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318B1 -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 - Google Patents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318B1
KR102264318B1 KR1020200183736A KR20200183736A KR102264318B1 KR 102264318 B1 KR102264318 B1 KR 102264318B1 KR 1020200183736 A KR1020200183736 A KR 1020200183736A KR 20200183736 A KR20200183736 A KR 20200183736A KR 102264318 B1 KR102264318 B1 KR 102264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painting
windows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환
Original Assignee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filed Critical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183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6Implements for applying plaster, insulating material, or the like
    • E04F21/08Mechanical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를 커버하도록 보양재를 푸는 보양재 공급부;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보양재로 커버된 영역의 테두리를 따르는 주변 영역에 페인트를 도장하는 도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외벽 도장 설비를 사용한 도장 공법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Painting equipment of building outer wall and pain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의 세대들의 창호 위치에 이동하여 해당 창호를 보양함과 아울러, 보양이 완료된 창호의 테두리 영역을 도장하도록 할 수 있는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및 건물의 외벽에 뿜칠도장을 실시하여 외벽의 미적 디자인을 가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뿜칠도장을 실시하게 되면 아프트 및 건물의 외벽 주변으로 페인트가 비산되어 주변이 오염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뿜칠도장을 위하여 주변에 페인트의 비산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비닐소재로 주변에 도포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작업 준비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고층 건축물의 창호 주변을 작업자가 일일이 보양하면서 도장을 하기는 매우 어렵고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227호(등록일: 2013.10.2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고층 건물의 창호들 각각에 이동하여 해당 창호를 유연성의 보양재를 사용하여 보양하여, 도장 이전에 안전하게 창호를 보양하도록 할 수 있는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고층 건물의 창호를 보양하고, 해당 창호의 테두리 주변 영역을 본 도장 이전에 예비 도장하여 창호 주변 영역의 미 도장으로 인한 도장 품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를 커버하도록 보양재를 푸는 보양재 공급부;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보양재로 커버된 영역의 테두리를 따르는 주변 영역에 페인트를 도장하는 도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는,
고층 건물의 창호의 위치 정보가 기설정되고, 상기 승강부를 사용하여 상기 본체부를 상기 창호의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로 이동시킥고, 상기 보양재 공급부를 사용하여 상기 개구에 노출되는 상기 창호 주변을 커버하고, 상기 도장부를 사용하여 상기 페인트를 도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창호의 사이즈에 해당되도록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되,
한 쌍의 가로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가로 프레임 각각의 양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로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세로 프레임 각각은 신축되는 다단 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 부재와,
상기 한 쌍의 레일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본체부를 승강시키는 리니어 모터를 구비하되,
상기 본체부의 설정된 위치에는 이동되는 상기 본체부의 위치값을 측정하는 위치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측정되는 상기 위치값이 상기 창호의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에 이르도록 상기 리니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 창호의 위치 정보는,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에 상응하도록 상기 창호의 모서리에 대한 위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보양재 공급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단에 설치되며, 상기 보양재가 권취되는 제 1권취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단에서 상기 본체부의 타측단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보양재의 일단이 권취되는 제 2권취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권취부를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기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부에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커버 부재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판을 전후진시키는 다수의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의 다수 위치에는, 상기 개구를 커버하도록 펼쳐진 상기 보양재의 테두리의 일면을 진공 흡착시키는 진공 흡착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진공 흡착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다수 위치에 형성된 진공홀들 각각에 연결되는 진공 라인들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진공 라인들에 진공을 제공하는 진공 제공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창호 주변의 외벽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탄성 부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장부는,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분사홀들과,
상기 분사홀들 각각에 연결되는 분사 라인들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폐인트를 상기 분사 라인들로 공급하는 페인트 공급기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창호들 각각에 이동하여 해당 창호를 유연성의 보양재를 사용하여 보양하여, 도장 이전에 안전하게 창호를 보양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창호를 보양하고, 해당 창호의 테두리 주변 영역을 본 도장 이전에 예비 도장하여 창호 주변 영역의 미 도장으로 인한 도장 품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체부가 창호의 위치에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체부가 창호의 위치에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제 2권취부가 이동되어 보양재가 풀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제 2권취부가 이동되어 보양재가 풀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보양재가 창호의 테두리면에 흡착 고정되어 창호를 보양하고, 페인팅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는 크게 본체부(100)와, 승강부(200)와, 보양재 공급부(300)와, 도장부(400) 및 제어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들을 설명한다.
