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420B1 - 실내 친환경 도장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친환경 도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420B1
KR102535420B1 KR1020230002301A KR20230002301A KR102535420B1 KR 102535420 B1 KR102535420 B1 KR 102535420B1 KR 1020230002301 A KR1020230002301 A KR 1020230002301A KR 20230002301 A KR20230002301 A KR 20230002301A KR 102535420 B1 KR102535420 B1 KR 102535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inting
main body
mov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2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주)세정이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정이에프씨 filed Critical (주)세정이에프씨
Priority to KR1020230002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80Movable spray boo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8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integral means for shielding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limit area of spray; with integral means for catching drips or collecting surplu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20Arrangements for spraying in combination with other operations, e.g. drying; Arrangements enabling a combination of spray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60Ventilation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실내에 구비되는 도장 대상물에 대하여 도장을 실시하는 도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장 장치는, 상기 도장 대상물을 덮도록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동되면서 상기 도장 대상물의 외면을 세정하는 세정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세정을 통해 발생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세정이 이루어진 이후에 이동되면서 상기 도장 대상물의 표면에 페인트를 사용하여 도장을 통해 도장면을 형성하는 도장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도장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도장면을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상기 세정부와 상기 도장부와 상기 건조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세정부와 상기 포집부와 상기 도장부와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건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 친환경 도장장치{INDOOR ECO-FRIENDLY PAINTING DEVICE}
본 발명은 실내 친환경 도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실내에 구비되는 도장 대상물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하고, 도장 대상물의 표면을 세정한 이후에, 페인트를 사용하여 도장을 실시하고, 도장면을 건조시킬 수 있는 일련의 도장 공정을 실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장 진행시 발생되는 비산물을 실내로 비산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는 실내 친환경 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실내외 벽면이나 천정의 페인팅 작업은 붓이나 롤러를 사용하는 수작업이 대부분이다.
이때 붓이나 롤러에 페인트를 많이 묻히면 벽에 흘러내리고 바닥에 떨어지므로, 붓에 소량의 페인트를 묻혀 칠을 하다 보면 칠할 수 있는 면적이 작아서 페인트통에 붓이나 롤러를 자주 적셔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89655호 "페인팅 장치"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8-017978호 "내장용액 분출이 가능한 붓"이 출원되었다.
그러나 붓을 사용하여 페인트를 실내의 몰딩과 같은 도장 대상물에 도장을 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인체에 유해한 비산물은 실내에 그대로 비산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페인팅 후 건조가 진행되는 경우 유해 물질이 그대로 실내에 장시간 노출되는 문제도 있다.
근래에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8451호에서와 같이 페인트를 공급하여 도장을 실시할 수 있는 페인트 공급장치가 구비된 페인팅 장치를 제안하고는 있으나, 이는 페인트를 공급하여 도장을 실시하도록 할 뿐, 도장 대상물에 대한 세정, 도장, 비산 방지, 건조등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없고, 여전히 작업자가 도장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페인트 비산을 방지할 수 없고, 균일한 두께를 갖는 도장면을 형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189655호(등록일자: 2000년 5월 9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건축물의 실내에 구비되는 도장 대상물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하고, 도장 대상물의 표면을 세정한 이후에, 페인트를 사용하여 도장을 실시하고, 도장면을 건조시킬 수 있는 일련의 도장 공정을 실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장 진행시 발생되는 비산물을 실내로 비산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는 실내 친환경 도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건물 실내에 설치되는 몰딩 등과 같은 도장 대상물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변형이 가능하여 설치 및 도장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내 친환경 도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실내에 구비되는 도장 대상물에 대하여 도장을 실시하는 도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장 장치는,
상기 도장 대상물을 덮도록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동되면서 상기 도장 대상물의 외면을 세정하는 세정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세정을 통해 발생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세정이 이루어진 이후에 이동되면서 상기 도장 대상물의 표면에 페인트를 사용하여 도장을 통해 도장면을 형성하는 도장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도장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도장면을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상기 세정부와 상기 도장부와 상기 건조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세정부와 상기 포집부와 상기 도장부와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건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하단을 진공을 통해 상기 도장 대상물의 에지 부분에 진공 흡착시켜 상기 본체부를 고정하는 진공 흡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 흡착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진공을 제공하는 진공 제공기와,
