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446B1 -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 Google Patents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446B1
KR102040446B1 KR1020190117214A KR20190117214A KR102040446B1 KR 102040446 B1 KR102040446 B1 KR 102040446B1 KR 1020190117214 A KR1020190117214 A KR 1020190117214A KR 20190117214 A KR20190117214 A KR 20190117214A KR 102040446 B1 KR102040446 B1 KR 102040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paint
building
wa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0446B9 (ko
Inventor
김소중
Original Assignee
김소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85784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4044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소중 filed Critical 김소중
Priority to KR1020190117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446B1/ko
Publication of KR10204044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44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32Shielding elements, i.e. elements preventing overspray from reaching areas other than the object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Landscapes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옥상에 지지되어 건물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풀리프레임(110) 및 한쌍의 풀리프레임(110)을 경유하는 와이어(W)를 감거나 푸는 윈치부(120)를 가지는 옥상착탈고정부(100)와; 한쌍의 풀리프레임(110)을 경유하는 와이어(W)에 의하여 건물 외벽(B)을 따라 승강되면서 페인트를 분사하는 것으로서, 건물 외벽(B)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이 차단되어 페인트스프레이의 비산을 막으면서 건물 외벽(B)을 무인 도장하는 무인도장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Automatic painting apparatus having preventing paint mist scattering function}
본 발명은 시공되는 고층 건물의 외벽을 도장하기 위한 도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으로 건물 외벽을 신속하게 도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도장 과정에서 페인트스프레이가 주위로 비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공 건물을 시공할 때, 건물 외벽을 페인트로 도장하는 과정이 있다. 통상 건물 도장은, 건물의 시멘트 외벽면을 페인트로 여러번 애벌 도장 하여 외벽면의 미세 공극을 페인트로 메우고, 이후 특정 색상의 페인트를 이용하여 정벌 도장함으로써 진행되었다. 이러한 건물 외벽의 도장은, 건물 옥상에 매달린 밧줄에 의지한 작업자가 스프레이건를 좌우로 움직여 페인트를 분사시킴으로써 수행되었다.
그런데 스프레이건으로 재도장을 할 때, 페인트 스프레이가 주위로 비산되어 공기를 오염시키고, 비산된 페인트스프레이에 의하여 오염된 공기는 독한 냄새를 가짐은 물론 주위에 거주하는 사람이 호흡하였을 때 건강에 해로웠다. 이에 따라 스프레이건으로 건물 외벽을 재도장할 때, 주위의 거주하는 주민들로부터 민원이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2019년 중반부터, 사람이 거주중이 건물을 도장할 때 페인트스프레이가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법제화되고, 페인트스프레이의 비산을 방지하는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건물 외벽의 도장은 페인트스프레이의 비산이 거의 없는 롤러 방식에 의하여만 가능해졌다.
그런데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외벽 면적은 매우 크기 때문에, 롤러를 이용하여 재도장할 때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통상 스프레이건을 이용한 도장 방식에 비하여 3~4 배 이상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외벽 미관을 위하여 건물 외벽에 많은 돌출 패턴이 형성될 경우, 롤러 방식으로 재도장할 경우 더더욱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되었고, 전문적인 기능이 요구되어 인력조달은 물론 인건비 상승등의 복합적인 문제가 발생되었다.