본체부(100)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0)는 사각 형상의 틀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0)의 사이즈는 건물이 창호의 사이즈에 부합되도록 미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창호의 사이즈에 해당되도록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110)과, 상기 한 쌍의 가로 프레임(110) 각각의 양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한 쌍의 가로 프레임(110)과, 상기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0) 각각은 신축되는 다단 파이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창호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사이즈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상기 사이즈는 창호의 테두리면의 폭에 상응하는 가변 폭 내에서 가변되는 것이 좋다.
승강부(200)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200)는 본체부(100)의 양측부에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100)를 승강시킨다.
상기 승강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양측부에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 부재(210)와, 상기 한 쌍의 레일 부재(21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본체부(100)를 승강시키는 리니어 모터(220)를 갖는다.
상기 한 쌍의 레일 부재(210)는 고층 건물의 외벽에 배치되되, 상단은 고층 건물의 옥상에 고정될 수 있고, 옥상에 배치되는 좌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이 가능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좌우 슬라이딩 레일에는 별도의 리니어 모터가 연결되고, 이 리니어 모터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레일 부재(210)를 좌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설정된 위치에는 이동되는 상기 본체부(100)의 위치값을 측정하는 위치 센서(13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측정되는 상기 위치값이 상기 창호의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에 이르도록 상기 리니어 모터(2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센서(130)는, 상기 본체부(100)의 모서리에 설치된다.
상기 창호의 위치 정보는, 상기 본체부(100)의 모서리에 상응하도록 상기 창호의 모서리에 대한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보양재 공급부(300)
본 발명에 따른 보양재 공급부(300)는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를 커버하도록 보양재(10)를 푼다.
상기 보양재 공급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단에 설치되며, 상기 보양재(10)가 권취되는 제 1권취부(310)와,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단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타측단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보양재(10)의 일단이 권취되는 제 2권취부(32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권취부(320)를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기(33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부에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커버 부재(340)과,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 부재(340)를 전후진시키는 다수의 실린더(350)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가로 프레임(110)에는 상기 제 2권취부(320)의 양단이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레일(111)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기(330)는 레일(111)을 따라 상기 제 2권취부(320)를 이동시킨다.
상기 커버 부재(340)의 다수 위치에는, 상기 개구를 커버하도록 펼쳐진 상기 보양재(10)의 테두리의 일면을 진공 흡착시키는 진공 흡착부(36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진공 흡착부(360)는, 상기 커버 부재(340)의 다수 위치에 형성된 진공홀들(341) 각각에 연결되는 진공 라인들(361)과,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진공 라인들(361)에 진공을 제공하는 진공 제공기(36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340)의 외측면에는 상기 창호(1) 주변의 외벽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탄성 부재(341)가 형성된다.
도장부(400)
본 발명에 따른 도장부(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보양재(10)로 커버된 영역의 테두리를 따르는 주변 영역에 페인트를 도장한다.
상기 도장부(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분사홀들(410)과, 상기 분사홀들(410) 각각에 연결되는 분사 라인들(420)과,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폐인트를 상기 분사 라인들(420)로 공급하는 페인트 공급기(430)를 구비한다.
제어부(500)
본 발명에 따른 도장부(400)는 고층 건물의 창호(1)의 위치 정보가 기설정되고, 상기 승강부(200)를 사용하여 상기 본체부(100)를 상기 창호(1)의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보양재 공급부(300)를 사용하여 상기 개구에 노출되는 상기 창호(1) 주변을 커버하고, 상기 도장부(400)를 사용하여 상기 페인트를 도장하도록 한다.
다음은,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체부가 창호의 위치에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체부가 창호의 위치에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제 2권취부가 이동되어 보양재가 풀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6은 제 2권취부가 이동되어 보양재가 풀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보양재가 창호의 테두리면에 흡착 고정되어 창호를 보양하고, 페인팅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 하면, 제어부(500)는 실정되는 창호(1)의 위치 정보가 위치 센서(130)에 의해 측정되는 위치값에 해당되는 위치에 이르도록 승강부(200)를 사용하여 본체부(100)를 이동시킨다.