상기 진공 제공기와 연결되는 진공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는 흡착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진공 라인과 상기 흡착홀들을 연결하는 진공 유로들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하단 양측 에지에는,
탄성을 이루는 기밀 부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흡착홀들은, 각각의 상기 기밀 부재에 의해 에워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제 1이동부와 제 2이동부 및 제 3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세정부가 이동 가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이동축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세정부를 상기 제 1이동축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제 1이동 모터를 갖고,
상기 제 2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도장부가 이동 가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이동축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상기 도장부를 상기 제 2이동축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제 2이동 모터를 갖고,
상기 제 3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건조부가 이동 가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이동축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상기 건조부를 상기 제 1이동축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제 3이동 모터를 갖되,
상기 제 1이동축과 상기 제 2이동축 및 상기 제 3이동축은 상기 본체부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세정부와 상기 도장부와 상기 건조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고, 이동시 서로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세정부는,
하단에 브러쉬가 형성되는 세정 블록과,
상기 세정 블록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이동축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연결단을 구비하되,
상기 세정 블록은,
상기 제 1연결단이 형성되는 상부 블록과,
상기 상부 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단에 상기 브러쉬가 형성되는 하부 블록과,
상기 상부 블록의 하단에 설치되며, 승강되는 승강축을 갖는 승강 실린더를 갖고,
상기 승강축의 하단은 상기 하부 블록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승강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승강축을 일정 위치로 하강시키면, 상기 브러쉬는 상기 도장 대상물의 표면과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장부는,
내부에 페인트가 유동되는 분사 유로가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분사 유로와 연결되어 유동되는 상기 페인트를 분사하는 분사홀들이 형성된 도장 블록과,
상기 도장 블록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2이동축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연결단과,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일정량의 페인트를 공급하는 페인트 공급기와,
상기 페인트 공급기와 상기 분사 유로와 연결되는 페인트 공급 튜브와,
상기 페인트 공급기에 구비되며, 상기 페인트 공급 튜브를 통해 공급되는 페인트 공급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되는 공급 유량에 따라 상기 유량 제어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장 블록에는,
상기 페인트가 분사되어 형성되는 상기 도장면의 두께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도장면의 두께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두께 측정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기준 도장면 두께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장 블록을 상기 제 1이동축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두께 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도장면의 두께를 연속적으로 전송 받고,
전송 받은 상기 도장면의 두께가 상기 기준 도장면 두께에 이르도록 상기 페인트 공급기 및 상기 유량 제어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전송 받은 상기 도장면의 두께가 상기 기준 도장면 두께에 이룬 후,
상기 도장 블록을 상기 제 1이동축을 따라 재이동시키면서 상기 두께 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도장면의 두께를 재전송 받고,
재전송 받은 상기 도장면의 두께가 상기 기준 도장면 두께 보다 얇은 곳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이동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도장 블록을 상기 얇은 곳이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얇은 곳이 존재하는 위치에서의 도장면의 두께가 상기 기준 도장면 두께에 이르도록 상기 페인트 공급기 및 상기 유량 제어 밸브의 구동을 추가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부는,
건조 블록과,
상기 건조 블록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3이동축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연결단과,
간조 블록에 설치되며, 제공되는 전류를 통해 일정 온도로 발열되어 열을 상기 도장면에 전달하는 발열체와,
상기 건조 블록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로 상기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 제공기를 구비하되,
상기 건조 블록은, 상기 제 3연결단과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3연결단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포집 공간이 형성되는 포집 몸체와,
상기 포집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포집 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며,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와,
상기 포집 몸체의 상기 포집 공간과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포집관과,