그리고 작업자는 옥상에 매달린 밧줄에 의지한 위험한 상태로 도장 작업을 하여야 하는데, 도장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사고 위험의 가능성이 급격히 높아진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건물 외벽을 페인트 분사방식으로 도장할 때 페인트스프레이가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 외벽의 도장을 무인으로 진행하면서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어 도장 시간 및 노력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는, 건물의 옥상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건물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풀리프레임(110) 및 상기 한쌍의 풀리프레임(110)을 경유하는 와이어(W)를 감거나 푸는 윈치부(120)를 가지는 옥상착탈고정부(100); 및 상기 한쌍의 풀리프레임(110)을 경유하는 상기 와이어(W)에 의하여 상기 건물 외벽(B)을 따라 승강되면서 페인트를 분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건물 외벽(B)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이 차단되어 페인트스프레이의 비산을 막으면서 상기 건물 외벽(B)을 무인 도장하는 무인도장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인도장부(200)는, 상기 와이어(W)로 연결되어 상기 건물 외벽(B)을 따라 승강되는 것으로서 상기 건물 외벽(B) 방향으로 개구된 방진박스(210)와; 상기 방진박스(210)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건물 외벽(B)으로 페인트를 분사하는 스프레이분사관(220)과; 상기 스프레이분사관(220)으로 페인트저장탱크(240)에 저장된 페인트를 압송하는 페인트압송부(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분사관(220)은, 상기 방진박스(210)의 전방측에 수평 방향을 이루며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스프레이분사관(221) 및 제2스프레이분사관(22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레이분사관(221)은, 유입되는 페인트를 분사하는 제1관체(221a)와, 상기 제1관체(221a)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노즐(221b)과, 상기 제1노즐(221b) 각각에 설치되어 그 제1노즐(221b)의 개폐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1솔밸브(221c)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프레이분사관(222)은, 상기 제1스프레이분사관(221)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유입되는 페인트를 분사하는 제2관체(222a)와, 상기 제2관체(222a)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노즐(222b)과, 상기 제2노즐(222b) 각각에 설치되어 그 제2노즐(222)의 개폐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2솔밸브(222c)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인도장부(200)는, 상기 방진박스(210)가 건물 외벽(B)에 형성된 창틀 영역(F)으로 접근할 때 이를 감지하여 대응되는 이벤트신호(S)를 발생하는 감지부(250)와; 상기 이벤트신호(S)에 연동되어 상기 페인트압송부(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동제어부(26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인도장부(200)는, 상기 방진박스(210) 내측에서 상기 스프레이분사관(220)을 전진 또는 후진되게 지지하는 분사관이동지지부(27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인도장부(200)는, 상기 스프레이분사관(220)에 의하여 페인트 도장되는 영역을 촬영하여 대응되는 촬영신호를 무선으로 발생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방진박스(21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그 방진박스(21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페인트 도장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제1촬영부(280)와, 상기 방진박스(210)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그 방진박스(21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페인트 도장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제2촬영부(2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옥상착탈고정부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W)에 지지되어 건물 외벽(B)을 따라 승강되는 방진박스에 페인트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을 가지는 스프레이분사관을 채용하고, 방진박스가 스프레이분사관으로부터 분사되는 페인트스프레이가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건물 외벽(B)을 무인으로 도장할 수 있으며, 도장 과정에서 주위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이 작업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24 시간 내내 운영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건물 외벽을 매우 신속하게 도장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레이분사관이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2스프레이분사관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제1,2스프레이분사관에는 다수의 제1,2솔벨브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1,2노즐를 채용함으로서, 페인트가 분사되는 영역을 가변하거나 분사량을 가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신속하게 고품질의 도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가 건물 외벽을 도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무인도장부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무인도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도 3의 무인도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도 3 내지 5의 스프레이분사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5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3의 촬영부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가 건물 외벽을 도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는, 건물의 옥상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건물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풀리프레임(110) 및 상기 한쌍의 풀리프레임(110)을 경유하는 와이어(W)를 감거나 푸는 윈치부(120)를 가지는 옥상착탈고정부(100)와; 한쌍의 풀리프레임(110)을 경유하는 상기 와이어(W)에 의하여 건물 외벽(B)을 따라 승강되면서 페인트를 분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건물 외벽(B)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이 차단되어 페인트스프레이의 비산을 막으면서 상기 건물 외벽(B)을 무인 도장하는 무인도장부(200);를 포함한다.
