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976B1 - 차량 안전 파킹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안전 파킹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976B1
KR102040976B1 KR1020180033169A KR20180033169A KR102040976B1 KR 102040976 B1 KR102040976 B1 KR 102040976B1 KR 1020180033169 A KR1020180033169 A KR 1020180033169A KR 20180033169 A KR20180033169 A KR 20180033169A KR 102040976 B1 KR102040976 B1 KR 102040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de
parking
stat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1259A (ko
Inventor
박영웅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33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97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1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60W10/18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including control of parking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2Selecting between different operative modes, e.g. comfort and performance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6Slope angle of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2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prop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15Road slope, i.e. the inclination of a road seg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2Longitudinal d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차량 안전 파킹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차량 안전 파킹 방법은 차량의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상태가, 운행 상태에서 주차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와, 상기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상기 주차 상태에 대해 설정된 각각의 주차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안전 파킹 장치 및 방법{VEHICLE SAFETY PARK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차량의 상태가 운행 상태에서 주차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 및 차량 내 사이드기어를 각각 주차 모드로 전환하는 차량 안전 파킹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이동의 편의로 인해, 보편화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차량 제어의 부주의로 인해, 피해를 입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일례로, 차량을 안전하게 파킹(예컨대, 차량 내 엔진기어 및 사이드기어를, 파킹 모드 및 잠금 모드로 설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이탈하는 경우, 차량은 스스로 또는 외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근처에 위치하는 운전자가 다치거나, 또는 차량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서의 운전자 이탈이 확인되면, 차량을 안전하게 파킹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차량의 상태가 운행 상태에서 주차 상태(예컨대, 운전석이 비어있거나, 운전석의 등받이가 선정된 각도 이상이거나, 운전석의 하중이 설정된 기준 하중 이하일 경우)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 및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각각 주차 모드로 전환 함으로써, 차량을 안전하게 파킹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상기 차량의 상태를 운행가능 상태로 식별하고,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를 주차 모드에서, 중립 모드로 전환하고,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주차 모드에서, 잠금해제 모드로 전환 함으로써, 안전하게 파킹되어 있던 차량에서 운행가능 상태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차량 안전 파킹 장치는 차량의 상태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식별된 상태가, 운행 상태에서 주차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와, 상기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상기 주차 상태에 대해 설정된 각각의 주차 모드로 전환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상기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차량의 상태를 운행가능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엔진기어의 제1 모드를 상기 주차 모드에서, 중립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상기 주차 모드에서, 잠금해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차량 안전 파킹 방법은 차량의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상태가, 운행 상태에서 주차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와, 상기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상기 주차 상태에 대해 설정된 각각의 주차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안전 파킹 방법은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상기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상기 차량의 상태를 운행가능 상태로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엔진기어의 제1 모드를 상기 주차 모드에서, 중립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상기 주차 모드에서, 잠금해제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상태가 운행 상태에서 주차 상태(예컨대, 운전석이 비어있거나, 운전석의 등받이가 선정된 각도 이상이거나, 운전석의 하중이 설정된 기준 하중 이하일 경우)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 및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각각 주차 모드로 전환 함으로써, 차량을 안전하게 파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상기 차량의 상태를 운행가능 상태로 식별하고,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를 주차 모드에서, 중립 모드로 전환하고,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주차 모드에서, 잠금해제 모드로 전환 함으로써, 안전하게 파킹되어 있던 차량에서 운행가능 상태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파킹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파킹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파킹 장치에서 차량의 안전 파킹을 제어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파킹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파킹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100)는 차량 내 엔진기어(101), 차량 내 사이드기어(103), 차량 안전 파킹 장치(105) 및 이동 단말(107)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내 엔진기어(101)는 운전자 또는 차량 안전 파킹 장치(105)에 의해, 주차 모드(예컨대, 파킹 모드) 또는 운행 모드(예컨대, 중립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차량 내 사이드기어(103)는 운전자 또는 차량 안전 파킹 장치(105)에 의해, 주차 모드(잠금 모드) 또는 운행 모드(잠금해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차량 안전 파킹 장치(105)는 차량 내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차량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차량 