상기 포집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도장시 발생되는 이물질을 상기 포집관을 통해 상기 포집 공간으로 강제 흡입 시키는 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 흡착부는 거리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거리 센서는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도장 대상물의 표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는 측정되는 상기 거리가 기설정된 흡착 거리에 이르면 상기 진공 제공기를 사용하여 진공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의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에 구비되는 도장 대상물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하고, 도장 대상물의 표면을 세정한 이후에, 페인트를 사용하여 도장을 실시하고, 도장면을 건조시킬 수 있는 일련의 도장 공정을 실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장 진행시 발생되는 비산물이 실내로 비산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실내에 설치되는 몰딩 등과 같은 도장 대상물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변형이 가능하여 설치 및 도장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내 친환경 도장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세정 블록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도 1의 도장 블록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도 1의 건조 블록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6 내지 도 8은 세정부를 통해 도장 대상물의 표면에 대한 세정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 9는 도장부를 통해 도장 대상물의 표면에 도장면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 내지 도 11은 건조부를 통해 도장면을 건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 12는 도장면에 대한 두께 측정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두께 측정 센서가 구비되는 도장 블록의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내 친환경 도장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실내에 구비되는 도장 대상물에 대하여 도장을 실시하는 도장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내 친환경 도장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세정 블록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도장 블록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건조 블록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도장 장치는 도장 대상물(1)을 덮도록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동되면서 상기 도장 대상물(1)의 외면을 세정하는 세정부(2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세정을 통해 발생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30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세정이 이루어진 이후에 이동되면서 상기 도장 대상물(1)의 표면에 페인트를 사용하여 도장을 통해 도장면을 형성하는 도장부(40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도장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도장면을 건조시키는 건조부(500)와, 상기 세정부(200)와 상기 도장부(400)와 상기 건조부(5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600)와, 상기 세정부(200)와 상기 포집부(300)와 상기 도장부(400)와 상기 이동부(600) 및 상기 건조부(5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단을 진공을 통해 상기 도장 대상물(1)의 에지 부분에 진공 흡착시켜 상기 본체부(100)를 고정하는 진공 흡착부(11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에는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진공 흡착부(110)는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진공을 제공하는 진공 제공기(111)와, 상기 진공 제공기(111)와 연결되는 진공 라인(112)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100)의 하단에는 흡착홀들(113)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진공 라인(112)과 상기 흡착홀들(113)을 연결하는 진공 유로들(101)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0)의 하단 양측 에지에는 탄성을 이루는 기밀 부재(12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흡착홀들(113)은 각각의 상기 기밀 부재(120)에 의해 에워싸인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이동부(600)는 제 1이동부(610)와 제 2이동부(620) 및 제 3이동부(6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이동부(61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세정부(200)가 이동 가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이동축(611)과,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세정부(200)를 상기 제 1이동축(611)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제 1이동 모터(612)를 갖는다.
상기 제 2이동부(62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도장부(400)가 이동 가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이동축(621)과,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상기 도장부(400)를 상기 제 2이동축(621)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제 2이동 모터(622)를 갖는다.
상기 제 3이동부(63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건조부(500)가 이동 가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이동축(631)과,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상기 건조부(500)를 상기 제 1이동축(611)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제 3이동 모터(632)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 1이동축(611)과 상기 제 2이동축(621) 및 상기 제 3이동축(631)은 상기 본체부(100)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세정부(200)와 상기 도장부(400)와 상기 건조부(500)는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고, 이동시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세정부(200)는 하단에 브러쉬(230)가 형성되는 세정 블록(210)과, 상기 세정 블록(21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이동축(611)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연결단(220)을 구비한다.
