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693B1 - 카 도어 - Google Patents

카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693B1
KR102041693B1 KR1020177017422A KR20177017422A KR102041693B1 KR 102041693 B1 KR102041693 B1 KR 102041693B1 KR 1020177017422 A KR1020177017422 A KR 1020177017422A KR 20177017422 A KR20177017422 A KR 20177017422A KR 102041693 B1 KR102041693 B1 KR 102041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shoe
sliding
door leaf
guide mechanism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7945A (ko
Inventor
미햐엘 키르쉬
발터 호프만
미케 오버트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룹 악티엔게젤샤프트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룹 악티엔게젤샤프트,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filed Critical 티센크룹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70087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47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sliding b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52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8Sl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 메커니즘(1) 및 도어 리프(15)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용 카 도어(3)에 관한 것이다. 가이드 메커니즘(1)은 카 도어(3)의 도어 리프와 연결된 슬라이딩 슈(5, 5a)를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 메커니즘은 슬라이딩 슈(5, 5a)를 적어도 세 개의 면에서 둘러싸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슈(5, 5a)는 슬라이딩 방향(11)으로 연장부를 포함하며, 이 연장부는 상기 방향에서 도어 리프(15)의 외연의 적어도 30%에 상응한다.

Description

카 도어{CAR DOOR}
엘리베이터 시설은, 구동부를 통해 상이한 건물 층들 사이를 운동하는 하나 이상의 카(car)를 포함한다. 카는 운행 중에 카를 폐쇄하는 카 도어를 포함한다. 카 도어를 위한 통상적인 가이드 메커니즘은, 도어 리프(door leaf)와 연결되고 카와 연결된 레일이 그 사이에 위치하는 두 개의 대향 롤러를 포함한다. 카 도어의 개폐시에, 대향 롤러는 레일을 따라 롤링한다. 도어 리프 및 가이드 메커니즘은 비교적 무겁게 형성됨으로써, 카의 상응하는 중량이 형성된다. 이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설에서 카의 중량이 평형 추에 의해 보상되므로 문제가 없었다.
이에 반해, 대안적인 엘리베이터 시설은 평형 추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리니어 모터(linear motor)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이러한 엘리베이터 시설에서, 카의 무게가 평형 추에 의해 보상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카의 모든 부품의 무게를 줄이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탄소 복합 재료 또는 샌드위치 시트와 같은 새로운 재료를 사용하여 도어 리프의 무게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경량화된 카 도어용 가이드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가이드 메커니즘 및 도어 리프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용 카 도어에 의해 해결되며, 가이드 메커니즘은 카 도어의 도어 리프와 연결된 슬라이딩 슈와, 슬라이딩 슈를 적어도 세 개의 면에서 둘러싸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슬라이딩 슈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부를 포함하는데, 이 연장부는 상기 방향으로 도어 리프의 외연의 적어도 30%에 상응한다. 연장부가 도어 리프의 외연의 적어도 50%, 특히 적어도 70%에 상응하는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수용부 내에 슬라이딩 슈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인 가이드가 제공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유형의 메커니즘은 경량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가이드 롤러를 갖는 종래의 가이드 메커니즘보다 낮은 무게를 갖는다. 슬라이딩 슈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소정의 외연을 포함하는데, 이 외연은 상기 방향으로의 도어 리프의 외연의 30%보다 크다. 특히 슬라이딩 슈의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외연은 도어 리프의 외연의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이다. 이는, 공동의 슬라이딩 슈를 갖는 연결 요소를 통해 도어 리프를 적어도 두 개의 현수 지점에 연결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슬라이딩 슈의 외연이 크면 클수록, 현수 지점의 간격이 더 크게 선택될 수 있다. 현수 지점의 더 큰 간격은 카 도어의 비틀림이 발생할 수 없게 한다.
설명된 카 도어는, 가이드 메커니즘이 낮은 질량을 갖는 단지 몇몇 부품만을 포함함으로써, 카의 중량에 단지 조금만 부가하는 장점을 갖는다.
