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116B1 - 자동차 도어 댐핑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댐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116B1
KR102041116B1 KR1020180087557A KR20180087557A KR102041116B1 KR 102041116 B1 KR102041116 B1 KR 102041116B1 KR 1020180087557 A KR1020180087557 A KR 1020180087557A KR 20180087557 A KR20180087557 A KR 20180087557A KR 102041116 B1 KR102041116 B1 KR 102041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ydraulic cylinder
slider
damp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원
Original Assignee
정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세원 filed Critical 정세원
Priority to KR1020180087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allowing simultaneous actuation of locking or unlocking elements and a handle, e.g.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an unlocking and an un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05B77/38Cushion elements, elastic guiding elements or holding elements, e.g. for cushioning or damping the impact of the bolt against the striker during closing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댐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20)에 수평상으로 고정되는 작동편(120)과; 자동차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유압실린더(220)와; 자동차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한쪽 단부는 상기 유압실린더(220)에 회전 가능하게 정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는 상기 작동편(120)이 안내되는 슬라이드 홈(233)이 형성되는 슬라이더(230)를 구비하여 도어를 열을 때 감쇠력이 커져서 자동차의 도어가 천천히 개폐되도록 하고, 도어를 닫을 때에는 감쇄력이 작아져서 과도한 힘을 주지 않더라도 도어가 쉽고 안전하게 개폐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댐핑 장치{Door damping device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댐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도어에 유체역학(Fluid dynamics, 流體力學)과 그에 따른 파스칼의 원리(Pascal's principle)를 이용하는 유압댐퍼를 탑재하고, 간단한 기구적 구성에 의하여 유압댐퍼가 구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도어를 열을 때 감쇠력이 커져서 자동차의 도어가 천천히 개폐되도록 하고, 도어를 닫을 때에는 감쇄력이 작아져서 과도한 힘을 주지 않더라도 도어가 쉽고 안전하게 개폐될 수 있게 하는 자동차 도어 댐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탑승과 하차를 위한 도어가 마련되는데, 도어를 개폐 및 지지하는 수단으로써 도어 힌지와 도어 체커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 힌지는 도어와 자동차 바디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의 자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힌지핀을 매개로 도어의 개폐 기능을 담당하고, 도어 체커는 상하부에 설치된 도어힌지의 중간에 위치하며 도어가 60~70°의 개방각도로 개폐되게 하는 홀드 기능과 완전히 열렸을 때 멈추게 하는 스톱 기능을 가지며, 도어가 개폐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2~3단계의 개폐 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갑자기 닫히는 도어에 의해 인체가 상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댐퍼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어 힌지는 자동차 바디에 설치되는 바디 브래킷과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 브래킷으로 구성되고, 바디 브래킷과 도어 브래킷은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핀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도어가 일정 각도만큼 회동된다. 이때 상기 도어가 한번에 갑자기 열리고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와 바디 사이에 도어 체커가 설치된다.
도어 체커의 구조는 통상 다수개의 굴곡부를 가지는 길다란 막대 형상으로 체커의 일측 끝단은 핀을 통하여 바디에 설치되고, 타측 끝단은 스톱퍼가 마련되어 도어의 내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어의 개폐시에 체커의 굴곡부가 도어에 설치된 체커 바디의 롤러에 의해 순차적으로 개폐되게 된다.
또한 도어가 최대로 열리는 위치에서는 체커의 끝단에 마련된 스톱퍼가 체커 바디에 걸림으로써 도어가 더 이상 개방되지 않는다.