상기 세정 블록(210)은 상기 제 1연결단(220)이 형성되는 상부 블록(211)과, 상기 상부 블록(211)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단에 상기 브러쉬(230)가 형성되는 하부 블록(212)과, 상기 상부 블록(211)의 하단에 설치되며, 승강되는 승강축(213a)을 갖는 승강 실린더(213)를 갖는다.
상기 승강축(213a)의 하단은 상기 하부 블록(212)의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승강 실린더(213)를 사용하여 상기 승강축(213a)을 일정 위치로 하강시키면, 상기 브러쉬(230)는 상기 도장 대상물(1)의 표면에 물리적으로 접촉된다.
또한 상기 도장부(400)는 내부에 페인트가 유동되는 분사 유로(411)가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분사 유로(411)와 연결되어 유동되는 상기 페인트를 분사하는 분사홀들(412)이 형성된 도장 블록(410)과, 상기 도장 블록(41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2이동축(621)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연결단(420)과,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일정량의 페인트를 공급하는 페인트 공급기(430)와, 상기 페인트 공급기(430)와 상기 분사 유로(411)와 연결되는 페인트 공급 튜브(440)와, 상기 페인트 공급기(430)에 구비되며, 상기 페인트 공급 튜브(440)를 통해 공급되는 페인트 공급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45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설정되는 공급 유량에 따라 상기 유량 제어 밸브(450)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건조부(500)는 건조 블록(510)과, 상기 건조 블록(51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3이동축(631)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연결단(520)과, 간조 블록(510)에 설치되며, 제공되는 전류를 통해 일정 온도로 발열되어 열을 상기 도장면에 전달하는 발열체(530)와, 상기 건조 블록(510)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530)로 상기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 제공기(540)를 구비한다.
상기 건조 블록(510)은 상기 제 3연결단(520)과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3연결단(520)으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포집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내부에 포집 공간이 형성되는 포집 몸체(310)와, 상기 포집 몸체(310)에 설치되어 상기 포집 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배출관(320)과, 상기 배출관(320)에 설치되며,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330)와, 상기 포집 몸체(310)의 상기 포집 공간과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포집관(340)과, 상기 포집관(340)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를 통해 상기 도장시 발생되는 이물질을 상기 포집관(340)을 통해 상기 포집 공간으로 강제 흡입 시키는 펌프(350)를 구비한다.
상기의 구성을 통해 도장 과정을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세정부를 통해 도장 대상물의 표면에 대한 세정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9는 도장부를 통해 도장 대상물의 표면에 도장면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 내지 도 11은 건조부를 통해 도장면을 건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 하면 본체부의 기밀 부재(120)는 도장 대상물(1)의 표면에 밀착된다. 이때 본체부(100)는 진공 흡착을 통해 흡착 고정된다. 이에 본체부(100) 내부 공간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700)는 승강 실린더(213)의 승강축(213a)을 하강시켜, 하부 블록(212)에 형성된 브러쉬(230)를 도장 대상물(1)의 표면에 접촉시킨다.
이어 제어부(700)는 제 1이동 모터(612)를 사용하여 세정 블록(210)을 일정 회수 왕복 이동시킨다. 이에 도장 대상물(1)의 표면은 이동되는 브러쉬(230)에 접촉된 상태로 세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은 포집부(300)를 통해 포집된다.
도 9를 참조 하면 세정이 완료되면 제어부(700)는 도장 블록(410)을 제 2이동 모터(622)를 사용하여 제 2이동축(621)을 따라 왕복 이동시킨다. 동시에 페인트 공급기(430)를 통해 페인트를 분사홀들(412)을 통해 분사되도록 한다.
이에 도장 대상물(1)의 표면에는 일정 두께의 도장면(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 하면 도장이 이루어진 이후, 제어부(700)는 건조부(500)를 구동시킨다.
제어부(700)는 전류 제공기(540)를 사용하여 가열 코일과 같은 발열체(530)로 전류를 공급하여 일정 온도를 이루도록 가열시킨다.