안전 파킹 장치(105)는 차량 내 엔진기어(101) 및 차량 내 사이드기어(103)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안전 파킹 장치(105)는 차량의 상태가, 운행 상태에서 주차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101)의 제1 모드와, 상기 차량 내 사이드기어(103)의 제2 모드를, 상기 주차 상태에 대해 설정된 각각의 주차 모드로 전환하고, 주차 모드로의 전환에 대한 메시지를 상기 차량을 소유하는 운전자의 이동 단말에 제공 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의 안전 파킹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주차 모드로의 전환시, 차량 안전 파킹 장치(105)는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101)의 제1 모드를 파킹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차량 내 사이드기어(103)의 제2 모드를 잠금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7)은 차량의 상태가, 운행 상태에서 주차 상태로 변경 됨에 따라,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와, 상기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가 주차 모드로 전환되면, 차량 안전 파킹 장치(105)로부터 주차 모드로의 전환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파킹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파킹 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201) 및 프로세서(203)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1)는 차량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부(201)는 상기 차량 내 운전석을 촬상하고, 상기 촬상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통해, 상기 운전석이 비어있거나, 또는 상기 운전석의 등받이의 각도가 선정된 각도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차량의 상태를 주차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인터페이스부(201)는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획득한 상기 차량 내 운전석의 하중이, 설정된 기준 하중(예컨대, 30㎏) 이하이고, 상기 차량 내 브레이크에 대한 동작 신호가 설정된 시간 동안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전석이 비어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의 상태를 주차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서, 인터페이스부(201)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상기 차량에 시동이 꺼지면, 상기 차량의 상태를 주차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01)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상기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상기 차량의 상태를 운행가능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부(201)는 다른 일례로서, 차량의 시동과 함께, 차량 내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를 더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부(201)는 차량에 시동이 걸리고,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가 기등록된 운전자로 확인되면, 차량의 상태를 운행가능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부(201)는 차량 내 운전석을 촬상한 이미지에서 기등록된 운전자의 얼굴이 검출되거나, 또는 센서에 의해 획득한 차량 내 운전석의 하중이 기등록된 운전자의 기준 하중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를, 기등록된 운전자로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03)는 상기 식별된 상태가, 운행 상태에서 주차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와, 상기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상기 주차 상태에 대해 설정된 각각의 주차 모드로 전환하여, 차량을 안전 파킹시킬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3)는 주차 모드로의 전환에 대한 메시지를 상기 차량을 소유하는 운전자가 소지하는 이동 단말(또는, 내비게이션, 스피커)에 제공 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의 안전 파킹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주차 모드로의 전환시, 프로세서(203)는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를 파킹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잠금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3)는 일례로서, 상기 주차 모드로의 전환 전에,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으며, 주차 상태가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와, 상기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상기 주차 상태에 대해 설정된 각각의 주차 모드로 전환하여, 차량을 안전 파킹시킬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프로세서(203)는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주차 모드와 일치하면, 일정 시간 후, 재식별된 상기 차량의 상태가 상기 주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주차 모드와 일치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모드를, 상기 주차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03)는 제1 모드가 주차 모드이면, 일정 시간 후, 재식별된 상기 차량의 상태가 상기 주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주차 모드가 아닌 제2 모드를 주차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203)는 차량의 상태가, 운행 상태에서 주차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디폴트(default)로 차량의 안전 파킹을 지원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일례로서, 상기 주차 상태의 차량이 주차된 지면의 기울기가 설정된 기준 기울기 보다 작으면(예컨대, 평지에 차량이 주차된 경우), 차량의 안전 파킹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3)는 차량의 상태가, 운행 상태에서 주차 상태로 변경되더라도, 상기 주차 상태의 차량이 주차된 지면의 기울기가 설정된 기준 기울기 보다 작으면,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 및 상기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에서의 주차 모드로의 전환을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서(203)는 상기 차량 내에 동승자가 존재하거나, 또는 타 차량과의 거리가 설정된 간격 이하이면, 상기 지면의 기울기가 상기 기준 기울기 보다 작더라도,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 및 상기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각각 주차 모드로 전환하여, 차량을 안전 파킹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3)는 인터페이스부(201)에 의해, 상기 차량의 상태가 운행가능 상태로 식별되면, 상기 엔진기어의 제1 모드를 상기 주차 모드에서, 중립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상기 주차 모드에서, 잠금해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3)는 주차 모드 해제에 대한 메시지를 운전자가 소지하는 이동 단말(또는, 내비게이션, 스피커)에 제공 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의 안전 파킹 해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파킹 장치에서 차량의 안전 파킹을 제어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안전 파킹 장치는 예컨대, 차량 내 운전석을 촬상한 이미지에서 운전자의 얼굴이 검출되지 않거나, 센서에 의해 획득한 차량 내 운전석의 하중이 설정된 기준 하중(예컨대, 30㎏) 이하이거나, 또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면, 차량의 상태를 주차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와, 상기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상기 주차 상태에 대해 설정된 각각의 주차 모드로 전환 함으로써, 차량을 안전 파킹시킬 수 있다.