카 도어의 일 구성에서, 슬라이딩 슈는 수용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접촉면 상에 마찰 감소 삽입체를 갖는다. 이에 의해, 카 도어의 운동을 위해 필요한 구동력이 감소됨으로써, 작게 치수화된 구동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슈와 수용부의 마모가 감소되어 유지 보수 간격이 연장될 수 있다.
카 도어의 수용부는 슬라이딩 슈에 대한 접촉면에서 특히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한편으로 슬라이딩 슈를 위한 매끄러운 주행면을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가이드 메커니즘의 무게에 대해 적은 부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서, 슬라이딩 슈는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부 및 하부 함몰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슈는 상부 및 하부 홈을 갖는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 슈의 H자형 단면이 형성된다. 상부 및 하부 함몰부에 대응하여, 수용부는, 수용부 내에 슬라이딩 슈를 고정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 함몰부 내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수용부 내에서 슬라이딩 슈의 안정적인 가이드를 가능케 하고, 수용부로부터의 이탈에 대해 형상 결합식으로 슬라이딩 슈를 고정한다.
카 도어의 개선예에서, 슬라이딩 슈는 수용부 내에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슈를 운동시키기 위해 구동부와 연결된다. 구동부가 슬라이딩 슈 상으로 직접 작용하는(예를 들어 도어 리프와 같은 다른 도어 부품 상에는 작용하지 않는) 이러한 구조는, 수용부 내에서 슬라이딩 슈가 끼이게 될 위험이 감소되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이러한 변형예에서 슬라이딩 슈는 평 기어 장치를 통해 구동부와 연결됨으로써, 특히 가이드 메커니즘의 콤팩트한 구조가 형성된다. 이 경우에, 특히 기어 휠은, 슬라이딩 슈를 따라 연장되는 피니언 내에 기어 휠의 톱니가 맞물린다. 따라서, 슬라이딩 슈 자체는 기어 휠의 톱니가 그 피니언 내에서 맞물리는 래크(rack)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이 개선예에서, 톱니를 갖는 별도의 구성 요소가 생략될 수 있다.
평 기어 장치에 헬리컬 톱니가 제공되는 것은 유리하다. 이는, 복수 개의 톱니가 결합될 때마다 더 조용한 전달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기어 휠의 회전은 슬라이딩 슈의 선형 운동을 유도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슈의 연장은 적어도 도어 리프의 운동 범위(range of motion)에 상응한다. 도어 리프가 통상적으로 적어도 그 자체 폭만큼 변위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슈의 연장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으로 도어 리프의 외연보다 크다.
평 기어 장치에 대해 대안적으로, 슬라이딩 슈가 롤러를 통해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구동 롤러와 슬라이딩 슈 사이의 힘 전달이 평 기어 장치와 같이 형상 결합에 의한 것이 아니라 마찰 결합에 의해 발생한다.
가이드 메커니즘은, 도어 리프의 상부 단부에 배열된 상부 가이드 메커니즘뿐만 아니라, 도어 리프의 하부 단부에 배열된 하부 가이드 메커니즘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카 도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부 가이드 메커니즘의 슬라이딩 슈가 하부 가이드 메커니즘의 슬라이딩 슈와 결합되는 경우 유리하다. 이러한 결합을 통해, 구동력이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슈에 일정하게 전달됨으로써, 슬라이딩 슈의 끼임(jamming)이 발생할 수 없으며 도어 리프의 덜컥거림 없는 운동이 보장된다. 또한, 이 경우에,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슈가 단일 구동부에 의해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예를 들어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메커니즘의 두 개의 평 기어 장치를 견고하게 서로 결합시키는 연결 로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특히 가벼운 결합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해, 연결 로드가 탄소 섬유 복합 재료로 구성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결합이 톱니 벨트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메커니즘이 서로 대칭으로 구성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다. 대칭 구성을 통해, 적은 수의 상이한 부품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예비 부품의 보관이 단순해진다.