옥상착탈고정부(100)는 건물 옥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무인도장부(200)와 와이어(W)로 연결되어 무인도장부(200)를 승강시킨다. 옥상착탈고정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프레임의 단부에 풀리가 설치되어 구현된 풀리프레임(110)과, 풀리프레임(110)을 경유하는 와이어(W)를 감거나 푸는 윈치부(120)로 구성되며, 윈치부(120)의 작동에 의하여 와이어(W)가 풀어지거나 감겨진다. 이러한 옥상착탈고정부(100)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도 1의 무인도장부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무인도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무인도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 도 6은 도 3 내지 5의 스프레이분사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3의 촬영부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무인도장부(200)는, 옥상착탈고정부(100)의 윈치부(120)에 와이어(W)로 연결되어 건물 외벽(B)을 따라 승강된다. 무인도장부(2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외벽(B) 방향으로 개구된 방진박스(210)와; 방진박스(210)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건물 외벽(B)으로 페인트를 분사하는 스프레이분사관(220)과; 스프레이분사관(220)으로 페인트저장탱크(240)에 저장된 페인트를 압송하는 페인트압송부(230)와; 방진박스(210)가 건물 외벽(B)에 형성된 창틀 영역(F)으로 접근할 때 이를 감지하여 대응되는 이벤트신호(S)를 발생하는 감지부(250)와; 이벤트신호(S)에 연동되어 페인트압송부(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동제어부(260)와; 방진박스(210) 내측에서 스프레이분사관(220)을 전진 또는 후진되게 지지하는 분사관이동지지부(270)와; 스프레이분사관(220)에 의하여 페인트 도장되는 영역을 촬영하여 대응되는 촬영신호를 무선으로 발생하는 촬영부를 포함한다.
방진박스(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W)와 연결되는 프레임구조물(211)과, 프레임구조물(211)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212)와, 건물 외벽(B) 방향을 제외한 상기 프레임구조물(211)을 감싸는 방진시트(213)와, 프레임구조물(2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건물 외벽(B)에 밀착되어 구름 운동하는 다수의 캐스터(214)와, 프레임구조물(211)의 전방측에 형성되어 캐스터(214)에 의하여 건물 외벽(B)으로부터 이격되는 방진박스(210)와 건물 외벽(B) 사이를 폐쇄하는 모헤어부(215)를 포함한다.
방진시트(213)는, 건물 외벽(B) 방향을 제외한 프레임구조물(211)을 감싸는 것으로서, 스프레이분사관(220)이 건물 외벽(B)으로 페인트를 분사할 때 페인트스프레이가 방진박스(210) 외측으로 비산되지 않게 한다. 이러한 방진시트(213)는 촘촘한 메쉬가 형성될 그물망으로 구현되거나, 얇은 플라스틱 플레이트로 구현되거나, 비닐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캐스터(214)는 방진박스(210)가 건물 외벽(B)에 밀착되어 구름운동한다. 캐스터(214)는 방진박스(210)가 건물 외벽(B)을 타고 승강될 때, 방진박스(210)가 건물 외벽(B)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부드러운 승강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모헤어부(215)는, 캐스터(214)에 의하여 방진박스(210)와 건물 외벽(B)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폐쇄한다. 모헤어부(215)는 모헤어가 형성된 밴드를 프레임구조물(211)의 전방측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구현되며, 모헤어부(215)에 의하여 도장 작업중 발생되는 페인트스프레이가 방진박스(210) 외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프레이분사관(220)은 방진박스(210)의 전방측으로 페인트를 분사하여 건물 외벽(B)을 도장한다. 이러한 스프레이분사관(2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박스(210) 내측에 수평 방향을 이루며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스프레이분사관(221) 및 제2스프레이분사관(222)을 포함한다.
제1스프레이분사관(22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되는 페인트를 분사하는 제1관체(221a)와, 제1관체(221a)에 설치되는 다수, 본 실시예에서는 10개의 제1노즐(221b)과, 제1노즐(221b) 각각에 설치되어 그 제1노즐(221b)의 개폐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1솔밸브(221c)를 포함한다.