반면, 차량 안전 파킹 장치는 예컨대, 차량의 시동이 온(on)되거나, 또는 차량의 시동이 온된 상태에서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가, 기등록된 운전자로 확인되면, 차량의 상태를 운행가능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와, 상기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중립 모드 및 잠금해제 모드로 각각 전환 함으로써, 차량의 안전 파킹을 해제하여, 운전가능 상태로 쉽게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 확인시, 차량 안전 파킹 장치는 차량 내 운전석을 촬상한 이미지에서 기등록된 운전자의 얼굴이 검출되거나, 또는 센서에 의해 획득한 차량 내 운전석의 하중이 기등록된 운전자의 기준 하중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를, 기등록된 운전자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파킹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401)에서, 차량 안전 파킹 장치는 차량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안전 파킹 장치는 상기 차량 내 운전석을 촬상하고, 상기 촬상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통해, 상기 운전석이 비어있거나, 또는 상기 운전석의 등받이의 각도가 선정된 각도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차량의 상태를 주차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차량 안전 파킹 장치는 상기 차량 내 운전석의 하중이 설정된 기준 하중(예컨대, 30㎏) 이하이고, 상기 차량 내 브레이크에 대한 동작 신호가 설정된 시간 동안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전석이 비어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의 상태를 주차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서, 차량 안전 파킹 장치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상기 차량에 시동이 꺼지면, 상기 차량의 상태를 주차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안전 파킹 장치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상기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상기 차량의 상태를 운행가능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안전 파킹 장치는 다른 일례로서, 차량의 시동과 함께, 차량 내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를 더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안전 파킹 장치는 차량에 시동이 걸리고,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가 기등록된 운전자로 확인되면, 차량의 상태를 운행가능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403)에서, 차량 안전 파킹 장치는 상기 식별된 상태가, 운행 상태에서 주차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단계(405)에서,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와, 상기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상기 주차 상태에 대해 설정된 각각의 주차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안전 파킹 장치는 주차 모드로의 전환에 대한 메시지를 상기 차량을 소유하는 운전자의 이동 단말에 제공 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의 안전 파킹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주차 모드로의 전환시, 차량 안전 파킹 장치는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를 파킹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잠금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안전 파킹 장치는 일례로서, 상기 주차 모드로의 전환 전에,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으며, 주차 상태가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와, 상기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상기 주차 상태에 대해 설정된 각각의 주차 모드로 전환하여, 차량을 안전 파킹시킬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차량 안전 파킹 장치는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주차 모드와 일치하면, 일정 시간 후, 재식별된 상기 차량의 상태가 상기 주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주차 모드와 일치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모드를, 상기 주차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서, 차량 안전 파킹 장치는 상기 주차 상태의 차량이 주차한 지면의 기울기가 설정된 기준 기울기 보다 큰지를 더 고려하여,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를 상기 주차 모드로의 전환하되, 상기 차량 내에 동승자가 존재하거나, 또는 타 차량과의 거리가 설정된 간격 이하이면, 상기 지면의 기울기가 상기 기준 기울기 보다 작더라도, 상기 주차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단계(407)에서, 차량 안전 파킹 장치는 상기 식별된 상태가, 주차 상태에서 운행가능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단계(409)에서, 상기 엔진기어의 제1 모드를 상기 주차 모드에서, 중립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상기 주차 모드에서, 잠금해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안전 파킹 장치는 주차 모드 해제에 대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 내비게이션 및 운전자의 이동 단말 중 어느 하나에 제공 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의 안전 파킹 해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저장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차량 안전 파킹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101: 차량 내 엔진기어
103: 차량 내 사이드기어
105: 차량 안전 파킹 장치
107: 이동 단말

Claims (16)

  1. 차량의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상태가, 운행 상태에서 주차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와, 상기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상기 주차 상태에 대해 설정된 각각의 주차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주차 상태의 차량이 주차한 지면의 기울기가 설정된 기준 기울기 보다 작으면,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에서의 상기 주차 모드로의 전환을 제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에 동승자가 존재하거나, 또는 타 차량과의 거리가 설정된 간격 이하이면, 상기 지면의 기울기가 상기 기준 기울기 보다 작더라도, 상기 주차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 파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주차 모드와 일치하면,
    일정 시간 후, 재식별된 상기 차량의 상태가 상기 주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주차 모드와 일치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모드를, 상기 주차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안전 파킹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를 파킹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잠금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 파킹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내 운전석을 촬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상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통해, 상기 운전석이 비어있거나, 또는 상기 운전석의 등받이의 각도가 선정된 각도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차량의 상태를 주차 상태로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 파킹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내 운전석의 하중이 설정된 기준 하중 이하이고, 상기 차량 내 브레이크에 대한 동작 신호가 설정된 시간 동안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전석이 비어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의 상태를 주차 상태로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 파킹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상기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상기 차량의 상태를 운행가능 상태로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엔진기어의 제1 모드를 상기 주차 모드에서, 중립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상기 주차 모드에서, 잠금해제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안전 파킹 방법.