특별한 구성에서, 가이드 메커니즘이 도어 리프의 상부 단부에 배열된 상부 가이드 메커니즘으로서 구성된다. 추가로, 상부 가이드 메커니즘은, 도어 리프와 연결된 트랙 롤러를 포함하도록 개선된다. 트랙 롤러는 상부 가이드 메커니즘의 수용부 상에서 상부로부터 지지되고, 카 도어의 개폐시에 수용부 상에서 롤링된다. 특히, 트랙 롤러는 도어 리프의 무게 중심 상부에 배열된다. 트랙 롤러는 도어 리프의 중량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된 수용부 내로 도입시키는데 이용된다. 따라서, 상부 슬라이딩 슈를 통해 더 적은 힘이 전달되어 슬라이딩 슈와 수용부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트랙 롤러는 카 도어의 중량을 완전히 수용한다. 이는 특히 도어 리프와 슬라이딩 슈 사이의 연결부가 수직 방향으로의 플로팅 베어링으로서 구성됨으로써 보장된다. 도어 리프는, 수직 방향으로의 도어 리프의 운동을 제한하는 이른바 트랙 롤러에서만 현수된다. 두 개의 수평 자유도는 플로팅 베어링에 의해 제한된다. 수직 방향으로의 플로팅 베어링에서, 수직 자유도는 플로팅 베어링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는 수용부 내의 슬라이딩 슈의 끼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슬라이딩 슈의 마찰이 명확히 감소되는데, 이는 낮은 마모를 유도한다. 플로팅 베어링으로 인해, 슬라이딩 슈에는 수직 방향 힘이 가해지는 것이 아니라, 수용부를 따라 슬라이딩 슈를 운동하게 하는 구동력만이 가해진다.
상응하는 플로팅 베어링은, 특히 슬라이딩 슈의 돌출부의 원통형 개구를 통해, 그리고 돌출부의 원통형 개구 내로 결합하고 수평 배향된 도어 리프의 볼트의 원통형 개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를 위해 페데스탈(pedestal)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카 도어는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도어 리프는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 슬라이딩 슈와도 플로팅 베어링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 슬라이딩 슈의 끼임이 방지되고, 두 개의 슬라이딩 슈의 마모가 현저히 감소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상부 가이드 메커니즘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2는 카 도어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상부 가이드 메커니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가이드 메커니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는 엘리베이터 카의 카 도어(3)를 위한 가이드 메커니즘(1)이 도시된다. 가이드 메커니즘(1)은 도어 리프(15)의 상부 단부에 배열된 상부 가이드 메커니즘이다. 가이드 메커니즘(1)은 두 개의 연결 요소(7)를 통해 카 도어(3)의 도어 리프(15)와 연결된 슬라이딩 슈(5)를 포함한다. 연결부(41)는 수직 방향으로의 플로팅 베어링으로서 구성된다. 특히, 플로팅 베어링은 슬라이딩 슈(5)와 연결된 페데스탈 베어링(6)이다. 페데스탈 베어링(6)의 원통형 개구 내로 수직 방향으로 배향된 볼트(8)가 맞물린다. 슬라이딩 슈(5)는 수용부(9) 내에 운동 가능하게 배열된다. 수용부(9)는 슬라이딩 슈(5)를 적어도 세 개의 면에서 둘러쌈으로써, 슬라이딩 슈(5)가 한편으로 슬라이딩 방향(11)으로 운동 가능하고, 다른 모든 방향으로는 수용부(9) 내에서 형상 결합식으로 고정된다. 슬라이딩 슈(5)가 통상적으로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반면, 수용부는 슬라이딩 슈(5)와 수용부(9) 사이에서 슬라이딩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어도 접촉면에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방향(11)에서 슬라이딩 슈(5)는 상기 방향으로 도어 리프(15)의 외연보다 큰 연장부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슈(5)는 수용부(9) 내에서 슬라이딩 방향(11)을 따라 슬라이딩 슈(5)를 운동시키기 위해 구동부(13)(도 2 참조)와 연결된다. 구동부(13)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이다.