이어 제어부(700)는 제 3이동 모터(632)를 사용하여 일정 온도로 가열된 건조 블록(510)을 제 3이동축(631)을 따라 일정 회수 왕복 이동시킨다. 이에 본체부(100) 내부 공간 및 도장면(2)은 일정 온도로 가열된 온도에 노출되어 점진적으로 건조가 이루어진다.
건조가 완료된 이후에는 본체부(100) 하단 흡착홀(113)에 형성된 진공을 파지하여 본체부(100)를 도장 대상물(1)로부터 탈거 가능하도록 하여 도장 공정을 완료할 수 있다.
도 12는 도장면에 대한 두께 측정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두께 측정 센서가 구비되는 도장 블록의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 하면 상기 도장 블록(410)에는 상기 페인트가 분사되어 형성되는 상기 도장면의 두께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도장면의 두께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송하는 두께 측정 센서(46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도장면의 두께는 도장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도장 대상물 표면까지의 거리에서 도장이 이루어지면서 형성되는 도장면 까지의 거리를 뺀 차이 거리를 두께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에는 기준 도장면 두께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도장 블록(410)을 상기 제 2이동축(631)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두께 측정 센서(460)로부터 상기 도장면의 두께를 연속적으로 전송 받고, 전송 받은 상기 도장면의 두께가 상기 기준 도장면 두께에 이르도록 상기 페인트 공급기(430) 및 상기 유량 제어 밸브(450)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전송 받은 상기 도장면의 두께가 상기 기준 도장면 두께에 이룬 후, 상기 도장 블록(410)을 상기 제 2이동축()을 따라 재이동시키면서 상기 두께 측정 센서(460)로부터 상기 도장면의 두께를 재전송 받고, 재전송 받은 상기 도장면의 두께가 상기 기준 도장면 두께 보다 얇은 곳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이동 모터(622)를 사용하여 상기 도장 블록(410)을 상기 얇은 곳이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얇은 곳이 존재하는 위치에서의 도장면의 두께가 상기 기준 도장면 두께에 이르도록 상기 페인트 공급기(430) 및 상기 유량 제어 밸브(450)의 구동을 추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 흡착부(110)는 거리 센서(1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센서(114)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도장 대상물의 표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측정되는 상기 거리가 기설정된 흡착 거리에 이르면 상기 진공 제공기(111)를 사용하여 진공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에 구비되는 도장 대상물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하고, 도장 대상물의 표면을 세정한 이후에, 페인트를 사용하여 도장을 실시하고, 도장면을 건조시킬 수 있는 일련의 도장 공정을 실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도장 진행시 발생되는 비산물을 실내로 비산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본체부
101 : 진공 유로
110 : 진공 흡착부
111 : 진공 제공기
112 : 진공 라인
113 : 흡착홀
120 : 기밀 부재
200 : 세정부
210 : 세정 블록
211 : 상부 블록
212 : 하부 블록
213 : 승강 실린더
220 : 제 1연결단
230 : 브러쉬
300 : 포집부
310 : 포집 몸체
320 : 배출관
330 : 필터
340 : 포집관
350 : 펌프
400 : 도장부
410 : 도장 블록
411 : 분사 유로
412 : 분사홀
420 : 제 2연결단
430 : 페인트 공급기
440 : 페인트 공급 튜브
450 : 유량 제어 밸브
500 : 건조부
510 : 건조 블록
520 : 제 3연결단
530 : 발열체
540 : 전류 제공기
600 : 이동부
610 : 제 1이동부
611 : 제 1이동축
612 : 제 1이동 모터
620 : 제 2이동부
621 : 제 2이동축
622 : 제 2이동 모터
630 : 제 3이동부
631 : 제 3이동축
632 : 제 3이동 모터
700 : 제어부

Claims (4)

  1.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실내에 구비되는 도장 대상물에 대하여 도장을 실시하는 도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장 장치는,
    상기 도장 대상물을 덮도록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동되면서 상기 도장 대상물의 외면을 세정하는 세정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세정을 통해 발생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세정이 이루어진 이후에 이동되면서 상기 도장 대상물의 표면에 페인트를 사용하여 도장을 통해 도장면을 형성하는 도장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도장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도장면을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상기 세정부와 상기 도장부와 상기 건조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세정부와 상기 포집부와 상기 도장부와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건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하단을 진공을 통해 상기 도장 대상물의 에지 부분에 진공 흡착시켜 상기 본체부를 고정하는 진공 흡착부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부는,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 흡착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진공을 제공하는 진공 제공기와, 상기 진공 제공기와 연결되는 진공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는 흡착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진공 라인과 상기 흡착홀들을 연결하는 진공 유로들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하단 양측 에지에는, 탄성을 이루는 기밀 부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흡착홀들은, 각각의 상기 기밀 부재에 의해 에워싸이고,