  9. 차량의 상태를 식별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식별된 상태가, 운행 상태에서 주차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와, 상기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상기 주차 상태에 대해 설정된 각각의 주차 모드로 전환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차 상태의 차량이 주차한 지면의 기울기가 설정된 기준 기울기 보다 큰지를 더 고려하여, 상기 제1 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를 상기 주차 모드로의 전환하되,
    상기 차량 내에 동승자가 존재하거나, 또는 타 차량과의 거리가 설정된 간격 이하이면, 상기 지면의 기울기가 상기 기준 기울기 보다 작더라도, 상기 주차 모드로 전환하는
    차량 안전 파킹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주차 모드와 일치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일정 시간 후, 재식별된 상기 차량의 상태가 상기 주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주차 모드와 일치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모드를, 상기 주차 모드로 전환하는
    차량 안전 파킹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내 엔진기어의 제1 모드를 파킹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차량 내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잠금 모드로 전환하는
    차량 안전 파킹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차량 내 운전석을 촬상하고, 상기 촬상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통해, 상기 운전석이 비어있거나, 또는 상기 운전석의 등받이의 각도가 선정된 각도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차량의 상태를 주차 상태로 식별하는
    차량 안전 파킹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 운전석의 하중이 설정된 기준 하중 이하이고, 상기 차량 내 브레이크에 대한 동작 신호가 설정된 시간 동안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운전석이 비어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의 상태를 주차 상태로 식별하는
    차량 안전 파킹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상기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차량의 상태를 운행가능 상태로 식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엔진기어의 제1 모드를 상기 주차 모드에서, 중립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사이드기어의 제2 모드를 상기 주차 모드에서, 잠금해제 모드로 전환하는
    차량 안전 파킹 장치.
KR1020180033169A 2018-03-22 2018-03-22 차량 안전 파킹 장치 및 방법 KR102040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169A KR102040976B1 (ko) 2018-03-22 2018-03-22 차량 안전 파킹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169A KR102040976B1 (ko) 2018-03-22 2018-03-22 차량 안전 파킹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259A KR20190111259A (ko) 2019-10-02
KR102040976B1 true KR102040976B1 (ko) 2019-11-05

Family

ID=6842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169A KR102040976B1 (ko) 2018-03-22 2018-03-22 차량 안전 파킹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9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6140A (ja) * 2001-11-22 2003-05-30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車両用自動変速機のレンジ切換装置
JP2013043512A (ja) * 2011-08-23 2013-03-04 Tokai Rika Co Ltd 車両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14187842A (ja) * 2013-03-25 2014-10-02 Mitsubishi Motors Corp 電気駆動システム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714A (ja) * 1992-11-12 1994-05-27 Tokai Rika Co Ltd パワーウィンド装置
KR19980038830A (ko) * 1996-11-26 1998-08-17 배순훈 자동변속기를 구비한 자동차용 하차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6140A (ja) * 2001-11-22 2003-05-30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車両用自動変速機のレンジ切換装置
JP2013043512A (ja) * 2011-08-23 2013-03-04 Tokai Rika Co Ltd 車両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14187842A (ja) * 2013-03-25 2014-10-02 Mitsubishi Motors Corp 電気駆動システム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259A (ko)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7718B2 (ja) 自動運転システム
KR102463740B1 (ko) 자율주차보조장치 및 그의 주차 지원 방법
US9650057B2 (en)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warning a vehicle driver of a motor vehicle
US20160207400A1 (en) Passenger casted content to infotainment system
WO2018074586A1 (ja) 自動運転支援装置、自動運転車、自動運転支援方法および自動運転支援プログラム
US10860208B2 (en) Multi-window display controller
EP3481719B1 (en) Vehicle-integrated drone
JP6319507B1 (ja) 車両の遠隔操作システム
US10496890B2 (en) Vehicular collaboration for vehicular blind spot detection
CN107000762B (zh) 用于自动实施机动车的至少一个行驶功能的方法
WO2020140901A1 (en) Separate operating systems for dashboard display
JP7104646B2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車両制御方法
KR102040976B1 (ko) 차량 안전 파킹 장치 및 방법
JP6733572B2 (ja) 駐車支援装置
US20220219711A1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manager, metho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vehicle
US20240124012A1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Scheduling Notification Based on Driving assistance features
JPWO2018092298A1 (ja)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JP7275262B2 (ja) 車両運転権限移転方法および装置
US201902704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eering of vehicle
US20230082308A1 (en) Virtual connected vehicle infrastructure
CN114684186A (zh) 具有串行化计算架构的自主车辆安全响应方法和相应的车辆安全系统
JP6931832B2 (ja) 駐車支援装置および車両
JP6990874B2 (ja) 駐車支援装置および車両
JP2020107173A (ja) ドライバー異常時対応システムおよびドライバー異常時対応方法
WO2020235393A1 (ja) 車両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