도어 리프(15)의 무게 중심의 상부에서 가이드 메커니즘(1)이 연결 요소(19)를 통해 도어 리프(15)와 연결된 트랙 롤러(17)를 포함한다. 트랙 롤러(17)는 상부로부터 수용부(9) 상에서 지지되며, 카 도어(3)의 개폐시에 수용부(9) 상에서 롤링한다. 트랙 롤러(17)는 도어 리프(15)의 중량 중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여, 이를 견고하게 고정된 수용부(9) 내로 도입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라이딩 슈(5)를 통해 적은 힘이 전달됨으로써 슬라이딩 슈(5)와 수용부(9)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된다. 연결 요소(19)는 슬라이딩 슈(5)와 연결되지 않는다.
도 2는 도어 리프(15)를 갖는 카 도어(3)의 전체도를 도시한다. 도어 리프 (15)에는 상부 가이드 메커니즘(1) 및 하부 가이드 메커니즘(1a)이 갖추어져 있다. 가이드 메커니즘(1a)은 두 개의 연결 요소(7a)를 통해 카 도어(3)의 도어 리프 (15)와 연결되는 슬라이딩 슈(5a)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슈(5a)는 수용부(9a) 내에서 운동 가능하게 배열된다. 수용부(9a)는 슬라이딩 슈(5a)를 적어도 세 개의 면에서 둘러쌈으로써, 한편으로, 슬라이딩 슈(5a)가 슬라이딩 방향(11)으로 운동 가능하며, 다른 모든 방향으로는 수용부(9a) 내에 형태 결합식으로 고정된다. 슬라이딩 방향(11)에서, 슬라이딩 슈(5a)는 이 방향으로의 도어 리프(15)의 외연보다 큰 연장부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슈(5a)는 슬라이딩 슈(5a)를 수용부(9) 내에서 슬라이딩 방향(11)을 따라 운동시키기 위해 구동부(13)와 연결된다. 상부 가이드 메커니즘(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또한, 도 2는 상부 가이드 메커니즘(1)의 슬라이딩 슈(5)가 하부 가이드 메커니즘(1a)의 슬라이딩 슈(5a)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다. 본원에서, 결합은 기계적으로 연결 로드(21)를 통해 구현된다. 연결 로드(21)는 두 개의 단부에서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평 기어 장치(31)를 포함한다. 이러한 결합은, 상부 슬라이딩 슈(5) 및 하부 슬라이딩 슈(5a)가 동기식으로 운동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용부(9, 9a) 내에서 슬라이딩 슈(5, 5a)의 끼임이 발생할 수 없게 한다. 추가로, 연결 로드(21)는 연결 로드(21)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부(13)와 연결된다.
도어 리프(15)의 무게 중심 상부에서 가이드 메커니즘(1)은 연결 요소(19)를 통해 도어 리프(15)와 연결되는 트랙 롤러(17)를 포함한다. 수직 방향에서, 트랙 롤러는 단지 하부로의 도어 리프(15)의 운동만을 제한한다. 도어 리프는 상부로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다. 이는 화살표(47)로 표시된다. 도어 리프(15)는 연결 요소(7 또는 7a), 또는 페데스탈 베어링(6)으로서 구성된 플로팅 베어링에 의해 상부 슬라이딩 슈(5) 및 하부 슬라이딩 슈(5a)와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 지점(39)에서, 도어 리프는 두 개의 수직 방향으로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다. 이는 화살표(51)로 표시된다. 도어 리프(15)의 중량은 현수 지점(45)을 통해, 수용부 상에서 지지되는 트랙 롤러 내로 완전히 도입된다. 추가로, 연결 요소(7 또는 7a)는 피벗 베어링(49)(도 3 참조)을 통해 페데스탈 베어링(6)과 연결된다. 도 2에서, 피벗 베어링(49)은 연결 요소(7 또는 7a)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피벗 베어링(49)은 도어 리프(15)의 연장 평면 상에서 수직으로 있는,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도어 리프(15)의 회전을 가능케 한다. 이는 화살표(53)로 표시된다. 이에 의해, 도어 리프(15)의 끼임을 야기하는 가능한 응력이 형성되는 것이 추가로 방지된다.