제2스프레이분사관(2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프레이분사관(221)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유입되는 페인트를 분사하는 제2관체(221a)와, 제2관체(221a)에 설치되는 다수, 본 실시예에서는 10개의 제2노즐(221b)과, 제2노즐(221b) 각각에 설치되어 그 제2노즐(221b)의 개폐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2솔밸브(221c)를 포함한다.
제1,2솔밸브(221c)(222c)는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하여 대응되는 제1,2노즐(221b)(222b)과 제1,2관체(221a) 사이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며, 특정 제1,2솔벨브(221c)(222c)를 개폐함으로써 특정 제1,2노즐을 통하여 페인트가 분사되게 한다. 예를 들면, 제1,2관체(221a)(222a) 중간측에 위치된 4 개의 제1,2솔밸브가 차단되면, 제1,2관체(221a)(222a) 양측에서 개방된 나머지 6 개의 제1,2솔밸브(221c)(222c)와 연결된 제1,2노즐(221b)(222b)을 통하여 페인트가 분사되는 것이며, 이 경우 건물 외벽(B)에는 2 개의 띠 형태로 페인트 도장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제1,2스프레이분사관(221)(222)을 채용함으로써, 특정 제1스프레이분사관이나 제2스프레이분사관 중 어느 하나로 페인트를 분사함으로써 페인트 분사량을 줄일 수 있고, 제1,2스프레이분사관(221)(222) 모두를 통하여 페인트를 분사할 때 페인트 분사량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제1,2솔벨브(221c)(222c) 중 특정 솔밸브를 제어함으로서, 페인트가 분사되는 제1노즐(221b)의 개수나 제2노즐(222b)의 개수를 가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페인트의 분사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프레이분사관(221)의 제1노즐(221b)과 제2스프레이분사관(222b)의 제2노즐은 상호 엇갈리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각의 제1노즐(221b) 사이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페인트만 도장되더라도, 제2노즐(222b)에서 분사되는 페인트가 적은 양의 페인트만 도장된 부분을 덧칠하여 고른 고품질의 도장을 가능하게 한다.
페인트압송부(230)는 스프레이분사관(220), 엄밀하게는 제1,2스프레이분사관(221)(222)으로 도장을 위한 페인트를 압송한다. 페인트압송부(2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인트저장탱크(240)에 저장된 페인트를 압송하는 펌프(231)와, 펌프(231)에서 압송되는 페인트를 제1,2스프레이분사관(221)(222)으로 분기하여 공급하는 분기관(2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스프레이분사관(221)과 분기관(232) 사이에는 제1분기관밸브(233)가 설치되고, 제2스프레이분사관(222)과 분기관(232) 사이에는 제2분기관밸브(234)가 설치된다.
제1분기관밸브(233) 및 제2분기관밸브(234)는 제1스프레이분사관(221)과 제2스프레이분사관(222)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만약 제1,2분기관밸브(233)(234)가 모두 개방되면, 펌프(231)에서 압송되는 페인트는 제1,2스프레이분사관(221)(222)를 통하여 분사된다. 그리고 제1분기관밸브(233)만 개방하면, 펌프(231)에서 압송되는 페인트는 제1스프레이분사관(221)을 통하여 분사되며, 제1,2스프레이분사관(221)(222) 모두를 통하여 분사될 때보다 적은 양의 페인트가 분사된다.
