에 부분 부분 함침되어 견고하게 고정 부착되도록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는 파우더(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파우더(P)는 소프트 연질층(300) 또는 제2연질층(310)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 개의 비등방성(antisotropy)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등방성 입자의 형태를 가지는 파우더(P)들은 외부에서 인가되어 조사되는 광(光)을 상호 불규칙적인 각도로 외향 굴절시켜, 외부에서 육안으로 보았을 때 일정한 가시광선의 영역 내의 빛을 반사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비등방성 입자의 예로는 글라스 파우더(glass powder) 등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의 경우, 점착층(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층(200)은 라벨층(100)의 하면에 적층되어, 점착 성분을 구비하여 라벨층(100)이 외부의 표면 상에 점착, 재점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는 프린팅 구조층(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린팅 구조층(500)의 경우, 라벨층(100)과 소프트 연질층(300) 사이에 제공되되, 먼저, 복수 개의 입자 형태로 라벨층(100) 상면에 흡착되어 불규칙적인 3차원 구조를 구비하여 라벨층(100) 상면에 형성된다. 아울러, 불규칙적인 3차원 구조 상에 소프트 연질층(300)이 적층되도록 한다.
즉, 프린팅 구조층(500)의 SEM 촬영하면, 도 12의 예시와 같은 표면의 불규칙적인 3차원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프린팅 구조층(500)의 경우, 이러한 불규칙적인 3차원 구조 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소프트 연질층(300)의 부분 용융된 복수 개의 미립자들이 부분 함침되어 접합되도록 하여, 소프트 연질층(300)의 견고한 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층(100)의 경우, 그 인쇄의 과정에서 일정한 롤러 사이를 통해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두 롤러 사이에서 라벨층(100)의 편평하게 펼쳐지도록 하기 위하여 아주 미세한 롤링 속도의 차이(w2-w1)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속도의 차이에 의하여 라벨층(100)은 미세한 당김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미세한 늘어남이 일어나게 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층(100)의 표면을 미세하게 관찰하면 미세한 주름이나 포어(pore)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포어는 라벨층(100)의 미세 늘어남에 따라 동반 늘어남이 형성(도 16(b))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롤링 속도의 차이(w2-w1)가 해제(롤러를 통과하면서 발생됨)되면, 라벨층(100)의 복원력에 의해 해당 포어의 늘어남도 다시 제 형상(도 16(a))을 찾아가게 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층(100)의 미세 늘어난 후, 제 길이로 복원됨에 따라 라벨층(100) 상의 포어(pore) 역시 늘어난 후, 제 형상으로 복원되는데, 이 과정에서, 소프트 연질층(300)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미립자들은 늘어난 포어들에 함침된 후, 제 형상으로 줄어든 포어들 내에 견고하게 박혀 접착 및 흡착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 연질층(300)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수많은 미립자들의 집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5 및 상술한 바와 같이, 라벨층(100)의 늘어난 상태에서 소프트 연질층(300)의 스퍼터링 후, 라벨층(100)의 늘어난 현상이 복원되도록 하면, 소프트 연질층(300)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미립자들의 수평적 조직을 치밀하게 만들도록 형성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의 외측으로는 에지 커버가 수 마이크로 미터 단위의 높이(h)로 형성되어, 부분 용융된 스퍼터링 소프트 연질층의 가상의 경계 라인의 하부가 접착력을 보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P: 파우더(powder) 10: 라벨지
20: 점착제 30: 에폭시
40: 가이드벽(테두리)
100: 라벨층 200: 점착층
300: 소프트 연질층 301: 연질 접착층
302: 스터핑 웨지(stuffing wedge) 310: 제2 연질층
400: 포일 커버층 500: 프린팅 구조층

Claims (10)

  1.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이 임의 설정되며, 적층 구조의 기저(基底)를 형성하는 라벨층; 및
    부분 용융되어 복수 개의 미립자로 형성되어, 상기 라벨층 상의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 내에 스퍼터링 되며, 상기 복수 개의 미립자들이 상호 접착되어 상기 라벨층의 상의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 내에 고정 흡착되는 소프트 연질층을 포함하되,
    상기 라벨층은,
    상면에 복수 개의 포어(pore)를 포함하되,