도 3에는 도 1에 따른 상부 가이드 메커니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으로부터, 수용부(9)는 U자형 단면을 가지며, 개방면이 연결부(41)를 향한다는 것이 명백해 진다. 연결부(41)는 슬라이딩 슈(5)를 연결 요소(7)와 연결시킨다. 연결부(41)는 수직 방향으로의 플로팅 베어링(6)으로서, 그리고 피벗 베어링(49)으로서 구성된다. 이에 의해, 한편으로는 수직 방향으로의 자유 운동이 가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도어 리프(15)의 연장 평면 상에서 수직인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은 슬라이딩 슈(5)가 상부 함몰부(23) 및 하부 함몰부(25)를 포함함으로써, H자형 단면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다. 두 개의 함몰부(23, 25)는 슬라이딩 슈(5)의 전체 길이에 걸쳐 슬라이딩 방향(11)을 따라 연장된다. 함몰부(23 및 25)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부(9)는 상부 함몰부(23)로 연장되는 제1 돌출부(27) 및 하부 함몰부(25) 내로 연장되는 제2 돌출부(29)를 포함한다. 함몰부(23, 25) 내로의 돌출부(27, 29)의 내부적인 맞물림을 통해, 슬라이딩 슈(5)가 수용부(9) 내에서 형상 결합식으로 고정된다. 또한, 단지 슬라이딩 방향(11)으로만 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슬라이딩 방향(11)으로 슬라이딩 슈(5)의 운동을 위해, 슬라이딩 슈(5)가 구동부(13)와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구동부(13)와 연결된 기어 휠(33)이 슬라이딩 슈(5) 내의 대응하는 피니언(35)과 맞물리는 평 기어 장치(31)를 통해 구현된다. 이에 의해, 구동부(13)의 회전 운동이 슬라이딩 슈(5)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된다. 본원에서, 기어 휠(33)의 톱니(37) 및 피니언(35)은 응력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부(13)의 회전축에 대해 기울어져 위치한다. 평 기어 장치(31)는 연결부(41)에 대향하는 슬라이딩 슈(5)의 면 상에 배열된다. 평 기어 장치(31)의 위치에는 수용부(9) 내의 개구가 있다. 상기 개구를 통해, 기어 휠(33)의 톱니(37)가 슬라이딩 슈(5)의 피니언(35)과의 맞물림을 생성한다.
도 4는 도 3과 유사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변형예에서, 수용부(9)는 그 개방면이 기어 휠(33)을 향하는 U자형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슬라이딩 슈(5)의 피니언(35)과 기어 휠(33) 사이의 맞물림을 생성하기 위해, 수용부(9) 내에 개구가 필요하지 않다. 슬라이딩 슈(5)는 슬라이딩 슈(5)와 수용부(9)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용부(9)에 대한 접촉면에 두 개의 삽입체(43)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삽입체(43)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슈(5)는 H자형 단면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 대신, 기어 휠(33)의 배열은, 슬라이딩 슈(5)가 수용부(9) 내에 형상 결합식으로 고정되어 단지 슬라이딩 방향으로만 운동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1, 1a: 가이드 메커니즘
3: 카 도어
5, 5a: 슬라이딩 슈
6: 페데스탈 베어링
7, 7a: 연결 요소(슬라이딩 슈)
8: 볼트
9, 9a: 수용부
11: 슬라이딩 방향
13: 구동부
15: 도어 리프
17: 트랙 롤러
19: 연결 요소(트랙 롤러)
21: 연결 로드
23: 상부 함몰부
25: 하부 함몰부
27: 제1 돌출부
29: 제2 돌출부
31: 평 기어 장치
33: 기어 휠
35: 피니언
37: 톱니
39: 현수 지점
41: 연결부
43: 삽입체
45: 현수 지점
47: 화살표
49: 피벗 베어링
51: 화살표
53: 화살표

Claims (11)

  1. 가이드 메커니즘(1, 1a) 및 도어 리프(15)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용 카 도어(3)이며, 가이드 메커니즘(1, 1a)은 카 도어(3)의 도어 리프와 연결된 슬라이딩 슈(5, 5a)와, 슬라이딩 슈(5, 5a)를 적어도 세 개의 면에서 둘러싸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슈(5, 5a)는 슬라이딩 방향(11)으로 연장부를 포함하며, 이 연장부는 상기 방향에서 도어 리프(15)의 외연의 적어도 30%에 상응하고,
    슬라이딩 슈(5, 5a)는, 슬라이딩 슈(5, 5a)를 수용부(9, 9a) 내에서 활주 방향(11)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동부(13)와 연결되고,
    슬라이딩 슈(5, 5a)는 평 기어 장치(31)를 통해 구동부(13)와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카용 카 도어(3).