이에 본체부(100)는 해당 창호(1)의 테두리(2)에 위치된다.
제어부(500)는 보양재 공급부(300)를 사용하여 비닐과 같은 보양재(10)를 펼쳐 창호(1)를 커버한다.
즉, 제어부(500)는 제 1권취부(310)를 사용하여 보양재(10)를 푼다. 동시에 제어부(500)는 이동기(330)를 사용하여 제 2권취부(320)를 본체부(100)의 반대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보양재(10)는 제 1,2권취부(310, 320) 사이에서 펼쳐지면서 창호(1)를 커버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실린더들(350)을 사용하여 사각 틀 형상의 커버 부재(340)를 외벽 측으로 돌출시킨다. 돌출되는 축(351)에 의해 커버 부재(340)는 창호(1)의 테두리(2) 외면에 밀착된다.
이때, 보양재(10)는 커버 부재(340)의 외면에 배치되는 상태로 커버 부재(340)와 창호(1)의 테두리(2) 외면 사이에 배치되어 창호(1)의 테두리(2) 외면에 밀착된다.
제어부(500)는 진공 제공기(362)를 사용하여 진공 라인들(361)에 진공을 형성하고, 이에 진공홀들(341)에는 진공이 형성된다. 이에 보양재(10)의 테두리는 상기 진공에 의해 흡착 고정된다.
이에 따라 창호(1)는 그 외부가 개구에서 펼쳐진 보양재(1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도장부(400)를 사용하여 저장된 페인트를 분사홀들(410)을 통해 분사한다.
이에 따라 창호(1)의 테두리(2) 주변영역은 상기와 같이 분사되는 페인트를 통해 예비 도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도장 장치를 사용하여 창호 주변의 외벽에 본 도장 공정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창호들 각각에 이동하여 해당 창호를 유연성의 보양재를 사용하여 보양하여, 도장 이전에 안전하게 창호를 보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창호를 보양하고, 해당 창호의 테두리 주변 영역을 본 도장 이전에 예비 도장하여 창호 주변 영역의 미 도장으로 인한 도장 품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창호
10 : 보양재
100 : 본체부
200 : 승강부
300 : 보양재 공급부
400 : 도장부
500 : 제어부

Claims (5)

  1.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를 커버하도록 보양재를 푸는 보양재 공급부;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보양재로 커버된 영역의 테두리를 따르는 주변 영역에 페인트를 도장하는 도장부;를 포함하되,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는,
    고층 건물의 창호의 위치 정보가 기설정되고, 상기 승강부를 사용하여 상기 본체부를 상기 창호의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로 이동시킥고, 상기 보양재 공급부를 사용하여 상기 개구에 노출되는 상기 창호 주변을 커버하고, 상기 도장부를 사용하여 상기 페인트를 도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창호의 사이즈에 해당되도록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되,
    한 쌍의 가로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가로 프레임 각각의 양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로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세로 프레임 각각은 신축되는 다단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 부재와,
    상기 한 쌍의 레일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본체부를 승강시키는 리니어 모터를 구비하되,
    상기 본체부의 설정된 위치에는 이동되는 상기 본체부의 위치값을 측정하는 위치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측정되는 상기 위치값이 상기 창호의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에 이르도록 상기 리니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 창호의 위치 정보는,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에 상응하도록 상기 창호의 모서리에 대한 위치 정보이고,
    상기 보양재 공급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단에 설치되며, 상기 보양재가 권취되는 제 1권취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단에서 상기 본체부의 타측단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보양재의 일단이 권취되는 제 2권취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권취부를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기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부에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커버 부재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 부재를 전후진시키는 다수의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의 다수 위치에는, 상기 개구를 커버하도록 펼쳐진 상기 보양재의 테두리의 일면을 진공 흡착시키는 진공 흡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공 흡착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다수 위치에 형성된 진공홀들 각각에 연결되는 진공 라인들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진공 라인들에 진공을 제공하는 진공 제공기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창호 주변의 외벽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탄성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부는,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분사홀들과,
    상기 분사홀들 각각에 연결되는 분사 라인들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페인트를 상기 분사 라인들로 공급하는 페인트 공급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 또는 제 2항의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를 사용한 도장 공법.