위와 같은 도어 체커는 도어의 개폐감을 고려하여 굴곡부가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도어를 손쉽게 개폐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도어의 댐퍼 기능이 저하되어 도어를 여닫는 힘을 조절하지 못하면 도어가 갑자기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따라서, 도어와 차체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으며, 무의식적으로 탑승자가 하차 후 차량의 도어를 닫아버렸을 때 신체의 일부 · 옷깃 · 또는 뒤에 하차하는 사람이 도어에 충돌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주의하여 도어를 여닫는다 하더라도 갑자기 강풍이 불게되면 도어 체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어의 회동속도가 제어되지 않아 도어가 파손되거나 인명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사용자의 적은 힘을 들이고 자동차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방안으로 최근에는 모터의 구동으로 도어를 작동시킬 수 있는 기능이 제안되었지만, 이는 비교적 중량체인 자동차 도어의 무게에 대하여 작동될 수 있는 성능을 가지고 있는 모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생산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어 일반적인 차량에 보편화·상용화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자동차 도어에 댐핑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 제10-0424889호 자동차용 도어 댐퍼가 제안되었다.
이 장치는 도어 브래킷의 순간 회동가속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궤적을 갖는 도어 브래킷 및 바디 브래킷 사이에 설치된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출력값을 입력받아서 기준값과 비교한 후 그 출력값이 기준값보다 클 때에만 전류를 보내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공급받은 전류로 상기 도어 브래킷의 회동속도를 감속시키는 작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부는 음극성을 가지면서 바디 브래킷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댐퍼 케이스와, 상기 댐퍼 케이스 내로 관통되어 상기 도어 브래킷과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양극성을 갖는 힌지핀과, 상기 댐퍼 케이스 내에 충진되며 상기 힌지핀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때 점성계수가 변화되는 댐핑용 유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도어 댐퍼는 작동부를 구성하는 메카니즘 이외에 감지부 및 제어부와 같은 전자시스템의 운용을 필요로 함으로써,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전자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정상적인 작동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전자적 시스템이 배제되고 기구적 메카니즘으로 구성되어 자동차 도어의 충격을 완화하고 댐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02046호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댐핑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 장치는 자동차 도어에 장착된 도어래치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와, 폴 레버의 충격을 동시에 완화시킬 수 있는 댐핑 기능을 수행하는 단일개의 복합식 댐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합식 댐퍼는 클로우에 록킹되는 스트라이커와 면접촉시 이 스트라이커에 대응하여 댐핑력을 부여하는 스트라이커 댐핑부와, 상기 스트라이커 댐핑부와 일체로 연장 형성된 하단부에 하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폴과 함께 회동하는 폴 레버에 댐핑력을 부여하는 폴 레버 댐핑부로 구성되며, 상기 스트라이커 및 폴 레버에 각각 댐핑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그 측면부의 내측면과 하단부의 저면에 스트라이커 및 폴에 대해 대응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각각의 제 1 · 제 2댐핑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댐핑 장치는 도어래치 어셈블리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폴 및 스트라이커의 충격을 동시에 완화시킬 수 있는 댐핑 기능을 단일개의 복합식 댐핑부재에서 수행 가능하게 되는 것이지만, 스트라이커, 클로우, 폴, 폴레버 힌지 등으로 이루어져서 복합식 댐핑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기구적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소음이 발생하고, 이 또한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KR 20-0142674 Y1 (1999. 06. 01.) KR 10-0424889 B1 (2004. 03. 27.) KR 10-2009-0102046 A (2009. 09. 30.)