페인트저장탱크(240)는 페인트압송부(230)로 공급되는 페인트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페인트저장탱크(240)가 베이스(212)에 지지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페인트저장탱크(240)는 건물 옥상에 설치되어, 별도의 공급호스애 페인트압송부(230)와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감지부(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박스(210)의 4 모서리에 설치되어 건물 외벽(B)을 타고 승강되는 방진박스(210)가 건물 외벽(B)에서 몰입되는 창틀 영역(F)으로 접근할 때 이를 감지하여 대응되는 이벤트신호(S)를 감지한다. 감지부(250)는 방진박스(210)가 창틀 영역(F)으로 접근할 때, 건물 외벽(B)을 기준으로 거리의 급격한 변화량을 감지함으로써 창틀 영역(F)을 감지하였음을 의미하는 이벤트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감지부(250)는 방진박스(210)의 4 모서리측에 설치되므로, 방진박스(210)를 기준으로 창틀 영역이 좌우측 또는 상하측 어느 지점에 위치되던 간에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부(250)가 창틀 영역(F)과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감지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나, 프로그램 방식에 의하여 윈치부(120)에서 연장된 와이어(W)의 길이에 따라 이벤트신호(S)를 발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연동제어부(260)는 감지부(250)에서 발생된 이벤트신호(S)에 연동되어 페인트압송부(2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감지부(250)가 이벤트신호(S)를 발생하면, 연동제어부(260)는 페인트압송부(230)의 제1,2분기관밸브(233)(234)를 차단시켜 제1,2스프레이분사관(221)(222)이 페인트를 분사하지 않게 하여 창틀 영역(F)이 페인트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사관이동지지부(270)는,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박스(210) 내측에서 스프레이분사관(220)을 전진 또는 후진되게 지지한다. 분사관이동지지부(270)는, 베이스(212)에 방진박스(210) 전방측을 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271), 각각의 가이드레일(271)에 전진 또는 후진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272)와, 상기 스프레이분사관(220)을 슬라이더(272)에 지지하는 지지대(273)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사관이동지지부(270)는, 건물 외벽(B)과 제1,2스프레이분사관(221)(222)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페인트의 점도, 분사되는 페인트의 양, 도장 시간, 주위 온도 및 습도 환경에 따라 제1,2스프레이분사관(221)(222)과 건물 외벽(B) 사이 거리를 최적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품질의 외벽 도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촬영부는 스프레이분사관(220)에 의하여 페인트 도장되는 영역을 촬영하여 대응되는 촬영신호를 무선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촬영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박스(21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그 방진박스(21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페인트 도장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제1촬영부(280)와, 방진박스(210)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그 방진박스(21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페인트 도장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제2촬영부(280')를 포함한다. 이때, 제1,2촬영부(280)(28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제1,2촬영부(280)(280')는, 스프레이분사관(220)에 의하여 페인트 도장되는 영역을 촬영하여 대응되는 촬영신호를 무선으로 발생한다. 여기서, 제1촬영부(280)는 방진박스(21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그 방진박스(21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페인트 도장되는 영역을 촬영하고, 제2촬영부(280')는 방진박스(210)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그 방진박스(21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페인트 도장되는 영역을 촬영하며, 제1,2촬영부(280)(28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제1,2촬영부(280)(2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박스(210)에 고정되어 방진박스(210) 전방측을 향하는 경통(281)과, 상기 경통(281) 내측에 설치되어 스프레이분사관(220)에 의하여 도장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282)와, 비산되는 페인트 입자가 상기 경통(281)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카메라(282) 후방측에서 상기 경통(281) 전방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팬(283)과, 팬(283)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공기중에 함유된 이물질(페인트 입자 포함)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28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2촬영부(280)(280')에 의하여, 도장 현장에서 발생되는 일부의 페인트스프레이나 먼지등이 경통(281)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경통(281) 내의 카메라(282)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간이 지나도 촬영현장을 생생하게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옥상착탈고정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W)에 