    상기 이동부는, 제 1이동부와 제 2이동부 및 제 3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세정부가 이동 가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이동축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세정부를 상기 제 1이동축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제 1이동 모터를 갖고,
    상기 제 2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도장부가 이동 가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이동축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상기 도장부를 상기 제 2이동축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제 2이동 모터를 갖고,
    상기 제 3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건조부가 이동 가능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이동축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상기 건조부를 상기 제 1이동축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제 3이동 모터를 갖되,
    상기 제 1이동축과 상기 제 2이동축 및 상기 제 3이동축은 상기 본체부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세정부와 상기 도장부와 상기 건조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고, 이동시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상기 세정부는,
    하단에 브러쉬가 형성되는 세정 블록과,
    상기 세정 블록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이동축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연결단을 구비하되,
    상기 세정 블록은,
    상기 제 1연결단이 형성되는 상부 블록과,
    상기 상부 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단에 상기 브러쉬가 형성되는 하부 블록과,
    상기 상부 블록의 하단에 설치되며, 승강되는 승강축을 갖는 승강 실린더를 갖고,
    상기 승강축의 하단은 상기 하부 블록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승강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승강축을 일정 위치로 하강시키면, 상기 브러쉬는 상기 도장 대상물의 표면과 물리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도장부는,
    내부에 페인트가 유동되는 분사 유로가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분사 유로와 연결되어 유동되는 상기 페인트를 분사하는 분사홀들이 형성된 도장 블록과,
    상기 도장 블록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2이동축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연결단과,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일정량의 페인트를 공급하는 페인트 공급기와,
    상기 페인트 공급기와 상기 분사 유로와 연결되는 페인트 공급 튜브와,
    상기 페인트 공급기에 구비되며, 상기 페인트 공급 튜브를 통해 공급되는 페인트 공급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되는 공급 유량에 따라 상기 유량 제어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도장 블록에는,
    상기 페인트가 분사되어 형성되는 상기 도장면의 두께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도장면의 두께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두께 측정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기준 도장면 두께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장 블록을 상기 제 1이동축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두께 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도장면의 두께를 연속적으로 전송 받고,
    전송 받은 상기 도장면의 두께가 상기 기준 도장면 두께에 이르도록 상기 페인트 공급기 및 상기 유량 제어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전송 받은 상기 도장면의 두께가 상기 기준 도장면 두께에 이룬 후,
    상기 도장 블록을 상기 제 1이동축을 따라 재이동시키면서 상기 두께 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도장면의 두께를 재전송 받고,
    재전송 받은 상기 도장면의 두께가 상기 기준 도장면 두께 보다 얇은 곳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이동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도장 블록을 상기 얇은 곳이 존재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얇은 곳이 존재하는 위치에서의 도장면의 두께가 상기 기준 도장면 두께에 이르도록 상기 페인트 공급기 및 상기 유량 제어 밸브의 구동을 추가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건조부는,