자동차의 개발 추세는 사용자에게 정숙함 · 좋은 승차감 · 안전성 ·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의 차체 및 엔진의 성능 향상뿐만 아니라 도어에 댐핑 기능을 부여하여 정숙하게 온오프 할 수 있게 된다면, 정숙함 · 좋은 승차감과 함께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렇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자동차 도어의 잠금장치부에 경량화, 소형화된 유압댐퍼(Hydraulic Damper)를 장착함으로써 간단한 기구적 구성에 의하여 차량의 문이 큰 회전 모멘트에 의해 세게 닫히더라도 10~15cm의 유격을 두고 급감속하여 도어와 차체 필러 사이의 물체가 빠질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한 다음 천천히 닫힐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로써, 자동차 도어가 개폐되는 속도를 감쇄시켜서 도어를 개폐할 때 발생하는 충격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자동차 이용에 따르는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도어 개폐시 정숙함과 좋은 승차감을 느낄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댐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유압 실린더(hydraulic cylinder)는 입출력되는 유압회로의 면적에 따라 그에 따른 힘이 달라지는 파스칼의 원리를 기본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린더 내의 피스톤을 천천히 누르거나 당기면 움직일 수 있지만 순간적인 큰 힘이 피스톤에 작용했을 경우 실린더는 외력에 대해 반발하는 인덕턴스(inductance)를 발생하여 감쇄 작용을 하는 댐핑 기능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압 실린더의 댐핑 기능은 단면적에 작용하는 힘이 똑같고, 모든 면으로 동일한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힘이 조금만 가해져도 큰 힘이 발휘되는 것이다. 이렇게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를 유압장치(Hydraulic System)라고 하며, 이를 이용하면 비교적 간단한 기구적 구성을 가지고 자동차 도어의 댐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자동차 도어에 형성되는 작동편과 도어 내측의 차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져서 도어 개폐시 상기 작동편이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댐핑 작용이 이루어지는 자동차 도어 댐핑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도어에 수평상으로 고정되는 작동편과; 자동차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유압실린더와; 자동차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한쪽 단부는 상기 유압실린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는 상기 작동편이 안내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라 상기 작동편은 도어 내측에 고정되는 제1 브래킷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에 형성되는 요입부가 이루는 공간 내에 수평상으로 위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홈은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돌출부보다 제2 돌출부가 더 길게 형성되어 도어가 닫혀질 때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편이 슬라이드 홈에 유입되도록 안내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에 형성되는 작동편과 도어 내측의 차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져서 도어 개폐시 상기 작동편이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댐핑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큰 회전 모멘트로 차량의 도어를 닫을 때 회전력이 순간적으로 급감속되도록 감쇄되어 도어가 개폐되는 힘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동차의 도어가 천천히 개폐되며, 과도한 힘을 주지 않더라도 도어가 쉽고 안전하게 개폐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편과 슬라이더더에 의해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비교적 간단한 기구적 구성을 가지고 이루어지면서, 갑작스럽게 또는 무의식적으로 차량 도어를 세게 닫더라도 10~15cm 정도의 유격을 두고 도어가 개폐되는 속도를 급속히 감속시키며 천천히 개폐될 수 있는 안전한 댐핑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가 개폐되는 속도를 감쇄시켜서 도어를 개폐할 때 발생하는 충격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자동차 이용에 따르는 편의성이 향상되며, 동차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능 자동차의 입체도
도 2는 도 1 A부의 내부를 확대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서 도어가 닫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실시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 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 "제2"와 같은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예와 청구항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능 자동차의 입체도이고, 도 2는 도 1 A부의 내부를 확대한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입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 부위에 본 발명의 자동차 댐퍼 장치가 형성된다.
이러한 자동차 댐퍼 장치는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며, 도시된 예에서는 운전석 쪽의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모든 도어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도 2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댐핑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3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댐핑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 댐핑 장치는 작동부(10)와 댐핑 작동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부(10)는 제1 브래킷(110)과 작동편(120)으로 구성되어 도어(30)의 요입부(310) 내측면에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은폐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1 브래킷(110)은 도어(30)에 고정되는 고정편(111)과 작동편(120)이 고정되는 절곡편(112)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111)은 도어(30)의 내측면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구(도시되지 아니함)로 고정되며, 작동편(120)은 고정편(111)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작동편(120)이 고정된다.
상기 작동편(120)은 환봉 형태로 되며, 고정편에 압입되거나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도어(30)의 닫힘 작동시 슬라이더(230)의 회전 반경에 접할 수 있는 위치에서 수평상으로 설치된다.