  2.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슈(5, 5a)는 수용부(9, 9a)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접촉면에 마찰 감소 삽입체(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용 카 도어(3).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용부(9, 9a)는 슬라이딩 슈(5, 5a)에 대한 접촉면에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용 카 도어(3).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슈(5, 5a)는 슬라이딩 방향(11)을 따라 상부 및 하부 함몰부(23, 25)를 포함함으로써, H자형 단면이 형성되며, 수용부는(9 9a), 수용부 내에 슬라이딩 슈(5, 5a)를 고정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 함몰부(23, 25) 내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돌출부(27, 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용 카 도어(3).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이드 메커니즘(1)은 도어 리프(15)의 상부 단부에 배열된 상부 가이드 메커니즘(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용 카 도어(3).
  8. 제1항에 있어서, 하부 가이드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가이드 메커니즘(1a)은 카 도어(3)의 도어 리프(15)와 연결된 슬라이딩 슈(5, 5a)와, 슬라이딩 슈(5, 5a)를 적어도 세 개의 면에서 둘러싸는 수용부(9a)를 가지며,
    슬라이딩 슈(5a)는 슬라이딩 방향(11)으로 연장부를 포함하며, 이 연장부는 상기 방향에서 도어 리프(15)의 외연의 적어도 30%에 상응하고, 하부 가이드 메커니즘(1a)은 도어 리프(15)의 하부 단부에 배열되는, 엘리베이터 카용 카 도어(3).
  9. 제8항에 있어서, 상부 메커니즘(1)의 슬라이딩 슈(5)는 하부 가이드 메커니즘(1a)의 슬라이딩 슈(5a)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용 카 도어(3).
  10. 가이드 메커니즘(1, 1a) 및 도어 리프(15)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용 카 도어(3)이며, 가이드 메커니즘(1, 1a)은 카 도어(3)의 도어 리프와 연결된 슬라이딩 슈(5, 5a)와, 슬라이딩 슈(5, 5a)를 적어도 세 개의 면에서 둘러싸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슈(5, 5a)는 슬라이딩 방향(11)으로 연장부를 포함하며, 이 연장부는 상기 방향에서 도어 리프(15)의 외연의 적어도 30%에 상응하고,
    가이드 메커니즘(1)은 도어 리프(15)의 상부 단부에 배열된 상부 가이드 메커니즘(1)이고,
    상부 가이드 메커니즘(1)은, 도어 리프(15)와 연결된 트랙 롤러(17)를 포함하며, 트랙 롤러(17)는 상부 가이드 메커니즘(1)의 수용부(9) 상에서 상부로부터 지지되고, 카 도어(3)의 개폐시에 수용부(9) 상에서 롤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용 카 도어(3).
  11. 제10항에 있어서, 연결부(41)는 도어 리프(15)와 상부 슬라이딩 슈(5, 5a)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의 플로팅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용 카 도어(3).