    건조 블록과,
    상기 건조 블록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3이동축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연결단과,
    간조 블록에 설치되며, 제공되는 전류를 통해 일정 온도로 발열되어 열을 상기 도장면에 전달하는 발열체와,
    상기 건조 블록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로 상기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 제공기를 구비하되,
    상기 건조 블록은, 상기 제 3연결단과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3연결단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친환경 도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포집 공간이 형성되는 포집 몸체와,
    상기 포집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포집 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며,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와,
    상기 포집 몸체의 상기 포집 공간과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포집관과,
    상기 포집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도장시 발생되는 이물질을 상기 포집관을 통해 상기 포집 공간으로 강제 흡입 시키는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진공 흡착부는 거리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거리 센서는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도장 대상물의 표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측정되는 상기 거리가 기설정된 흡착 거리에 이르면 상기 진공 제공기를 사용하여 진공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친환경 도장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230002301A 2023-01-06 2023-01-06 실내 친환경 도장장치 KR102535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301A KR102535420B1 (ko) 2023-01-06 2023-01-06 실내 친환경 도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301A KR102535420B1 (ko) 2023-01-06 2023-01-06 실내 친환경 도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420B1 true KR102535420B1 (ko) 2023-05-26

Family

ID=8653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2301A KR102535420B1 (ko) 2023-01-06 2023-01-06 실내 친환경 도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4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655Y1 (ko) 2000-02-08 2000-07-15 강대윤 페인팅 장치
KR20170000870A (ko) * 2015-06-24 2017-01-04 주식회사 포스코 도장 장치
KR102264318B1 (ko) * 2020-12-24 2021-06-14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
KR102472005B1 (ko) * 2022-05-20 2022-11-29 주식회사 명성산업 자동 도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655Y1 (ko) 2000-02-08 2000-07-15 강대윤 페인팅 장치
KR20170000870A (ko) * 2015-06-24 2017-01-04 주식회사 포스코 도장 장치
KR102264318B1 (ko) * 2020-12-24 2021-06-14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고층 건물의 보양기능을 갖는 외벽 도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도장 공법
KR102472005B1 (ko) * 2022-05-20 2022-11-29 주식회사 명성산업 자동 도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9974A (en) Spray coating process and apparatus
KR100623937B1 (ko) 휴대폰 케이스 자동 코팅장치용 코팅기
KR101799464B1 (ko) 다기능 도색 장치
CN108906459A (zh) 一种汽车车漆表面喷涂修复装置
KR102535420B1 (ko) 실내 친환경 도장장치
JP5828864B2 (ja) 乾式塗装設備
CN109415169B (zh) 干式润滑传送带设备
CN111957489A (zh) 一种玻璃生产线用镀膜设备
JPS625660B2 (ko)
KR102515658B1 (ko) 자가세정기능을 갖는 외부창틀구조
US3201272A (en) Method and means for trapping and reclaiming porcelain frit
JPH06269709A (ja) 飛沫防止塗装の移動作業床装置及びその工法
KR102287824B1 (ko) 실시간 셀프 세정이 가능한 공동주택 발코니 창호 구조물
KR20100016693A (ko) 간이 에어 샤워기
JPH0370555B2 (ko)
CN213000827U (zh) 应力锥自动喷涂系统
CN204866422U (zh) 提高涂刷效率和自动干燥的设备
CN204866402U (zh) 一种用于棒材涂刷和干燥的设备
KR100789908B1 (ko) 각관 도장 장치
CN209997853U (zh) 一种汽车喷涂作业钢板密闭房
CN105013668A (zh) 一种用于棒材涂刷和干燥的设备
WO2020026534A1 (ja) 洗浄装置、表面処理装置および洗浄方法
CN105013659A (zh) 棒材连续涂刷干燥的机械
CN218394335U (zh) 一种仪器仪表制造用喷漆装置
CN204892242U (zh) 用于棒材快速涂刷和干燥的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