상기 도어(30)의 요입부(310)는 댐핑 구동부(20)의 슬라이더(230)가 도어(30)와 간섭됨이 없이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작동부(10)는 고정편(111)과 절곡편(112)을 이루는 제1 브래킷(110)아 도어(30)의 내측면에 고정되면서 작동편(120)은 요입부(310)를 형성하는 외부공간으로 노출되어 도어(30)가 개폐될 때 댐핑 구동부(2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댐핑 작동부(20)는 제2 브래킷(210), 유압실린더(220), 슬라이더(230)로 구성된다.
제2 브래킷(210)은 수직기판(211)과, 상기 수직기판(211)의 양쪽 측단부로터 서로 나란하게 돌출되는 돌출부(212, 213)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12, 213) 사이의 공간에 유압실린더(220)와 슬라이더(23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제2 브래킷(210)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나의 상부힌지(214)와 하부힌지(215)가 형성되어 유압실린더(220)와 슬라이더(23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유압실린더(220)는 주지된 구조와 같이 본체(221)와 피스톤 로드(222)로 이루어지면서, 본체(221)의 고정단부(223)은 상부힌지(21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피스톤 로드(222)는 슬라이더(230)에 아이들 힌지(216)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슬라이더(230)는 한쪽 단부에 제1 돌출부(231)와 제2 돌출부(232)가 형성되면서, 제1 돌출부(231)와 제2 돌출부(232) 사이에 슬라이드 홈(233)이 형성되어 작동부(10)의 작동편(120)이 안내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돌출부(231)는 제2 돌출부(232)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작동부(10)의 작동편(120)이 슬라이드 홈(233)에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230)는 하부힌지(21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제2 브래킷(210)에 설치되며, 한쪽 단부가 아이들 힌지(216)로 유압실린더(220)의 피스톤 로드(22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이 작동되는 상태를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고,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서 도어가 닫히는 상태를 보여주며,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에서 참조되는 것과 같이, 도어(30)가 열렸을 때에는 슬라이더(230)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경사진 위치로 회전하여 차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작동편(120)은 하부힌지(21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슬라이더(230)가 회전하는 회전반경에 접하는 위치에서 도어(30)가 개폐됨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도어(30)가 닫히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동부(10)의 작동편(120)이 슬라이드 홈(233)의 입구에 도달하게 되고, 작동편(120)이 슬라이더(230)의 제2 돌추부(232)에 접촉하며 닫혀지면 슬라이더(230)가 하부힌지(215)를 중심으로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슬라이더(230)의 한쪽 단부에 아이들 힌지(216)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유압실린더(220)의 피스톤 로드(222)가 유압실린더(220)에 압력을 가하여 저항력을 발생시키게 됨으로써 댐핑작용을 개시하게 된다.
이후 도어(30)가 완전히 닫혀지면,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편(120)이 슬라이드 홈(233)의 안쪽에 위치하며 슬라이더(2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후 도어(30)를 열을 때에는 도 5 및 도 4와 같이 순서로 진행되면서 도어(30)의 급속한 개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10: 작동부 20: 댐핑 구동부
30: 도어 110: 제1 브래킷
111: 고정편 112: 절곡편
120: 작동편 210: 제2 브래킷
211: 수직기판 212: 돌출부
213: 돌출부 214: 상부힌지
215: 하뷘지 216: 아이들 힌지
220: 유압실린더 221: 본체
222: 피스톤 로드 223: 고정단부
230: 슬라이더 231: 제1 돌출부
232: 제2 돌출부 233: 슬라이드 홈
310: 요입부

Claims (3)

  1. 자동차 도어에 형성되는 작동편과 도어 내측의 차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져서 도어 개폐시 상기 작동편이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댐핑 작용이 이루어지는 자동차 도어 댐핑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도어(20)에 수평상으로 고정되는 작동편(120)과;
    자동차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유압실린더(220)와;
    자동차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한쪽 단부는 상기 유압실린더(2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는 상기 작동편(120)이 안내되는 슬라이드 홈(233)이 형성되는 슬라이더(230)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편(120)은,