KR1020177017422A 2014-11-26 2015-10-26 카 도어 KR102041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17406.9 2014-11-26
DE102014017406.9A DE102014017406A1 (de) 2014-11-26 2014-11-26 Fahrkorbtür
PCT/EP2015/074697 WO2016083041A1 (de) 2014-11-26 2015-10-26 Fahrkorbtü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945A KR20170087945A (ko) 2017-07-31
KR102041693B1 true KR102041693B1 (ko) 2019-11-06

Family

ID=5434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422A KR102041693B1 (ko) 2014-11-26 2015-10-26 카 도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22909B2 (ko)
EP (1) EP3224182B1 (ko)
KR (1) KR102041693B1 (ko)
CN (1) CN107000997B (ko)
DE (1) DE102014017406A1 (ko)
WO (1) WO201608304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3086A1 (de) * 2003-07-21 2005-02-17 Wittur Ag Abweisende Türpaneelführung
KR100806561B1 (ko) * 2006-12-14 2008-02-28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진동 및 소음 방지기능을 갖는 도어 슈
US20080264574A1 (en) * 2006-10-25 2008-10-30 Spiess Peter A Do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376A (en) * 1909-07-15 1910-01-11 Charles F Lamphier Sliding-door-hanging device.
GB1019509A (en) * 1963-06-28 1966-02-09 Henderson P C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liding doors and the like
DD123683A1 (ko) * 1975-12-04 1977-01-12
JPS6046776U (ja) * 1983-09-07 1985-04-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扉の案内装置
US5668355A (en) * 1994-04-07 1997-09-1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b door drive system
US5612518A (en) * 1994-04-08 1997-03-18 Otis Elevator Company Linear induction motor door drive assembly for elevators
JP2005096977A (ja) 2003-09-26 2005-04-1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US7350332B2 (en) * 2004-07-15 2008-04-01 Masonite Corporation Wall-mounted sliding door system and method
DE602006019189D1 (de) * 2005-10-21 2011-02-10 Inventio Ag Aufzugstürvorrichtung
EP1777190B1 (en) * 2005-10-21 2010-12-29 Inventio AG Elevator door system
EP1780163A1 (en) * 2005-10-26 2007-05-02 Inventio Ag Door system
KR20130003972A (ko) * 2011-07-01 2013-01-09 권재손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3086A1 (de) * 2003-07-21 2005-02-17 Wittur Ag Abweisende Türpaneelführung
US20080264574A1 (en) * 2006-10-25 2008-10-30 Spiess Peter A Door system
KR100806561B1 (ko) * 2006-12-14 2008-02-28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진동 및 소음 방지기능을 갖는 도어 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945A (ko) 2017-07-31
WO2016083041A1 (de) 2016-06-02
EP3224182B1 (de) 2019-12-18
CN107000997B (zh) 2019-04-12
US10322909B2 (en) 2019-06-18
EP3224182A1 (de) 2017-10-04
DE102014017406A1 (de) 2016-06-02
CN107000997A (zh) 2017-08-01
US20170341908A1 (en)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01406B (zh) 具有门板的可竖向移动的门
ES2541669T3 (es) Sistema de accionamiento para el accionamiento y el guiado de un elemento de pared para un sistema de separación de espacios
EP1448470A2 (de) Aufzug mit riemenartigem übertragungsmittel, insbesondere mit zahnriemen, als tragmittel und/oder treibmittel
JP2014507350A (ja) 傾斜または階段を上昇または下降するための運搬装置
JP2017533874A (ja) 階段昇降機
US9206891B2 (en) Support structure for a ball screw
EP1947048A1 (en) Drive means for elevator
JP2013199153A (ja) ホーム柵
KR102041693B1 (ko) 카 도어
WO2008090413A2 (en) Lift with dual traction pulley
EP2584131A1 (en) Sliding door with reversible sliding system
KR102131038B1 (ko) 강연선 삽입장치
KR101740469B1 (ko) 경량형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JP6581549B2 (ja) 乗客コンベア
CH260397A (de) Paternosterähnlicher Aufzug.
JP6140040B2 (ja) スライド扉
US536215A (en) Fourths to ernest staroste
US414712A (en) Elevator
JP6495763B2 (ja) 引戸連動装置
JP5023291B2 (ja) シャッタ装置及びシャッタ装置用金物
EP2390205A1 (de) Führungseinheit
CN112875472A (zh) 一种施工电梯轿厢门档板限位装置
JP2019026024A (ja) 可動ホーム柵
CN204002261U (zh) 窗户自动关闭器
US20070246304A1 (en) Suspension mechanism of screw sh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