지지되어 건물 외벽(B)을 따라 승강되는 방진박스(210)에 페인트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을 가지는 스프레이분사관(220)을 채용하고, 방진박스(210)가 스프레이분사관(220)으로부터 분사되는 페인트스프레이가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건물 외벽(B)을 무인으로 도장할 수 있으며, 도장 과정에서 주위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이 작업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24 시간 내내 운영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건물 외벽을 매우 신속하게 도장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레이분사관(220)이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2스프레이분사관(221)(222)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제1,2스프레이분사관(221)(222)에는 다수의 제1,2솔벨브(221c)(222c)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1,2노즐(221b)(222b)를 채용함으로서, 페인트가 분사되는 영역을 가변하거나 분사량을 가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신속하게 고품질의 도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옥상착탈고정부 110 ... 풀리프레임
120 ... 윈치부 200 ... 무인도장부
210 ... 방진박스 211 ... 프레임구조물
212 ... 베이스 213 ... 방진시트
214 ... 캐스터 215 ... 모헤어부
220 ... 스프레이분사관 221 ... 제1스프레이분사관
221a ... 제1관체 221b ... 제1노즐
221c ... 제1솔밸브 222 ... 제2스프레이분사관
222a ... 제2관체 222b ... 제2노즐
222c ... 제2솔밸브 230 ... 페인트압송부
231 ... 펌프 232 ... 분기관
233, 234 ... 제1,2분기관밸브 240 ... 페인트저장탱크
250 ... 감지부 260 ... 연동제어부
270 ... 분사관 이동지지부 271 ... 가이드레일
272 ... 슬라이더 273 ... 지지대
280, 280' ... 제1,2촬영부 281 ... 경통
282 ... 카메라 283 ... 팬
284 ... 필터

Claims (8)

  1. 건물의 옥상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건물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풀리프레임(110) 및 상기 한쌍의 풀리프레임(110)을 경유하는 와이어(W)를 감거나 푸는 윈치부(120)를 가지는 옥상착탈고정부(100); 및
    상기 한쌍의 풀리프레임(110)을 경유하는 상기 와이어(W)에 의하여 상기 건물 외벽(B)을 따라 승강되면서 페인트를 분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건물 외벽(B)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이 차단되어 페인트스프레이의 비산을 막으면서 상기 건물 외벽(B)을 무인 도장하는 무인도장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무인도장부(200)는, 상기 와이어(W)로 연결되어 상기 건물 외벽(B)을 따라 승강되는 것으로서 상기 건물 외벽(B) 방향으로 개구된 방진박스(210)와; 상기 방진박스(210)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건물 외벽(B)으로 페인트를 분사하는 스프레이분사관(220)과; 상기 스프레이분사관(220)으로 페인트저장탱크(240)에 저장된 페인트를 압송하는 페인트압송부(230)와; 상기 방진박스(210)가 건물 외벽(B)에 형성된 창틀 영역(F)으로 접근할 때 이를 감지하여 대응되는 이벤트신호(S)를 발생하는 감지부(250)와; 상기 이벤트신호(S)에 연동되어 상기 페인트압송부(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동제어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분사관(220)은,
    상기 방진박스(210)의 전방측에 수평 방향을 이루며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스프레이분사관(221) 및 제2스프레이분사관(2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레이분사관(221)은, 유입되는 페인트를 분사하는 제1관체(221a)와, 상기 제1관체(221a)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노즐(221b)과, 상기 제1노즐(221b) 각각에 설치되어 그 제1노즐(221b)의 개폐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1솔밸브(221c)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프레이분사관(222)은, 상기 제1스프레이분사관(221)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유입되는 페인트를 분사하는 제2관체(222a)와, 상기 제2관체(222a)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노즐(222b)과, 상기 제2노즐(222b) 각각에 설치되어 그 제2노즐(222)의 개폐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2솔밸브(222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도장부(200)는,
    상기 방진박스(210) 내측에서 상기 스프레이분사관(220)을 전진 또는 후진되게 지지하는 분사관이동지지부(2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도장부(200)는,
    상기 스프레이분사관(220)에 의하여 페인트 도장되는 영역을 촬영하여 대응되는 촬영신호를 무선으로 발생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방진박스(21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그 방진박스(21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페인트 도장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제1촬영부(280)와,