KR1020200183736A 2020-12-24 2020-12-24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 KR102264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736A KR102264318B1 (ko) 2020-12-24 2020-12-24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736A KR102264318B1 (ko) 2020-12-24 2020-12-24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318B1 true KR102264318B1 (ko) 2021-06-14

Family

ID=7641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736A KR102264318B1 (ko) 2020-12-24 2020-12-24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3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0619A (zh) * 2021-07-13 2021-10-26 张海勇 一种建筑工程用外墙喷刷装置
CN114405706A (zh) * 2022-02-08 2022-04-29 河南冠卿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物外墙喷漆的可调节式窗户遮蔽装置
KR102535420B1 (ko) * 2023-01-06 2023-05-26 (주)세정이에프씨 실내 친환경 도장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618A (ko) * 2000-07-24 2002-01-31 김영석 벽면 광고의 도장을 위한 로봇기구
KR101322270B1 (ko) 2012-01-27 2013-10-28 주식회사 대화산기 건물 외벽 도장장치
KR101561878B1 (ko) * 2015-05-29 2015-10-23 (주)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고층 건물의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
KR101649936B1 (ko) * 2015-04-22 2016-08-23 전자부품연구원 작업 영역 인식을 이용한 외벽 관리 장치의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136379B1 (ko) * 2019-04-03 2020-07-21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도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618A (ko) * 2000-07-24 2002-01-31 김영석 벽면 광고의 도장을 위한 로봇기구
KR101322270B1 (ko) 2012-01-27 2013-10-28 주식회사 대화산기 건물 외벽 도장장치
KR101649936B1 (ko) * 2015-04-22 2016-08-23 전자부품연구원 작업 영역 인식을 이용한 외벽 관리 장치의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561878B1 (ko) * 2015-05-29 2015-10-23 (주)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고층 건물의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
KR102136379B1 (ko) * 2019-04-03 2020-07-21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도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0619A (zh) * 2021-07-13 2021-10-26 张海勇 一种建筑工程用外墙喷刷装置
CN114405706A (zh) * 2022-02-08 2022-04-29 河南冠卿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物外墙喷漆的可调节式窗户遮蔽装置
KR102535420B1 (ko) * 2023-01-06 2023-05-26 (주)세정이에프씨 실내 친환경 도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4318B1 (ko)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
US11219998B2 (en) Method for treating a surface and corresponding automated device
JP2023153903A (ja) 建物の壁表面に吹き付け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2040446B1 (ko) 페인트스프레이 비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US6973997B2 (en) Pollution containment apparatus for making a penetration in a ceiling or wall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WO2016070586A1 (zh) 墙面清洗机
CA2970032C (en) Multi-use icra booth
KR100689794B1 (ko) 도료 자동 도포장치
RU2441712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й и способ серийного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й на изделия
KR102075315B1 (ko) 고소작업차용 페인트스프레이 방진케이지 장치
KR20120109959A (ko) 다중분사방식을 이용한 건물 외벽 도장 장치
KR100719631B1 (ko) 페인팅 장치
DE102018123416A1 (de) System und Vorrichtung zur Bearbeitung von Flächen von Gebäuden
CN112922282A (zh) 建筑墙面浆料自动喷涂机器人系统及自动喷涂方法
KR100835367B1 (ko) 저수조의 자동 코팅처리장치
KR20140123769A (ko) 레일 주행형 도장 작업장치
KR101851651B1 (ko) 유무선 겸용 친환경 건식 휠쏘 절단기
KR200414634Y1 (ko) 페인팅 장치
KR20170043379A (ko) 건물외벽 작업툴 및 이를 포함하는 곤돌라 유닛
KR100705124B1 (ko) 용접 스패터 고착 방지 장치
KR20210033616A (ko) 자동 청소 시스템이 구비된 창호
KR102193123B1 (ko) 에어부스
KR102554605B1 (ko) 건축물 벽면 도장 로봇
KR101566191B1 (ko) 자가세정 기능을 갖는 붙박이창
KR102659821B1 (ko) 건축물용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건축물 외벽 도장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