    상기 라벨층이 일정 방향으로 신축이 일어나면, 상기 복수 개의 포어 각각은 상기 일정 방향의 신축에 따라 신축이 발생되며,
    상기 소프트 연질층은,
    상기 라벨층의 신축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포어 각각에 상기 일정 방향의 신축이 일어나면,
    상기 복수 개의 미립자 중 일부가 상기 복수 개의 포어 각각에 함침되어, 상기 라벨층의 상면에 흡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는,
    상기 라벨층 상면과 상기 소프트 연질층의 하면 사이에 부분 함침되어,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경계 라인 상에서 상기 라벨층 상면과 상기 소프트 연질층의 하면을 상호 접합시키는 스터핑 웨지(stuffing wedg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는,
    상기 소프트 연질층의 상면에 도포되어 불규칙적인 포일 표면을 형성하는 포일 커버층; 및
    부분 용융되어 복수 개의 미립자로 형성되어 상기 포일 커버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연질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질층은,
    상기 포일 커버층이 형성하는 상기 불규칙적인 포일 표면 상에 부분 함침되며 고정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는,
    상기 라벨층의 하면에 적층되어, 점착 성분을 구비하여 상기 라벨층이 외부의 표면과 점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는,
    상기 라벨층과 상기 소프트 연질층 사이에 제공되되,
    1) 복수 개의 입자 형태로 상기 라벨층 상면에 흡착되어 불규칙적인 3차원 구조를 구비하여 상기 라벨층 상면에 형성되며, 2) 상기 불규칙적인 3차원 구조 상에 상기 소프트 연질층이 적층되도록 하는 프린팅 구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구조층은,
    상기 불규칙적인 3차원 구조 내에 상기 소프트 연질층의 상기 복수 개의 미립자들이 함침되어 접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연질층은,
    상기 라벨층의 길이가 축소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미립자의 수평적 거리가 축소되어,
    상기 복수 개의 미립자 상호간의 수평적 조직이 치밀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
KR1020190002662A 2019-01-09 2019-01-09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 KR102042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662A KR102042955B1 (ko) 2019-01-09 2019-01-09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662A KR102042955B1 (ko) 2019-01-09 2019-01-09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955B1 true KR102042955B1 (ko) 2019-11-08

Family

ID=6854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662A KR102042955B1 (ko) 2019-01-09 2019-01-09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95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164B1 (ko) * 2000-12-11 2003-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드로 포밍용 다이 구조
KR102128767B1 (ko) * 2020-01-02 2020-07-01 이승현 선택적 단차와 밀도를 구비한 소프트 연질 적층 시트지 시스템
KR102164242B1 (ko) * 2019-12-03 2020-10-12 이승현 선택적 입자 밀도를 구비하는 소프트 연질 라벨 시트지
KR102184127B1 (ko) * 2020-01-28 2020-11-27 이승현 가변적 광고 영역을 할당하여 선택적 영역 구획이 가능한 라벨 시스템
KR102192424B1 (ko) 2020-03-20 2020-12-17 이승현 입자 집합체에 대한 선택적 절취가 가능한 분리 라벨지 시스템
KR102262082B1 (ko) * 2020-11-12 2021-06-07 이승현 매칭 코드가 제시되는 가변적 영역할당을 이용한 라벨 레이어링 시스템
KR20220127141A (ko) * 2021-03-10 2022-09-19 이승현 가상의 영역을 할당하여 연계 코드를 부여하는 라벨 시트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239A (ko) 2004-02-26 2006-05-1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롤 형상 웨이퍼 가공용 점착 시트
KR20090077709A (ko) * 2008-01-10 2009-07-15 주식회사 코오롱 광학 시트
KR20090132272A (ko) 2008-06-20 2009-12-30 김성수 자동스크린 롤 전사인쇄방법과 인쇄된 전사용지의 제품
KR20120083594A (ko) * 2011-01-18 2012-07-26 (주)엘지하우시스 이중 장식의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13003182A (ja) * 2011-06-13 2013-01-07 Yupo Corp ラベル