    상기 방진박스(210)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그 방진박스(21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페인트 도장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제2촬영부(2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KR1020190117214A 2019-09-24 2019-09-24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KR102040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214A KR102040446B1 (ko) 2019-09-24 2019-09-24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214A KR102040446B1 (ko) 2019-09-24 2019-09-24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446B1 true KR102040446B1 (ko) 2019-11-04
KR102040446B9 KR102040446B9 (ko) 2022-08-30

Family

ID=6857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214A KR102040446B1 (ko) 2019-09-24 2019-09-24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44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420B1 (ko) * 2020-01-30 2020-07-31 김소중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KR102210119B1 (ko) * 2020-07-07 2021-01-29 김소중 비산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KR102232998B1 (ko) 2020-07-29 2021-03-26 한신호 도장용 스프레이 건의 도료 비산방지구
CN112593677A (zh) * 2020-12-05 2021-04-02 鹰潭吉声乐器有限公司 一种自动化喷涂装置
KR102257591B1 (ko) * 2020-06-17 2021-05-27 김주태 건물의 도장장치
KR20210087003A (ko) 2021-06-21 2021-07-09 이수호 도장용 무인 스프레이 건
KR102290133B1 (ko) 2020-10-28 2021-08-13 한신호 도장용 스프레이건의 도료 비산방지구
KR102447371B1 (ko) 2021-10-15 2022-09-26 현대엔지니어링(주) 도장로봇의 자세 및 분사작업 제어 장치와 방법
KR102659821B1 (ko) * 2023-10-17 2024-04-23 (주)나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건축물 외벽 도장 공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685B1 (ko) * 2013-07-19 2015-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직형 타워 도장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685B1 (ko) * 2013-07-19 2015-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직형 타워 도장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420B1 (ko) * 2020-01-30 2020-07-31 김소중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KR102257591B1 (ko) * 2020-06-17 2021-05-27 김주태 건물의 도장장치
KR102210119B1 (ko) * 2020-07-07 2021-01-29 김소중 비산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KR102232998B1 (ko) 2020-07-29 2021-03-26 한신호 도장용 스프레이 건의 도료 비산방지구
KR102290133B1 (ko) 2020-10-28 2021-08-13 한신호 도장용 스프레이건의 도료 비산방지구
CN112593677A (zh) * 2020-12-05 2021-04-02 鹰潭吉声乐器有限公司 一种自动化喷涂装置
KR20210087003A (ko) 2021-06-21 2021-07-09 이수호 도장용 무인 스프레이 건
KR102447371B1 (ko) 2021-10-15 2022-09-26 현대엔지니어링(주) 도장로봇의 자세 및 분사작업 제어 장치와 방법
KR102659821B1 (ko) * 2023-10-17 2024-04-23 (주)나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건축물 외벽 도장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446B9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446B1 (ko)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KR100838401B1 (ko) 벽면 자동도장 장치
KR102210119B1 (ko) 비산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KR102140420B1 (ko)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KR100672005B1 (ko) 고층 건물 도장용 방풍장치
KR20120109959A (ko) 다중분사방식을 이용한 건물 외벽 도장 장치
KR101322270B1 (ko) 건물 외벽 도장장치
CN108787288B (zh) 一种无污染封闭式汽车零部件喷涂生产线
KR102264318B1 (ko)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
KR102018782B1 (ko) 비산 방지가 가능한 도장장치
CN210815816U (zh) 一种防水材料的喷涂设备
CN115254514A (zh) 方舱自动化喷涂系统及方舱喷漆工艺
JP2001140461A (ja) 建築物外壁塗装装置
KR20000006299U (ko) 고층건물의 벽면 도장장치
DE102020001193B4 (de) Vorrichtung zum Bewegen, Führen und Bedienen einer Spritz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WO2012134075A2 (ko) 다중분사방식을 이용한 건물 외벽 도장 장치
JPH06269709A (ja) 飛沫防止塗装の移動作業床装置及びその工法
KR102257591B1 (ko) 건물의 도장장치
CN109702869A (zh) 一种脱模剂喷涂系统和喷涂方法
CN214326592U (zh) 一种无尘建筑施工系统
KR102188161B1 (ko) 에어커튼을 이용한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US20200360952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liquid application on the exterior of industrial surfaces
CN111940179A (zh) 一种柔性化机器人喷涂系统
CN209478506U (zh) 一种人防门的养护结构
CN218541363U (zh) 一种建筑外墙遥控喷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240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807

Effective date: 2022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