    도어(30) 내측에 고정되는 제1 브래킷(110)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230)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30)에 형성되는 요입부(310)가 이루는 공간 내에 수평상으로 위치되며,
    상기 슬라이더(230)는,
    제1 돌출부(231)와 제2 돌출부(232) 사이에 슬라이드 홈(233)이 형성되되,
    상기 제1 돌출부(231)보다 제2 돌출부(232)가 더 길게 형성되어 도어(30)가 닫혀질 때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편(120)이 슬라이드 홈(233)에 유입되도록 안내되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댐핑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087557A 2018-07-27 2018-07-27 자동차 도어 댐핑 장치 KR102041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557A KR102041116B1 (ko) 2018-07-27 2018-07-27 자동차 도어 댐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557A KR102041116B1 (ko) 2018-07-27 2018-07-27 자동차 도어 댐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116B1 true KR102041116B1 (ko) 2019-11-06

Family

ID=6854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557A KR102041116B1 (ko) 2018-07-27 2018-07-27 자동차 도어 댐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1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9037B1 (en) 2021-07-07 2021-12-14 Derek Orion Murr Limiter for car door closing movem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674Y1 (ko) 1996-11-01 1999-06-01 홍종만 자동차 도어 댐핑 장치
KR100424889B1 (ko) 2001-11-26 2004-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댐퍼
JP2007308888A (ja) * 2006-05-16 2007-11-29 Daiken Trade & Ind Co Ltd 開き戸の緩衝装置
JP2009114823A (ja) * 2007-11-02 2009-05-28 Kg Paltec Co Ltd 引戸の閉鎖緩衝装置
KR20090102046A (ko) 2008-03-25 2009-09-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래치의 댐핑장치
JP2014173397A (ja) * 2013-03-13 2014-09-22 Opnus:Kk 扉引き込み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674Y1 (ko) 1996-11-01 1999-06-01 홍종만 자동차 도어 댐핑 장치
KR100424889B1 (ko) 2001-11-26 2004-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댐퍼
JP2007308888A (ja) * 2006-05-16 2007-11-29 Daiken Trade & Ind Co Ltd 開き戸の緩衝装置
JP2009114823A (ja) * 2007-11-02 2009-05-28 Kg Paltec Co Ltd 引戸の閉鎖緩衝装置
KR20090102046A (ko) 2008-03-25 2009-09-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래치의 댐핑장치
JP2014173397A (ja) * 2013-03-13 2014-09-22 Opnus:Kk 扉引き込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9037B1 (en) 2021-07-07 2021-12-14 Derek Orion Murr Limiter for car door closing mov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8265B2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4625332B2 (ja) 車両に用いられるパラレルグライド式ドア
CN103998704B (zh) 具有多部件棘爪的锁止装置
US20060071504A1 (en) Power actuator system for actuating a closure member
CN101195364A (zh) 扶手锁定装置
WO1998003368A1 (en) Energy absorbing restraint seat back recliner
CN111502470B (zh) 车辆侧门的开闭装置
JP4511746B2 (ja) 自動車のリリース可能なドアストップ
JP7183986B2 (ja) 車両のサイドドア開閉装置
JP3675209B2 (ja) 車両用フード装置
KR102041116B1 (ko) 자동차 도어 댐핑 장치
JP2006526719A (ja) ヒンジ装置
US20160340937A1 (en)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US7516514B2 (en) Door stopper for a motor vehicle door and motor vehicle door for a motor vehicle with a door stopper of this type
KR20050037697A (ko)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윈도우 글래스 인터 로크
CN108278054A (zh) 一种汽车中滑门开启互锁机构总成
US20220389744A1 (en) Door hinge device of vehicle
KR101311975B1 (ko) 지하철 게이트의 스윙도어 기구
US11913259B2 (en) Closing assembly for motor vehicle
KR20110019672A (ko)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JP2021070370A (ja) 車両のステップ装置
US1806488A (en) Door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automobiles
JPH03139427A (ja) 車両用ドアダンパー装置
JPH0533658Y2 (ko)
JPH051846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