KR20140058384A (ko) 2012-11-06 2014-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KR101484660B1 (ko) 2014-02-11 2015-01-21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건축용 점착형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8591A (ko) 2012-08-31 2015-04-08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인쇄용 시트, 가식 시트 및 점착성 가식 시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239A (ko) 2004-02-26 2006-05-1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롤 형상 웨이퍼 가공용 점착 시트
KR20090077709A (ko) * 2008-01-10 2009-07-15 주식회사 코오롱 광학 시트
KR20090132272A (ko) 2008-06-20 2009-12-30 김성수 자동스크린 롤 전사인쇄방법과 인쇄된 전사용지의 제품
KR20120083594A (ko) * 2011-01-18 2012-07-26 (주)엘지하우시스 이중 장식의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13003182A (ja) * 2011-06-13 2013-01-07 Yupo Corp ラベル
KR20150038591A (ko) 2012-08-31 2015-04-08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인쇄용 시트, 가식 시트 및 점착성 가식 시트
KR20140058384A (ko) 2012-11-06 2014-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KR101484660B1 (ko) 2014-02-11 2015-01-21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건축용 점착형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164B1 (ko) * 2000-12-11 2003-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드로 포밍용 다이 구조
KR102164242B1 (ko) * 2019-12-03 2020-10-12 이승현 선택적 입자 밀도를 구비하는 소프트 연질 라벨 시트지
KR102128767B1 (ko) * 2020-01-02 2020-07-01 이승현 선택적 단차와 밀도를 구비한 소프트 연질 적층 시트지 시스템
KR102184127B1 (ko) * 2020-01-28 2020-11-27 이승현 가변적 광고 영역을 할당하여 선택적 영역 구획이 가능한 라벨 시스템
KR102192424B1 (ko) 2020-03-20 2020-12-17 이승현 입자 집합체에 대한 선택적 절취가 가능한 분리 라벨지 시스템
KR102262082B1 (ko) * 2020-11-12 2021-06-07 이승현 매칭 코드가 제시되는 가변적 영역할당을 이용한 라벨 레이어링 시스템
KR102307602B1 (ko) * 2020-11-12 2021-09-30 이승현 매칭 코드가 제시되는 가변적 영역할당을 이용한 라벨 레이어링 시스템
KR20220127141A (ko) * 2021-03-10 2022-09-19 이승현 가상의 영역을 할당하여 연계 코드를 부여하는 라벨 시트 시스템
KR102482299B1 (ko) 2021-03-10 2022-12-28 이승현 가상의 영역을 할당하여 연계 코드를 부여하는 라벨 시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955B1 (ko)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적층 라벨지
KR102069464B1 (ko) 부분 용융 접착을 통한, 라벨지 상의 소프트 연질의 적층 방법
RU2600644C2 (ru) Панель, включающая полимерный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слой,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й панели
KR102164242B1 (ko) 선택적 입자 밀도를 구비하는 소프트 연질 라벨 시트지
KR102057000B1 (ko) 부분 용융된 미립자 형태의 소프트 연질 적층 구조체
CN103909757B (zh) 柔性印刷板及其制造方法以及液晶面板用基板的制造方法
EP1354699A3 (en)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and articles constructed therefrom
CN101626900A (zh) 凸纹着色轧花的浮凸表面
MX2012010419A (es) Laminados multicapa reconfigurables, y metodos.
BR112012021883B1 (pt) Processo de produção de um assoalho.
CN105813846A (zh) 在衬底卷材上制造图案的方法以及用于其的设备
CN106646705A (zh) 反光膜表面层、表面保护膜、反光膜及其制造工艺
CN107533958A (zh) 凹凸图案形成体的制造方法、其制造装置以及贴纸
CN108349123A (zh) 剥离幅材和纹理化产品
KR102128767B1 (ko) 선택적 단차와 밀도를 구비한 소프트 연질 적층 시트지 시스템
KR102184127B1 (ko) 가변적 광고 영역을 할당하여 선택적 영역 구획이 가능한 라벨 시스템
JPH10500368A (ja) 像転写方法
US4257834A (en) Process for producing a sheet having chip design
US8043463B2 (en) Label laminat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bel laminate
CN107571588A (zh) 一种新型透视膜及其制备方法
CN105102220B (zh) 用于层压在图像支持物上的具有金属消光饰面的可印刷薄膜和制造方法
KR102220719B1 (ko) 선택적 조합을 통한 개별적 표면 성질 형성이 가능한 다중 적층 시스템
KR102262083B1 (ko) 역학적 구조 변형을 통한 선택적 굽힘 기능이 구비된 라벨지 시스템
CN206306659U (zh) 压印装置、图文薄膜以及薄膜制品
KR102142428B1 (ko) 무한 확장 가능한 경계 라인을 구비한 프로텍트 시트지 구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